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43B1 -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143B1
KR101140143B1 KR1020100065013A KR20100065013A KR101140143B1 KR 101140143 B1 KR101140143 B1 KR 101140143B1 KR 1020100065013 A KR1020100065013 A KR 1020100065013A KR 20100065013 A KR20100065013 A KR 20100065013A KR 101140143 B1 KR101140143 B1 KR 10114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tenna
band blocking
radiator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250A (ko
Inventor
김채영
김당오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기판, 방사부 및 급전부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개시한다. 방사부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초광대역의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한다. 급전부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사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급전부는 방사부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라인 및 급전라인과 소정간격 이격된 제1 및 제2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부 및 급전부 상에는 서로 다른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대역 저지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각 대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대역 저지 소자들 사이의 커플링을 최소화 함으로써, 소자 간의 커플링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Multiple band rejection UWB antenna and its design method}
본 발명은 초광대역 안테나 및 이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대역 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광대역(UWB) 시스템은 기존 무선국 운용에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의 극히 낮은 출력과 500MHz이상의 초광대역 주파수를 이용해 10m 이내 근거리에서 수백 Mbps의 초고속 정보전송이 가능한 무선 시스템으로, 향후 디지털 홈 네트워크의 핵심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초광대역 시스템은 짧은 펄스를 이용하여 신호를 광범위한 대역으로 확산시키므로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UWB 통신은 3.1~10.6GHz의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한 전파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통신 시스템과의 전파 간섭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 대역에 대한 주파수 저지 기능을 갖는 UWB 안테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저지 대역 할당 및 조절이 가능한 초광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안테나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초광대역 안테나는 기판, 방사부 및 급전부를 포함한다.
방사부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초광대역의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한다. 급전부는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사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급전부는 방사부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라인 및 급전라인과 소정간격 이격된 제1 및 제2 접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부 및 급전부 상에는 서로 다른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8GHz의 대역을 저지하는 역 U-자형 슬롯, 방사부 상단에 형성되어 3GHz의 대역을 저지하는 미앤더 형상의 스터브, 급전부 상에 형성되어 5GHz의 대역을 저지하는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 등이다.
이와 같은 안테나에 따르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대역 저지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각 대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는 대역 저지 소자들 사이의 커플링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자 간의 커플링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광대역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설계된 초광대역 안테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주파수에 따른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2 대역 저지 소자의 저지 대역 조절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별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1 대역 저지 소자의 대역 조절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주파수별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3 대역 저지 소자의 대역 조절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별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도 2의 대역 저지 소자들 각각의 주파수별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10는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에 따른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별 군지연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은 E-평면에서 도 2의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H-평면에서 도 2의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광대역 안테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구체적인 초광대역 안테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100)는 기판(110), 방사부(120), 급전부(130)를 포함한다. 안테나(100)는 미앤더 라인을 제외하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테나(100)는 주파수 대역을 넓히기 위해 코플라나 도파관(CPW) 급전 구조를 이용한 안테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로 설계된 안테나(100)의 형상이고, (b)~(d)는 (a)의 안테나(100)에 삽입된 대역 저지 소자들의 형상이다. 도 2에서는 상기 안테나 및 대역 저지 소자들을 설계값과 함께 도시하였다. 상기 설계값의 단위는 밀리미터(mm)이다. 이하,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조 및 설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판(110)은 일정한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기판이다. 기판(110)은 일 예로, 유전률이 3.38이고, 손실 탄젠트(loss tangent)가 0.0027이고, 두께가 0.812mm, 전체 면적이 40X40mm2인 로저스(Rogers)사의 Rogers4003 기판일 수 있다.
방사부(120)는 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초광대역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한다. 방사부(120)는 일 예로, 하부에 매칭 스텝을 갖는 사각형의 패치일 수 있다. 매칭 스텝은 SMA 커넥터에 연결되는 급전부(130)의 특성 임피던스는 50
Figure 112010043686934-pat00001
Figure 112010043686934-pat00002
이므로, 방사부(120)와 급전부(130)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구비된다. 급전부(130)는 방사부(120)의 하부에 형성되고, 방사부(120)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전부(130)는 방사부(1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라인(131) 및 급전라인(131)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접지부(132) 및 급전라인(131)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접지부(133)로 이루어진다. 급전라인(131)과 제1 접지부(132) 사이 및 급전라인(131)과 제2 접지부(133) 사이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100)는 기본적으로 3.1~10.6GHz에 이르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안테나(100)는 3.3 ~ 3.7 GHz의 와이맥스(Wimax) 대역, 5.15~5.825GHz의 무선랜 대역 및 8.025 ~ 8.4 GHz 대역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상기 대역을 저지하는 소자를 안테나 상에 배치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파장에 따른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알아본다.
