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33B1 -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33B1
KR101138333B1 KR1020100085988A KR20100085988A KR101138333B1 KR 101138333 B1 KR101138333 B1 KR 101138333B1 KR 1020100085988 A KR1020100085988 A KR 1020100085988A KR 20100085988 A KR20100085988 A KR 20100085988A KR 101138333 B1 KR101138333 B1 KR 10113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terminal
portable
hing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2408A (en
Inventor
신두일
Original Assignee
신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일 filed Critical 신두일
Priority to KR102010008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33B1/en
Publication of KR2012002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들을 거치부에 거치한 후,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 단말기들이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 통합 운용 장치 및 힌지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합 운용을 지원한다. 그리고 힌지부는 통합 운용 장치를 감싸며 단말기 거치부들을 연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and afte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s to the mounting portion, supports to easily share or move the data between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s, and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user functions supported by the mobile terminals.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holders, an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a hinge part.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ders are seated with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s integrated with communication including portable terminals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s, including data sharing, movement delet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ctivation of user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Support operation. The hinge unit surrounds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connects the terminal holders.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고,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처리 및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separating and cou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separating and coupling device capable of integrating and operating data processing and user functions between the mounted and portable terminals.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 더하여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즉 종래 휴대 단말기는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지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call, electronic organizer function, internet function, etc. in addition to simple voice call and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uses more advanced hardware and software to support various functions. That is,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supports to execut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based on hardware having high processing capability.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탑재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파일 업로드나 파일 전송 및 운용을 위하여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간 데이터 전송이나 공유를 위하여 별도의 통신 모듈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개인 컴퓨터에 저장하였다가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뿐만 아니라 각 휴대 단말기들의 사용자 기능을 보다 쉽게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have limitations of hardware or software mount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carrying, and thus, the use of personal computers for file upload, file transfer and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s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uses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data transmission or sharing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or stores data stored in a specific portable terminal in a personal computer and transmits it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discomfort that should b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easily and integratedly operating user functions of each portable terminal as well as sharing data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들을 거치부에 거치한 후,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fter the portable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is separated so as to easily share or move data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In providing a coupl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거치하고, 휴대 단말기들이 지원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that mounts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on a cradle and can integrally operate user functions supported by the portable termina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 통합 운용 장치 및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단말기 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하는 통합 운용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를 감싸며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을 연결한다.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holder,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the hinge. At least on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ders,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s to share data, delete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ctivation of a user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upport integrated operations, including The hinge unit surrounds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connects the terminal holders.

특히 상기 단말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장자리 영역과 대면되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면, 상기 통합 운용에 필요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erminal mounting part may include support parts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facing the edge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holders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nector are connected, an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necessary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상기 휴대 단말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입출력 장치, 상기 보조 메모리, 상기 인터페이스, 상기 입출력 장치 및 상기 보조 배터리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 이동 및 삭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에 따라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temporarily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s,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Interface to form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each other, an input / output device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under user control, and outputting data generated during an operation process, the auxiliary memory, the interface, the input / output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An auxiliary control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data sharing, movement and dele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and activation of a specific use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a battery.

그리고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보조 스피커, 상기 통화 기능에 필요한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는 보조 마이크, 상기 통화 기능 및 상기 통합 운용 장치 운용에 필요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보조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outputs an auxiliary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cal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uxiliary microphone for collecting an audio signal for the call function, and a screen for operating the call function and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t may include an auxiliary display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전달이나 공유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integrally utilize user functions provided by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using the mobi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easily handle data transfer or sharing between them.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되 휴대 단말기끼리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두 기종의 단말기나 구형 단말기와 신형 단말기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적인 통신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하여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2개의 휴대 단말기를 마치 하나의 휴대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폭넓은 표시창을 제공하여 사용환경을 고양시키며, 신형 단말기와 구형 단말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 주기를 늘릴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rtable terminals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but by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other two models or the old terminal and the new terminal. In addition, two portable terminals can be used as a single portable terminal by performing a separate communication function and sharing functions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as necessary. In addition, by providing two wide display windows to enhance the use environment,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using the new terminal and the old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cycle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거치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이나 기타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거치되는 두 개의 휴대 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하고 2개의 와이드한 표시창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멀티작업, 증권거래, 모바일 오피스 등의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o activate and operate a call function or other user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other words, by sharing the resources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and using the two wide display windows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environment for multi-tasking, stock trading, mobile office, etc.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휴대 단말기들이 거치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추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통합 운용 장치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lastic structur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s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rther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tachmen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detachmen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detachment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ng and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제2 단말기 거치부(120) 및 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으며, 기능 지원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특정 단말기 거치부에 더 형성될 수 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and a hinge unit 130. Each of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n additional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formed in a specific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function support.