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72B1 - Air emi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emi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72B1
KR101137772B1 KR1020090097147A KR20090097147A KR101137772B1 KR 101137772 B1 KR101137772 B1 KR 101137772B1 KR 1020090097147 A KR1020090097147 A KR 1020090097147A KR 20090097147 A KR20090097147 A KR 20090097147A KR 101137772 B1 KR101137772 B1 KR 10113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ser
layer
control uni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0026A (en
Inventor
이승훈
이유금
Original Assignee
이유금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금,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유금
Priority to KR102009009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72B1/en
Publication of KR2011004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41D13/0056Cooled garments using evaporative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중 여름철에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인 손이나 발에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손과 발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줄 뿐 아니라 여름철 땀으로 인한 발에서 풍기는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겨울철 야외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손이나 발, 안면에 따뜻한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손이나 발의 동상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ej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ejecting air to the hands or feet, which are areas where sweating occurs a lot in the summer, not only keeps the hands and feet in a comfortable state, but also the feet caused by summer sweating.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bad odors in advance, and prevents frostbite on hands and feet 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blowing warm air into the hands, feet and face of workers performing outdoor work in winter.

본 발명은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0)와, 상기 작업밸트(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내측에 외부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선(250)이 설치되고, 에어펌프(10)나 압축공기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을 조절하는 에어공급조절부(200)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에어유동관(30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체의 일정부위에 에어가 분출되게 하는 말단부로 구성된 에어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동관(300)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1,2,3호스(310,330,3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호스(310,330,350)에는 상기 말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2,3온도조절부(320,340,360)가 설치되며, 상기 말단부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에 에어를 분출하는 안면부(500)와, 상기 제2호스(3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에어를 분출하는 장갑부(600)와, 상기 제3호스(3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양말부(7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온도조절부(3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1몸체(321)와, 제1스위치(324)와 제1조절구(32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321)에 설치되는 제1제어판(323)과, 상기 제1제어판(323)에 연결되는 제1열선코일(327)로 구성되고, 상기 제2온도조절부(34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2몸체(341)와, 제2스위치(344)와 제2조절구(34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에 설치되는 제2제어판(343)과, 상기 제2제어판(343)에 연결되는 제2열선코일(34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필터체(348)와, 상기 제1필터체(348)를 상기 제2몸체(34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1필터체(34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몸체(34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349)로 구성되며, 상기 제3온도조절부(36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3몸체(361)와, 제3스위치(364)와 제3조절구(36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에 설치되는 제3제어판(363)과, 상기 제3제어판(363)에 연결되는 제3열선코일(36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필터체(368)와, 상기 제2필터체(368)를 상기 제3몸체(36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2필터체(36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3몸체(361)에 나사결합되는 덮개(3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belt 100 worn on the waist of the worker, and a heating wire 250 for generating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 belt 100 is installed, the air pump ( 10) or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cylinder, and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ipe 300 through the air to blow out a certain part of the body In the air ejection device consisting of a distal end portion, the air flow pipe 300 is composed of first, second, third hoses (310, 330, 350) ea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he first The second and third hoses 310, 330 and 350 are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temperature control parts 320, 340 and 36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end parts, and the end parts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se 310. And a facial part 500 that ejects air to the user's neck or face, and the second A glove portion 6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witch 330 to eject air to the user's hand, and a sock portion 7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hose 350 to eject air to the foot portion of the user.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ler 320 includes a first body 321, a first switch 324, and a first control unit 325 of a box body having an empty inner side. The first control panel 323 installed on the body 321 and the first heating coil 327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anel 323,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340 is empty inside. A second control plate 343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341 in a state where a second body 341 of the box body, a second switch 344, and a second adjusting mechanism 345 are formed, and the second A second heating coil 347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343, a first filter body 348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ody 341 in a state of accommodating cotton containing fragrance, and the first filter Inserting the sieve 348 into the second body 341 Then, the cover 349 is screwed to the second body 341 to cover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348,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60 of the box body is empty A third control panel 363 installed on the third body 361 in a state where a third body 361, a third switch 364, and a third adjuster 365 are formed, and the third control panel 363. A third heating coil 367 connected to the c), a second filter body 368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361 in a state of accommodating cotton containing fragrance, and the second filter body 368. ) And a cover 369 which is screwed to the third body 361 so as to cover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er body 368 after inserting the third body 361 into the third body 361.

