KR101140323B1 -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323B1
KR101140323B1 KR1020100061975A KR20100061975A KR101140323B1 KR 101140323 B1 KR101140323 B1 KR 101140323B1 KR 1020100061975 A KR1020100061975 A KR 1020100061975A KR 20100061975 A KR20100061975 A KR 20100061975A KR 101140323 B1 KR101140323 B1 KR 10114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roducing apparatus
slave
image
master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268A (ko
Inventor
전윤석
이만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존
Priority to KR102010006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3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들 중에서, 멀티 비전 시스템은 수직 동기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하는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MULTIVISION SYSTEM AND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VIDEO PLAY APPARATUSES}
개시된 기술은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지만 제한됨 없이는 복수의 영상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액티브 방식의 3차원 영상의 프레임 간 동기화가 가능한 멀티 비전 시스템 및 프레임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3-Dimension, 3D) 영상 콘텐츠의 상업화가 크게 성공함에 따라, 3D 제품에 대한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3D TV, 3D 노트북, 3D 모니터, 3D 플레이어 등의 제품들이 출시되거나 출시를 앞두고 있다.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편광필터 방식(패시브 방식)과 셔터 글라스 방식(액티브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패시브 방식은 예컨대, 화면을 구성하는 수평 주사선을 공간적으로 분할하여, 매 주사선 마다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을 번갈아 가며 디스플레이 하는 라인 바이 라인 방식(line by line)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편광 필터가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편광 안경에 의하여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분리되어 제공된다. 패시브 방식은 필터를 사용하므로 휘도(밝기)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액티브 방식은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을 시간차이를 두고 번갈아 가며 디스플레이 하면, 안경에서 번갈아 가며 왼쪽 셔터글라스만 열어 왼쪽 영상을 좌안에 제공하고, 이후 반대로 오른쪽 셔터글라스만 열어 오른쪽 영상을 우안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액티브 방식은 필터 없이 투명한 안경을 통해 영상을 보기 때문에 휘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으며, 액티브 방식 중 순차프레임(frame sequential) 방식으로 표시되는 경우는 해상도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왼쪽(또는 오른쪽) 셔터 글라스를 통해 왼쪽(또는 오른쪽) 눈에만 보여야 할 영상 프레임이 오른쪽(또는 왼쪽) 셔터 글라스가 열리는 순간 오른쪽(또는 왼쪽) 프레임 영상과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하여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1 측면은 수직 동기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하는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2 측면은 타 영상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영상 재생장치에 있어서,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여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다음 단에 연결된 타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고,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을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영상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3 측면은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가 수직 동기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액티브 방식의 3D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크로스토크 현상 및 안경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는 동기화하려는 신호 자체인 수직 동기 신호를 그대로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기 때문에,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제공된 신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내부 회로가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액티브 방식의 3차원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크로스토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영상 재생장치 간 재생 프레임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재생장치를 직렬(Cascade)로 연결한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재생장치를 병렬로 연결한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액티브 방식의 3차원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크로스토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액티브 방식의 3D 기술에 대하여 크로스토크 현상에 의한 어지럼증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크로스토크 현상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멀티 비전 시스템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영상을 재생하는 시스템이다. 일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거나(도 2의 (a)), 또는 동일한 영상의 일부를 동시에 재생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영상을 구성(도 2의 (b))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별도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재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3D 멀티 비전 시스템(100)은, 액티브 방식의 3D 영상을 재생하는 제1 영상 재생장치(110), 제2 영상 재생장치(120),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포함한다. 제1 영상 재생장치(11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3D용 영상 프레임(150)을 제공하며, 제2 영상 재생장치(12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3D용 영상 프레임(160)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 140)는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로, 액티브 3D 방식을 지원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영상 재생장치(110)가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압축된 3D용 영상 프레임(150)을 60Hz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제공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제공된 영상에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분리하여, 120Hz의 빈도로 분리된 좌측 영상(170)과 우측 영상(175)을 시간에 따라 번갈아 가며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영상 재생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영상 프레임(150, 160)의 동기가 정확히 맞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각 영상 재생장치에서 생성되는 시스템 클럭,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등이 정확하게 일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는 각 영상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프레임 간의 동기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미세한 차이는 사람이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액티브 방식의 3D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미세한 차이가 크로스토크 현상을 가중시킨다거나, 안경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150)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160)보다 미세하게 늦기 때문에, t1구간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측 영상(170)을 디스플레이 하는 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우측 영상(185)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안경의 셔터 글라스가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춰 작동된다면, t1구간에서 좌측 셔터글라스가 열린 상태이므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 영상이 좌안으로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t1구간에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t1구간에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기(emitter)는 안경에 좌측 셔터글라스를 열도록 하는 신호를 송출함에 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기(emitter)는 우측 셔터글라스를 열도록 하는 신호를 안경에 송출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함에 따른 안경의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멀티 비전 시스템(300)은 제1 영상 재생장치(310)와 제2 영상 재생장치(320)에서 재생되는 영상 프레임(350, 360) 간의 동기가 맞추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310, 320)는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가 서로 일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각 영상 프레임(350, 360)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310, 320)에서 제공되는 프레임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330, 34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들도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330, 34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동기가 서로 맞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은 크로스토크 현상 및 안경 오작동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영상 재생장치 간 재생 프레임을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410, 420)는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가 서로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각 영상 프레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영상 재생장치(410)는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제2 영상 재생장치(420)에 제공한다. 제2 영상 재생장치(420)는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의 수직 동기 신호들을 동기화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각 프레임이 전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의 수직 동기 신호가 동기화되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프레임도 동기화된다.