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특정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1 바닥판(111), 제1 바닥판(1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신장되어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되며,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는 휴대 단말기의 삽입 후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제11 지지부(112) 또는 상기 제11 지지부(112)의 탄성 부재를 일정 길이만큼 밀어 내면서 삽입되었다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에 형성되는 탄성 구조물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pecific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the first bottom plate 111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in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And an eleventh support part 112 and a twelfth support part 114 that support the mobile terminal that is extended and mounted perpendicularly thereto.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extends vertically from a top edge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is formed at a bottom edge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1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111.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and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may include elastic members for stable support after inser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while pushing the elastic member of the eleventh support 112 or the eleventh support 112 by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being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firmly supported. An elastic structure formed on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and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한편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의 안착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제11 지지부(112)와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는 각각 제1 바닥판(111)의 좌측 가장자리 영역 및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은 제1 바닥판(111)의 각 가장자리 영역에 4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se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and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in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area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and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for supporting the mobile terminal may be formed in the left edge region and the right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four support parts in each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상기 제11 지지부(112) 또는 상기 제12 지지부(11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접속 포트 예를 들면 USB 접속 포트와 접속될 수 있는 제1 커넥터(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제12 지지부(114)에 상기 제1 커넥터(1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커넥터(115)가 배치되는 제12 지지부(114) 내측에는 상기 제1 커넥터(11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이나 케이블이 마련되고, 이 케이블은 상기 힌지부(130)까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or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to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USB connection por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115). In FIG. 1, the first connector 115 is formed o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 signal line or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5 is provided inside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15 is disposed, and the cable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part 130.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유사하게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제2 바닥판(121), 상기 제2 바닥판(121)의 가장자리 영역들에 형성되며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의 탄성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상기 제22 지지부(124) 일정 영역에 제2 커넥터(125)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125)는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와 접속하여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와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커넥터(125)가 배치되는 제22 지지부(124)는 상기 제2 커넥터(12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이 내측에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일측에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를 외부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 접속 포트(126)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는 접속되는 외부케이블을 통하여 타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 간의 직렬 통신을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는 상기 제22 지지부(124)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2 지지부(124)에 마련된 제2 커넥터(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를 운용하는 사용자는 타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해서 상기 외부 접속 포트(126)에 접속이 가능한 커넥터를 가지는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 단말기, 케이블, 커넥터, 외부 접속 포트(126), 제2 커넥터(125)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 사이의 통신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접속 포트(126)에 접속되는 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컴퓨터를 포함하며, 그 외 외부 접속 포트(126)에는 충전 커넥터가 접속될 수도 있다.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is formed on the second bottom plate 121 and the edge regions of the second bottom plate 121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similarly to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The twenty-first support part 122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elastic structures of the twenty-first support part 122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or 125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The second connector 125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of a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part 120,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hinge pillar part 131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part 120 are located inside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part 120. It may suppor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To this end, a signal line or cabl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on which the second connector 125 is disposed. Meanwhile, an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so as to connect a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with an external cable. 126 may be provided for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another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through an external cable to be connected.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5 provided in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Accordingly, a user who operates the mobi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100 has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for communication between another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Cables are available. As a result,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other terminal, the cable, the connector,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the second connector 125, and the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and a computer, and the charging conn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126.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측벽들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일정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130)는 회전 기능을 지지하는 힌지 기둥부(131)와,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를 지탱하는 제11 힌지 연결부(132) 및 제12 힌지 연결부(133),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를 지탱하는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힌지 연결부(132), 제12 힌지 연결부(133),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는 상기 힌지 기둥부(131)를 중심으로 0도에서 360도 사이의 힌지 동작이 되도록 일정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힌지 연결부(133)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들은 제1 커넥터(115) 및 제2 커넥터(125)가 배치되는 지지부 예를 들면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의 내측에 마련된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되는 통합 운용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을 마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에 마련된 제1 커넥터(115) 및 제2 커넥터(125)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은 상기 제12 지지부(114)와 제22 지지부(124) 내측 및 상기 제12 힌지 연결부(133)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신호 라인 또는 케이블과 연계하여 상기 힌지 기둥부(131)의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inge par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are at an angle. It can be rotated by. In this case, the hinge unit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some of the sidewalls of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hinge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hinge pillar portion 131 for supporting the rotation functi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first terminal holder (131) around the hinge pillar portion 131 ( The hinge is connected to the eleventh hinge connector 132, the twelfth hinge connector 133,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that support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so that the 110 rotates at an angle. The twenty-first hinge connection part 135 and the twenty-second hinge connection part 136 supporting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part 120 so that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part 12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illar part 131. It may include. The eleventh hinge connector 132, the twelfth hinge connector 133, the twenty-first hinge connector 135, and the twenty-second hinge connector 136 may be disposed between 0 degrees and 360 degrees around the hinge pillar 131. It can be produced in a certain form so that the hinge operation. In addition, the twelfth hinge connection part 133 and the twenty-second hinge connection part 136 are supporting parts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15 and the second connector 125 are disposed, for example,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The signal line or cable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signal line or a cable provided inside the c)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hinge pillar 131. Subsequently, a signal line or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5 and the second connector 125 provided i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may include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inge pillar 131 in connection with a signal line or a cable disposed to penetrate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twelfth hinge connection part 133 and the twenty-second hinge connection part 136.