작업밸트, 에어분출, 안면부, 장갑부, 양말부 Work belt, air jet, face part, gloves part, sock part

Description

에어분출장치 {AIR EMITING APPARATUS}Air blowing device {AIR EMI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중 여름철에 땀이 많이 발생되는 부위인 손이나 발에 에어를 분출함으로써 손과 발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줄 뿐 아니라 여름철 땀으로 인한 발에서 풍기는 악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겨울철 야외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손이나 발, 안면에 따뜻한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손이나 발의 동상을 방지함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ej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ejecting air to the hands or feet, which are areas where sweating occurs a lot in the summer, not only keeps the hands and feet in a comfortable state, but also the feet caused by summer sweating.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bad odors in advance, and prevents frostbite on hands and feet 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blowing warm air into the hands, feet and face of workers performing outdoor work in winter.

일반적으로 야외 작업이나 실내 작업을 하는 경우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야외나, 넓은 공간, 부득이한 환경에서는 사용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Generally, in the case of outdoor work or indoor work, air-conditioning and heating devices are us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ut it is difficult to use in outdoor, large spaces, and unavoidable environments.

더욱이, 여름철 야외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두꺼운 장갑과, 두꺼운 안전화를 신고 일하는 경우 더위로 인해 손에서 많은 땀이 발생하여 장갑속이 적셔져서 일의 능률이 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손에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을 발생하게 되고, 발에서도 더운 날씨로 인해 발생한 땀으로 인해 발냄새 발생 및 무좀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worker wears thick gloves and thick safety shoes in the summertime outdoor industrial site, the heat causes a lot of sweat from his hands, soaking the gloves and reducing work efficiency, and also causing skin diseases such as eczema on the hands. In the foot, the sweat caused by the hot weather affects the occurrence of foot odor and the treatment of athlete's foot.

또한, 겨울철 야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장갑을 착용하였다 하더라도 겨울철 낮은 온도로 인해 동상의 위험에 노출되고, 눈, 얼음, 수분을 접하게 되면 장갑이 얼어서 사용하지 못하거나 일의 능률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고, 양말의 경우 추위를 예방하기 위해 두꺼운 양말을 착용한다 하더라도 겨울철 추운 날씨로 인해 동상이나 습진의 피부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performing outdoor work in winter, even if you wear gloves, you are exposed to the risk of frostbite due to the low temperature in winter, and if you encounter snow, ice, and moisture, the gloves may not freeze or reduce work efficiency. In the case of socks, even if wearing thick socks to prevent the cold, there is a problem that a skin disease of frostbite or eczema due to cold weather in wint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에 안면부위뿐 아니라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손이나 발에도 에어를 분출시킴으로써 손이나 발이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겨울철에는 안면이나 손, 발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여 따뜻한 상태로 분출되게 함으로써안면은 물론 손과 발을 항상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켜주어 겨울철 야외작업시 손과 발이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ject the air to the hands or feet that cause sweat as well as the facial part in the summer so that the hands or feet can always be kept in a comfortable state And in winter,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ace, hands, and feet to let the spout in a warm state to keep the face and hands and feet always warm, so that hands and feet do not get frostbite during outdoor work in winter.