도 3 내지 도 5는 주파수에 따른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대역 저지 소자가 삽입되지 않은 안테나(200)를 사용하여 표면 전류 분포를 알아보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그래프들이다.
도 3은 3.5GHz에서의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는 방사부(220)의 상단(P11), 급전부(230)와 근접한 방사부(220)의 하단(P12) 및 급전부(230)에 집중되어 있다.
도 4는 5.4GHz에서의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사부(220)의 상단(P21), 방사부의 하단(P21) 및 급전부(230)에 전류가 집중되어 있다. 도 3과 비교해보면, 3.5GHz의 경우보다 방사부의 중심부 쪽으로 전류 분포가 확장되어 있는데, 이는 3.5GHz의 경우보다 파장의 길이가 짧기 때문이다.
도 5는 8.2GHz에서의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사부(220)의 중앙 에지부분(P3) 및 급전부(230)에 전류가 집중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로부터, 8.2GHz에서는 방사부(220)의 중앙 에지 부분(P3)에 전류가 집중되므로, 8GHz대의 대역을 저지 하기 위해서는 방사부(220)의 중심부에 대역 저지 소자를 삽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3.5GHz에서는 방사부(220)의 상단에 전류가 집중되므로, 3GHz대의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방사부(220)의 상단에 대역 저지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급전부(230)에는 모든 대역의 전류가 집중적으로 분포하므로, 3GHz 및 8GHz를 제외한 특정 대역을 저지하는 대역 저지 소자를 삽입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방사부(120)의 상단에는 제2 대역 저지 소자(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는 미앤더 형상의 스터브이다.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142)는 3.3 ~ 3.7 GHz의 와이맥스(Wimax)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 안테나(100) 상에 형성되었다.
제2 대역 저지 소자 (142)는 방사부(120) 상단의 중심에 연결되어 있고, 중심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상기 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시 연장된다.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142)는 방사부(120)의 상단에서 반드시 중심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기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 좌우 대칭이면 된다.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142)의 길이는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의 약 1/4 파장 길이를 갖는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14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는 제2 대역 저지 소자의 저지 대역 조절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별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의 절곡된 후에 일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이하 스터브의 길이, m_length)가 저지 대역 조절 파라미터이다. 도 6b에서, 상기 반사 손실(return loss)이 가장 낮은 지점, 다시 말해 그래프 상에서 Y축으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질 때의 주파수가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스터브의 길이(m_length)가 1mm 증가할 때마다, 저지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약 0.2GHz씩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급전라인(131)에 근접한 방사부(120)의 중심부상에는 제1 대역 저지 소자(14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대역 저지 소자(141)는 역 U-자형 슬롯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제1 대역 저지 소자 (141)은 8.025 ~ 8.4 GHz의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 안테나(100) 상에 형성되었다.
도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8.2GHz에서 안테나의 전류 분포가 급전부와 방사부의 중심에 집중하는 양상을 띄므로,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의 위치가 급전라인(131)에서 근접하여 위치해야 대역 저지 특성이 좋아진다.
상기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의 길이(LS)는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의 약 1/2 파장 길이를 갖는다. 즉,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의 길이(LS)를 조절함으로써,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a는 제1 대역 저지 소자의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별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에서 Y축 방향의 길이(SL_b)가 저지 파라미터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Y축 방향의 길이(SL_b)가 0.2mm 증가할 때마다, 저지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약 0.3GHz씩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급전부(130) 상에는 제3 대역 저지 소자(143)가 형성된다. 상기 제3 대역 저지 소자(143)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Complementary Split Ring Resonators) 일 수 있다. 제3 대역 저지 소자 (143)는 5.15~5.825GHz의 무선랜 대역을 저지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제3 대역 저지 소자(143)는 급전부(130)의 제1 및 제2 접지부(131, 132)상에 각각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급전라인(131)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다.
일반적인 스플릿 링 공진기(SRR)가 두 개의 금속 링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서로 반대되는 부분에 스플릿 된 부분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는 일반적인 SRR에서 금속 부분과 금속이 아닌 부분이 서로 대체되면서 쌍대성 원리(Duality Theorem)에 의해 가해졌던 전기장과 자기장의 역할이 서로 바뀐 구조를 말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143)의 공진 주파수는 아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112010043686934-pat00003
L은 링 사이의 슬롯의 단위 길이 인덕턴스, C는 스플릿 링 공진기의 총 커패시턴스, r0는 고리 모양 슬롯의 평균적인 지름을 의미한다.