여기서 상기 제11 힌지 연결부(132), 제12 힌지 연결부(133), 제21 힌지 연결부(135) 및 제22 힌지 연결부(136)들을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상측과 하측 및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우측 측벽 중 적어도 한 영역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좌측 측벽 중 적어도 한 영역에서 상기 힌지 기둥부(131)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들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들은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힌지 동작을 지원하는 한편,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힌지 기둥부(131)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들과의 신호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Here, the eleventh hinge connector 132, the twelfth hinge connector 133, the twenty-first hinge connector 135, and the twenty-second hinge connector 136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connectors 136. 2 is described a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terminal holder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detaching and coupling device 100 includes the hinge pillar part 131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right side wall of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left side wall of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Hinge connection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hinge connectors support the hing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and the hinge pillar part 131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unted mobile terminals. It can support the signal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s provided on the inside.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되는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상기 휴대 단말기들의 사용자 기능 운용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보조 제어 처리부, 보조 메모리, 보조 배터리 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상대측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특정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충전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130) 일정 영역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 충전을 위한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다.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provided in the hinge unit 130 may share, move, delete, and delete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Contains configurations for functioning. In more detail,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includes a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control processing unit, an auxiliary memory, an auxiliary battery, and temporarily stores data of the mobile terminals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s and transfers the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s to the counterpart portable terminal, It can support enabling the user function of a specific mobile terminal. The auxiliary battery may be provided for charging, and accordingly, a structure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may b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hinge unit 13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제12 지지부(114) 및 제22 지지부(124)에 형성되는 커넥터들(115, 125)은 일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들(115, 125)은 상기 바닥판이 있는 경우, 상기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삽입 시 커넥터들(115, 125)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분리 시 커넥터들(115, 12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nectors 115 and 125 formed i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ors 115 and 125 may be designed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when the bottom plate is present.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the connectors 115 and 125 may be easily inserted, and damage to the connectors 115 and 125 may be preven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emov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탄성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단말기 거치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만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되는 지지부 형태는 전술한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지지부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elastic structur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erminal holder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by distinguishing only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Th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described above.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2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마련된 제11 지지부(112)와 하측에 마련된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제1 바닥판(1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제1 바닥판(111)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제1 지지벽(12)과, 상기 제1 지지벽(12)의 양 끝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탄성 구조물(13)과 제12 탄성 구조물(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지지부(114) 또한 상기 제11 지지부(112)와 유사하게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제2 지지벽(22)과, 상기 제2 지지벽(22)의 양 끝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 탄성 구조물(23)과 제22 탄성 구조물(2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venth support part 112 provided above and a twelfth support part 114 provided below. In this case,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may include a first support wall 12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plate 111 in an edge area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of the first terminal mounting part 110. The first support wall 12 may include an eleventh elastic structure 13 and a twelfth elastic structure 14 dispos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at both end corner regions of the first support wall 12. Here, the second support wall 114 also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bottom plate 111 in the lower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similarly to the eleventh support 112. 22) and a twenty-first elastic structure 23 and a twenty-second elastic structure 24 dispo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bottom plate 111 at both end corner regions of the second support wall 22. have.

상술한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은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와 접촉되는 접촉부(31)와, 접촉부(31)를 지지하는 접촉 지지대(33), 상기 접촉 지지대(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35) 예를 들면 스프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31)는 휴대 단말기의 모서리 긁힘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쿠션 기능을 가지는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35)는 상기 접촉부(31)의 두 측벽에 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은 제1 바닥판(11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밀렸다가 거치된 휴대 단말기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탄성 구조물들(13, 14, 23, 24)을 가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휴대 단말기를 제12 지지부(114)에 마련된 제1 커넥터(115)에 연결하면서 밀어 넣었다가 이후 제11 지지부(112) 방향으로 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structures 13, 14, 23, and 24 may include a contact part 31 contacting the portable terminal, a contact support 33 supporting the contact part 31, and the contact support 33.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5 may provide a spring force. Here, the contact portion 31 may be a material having a cushion function in order to protect the scratches and the lik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elastic member 35 is disposed on two sidewalls of the contact part 3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ly, the elastic structures 13, 14, 23, and 24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o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pushed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first bottom plate 111.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having such elastic structures 13, 14, 23, and 24 is pushed while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first connector 115 provided i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and then the eleventh terminal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moun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11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도 단말기 거치부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만을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되는 지지부 형태는 전술한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지지부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astic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inal holder will be described by distinguishing only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independently. Th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described above.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3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111)과,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1 지지부(112), 상기 제1 바닥판(111)의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2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지지부(112)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바닥판(111)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지지벽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만을 포함하는 제11 지지부(112)의 상면은 휴대 단말기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first bottom plate 111 and the upper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as shown in 301. 