그리고, 제1필터체와 제2필터체의 내측에 수용된 솜에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날의 기분, 몸상태에 따라 다양한 향을 묻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향에 의해 작업자가 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에어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cotton wool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llows the operator to apply various scent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 mood of the day, and the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worker may be mentally struck by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air emitted. It is to provide an air blowing device that can maintain a stable sta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0)와, 상기 작업밸트(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내측에 외부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선(250)이 설치되고, 에어펌프(10)나 압축공기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을 조절하는 에어공급조절부(200)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에어유동관(30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체의 일정부위에 에어가 분출되게 하는 말단부로 구성된 에어분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동관(300)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1,2,3호스(310,330,3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호스(310,330,350)에는 상기 말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2,3온도조절부(320,340,360)가 설치되며, 상기 말단부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에 에어를 분출하는 안면부(500)와, 상기 제2호스(3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에어를 분출하는 장갑부(600)와, 상기 제3호스(3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양말부(7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온도조절부(3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1몸체(321)와, 제1스위치(324)와 제1조절구(32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321)에 설치되는 제1제어판(323)과, 상기 제1제어판(323)에 연결되는 제1열선코일(327)로 구성되고, 상기 제2온도조절부(34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2몸체(341)와, 제2스위치(344)와 제2조절구(34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에 설치되는 제2제어판(343)과, 상기 제2제어판(343)에 연결되는 제2열선코일(34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필터체(348)와, 상기 제1필터체(348)를 상기 제2몸체(34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1필터체(34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몸체(34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349)로 구성되며, 상기 제3온도조절부(36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3몸체(361)와, 제3스위치(364)와 제3조절구(36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에 설치되는 제3제어판(363)과, 상기 제3제어판(363)에 연결되는 제3열선코일(36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필터체(368)와, 상기 제2필터체(368)를 상기 제3몸체(36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2필터체(36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3몸체(361)에 나사결합되는 덮개(3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ork belt 100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worker, the heating wire to generate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side the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 belt 100 250 is installed,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for adjusting the supply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pump 10 or the compressed air, and the air supply pipe 300 through the air flow pipe 300 through the medium; In the air ejection device consisting of a distal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air to be eject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body, the air flow pipe 300 is the first, second, third hose that one side of each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310,330,350), the first, second, third hose (310, 330, 350) is provided with a first, second,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340, 360)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end portion, the end portion is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se 310 to the user's neck or fac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ce portion 500 and the other hose of the second hose 330 to eject the air to the user's hand,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hose 350 is connected to the Composed of a sock portion 700 for ejecting air to the foot portio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is the first body 321, the first switch 324 and the first of the box body is empty inside And a first control panel 323 installed on the first body 321 and a first heating coil 327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anel 323 in a state where the adjusting tool 325 is forme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340 is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341 in a state where the second body 341 and the second switch 344 and the second control opening 345 of the box body having an empty inside are formed. A second control panel 343, a second heating coil 347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panel 343, and a cotton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ody 341 in a state in which cotton containing fragrance is received. 1 filter body 348 and said first filter And a cover 349 screwed to the second body 341 so as to cover the interior of the first filter body 348 after the 34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41.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part 360 is installed on the third body 361 in a state where the third body 361 of the box body having an empty inside, the third switch 364 and the third control opening 365 are formed. A third control panel 363, a third heating coil 367 connected to the third control panel 363, and a third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361 in a state in which a cotton-containing cotton wool is received. The second filter body 368 and the second filter body 368 are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third body 361, and the third body 361 covers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er body 368.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ver 369 screw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름철에 안면부위뿐 아니라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손이나 발에도 에어를 분출시킴으로써 손이나 발이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겨울철에는 안면이나 손,발에 따뜻한 공기를 분출시킴으로써 손과 발이 항상 따뜻한 상태로 유지되어 겨울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손과 발의 동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leasing air not only to the facial part in the summer but also to the hands or feet where a lot of sweat occurs, the hands or feet are alway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the face or hands in the winter. By releasing warm air to the feet, hands and feet are always kept warm,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n winter, and preventing the frostbite of the hands and feet in advance.

또한, 손과 발로 분출되는 공기에 향이 함유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 발 피부관리 및 심적 상태가 안정되고, 여름철 불쾌지수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emitted to the hands and feet contains the fragrance to stabilize the hands, feet skin care and mental state of the operato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y suppressing the rise of the summer discomfort index.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분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ir bl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밸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평단면상태를 나타낸 평단면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이다. 1 is a wear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earing the air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work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air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fac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flat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soc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ellish a sectional phase diagram, 11 is a first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ectional stat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 section showing a sectional state condition temperature control unit 3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와, 에어공급조절부, 말단부로 구성된다. 1 to 13, the air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work belt worn on the waist of the operator, the air supply control unit, the distal end.

상기의 작업밸트(100)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밸트(100)에 설치된 밸크로(110)를 이용하여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work belt 100 is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worker, it is to be worn on the waist using the Velcro 110 installed on the work belt (100).

여기서, 상기 작업밸트(100)에는 밧데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ork belt 100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battery.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는 상기 작업밸트(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내측에 외부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선(250)이 설치되며, 에어펌프(1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을 조절한다. In addition,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 belt 100 is installed a heating wire 250 to generate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side, which is supplied from the air pump 10 Adjust the supply of air.