제1 영상 재생장치(410)와 같이,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가 된다. 반면, 제2 영상 재생장치(420)와 같이,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된다.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들 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타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고,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마스터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신호를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와 동기화 한다. 각 영상 재생장치의 수직 동기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 또는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 동기 신호는 외부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동기 분리 회로가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상 재생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 대신, 수평 동기 신호를 제2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는 수평 동기 신호들 간의 동기화를 통하여 프레임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상 재생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모두 제2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영상 재생장치는 자신의 시스템 클락을 제2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여, 제2 영상 재생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시스템 클락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영생 재생장치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내부에서 생성되는 클락을 시스템 클락으로 사용하고,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클락을 시스템 클락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각 영상 재생장치가 동일한 시스템 클락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영상 재생장치 간에 더욱 정확한 동기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제1 영상 재생장치는 DE(Data Enable) 신호도 제2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액티브 방식의 3D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크로스토크 현상 및 안경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영상 재생장치가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프레임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는 동기화하려는 신호 자체인 수직 동기 신호(또는 수평 동기 신호)를 그대로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기 때문에,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제공된 신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내부 회로가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영상 재생장치가 2개인 예를 들었으나, 2개 이상의 영상 재생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에서도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재생장치를 직렬(Cascade)로 연결한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영상 재생장치(510, 520, 530, 540)의 수직 동기 신호들 간의 동기화를 위하여,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510)가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550)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20)에 제공한다.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520)는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550)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20)는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30)에게,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30)는 제3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40)에게,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550)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제2 및 제3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30, 540)는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550)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마스터 및 제1, 제2, 제3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510, 520, 530, 540)의 수직 동기 신호들이 동기화된다. 각 영상 재생장치(510, 520, 530, 540)는 동기화된 수직 동기 신호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560, 570, 580, 590)에 제공하게 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들의 프레임이 동기화된다.
복수의 영상 재생장치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각 영상 재생장치들 간의 연결이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렬로 연결된 영상 재생장치들 간에 동기 신호(550)가 순차적으로 전달되므로, 영상 재생장치의 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550)에 대한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영상 재생장치를 병렬로 연결한 멀티 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620, 630, 640)는 병렬로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610)와 연결되어,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61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650)를 제공받는다.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610)의 출력 단자(OUT Port)의 수가 연결되어야 할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의 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배기(660)를 사용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를 연결한다. 즉, 분배기(660)의 입력 단자에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610)의 출력이 연결되고, N개의 분배기(650)의 출력이 N개의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620, 630, 640)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마스터의 수직 동기 신호(650)가 N개의 슬레이브에 제공된다.
복수의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들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보다 동기 신호(650)의 시간 지연 현상이 덜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 마스터의 출력 단자가 슬레이브의 수만큼 있어야 하거나, 또는 1 to N 분배기가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프레임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의 멀티 비전 시스템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도 3 내지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영상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프레임을 동기화하여, 액티브 방식의 3D 영상 멀티 비전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토크 현상 및 안경 오작동을 방지한다.