11 includes a support part 112 and a twelfth support part 114 disposed in a lower edge area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Herein,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may include only a support wall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ttom plate 111 in the upper edge region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enth support part 112 including only the support wall may be rounded to prevent scratches and the like that may occur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303 및 3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휴대 단말기(200)의 가장자리 영역과 대면되는 대면부(41), 상기 대면부(41)를 지지하며 일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지지부(114)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 삽입 시 상기 대면부(41)는 휴대 단말기(200) 삽입 방향으로 밀렸다가 고정되면, 밀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견고하기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supports the face part 41 and the face part 41 facing the edge reg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integrally formed and inserted as shown in 303 and 305.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43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When the twelfth support part 114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face part 41 is push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is fixed. The terminal 200 may be firmly supported.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부의 모서리 영역에 지지부들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해당 지지부들에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후, 지지부들 내측에 마련된 탄성 부재들(35, 43)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서 탄성 부재들(35, 43)은 상기 지지부들 이외의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들(35, 43)은 상기 힌지부(130) 중 힌지 기둥부(131)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들 중 지지벽과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벽은 상기 탄성 부재(35, 43)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휴대 단말기(200)가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동안 제1 바닥판(111) 상측에 마련된 제11 지지부(112) 및 하측에 마련된 제12 지지부(114)가 전체적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탄성 운동을 하면서 이동하였다가,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이후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200)가 안착된 이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2 and 3 illustrate that the supporting units are provided in the corner region of the terminal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Aft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seated on the supporting units, the supporting units are provided inside the supporting units. Although described as being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s 35 and 4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s 35 and 43 may be disposed in regions other than the supporting portions in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s 35 and 43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inge pillar part 131 of the hinge part 130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wall of the support parts. In this case, the support wall may be designed to be movable by the elastic members 35 and 43. In other words,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may be disposed on the eleventh support 112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ottom plate 111 while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The provided twelfth support part 114 may move in an elastic motion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s a whole, and may provide the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after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seated.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in various forms that can provide elastic force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200 can be firmly suppor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휴대 단말기들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s are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0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는 제1 휴대 단말기(201)가 거치되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는 제2 휴대 단말기(202)가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서로 동일한 기종의 단말기이거나 또는 다른 기종의 단말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된 제1 커넥터(115)에 접속되면서 제1 바닥판(111)과 제11 지지부(112) 및 제12 지지부(114)에 의하여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거치된다. 그리고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상기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형성된 제2 커넥터(125)에 접속되면서 제2 바닥판(121)과 제21 지지부(122) 및 제22 지지부(124)에 의하여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as illustrated in 401, a first portable terminal 201 is mounted on a first terminal hold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portable terminal (2) is mounted on a second terminal holder 120. 202 may be mounted. In this case,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may be terminals of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5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first bottom plate 111, the eleventh support 112, and the twelfth support 114. It is mounted on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by. In addition,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5 form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and the second bottom plate 121, the twenty-first support part 122, and the twenty-second support part 124 are provided. It is mount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by.

이때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의 제1 커넥터(115)와 제2 단말기 거치부의 제2 커넥터(125)는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에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는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를 기반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각각 안착되는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간의 데이터 공유나 이동 및 삭제 등을 통합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전달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후, 제1 휴대 단말기(201) 및 제2 휴대 단말기(202) 간의 데이터 공유나 이동 및 삭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해당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115 of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5 of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provided in the hinge unit 130, and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or The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may be interconnected based o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rovided in the hinge unit 130. Here,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may share, move, or delete data betwe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respectively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It may include an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The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may be delivered to any one of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according to a designer's intention, and after the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deliver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nstalled, The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user interface for sharing, moving, or deleting data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한편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401 및 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예를 들면 180도 힌지 동작 및 360도 힌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4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도 힌지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휴대 단말기(201)와 제2 휴대 단말기(202)가 상호 포개어져 일정 두께를 가지되 넓이가 축소됨으로서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401 and 403,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may perform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a 180 degree hinge operation and a 360 degree hinge operation. Particularly, in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360 degree hinge operation is performed as illustrated in 403, the first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202 overlap each other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Branches are reduced in width to facilitate their storag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추가되는 구성을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 도 5에서 설명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추가 구성은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추가 구성은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 5에서 501은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이 힌지부(130)를 기준으로 180도 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503은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의 안쪽면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505는 503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rtable terminal detachment coup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onfiguration added to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ng / coupling apparatus 10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tachment coupling apparatus 100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100 may be formed in both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In FIG. 5, 50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are rotated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inge 130, and 503 i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are rotated to the inner side of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Reference numeral 505 denote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100 shown in 503.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의 제2 바닥판(121) 배면에 배치되는 보조 스피커(127), 보조 표시부(128) 및 보조 마이크(12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speaker 127 and an auxiliary display unit 128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ttom plate 121 of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And an auxiliary microphone 129.