제3 대역 저지 소자(143)는 스플릿 영역의 길이, 상기 두 개의 슬롯의 간격, 가장 외곽의 슬롯의 길이 및 폭을 조절함으로써,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a는 제3 대역 저지 소자의 파라미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별 반사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대역 저지 소자(143)의 외곽 슬롯의 폭(cs_a)이 주파수 변화의 파라미터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외곽 슬롯의 폭(cs_a)이 0.1mm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저지 대역의 공진 주파수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성능을 검증하도록 한다.
도 9은 도 2의 대역 저지 소자들 각각의 주파수별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도 2의 (b)~(d)에 도시된 대역 저지 소자들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그래프에서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Y축은 반사손실(return loss)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역 U-자형 슬롯은 8.025 ~ 8.4GHz의 대역을 저지하고, 마인더 형상의 스터브는 3.3 ~ 3.7GHz의 대역을 저지하고,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143)는 5.15~5.825GHz의 대역을 저지한다.
도 10는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별 반사 손실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2의 안테나는 저지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에서 -10dB 이하의 반사 손실을 만족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안테나는 3.3~3.7GHz, 5.15~5.825GHz 및 8.025 ~ 8.4GHz의 저지 대역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에 따른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3.5GHz에서의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대역 저지 소자(142)에 전류가 집중되어 색이 가장 진하게 나타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대역 저지 소자(142)가 공진 주파수가 3.5GHz인 대역의 주파수를 저지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5.4GHz에서의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제3 대역 저지 소자(143)에 전류가 집중되어 색이 가장 진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3 대역 저지 소자(143)가 공진 주파수가 5.4GHz인 대역의 주파수를 저지함을 알 수 있다.
도 13는 8.2GHz에서의 안테나의 전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에 전류가 집중되어 색이 가장 진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대역 저지 소자(141)의 공진 주파수가 8.2GHz인 대역의 주파수를 저지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안테나의 주파수별 군지연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체 UWB 대역에서 군지연 특성은 저지 대역을 제외하고, 2ns 이내의 변동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는 시간 응답 영역에서 최소한의 왜곡을 갖는다.
도 15는 E-평면에서 도 2의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6은 H-평면에서 도 2의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4.5GHz, 5.5GHz, 및 6.5GHz에서 상기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관찰하였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을 갖고, 모노폴 안테나와 유사한 방사 패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안테나는 저지 대역인 5.5GHz에서는 낮은 수신 전력 레벨을 보이나, 4.5GHz 및 6.5GHz에서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을 갖고 거의 동일하게 안정적인 방사패턴을 보인다.
도 9 내지 도 1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가 예상했던 것과 같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만약, 대역 저지 소자간의 커플링 등에 의해 실험 결과 예상했던 것과 다른 성능을 보이는 경우에는, 대역 저지 소자의 배치를 조정하거나 대역 저지 소자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안테나가 의도했던 것과 동일한 성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안테나에 따르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대역 저지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각 대역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대역의 물리적인 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쉽게 저지하려는 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역 저지 소자들 사이의 커플링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를 함으로써, 소자 간의 커플링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안테나 110: 기판 120: 방사부
130: 급전부 131: 급전라인 132,133: 접지부
141: 제1 대역 저지 소자 142: 제2 대역 저지 소자
143: 제3 대역 저지 소자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어, 초광대역의 전파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사부; 그리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방사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초광대역 안테나로서,
    서로 다른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가 상기 방사부와 급전부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는 상기 방사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역 U-형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는 상기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부의 상단에 연결된 미앤더 형상의 스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U-형 슬롯은 상기 방사부의 중심부 중 상기 급전부와 근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앤더 형상의 스터브는 상기 방사부 상단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는 상기 급전부 상에 형성된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방사부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급전라인;
    상기 급전라인의 좌측에 형성된 제1 접지부; 및
    상기 급전라인의 우측에 형성된 제2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지부 상에 상기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는 상기 급전라인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
  9. 적어도 세 개의 대역 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저지 대역에 따라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 각각의 형상 및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을 상기 안테나의 방사부 및 급전부에 배치하여 안테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실험을 통하여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의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의 최종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사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미앤더 형상의 스터브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설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방사부의 중심부에 역 U-형 슬롯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설계 방법.
  11. 삭제
  12. 적어도 세 개의 대역 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설계 방법에 있어서,
    저지 대역에 따라 다수의 대역 저지 소자 각각의 형상 및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을 상기 안테나의 방사부 및 급전부에 배치하여 안테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실험을 통하여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의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역 저지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의 최종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전부 상에 상보적 구조의 스플릿 링 공진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안테나의 설계 방법.