즉,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에어공급조절몸체(210)와, 전원스위치(231)와 온도조절구(232)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에어공급조절몸체(210)에 설치되는 제어구(230), 상기 제어구(230)에 연결되는 열선(250)으로 구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he air supply control body 210, the power switch 231 and the temperature control port 232 of the empty box body inside the formed state The control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air supply control body 210, the heating wire 2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30.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조절몸체(210)에는, 에어펌프(10)나 공기압축통과 연결된 에어펌프연결호스(20), 작업공구가 연결되는 작업공구연결호스(30), 그리고 후술되는 상기 에어유동관(300)이 연결되고, 상기 열선(250)은 상기 밧데리에서 발 생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air supply control body 210, the air pump 10 or the air pump connection hose 20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ion cylinder, the work tool connection hose 30 is connected to the work tool, and the air flow pipe (to be described later) 300 is connected, the heating wire 250 is to generate heat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그리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에어유동관(30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체의 일정부위에 에어가 분출되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tal e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via an air flow pipe 300 so that air is ej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다시 말해, 상기 에어유동관(300)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1,2,3호스(310,330,350)로 구성되고, 상기 말단부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에 에어를 분출하는 안면부(500)와, 상기 제2호스(3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에어를 분출하는 장갑부(600)와, 상기 제3호스(3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양말부(700)로 구성된다. In other words, the air flow pipe 300 is composed of first, second, third hoses (310, 330, 350) of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he distal end of the first hose (310) A face portion 5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o eject air to the user's neck or face, a glove portion 6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se 330 to eject air to the user's hand, and the thir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se 330 is composed of a sock portion 700 for ejecting air to the foot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는 제1,2,3밸브(260,270,28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로부터 상기 제1,2,3호스(310,330,350)로 유출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Here,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second, third valves (260, 270, 280) of the air flowing out from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o the first, second, third hoses (310, 330, 350) The amount will be adjusted.

이하에서는, 상기 안면부(500), 장갑부(600), 양말부(700)에 대해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ace part 500, the glove part 600, and the sock part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ce again.

상기 안면부(500)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분출호스(515)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구성된 목폴라(510)와, 상기 제1분출호스(515)에 연결관(521)을 매개로 연결되는 안면분출호스(525)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얼굴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520)로 구성된다. The face part 500 is provided with a first polarization hose 515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se 310 is connected and configured to surround the neck of the user, and the first ejection hose 515. Facial ejection hose 5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21 is installed in the mask 520 is configured to cover the face of the user.

다시 말해, 상기 목폴라(510)와 마스크(520)는 일체형이나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목폴라(510)에 설치되는 상기 제1분출호스(515)와 상기 마스크(520)에 구성된 안면분출호스(525)에는 다수개의 공기분출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호스(310)로부터 유동된 에어가 상기 제1분출호스(515)와 안면분출호스(525)를 통해 사용자의 목과 얼굴부위에 분출된다. In other words, the neck polarizer 510 and the mask 520 may be integrated or separated, and the first jet hose 515 and the facial jet hose configured in the mask 520 may be installed in the neck polar 510. A plurality of air ejection holes are formed at 525 so that air flowed from the first hose 310 is ejected to the neck and face of the user through the first ejection hose 515 and the face ejection hose 525.

여기서, 상기 제1분출호스(515), 연결관(521), 안면분출호스(525)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He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irst ejection hose 515, the connection pipe 521, and the face ejection hose 525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사용자의 귀를 덮는 상기 마스크(520) 내측면에는 밸크로를 매개로 결합되는 귀덮개(5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520 covering the user's ea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ear cover 530 which is coupled via a Velcro.

그리고, 상기 장갑부(60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재질의 제1층(610)과, 상기 제1층(6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제2층(620)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등 방향의 상기 제1층(610)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glove part 600 may include a first layer 610 of a surface material having a space in which a user's hand may be drawn, and a second rubber materia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It is composed of a layer 620,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in the back of the hand of the user.

즉, 면 재질의 상기 제1층(610)과 고무재질의 상기 제2층(620)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2호스(33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호스(330)로부터 유동된 에어가 상기 제1층(6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615)에 의해 상기 제1층(610)을 거쳐 사용자의 손이 인입되는 내측 전체면으로 골고루 퍼진 상태로 유출된다. That is, the second hose 330 is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first layer 610 made of cotton and the second layer 620 made of rubber, so that air flowed from the second hose 33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flows out evenly spread to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user's hand through the first layer 610.

여기서, 사용자의 손가락 끝부분 방향의 상기 제1층(610)과 제2층(620)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에어유동공(63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호스(33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유동공(630)을 통해 손가락 끝부분에 상기 제1층(610)의 내측으로 분출되거나 사용자의 손바닥 방향의 상기 제1층(61)의 외측면으로 유동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으로 분출된다. Here, an air flow hole 63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ayer 610 and the second layer 620 in the direction of the fingertip of the user, and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hose 330. Air is ej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layer 610 at the fingertip through the air flow hole 630 or flow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 in the palm direction of the user is ejected to the user's palm do.