이와 같은 구성들은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힌지부(130) 내측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가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특정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보조 표시부(128) 또한 상기 통합 운용 장치가 전달하는 명령에 따라 특정 이미지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특정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시받거나,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도록 지시받거나, 특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의 통합 제어 또는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추가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uch components are connected to an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hinge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Therefore, the auxiliary speaker 127 may output a specific audio signal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n addition, the auxiliary microphone 129 may collect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transmit the collected audio signal to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Similarly,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also configure a screen with a specific image according to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n this case,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s instructed to output a specific audio signal, or is instructed to collect an audio signal, under a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or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You may be instructed to output a screen. As a result,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may perform an integrated control or relay role of the portable terminals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Hereinafter, additional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상기 힌지부(130)에 마련된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및 제2 단말기 거치부(120) 중 어느 하나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된 이후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해당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면,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특정 데이터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휴대 단말기가 통화 기능을 활성화하여 음성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스피커(127)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제어하여 특정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 신호는 통합 운용 장치를 통하여 상기 보조 스피커(127)에 전달될 수 있다.The auxiliary speaker 127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provided in the hinge unit 130. The audio signal can be output. When the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fter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either one of the first terminal hold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hold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installed thereon. Accordingly, the auxiliary speaker 127 may output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reproduction of specific data of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by activating a call function, the auxiliary speaker 127 may output the voice signal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when the user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on which the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is installed to instruct the output of a specific audio signal,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speaker 127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에 상기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단말기 거치부(110) 또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는 수집된 오디오 신호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에 따라 기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기타 상기 보조 마이크(129)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중계역할과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녹음을 위한 오디오 신호 수집을 수행할 수 도 있다.The auxiliary microphone 129 may collect an au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The auxiliary microphone 129 transmits the collected audio signal to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may transmit the collected audio signal to a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or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Then, the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or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may use the collected audio signal based on a communication channel that is previously formed according to a user function that is currently activated, for example, a call function. Can transmit to other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auxiliary microphone 129 may perform audio signal collection for recording according to the relay role of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and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들의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로부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달하는 경우, 전달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달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의 제어에 따라 통합 운용 장치에 마련된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통합 운용 장치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부(128)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보조 표시부(128)에 포함된 터치 패널을 기반으로 특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여 통합 운용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output an image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of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n additi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output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s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output the transferred data when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receives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may play a role of relaying data transmiss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eanwhile,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output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In addition, whe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rovides time informati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output a visual image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be formed of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touch panel. Then, a user may operate a specific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by generating a specific touch event based on the touch panel included i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and delivering the specific touch event to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단말기 거치뿐만 아니라,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보조 스피커(127), 보조 마이크(129) 및 보조 표시부(128)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통화 기능 등의 사용자 기능을 직접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terminal mounting, the auxiliary speaker 127, the auxiliary microphone 129 and the auxiliary in order to more easily utilize the user function of the mounted mobi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28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a user function such as a call function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힌지 연결부를 기반으로 힌지부(130)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연결부의 구성을 제거하고,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가 힌지 기둥부(131)에 직접적으로 대면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hinge unit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hinge unit 130 based on the hinge connection unit as an example.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connection unit as shown in FIG. 6, and the first terminal mounting unit 110 and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unit 120 are hinged pillar units ( 13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directly face.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의 구성이 생략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와 제2 단말기 거치부(120)를 가지되, 제1 단말기 거치부(110)는 힌지부(130)와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1 거치부(50) 및 제12 거치부(60)를 포함하며, 제2 단말기 거치부(120)는 힌지부(130)와 연결되며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1 거치부(70) 및 제22 거치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1 거치부(50)와 제12 거치부(60) 및 제21 거치부(70) 및 제22 거치부(80)는 각각 힌지부(13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들(50, 60, 70, 80)은 양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 안착 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의 형태는 도 2에서 설명한 구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부들(51, 52, 61, 62, 71, 72, 81, 82)의 두께는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거치부(60) 및 제22 거치부(80) 일측에는 제1 커넥터(115)와 제2 커넥터(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15)는 제1 단말기 거치부(11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삽입되며, 제2 커넥터(125)는 제2 단말기 거치부(12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late may be omitted. In more detail,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a second terminal holder 120, but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is a hinge unit. And an eleventh holder 50 and a twelfth holder 60 which are connected to the 130 and exten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is connected to the hinge 130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The twenty-first holder 70 and the twenty-second holder 80 may be included. Here, the eleventh mounting portion 50, the twelfth mounting portion 60, the twenty-first mounting portion 70, and the twenty-second mounting portion 80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inge portion 130, respectively. . The mounting portions 50, 60, 70, and 80 are fixed parts 51, 52, 61, 62, 71, 72, 81, and 82 for fixing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both ends. Can be prepared. The fixing parts 51, 52, 61, 62, 71, 72, 81, and 82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thickness of the fixing parts 51, 52, 61, 62, 71, 72, 81, and 82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 The first connector 115 and the second connector 125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welfth mounting part 60 and the twenty-second mounting part 80. The first connector 115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 of a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first terminal holde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25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second terminal holder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 중 힌지부(130)에 위치하여 데이터 제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운용 장치(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positioned in a hinge unit 130 of a portable terminal detachable coup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data control.