KR1020100065013A 2010-07-06 2010-07-06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KR10114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13A KR101140143B1 (ko) 2010-07-06 2010-07-06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013A KR101140143B1 (ko) 2010-07-06 2010-07-06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50A KR20120004250A (ko) 2012-01-12
KR101140143B1 true KR101140143B1 (ko) 2012-05-02

Family

ID=4561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013A KR101140143B1 (ko) 2010-07-06 2010-07-06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44B1 (ko) 2013-04-05 2014-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7356B1 (ko) * 2016-02-02 2017-01-1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가변 범위가 확장된 광대역 재구성 안테나 구조
KR102431800B1 (ko) * 2022-01-24 2022-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Uwb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9086B (zh) * 2013-04-19 2016-05-11 郑州轻工业学院 一种超宽带平面小型化微带天线
CN103700941A (zh) * 2013-12-20 2014-04-02 惠州硕贝德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分集接收天线
KR101673086B1 (ko) * 2015-06-15 2016-1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방종단 폴디드 슬롯을 이용한 uwb 안테나
JP6659519B2 (ja) * 2016-11-02 2020-03-04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
CN108666752A (zh) * 2018-04-17 2018-10-16 惠州市元盛科技有限公司 一种平面天线
CN109755733A (zh) * 2018-12-11 2019-05-14 上海电力学院 一种基于液晶聚合物的双陷波超宽带天线
KR102319004B1 (ko) * 2020-06-22 2021-10-2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차량용 광대역 평면 역원추 안테나
KR102405445B1 (ko) * 2020-12-17 2022-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KR102405383B1 (ko) * 2021-01-05 2022-06-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초광대역 안테나
US11527827B2 (en) * 2021-04-16 2022-12-13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Antenna el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3058790A1 (ko) * 2021-10-07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50A (ko) *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KR20060117161A (ko) * 2005-05-12 2006-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치 기능을 갖는 반원형 초광대역(uwb) 안테나
KR100880584B1 (ko) * 2007-08-21 2009-0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역 저지 스퍼 라인을 가지는 초광대역 안테나
KR100948265B1 (ko) 2009-06-16 2010-03-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노치 특성을 갖는 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50A (ko) * 2005-04-26 2006-10-3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대역 저지 특성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KR20060117161A (ko) * 2005-05-12 2006-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치 기능을 갖는 반원형 초광대역(uwb) 안테나
KR100880584B1 (ko) * 2007-08-21 2009-0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역 저지 스퍼 라인을 가지는 초광대역 안테나
KR100948265B1 (ko) 2009-06-16 2010-03-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택적 노치 특성을 갖는 안테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444B1 (ko) 2013-04-05 2014-07-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대역 평판형 모노폴 안테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7356B1 (ko) * 2016-02-02 2017-01-1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파수 가변 범위가 확장된 광대역 재구성 안테나 구조
KR102431800B1 (ko) * 2022-01-24 2022-08-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Uwb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50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143B1 (ko) 다중 대역저지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및 그 설계 방법
KR100948265B1 (ko) 선택적 노치 특성을 갖는 안테나
Saraswat et al. A frequency band reconfigurable UWB antenna for high gain applications
KR100826879B1 (ko) 기생 소자에 의한 주파수 노치 기능을 갖는 초광대역안테나
CN207611863U (zh) 一种陷波可控超宽带天线
Alhegazi et al. A novel reconfigurable UWB filtering-antenna with dual sharp band notches using double split ring resonators
CN110518355B (zh) 一种超宽带天线
CN101237080B (zh) 贴片缝隙刻蚀实现的多阻带超宽带天线
Alhegazi et al. Compact UWB filtering-antenna with controllable WLAN band rejection using defected microstrip structure
Garg et al. A novel design dual band-notch small square monopole antenna with enhanced bandwidth for UWB application
KR101803024B1 (ko) 이중 대역저지 특성을 가지는 초광대역 안테나
Chattopadhyay et al. Ultra-wideband performance of printed hexagonal wide-slot antenna with dual band-notched characteristics
CN104681956A (zh) 阻带陡峭的超宽带带阻天线
KR102056747B1 (ko) 초광대역 안테나
GB2458492A (en) Antenna array with reduced mutual antenna element coupling
Niture et al. Recon UWB antenna for cognitive radio
KR100685749B1 (ko) 평면형 안테나
CN104681966A (zh) 新型阻带陡峭的uwb带阻天线
Wang A new compact printed triple band-notched UWB antenna
Manshouri et al. A microstrip-fed ultra-wideband antenna with dual band-notch characteristics
Sharma et al. Reconfigurable dual notched band UWB antenna
KR101178852B1 (ko) 이중대역 칩 안테나
Zeng et al. Compact band-notched UWB antenna based on CSRR for WiMAX/WLAN applications
KR20080026720A (ko) 자기유사형 부채꼴 홈을 갖는 다중밴드 평판형 모노폴안테나
Kumar et al. A CPW fed octagonal patch UWB antenna with WiMAX band-notched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