S710 단계에서,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가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한다. 예컨대,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는 영상 신호로부터 분리되어 생성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마스터 및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동기화된 수직 동기 신호를 각각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3D TV)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프레임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와 같이,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730).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과 같이,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에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와 병렬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는 S710 단계에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한다. S720 단계에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와 마찬가지로,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때,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의 출력 단자의 수가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의 수 보다 작으면 분배기를 사용하여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시스템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수직 동기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하는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는, 시스템 클럭(Clock)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더 제공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는,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클럭 신호를 자신의 내부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 및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액티브(Active) 방식의 3차원 영상을 재생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와 직렬(Cascade)로 연결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멀티 비전 시스템.
  5. 삭제
  6. 타 영상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영상 재생장치에 있어서,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여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를 다음 단에 연결된 타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고,
    타 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을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되,
    상기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내부에서 생성되는 클락을 시스템 클락으로 사용하고,
    상기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클락을 시스템 클락으로 사용하는 영상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장치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다음 단에 연결된 타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는 영상 재생장치.
  8. 삭제
  9.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가 수직 동기 신호 및 시스템 클럭(Clock) 신호를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시스템 클럭 신호를 자신의 내부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하는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 및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는 액티브(Active) 방식의 3차원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직렬(Cascade)로 연결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상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상기 제1 슬레이브 영상 재생 장치와 병렬로 연결된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슬레이브 영상 재생장치가 상기 마스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수직 동기 신호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KR1020100061975A 2010-06-29 2010-06-29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KR10114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75A KR101140323B1 (ko) 2010-06-29 2010-06-29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75A KR101140323B1 (ko) 2010-06-29 2010-06-29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68A KR20120001268A (ko) 2012-01-04
KR101140323B1 true KR101140323B1 (ko) 2012-05-02

Family

ID=4560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975A KR101140323B1 (ko) 2010-06-29 2010-06-29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5148A (zh) * 2012-09-18 2013-01-3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播放3d视频的方法
KR101443327B1 (ko) 2013-01-02 2014-09-26 주식회사 오렌지큐브 실시간 렌더링 3d 오브젝트 인터렉티브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렌더링 3d 오브젝트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68B1 (ko) * 2012-07-30 2014-01-16 주식회사 디지털존 영상 재생장치 간의 영상 프레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2102915B1 (ko) * 2018-09-13 2020-04-21 주식회사 디지털존 멀티비전의 동기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940A (ja) * 1997-06-03 1999-02-26 Hewlett Packard Co <Hp> マルチディスプレイ立体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スシステムにおける左右チャンネル表示と垂直リフレッシュの同期
JP2004085730A (ja) * 2002-08-23 2004-03-18 Toppan Printing Co Ltd 映像表示装置及び同期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940A (ja) * 1997-06-03 1999-02-26 Hewlett Packard Co <Hp> マルチディスプレイ立体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スシステムにおける左右チャンネル表示と垂直リフレッシュの同期
JP2004085730A (ja) * 2002-08-23 2004-03-18 Toppan Printing Co Ltd 映像表示装置及び同期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5148A (zh) * 2012-09-18 2013-01-3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播放3d视频的方法
KR101443327B1 (ko) 2013-01-02 2014-09-26 주식회사 오렌지큐브 실시간 렌더링 3d 오브젝트 인터렉티브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의 실시간 렌더링 3d 오브젝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68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07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lternative image content of a physical display to different viewers
CN101076130B (zh) 通信方法及系统、传送方法及设备、接收方法及设备
US20110267439A1 (e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multiple full-screen images and related method
US74116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ple view imaging by means of a plurality of video processing devices
KR101045321B1 (ko)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128016A2 (en) Viewing of Different Full-Screen Television Content by Different Viewers At the Same Time Using Configured Glasses and A Related Display
US20110164118A1 (en) Display apparatuses synchronized by one synchronization signal
KR101140323B1 (ko) 멀티 비전 시스템 및 영상 재생장치 간의 프레임 동기화 방법
US20130194399A1 (en) Synchronization of shutter signals for multiple 3d displays/devices
CN206948525U (zh) 一种基于多通道多屏幕的视频同步播放系统
KR201400732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392251B2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US9955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and watching a video
CN105549931B (zh) Usb视频拼接播放系统
US89022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US20110310222A1 (en) Image distribu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tributing method thereof
KR10219608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367031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1503343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esentation
KR20110081012A (ko) 하나의 동기신호로 동기화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11406155U (zh) 一种同屏显示观看多通道多帧率视频的装置
CN211378158U (zh) 一种同屏显示观看多通道视频的装置
CN211406156U (zh) 一种同屏显示观看多通道3d视频的装置
KR10167103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WO2012152504A1 (en) Synchronization of active 3d glasses on a displayed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