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운용 장치(300)는 보조 제어 처리부(360), 보조 메모리(320), 보조 배터리(310), 인터페이스(330) 및 입출력 장치(3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an auxiliary memory 320, an auxiliary battery 310, an interface 330, and an input / output device 350. have.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보조 배터리(310), 상기 보조 메모리(320), 상기 입출력 장치(350), 상기 인터페이스(330) 제어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들 간의 데이터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상기 보조 배터리(310)가 공급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술한 각 구성들을 초기화하고, 각 구성들의 운용을 위해 마련된 운영체제를 부팅하여 각 구성들의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면서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형성된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입출력 장치(350)에서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휴대 단말기들 제어를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330)를 통하여 각 휴대 단말기들과 유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들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목록이나,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메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들 간의 파일 이동이나 공유 및 특정 휴대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특정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휴대 단말기에게 제어 권한을 넘길 수 있다. 이후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는 통합 운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파일의 이동이나 공유,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에 필요한 데이터 교환이나 전송, 출력 및 신호 수집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performs control management of the auxiliary battery 310, the auxiliary memory 320,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and the interface 330. In addition,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control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that are se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In this case,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may initialize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by using the power supplied by the auxiliary battery 310, and boot the operating system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 When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is connected to a connector formed o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may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Can be. At this time,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forms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with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through the interface 330 to control the mobile terminals, and activates a file list or user func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s. You can collect menu information. In addition, file movement or shar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and activation of a user function in a specific mobi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ing unit 360 controls to transmit an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to a specific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installs the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You can pass control to. Subsequently,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ing unit 360 may perform data exchange or transmission, output, and signal collection required for moving or sharing a file and activating a specific user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n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is installed.

상기 보조 메모리(32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LiveOS 등을 저장하고,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 제어에 따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로드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메모리(320)는 휴대 단말기들 간에 데이터 송수신 시 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이나 자료 분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메모리(320)는 휴대 단말기들과의 통신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장치관리를 위한 데이터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uxiliary memory 320 stor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required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for example, LiveO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s to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under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Can be loaded. The auxiliary memory 320 may serve as a buffer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portable terminals, and may perform a function such as temporarily storing or distribut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auxiliary memory 320 may store data for application and device management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s.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입출력 장치(35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을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기들과의 전원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310)는 상기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마련된 커넥터들(115, 125)을 이용하여 각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와 전원 공유를 수행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31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The auxiliary battery 310 may supply and cut off power to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310 may share power with portable termi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In this case, the auxiliary battery 310 may share power with the batteries of the mobile terminals using the connectors 115 and 125 provided i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상기 인터페이스(330)는 휴대 단말기들과 연결되는 USB 등의 유선 통신 연결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330)는 USB뿐만 아니라 직렬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타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The interface 33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such as a USB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s. In addition, the interface 330 may support not only USB but als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interfaces supporting serial communication.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신호를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보조 메모리(320)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제어 처리부(360)의 운용에 따라 거치된 휴대 단말기들로부터 전달된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35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보조 스피커(127), 보조 마이크(129), 보조 표시부(128)의 구성을 포함하며, 추가로 키 버튼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operating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according to user control,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may output data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320, for example, an image or an audio file, and image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s moun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ontrol processor 360. I can output audio files. To this end,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speaker 127, the auxiliary microphone 129, and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a key button may be further provided.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 입력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표시부(240), 저장부(250) 및 제어부(260)의 구성을 포함하며, 전원부(280)와 접속 포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configuration of a radio frequency unit 210, an input unit 220, an audio processor 230, a display unit 240, a storage unit 250, and a controller 260. And a power supply unit 280 and a connection port 27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동안 상기 접속 포트(270)가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접속 포트(270)와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를 통하여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공유, 이동, 삭제 및 기타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ort 27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15 or the second connector 125 while being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have.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20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through the connection port 270 and the first connector 115 or the second connector 125,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nnel, You can share data, move data, delete data, and activate other user functions.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가 활성화되어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통합 운용 장치(300)에 마련된 입출력 장치(350)를 기반으로 통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주파수부(210)가 활성화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나 화상 데이터를 통합 운용 장치(300)의 입출력 장치(350)에 전달하며, 상기 입출력 장치(35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통하여 전달받고 이를 상기 무선주파수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 radio frequency unit 210 per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voice call,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video call,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data transmission such as an image or a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60. That is, the radio frequency unit 210 forms a voice call channel,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video call channel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o this end, the radio frequency unit 21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 radio frequency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frequency of a received signal. When the radio frequency unit 210 is activated to support the call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200 makes a call based on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provided in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in association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It can support the function to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radio frequency unit 210 is activated, the portable terminal 200 transmits an audio signal or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of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and the input / output device 350 ) Receives the audio signal collected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RF unit 210.