또한, 상기 장갑부(600)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갑부(60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 재질의 코튼층(611)과,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코튼층(611)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고무층(621)으로 구성되고,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코튼층(611)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6)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glove portion 600, the glove portion 600, the cotton layer 611 of the surface material provided with a space for the user's hand can be inserted; The rubber layer 621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tton layer 611 in the back of the user's han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6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tton layer 611 in the back of the user's hand.

또한, 상기 장갑부(6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갑부(6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고무 재질의 제1장갑층(612)과,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제1장갑층(6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면 재질의 제2장갑층(622)으로 구성되고,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제2장갑층(622)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glove portion 600, the glove portion 60, the first glove layer 612 of a rubber material provided with a space for the user's hand can be inserted And a second glove layer 622 made of a cotton material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glove layer 612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s han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love layer 622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s h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7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양말부(700)는, 사용자의 발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 재질의 양말층(710)과, 사용자 발바닥 방향의 상기 양말층(710)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층(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말층(710)과 고무층(720)의 사이 공간에는 일측이 상기 양말층(71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돌출구(73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sock part 700 is a sock layer 710 of a cotton material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user's foot can be drawn, and a rubber layer 72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ock layer 710 in the direction of the foot of the user.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 layer 710 and the rubber layer 720, a plurality of protrusions 730,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sock layer 710, is formed.

다시 말해, 면 재질의 상기 양말층(710)과 상기 고무층(720)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3호스(35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3호스(350)로부터 유동된 에어가 상기 양말층(710)의 외측에 설치된 다수개의 돌출구(730)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골고루 퍼진 상태로 분출된다.In other words, the third hose 350 is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cotton sock layer 710 and the rubber layer 720 so that air flowed from the third hose 350 is transferred to the sock layer 710.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73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is ejected evenly spread to the sole of the user.

한편, 상기 제1,2,3호스(310,330,350)에는 상기 말단부 즉 상기 안면부(500), 장갑부(600), 양말부(7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보조적으로 조절하 기 위한 제1,2,3온도조절부(320,340,36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 third hoses 310, 330, 350 to the first end, that is to assist i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face portion 500, the armor portion 600, the sock portion 700, 2, 3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340, 360) is installed.

다시 말해,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서 한번 데워진 공기가 상기 제1,2,3호스(310,330,350)를 통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각각의 말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각기 다르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2,3온도조절부(320,340,360)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air warmed once in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flows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ses 310, 330, and 350, the temperature may drop.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mperature controllers 320, 340 and 360 are separately installed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other.

즉,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서 동일한 온도로 데워진 공기가 각각의 제1,2,3호스(310,330,350)를 통해 유동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손과 발에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를 유출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제2,3호스(330,350)에 설치된 제2,3온도조절부(340,360)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발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각기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air warmed at the same temperature in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flows through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ses 310, 330, and 350. When it is to be discharged,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to the user's hands and feet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40, 360) installed in the second, third hoses (330, 350) can be different.

여기서, 상기 제1온도조절부(3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1몸체(321)와, ON/OFF동작을 위한 제1스위치(324)와 온도 조절을 위한 제1조절구(32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321)에 설치되는 제1제어판(323)과, 상기 제1제어판(323)에 연결되는 제1열선코일(327)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열선코일(327)은 상기 작업밸트(100)에 설치된 밧데리에서 발생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게 된다. 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is the first body 321 of the box body with an empty inside, the first switch 324 for the ON / OFF operation and the first control port 325 for temperature control ) Is formed of a first control panel 323 installed on the first body 321 and a first heating coil 327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anel 323, the first heating coil ( 327 generates heat by power generated from a battery installed in the work belt 100.

그리고, 상기 제2온도조절부(34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2몸체(341)와, ON/OFF동작을 위한 제2스위치(344)와 온도 조절을 위한 제2조절구(34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에 설치되는 제2제어판(343)과, 상기 제2제어판(343)에 연결되는 제2열선코일(34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 2몸체(3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필터체(348)와, 상기 제1필터체(348)를 상기 제2몸체(34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1필터체(34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몸체(34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349)로 구성된다.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 340 has a second body 341 of a box body having an empty inner side, a second switch 344 for ON / OFF operation, and a second controller 345 for temperature control. )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trol panel 343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341, the second heating coil 347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panel 343, and the cotton-containing cotton The first filter body 348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ody 341 and the first filter body 348 are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second body 341. The cover 349 is screwed to the second body 341 so as to cover the inside.