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220)는 통합 운용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한 경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합 운용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특정 파일을 공유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기반으로 통화 기능을 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 특정 파일을 상기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전송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s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n accelerator key set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generates a key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260. In particular, when the input unit 22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and receives and installs an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from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the input unit 220 may provide various input signals for integrated operation according to user control. Can be generated. That is, the input unit 220 inputs an input signal for sharing a specific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an input signal for operating a call function based o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and a specific file under user control. Afte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transmitting to the other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60.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화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중심으로 특정 사용자 기능이 운용되는 경우, 오디오 처리 기능이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230)에 전달될 신호들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230 may include a speaker (SPK) for playing audio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the video call or a voice call, audio data of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and collecting a user's voice or other audio signal during the video call. A microphone (MIC). The audio processor 230 may stop the audio processing function when a specific user function is operated around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In addition,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the audio processor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상기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2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휴대 단말기 종료 화면,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40)는 표시 패널(241)과 터치 패널(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24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된 후 제1 커넥터(115) 또는 제2 커넥터(125)와 접속 포트(270)가 결합하면,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설치된 경우, 그에 대응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에 마련된 보조 표시부(128)가 활성화되고 특정 이미지나 데이터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를 통하여 보조 표시부(128)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240)는 전원 절약을 위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240)는 통합 운용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 정보, 사용자 기능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의 보조 메모리(320)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 정보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40)에 출력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이동, 데이터 삭제,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부(240)는 이러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various menus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the display unit 240 may provide various screen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a standby screen, a menu screen, a message writing screen, a call screen, a mobile terminal ending screen, a mobile terminal booting screen,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241 and a touch panel 243.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00 and the first connector 115 or the second connector 125 and the connection port 27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display unit 240 corresponds to the coupling state. You can output an image. The display unit 240 may output a screen interface corresponding thereto when the integrated operation program is received and install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Meanwhile, when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provided in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is activated and a specific image or data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isplay unit 128 through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the display unit 240 may save power. The power supply may be cut off for this purpose. Meanwhile, the display unit 240 may receive and output file information, user func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stored in another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in the screen interface for integrated oper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40 may receive and output various 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320 of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The user may control data sharing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data movement, data deletion, and activation of a specific user function through the screen interfac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240 may output a screen interface including components for supporting such a user function.

상기 저장부(25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 기능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표시부(2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터치 락 부분 해제 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2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includ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releases a key map, a menu map, and a touch lock part for operating a touch screen when the display unit 24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formation about the area can be stored. Here, the key map and the menu map may be various types. The storage unit 250 may largel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수신되거나 웹 서버 및 기타 다양한 통신채널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는 통합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운용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기반으로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단말기 거치부들(110, 120)에 안착되는 타 휴대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이동, 삭제,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area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mobile terminal 200 and operat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gram for supporting a cal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 web browser for accessing an Internet server, an MP3 application for playing other sound sources, an image output application for playing a photo, a video playing application,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ogram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an integrated operating program that may b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00 or through a web server and various other communication channels. As described above, the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shares data with other portable terminals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s 110 and 120 based on the portable terminal 200, data movement, Various routines can be included to control deletion, activation of specific user functions, and the like.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2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데이터, 위젯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타 휴대 단말기와 공유할 파일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파일이나 데이터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삭제 및 이동될 수 있다.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stored, and may store phone book data, widget icons, and various contents. In particular, the data area may store a file or data to be shared with another portable terminal. Files or data stored in the data area may be transferred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deleted, or moved under user control.

상기 제어부(260)는 전원부(280)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각 구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되는 경우, 커넥터 결합에 따른 통신 채널 형성, 사용자 제어에 따른 데이터 공유나 삭제 및 이동을 제어하고, 특정 사용자 기능의 활성화 및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60)는 휴대 단말기(200)가 커넥터에 연결되면 통합 운용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에 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로부터 단말기 거치부에 안착된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특정 데이터 공유나 데이터 이동에 관한 명령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명령어가 지시하는 파일이나 데이터를 다른 휴대 단말기와 공유하거나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특정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활성화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무선주파수부(210)를 활성화하고 통화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power supply required for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based on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280 to support the initialization process of each component. When the control unit 260 is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ing / coupling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communication channel formation according to connector coupling, data sharing or deletion and movement according to user control, and activates and operates a specific user function. Can be controlled. That is,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controller 260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cessary for forming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When receiving a command regarding specific data sharing or data movement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seated on the terminal holder from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the file or data indicated by the command may be shared with another mobile terminal, or It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when a request for activating a specific user function, for example, a call function, is generated, the controller 260 activates the radio frequency unit 210 and control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related to the call function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device 300. Can be.

여기서 상기 제어부(260)는 통합 운용에 관한 제어권이 통합 운용 장치(300)에 있는 경우, 통합 운용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60)는 통합 운용에 관한 제어권이 자신에게 있는 경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 운용 장치(300)와 연계하여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erein, when the control right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is in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the controller 260 may control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When the control right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is owned by the controller 260, the controller 260 may control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oper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220. .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dditional modules according to the provision form thereof.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a communication terminal,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an internet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function. It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ot mentioned above, such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and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to perform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playback function. These components can not be enumerated because all of them vary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but the components equivalent to those mentioned abov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evice. hav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replaced with other components in the above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rovision.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100)에 안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type of device that can be se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eparate coupling device 100.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Digital communication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usic player (e.g. MP3 player), mobile game terminal, smart phone, notebook and handheld PC, and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devic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is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even in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110 : 제1 단말기 거치부
111 : 제1 바닥판 112, 114, 122, 124 : 지지부
115 : 제1 커넥터 120 : 제2 단말기 거치부
121 : 제2 바닥판 125 : 제2 커넥터
126 : 외부 접속 포트 127 : 보조 스피커
128 : 보조 표시부 129 : 보조 마이크
130 : 힌지부 131 : 힌지 기둥부
132, 133, 135, 136 : 힌지 연결부
200, 201, 202 : 휴대 단말기 210 : 무선주파수부
220 : 입력부 230 : 오디오 처리부
240 : 표시부 241 : 표시 패널
243 : 터치 패널 250 : 저장부
260 : 제어부 270 : 접속 포트
280 : 전원부 300 : 통합 운용 장치
310 : 보조 배터리 320 : 보조 메모리
330 : 인터페이스 350 : 입출력 장치
360 : 보조 제어 처리부
100: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110: first terminal holder
111: first bottom plate 112, 114, 122, 124: support portion
115: first connector 120: second terminal mounting portion
121: second bottom plate 125: second connector
126: external connection port 127: auxiliary speaker
128: auxiliary display unit 129: auxiliary microphone
130: hinge portion 131: hinge pillar portion
132, 133, 135, 136: hinge connection
200, 201, 202: mobile terminal 210: radio frequency unit
220: input unit 230: audio processing unit
240: display unit 241: display panel
243: touch panel 250: storage unit
260 control unit 270 connection port
280: power supply unit 300: integrated operating device
310: auxiliary battery 320: auxiliary memory
330: Interface 350: I / O device
360: auxiliary control processing unit

Claims (10)

서로 독립된 두 개의 휴대 단말기가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거치부;
상기 한 쌍의 거치부를 일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힌지부;
상기 한 쌍의 거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휴대단말기의 접속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터;
상기 두 개의 휴대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커넥터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거치부와 상기 힌지부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A pair of mounting units on which two independent portable terminals are respectively seated;
A hinge part including a hing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air of mounting part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illar part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connection part;
A pair of connecto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s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And a pair of signal lines extending from the pair of connectors,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two portable terminal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신호라인은,
상기 두 개의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두 개의 휴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합 운용 장치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ignal lines,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f the two portable terminals,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two portable termina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용 장치는,
상기 기둥부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grated operating device,
Portable terminal separation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mbedded in the pilla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를 외부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 접속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분리 결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external connection por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connectors,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being arranged to connect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with an external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85988A 2010-09-02 2010-09-02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KR1011383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en) 2010-09-02 2010-09-02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en) 2010-09-02 2010-09-02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08A KR20120022408A (en) 2012-03-12
KR101138333B1 true KR101138333B1 (en) 2012-04-25

Family

ID=4613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88A KR101138333B1 (en) 2010-09-02 2010-09-02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133B1 (en) *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Protecting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172216B1 (en) * 2014-07-17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58U (en) * 1999-02-05 2000-09-25 박원섭 User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for cellular phones
KR200353977Y1 (en) * 2004-03-31 2004-06-23 팅크웨어(주) Tele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for car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658U (en) * 1999-02-05 2000-09-25 박원섭 User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for cellular phones
KR200353977Y1 (en) * 2004-03-31 2004-06-23 팅크웨어(주) Tele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for ca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08A (en)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687B2 (en)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 login system
CN101924823B (en) The method of the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obile terminal
JP2019502141A (en) Dual screen terminal,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EP2090972A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31713B1 (en) Mobile Phone Attachable Multimedia Function Supporting System
US20130077228A1 (en) Portable computer assembly
KR20100132302A (en)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o use in a host
TWM449288U (en) Apparatus for secur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ccessory device
IL199906A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US8914063B2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ode setting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2009001629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 thereto
CN112369005B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KR10069536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game which is embedded mobile terminal
KR101138333B1 (en) Separation or Combination Device For Portable Device
KR20120017615A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 and apparatus thereof
US20110102348A1 (en) Dual wireless communicator and human interface device
KR20110127413A (en) Mobile terminal
KR20140144562A (en)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US20090069918A1 (en) Portable digital device
KR20140003908A (en) Dual rotating-enabled apparatus for combining portable devices
CN101356489B (en) Keyboard and method of communication for management of keyboard and handheld media equipment
KR200465121Y1 (en) Apparatus for combining portable devices
KR102117576B1 (en) Mobile terminal
KR101430447B1 (en) Mobile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for
CN101454761A (en) PC peripheral devices used with mobile media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