여기서, 상기 제2열선코일(347)은 상기 작업밸트(100)에 설치된 밧데리에서 발생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1필터체(348)의 내측에 수용된 솜에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날의 기분, 손의 각질, 습진에 따라 다양한 향을 묻혀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heating coil 347 generates heat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work belt 100, the cotton housed inside the first filter body 348 has a user's taste or Depending on the mood of the day, keratin of the hand, eczema, you can use a variety of aromas.

그리고, 상기 제3온도조절부(36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3몸체(361)와, ON/OFF동작을 위한 제3스위치(364)와 온도 조절을 위한 제3조절구(36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에 설치되는 제3제어판(363)과, 상기 제3제어판(363)에 연결되는 제3열선코일(36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필터체(368)와, 상기 제2필터체(368)를 상기 제3몸체(36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2필터체(36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3몸체(361)에 나사결합되는 덮개(369)로 구성된다.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ler 360 includes a third body 361 of a box body having an empty inside, a third switch 364 for ON / OFF operation, and a third control tool 365 for temperature control. ) Is a state in which a third control panel 363 installed on the third body 361, a third heating coil 367 connected to the third control panel 363, and a cotton-containing cotton The second filter body 368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361 and the second filter body 368 are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third body 361. The cover 369 is screwed to the third body 361 so as to cover the inside.

여기서, 상기 제3열선코일(367)은 상기 작업밸트(100)에 설치된 밧데리에서 발생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2필터체(368)의 내측에 수용된 솜에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그날의 기분, 몸 상태에 따라 다양한 향을 묻혀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무좀이나 땀띠에 효능이 있는 추출액을 이용하여 아로마테라피로 사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third heating coil 367 generates heat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work belt 100, the cotton housed inside the second filter body 368 has a user's taste or Depending on the mood and body condition of the day, various scents can be buried and used.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aromatherapy using extracts that are effective for athlete's foot or swea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작 업밸트(100)를 허리에 착용한 후, 상기 작업밸트(100)에 설치된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제1호스(310)를 매개로 연결되는 안면부(500)를 목과 얼굴을 커버하도록 덮어쓴다. Looking 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first wears the work belt 100 to the waist, the first hose 310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installed in the work belt 100. The face part 500 connected via) is overwritten to cover the neck and face.

이후,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제2호스(330)를 매개로 연결되는 장갑부(600)를 손에 착용하고,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제3호스(350)를 매개로 연결되는 양말부(700)를 발에 착용한다. Thereafter, a hand wearing a glove part 60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djusting part 200 via the second hose 330 is worn on the hand, and the third hose 350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adjusting part 200. Wear the sock portion 700 connected to the foot.

그 후,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연결된 에어펌프연결호스(20)에 에어펌프(10)나 공기압축통을 연결하여 에어를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로 보낸다. Thereafter, an air pump 10 or an air compression tube is connected to an air pump connection hose 2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o send air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로 보내진 에어는 상기 1,2,3호스(310,330,350)를 거쳐 상기 안면부(500)의 제1분출호스(515)와 안면분출호스(525), 장갑부(600), 양말부(700)로 유동하게 되고, 유동된 에어는 신체의 각 부위에 분출되어 특히 여름철 땀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손이나 발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건강한 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ir sent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passes through the 1,2,3 hoses 310, 330, 350 and the first jet hose 515, the face jet hose 525, and the armor part 600 of the face part 500. , So that the flow to the sock portion 700, the flow of air is ejected to each part of the body to keep the hands or feet always in a comfortable state, especially when a lot of sweat occurs in the summer always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s well as healthy Keep your feet in shape.

더욱이, 여름철 야외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경우 상기 장갑부(600)와, 양말부(700)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함유된 향으로 인해 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여름철 불쾌지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worker working outdoors in the summer, the gloves 600 and the socks 700 can maintain a mentally stable state due to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air ejected from the socks 700, there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summer discomfort index. Will be.

그리고, 겨울철 사용자가 각 신체부위 즉 안면부(500)와, 장갑부(600), 양말부(700)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형성된 전원스위치(231)와 온도조절구(232)를 사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설정하면 된다. And, when the winter user want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ejected through each body part, namely the face part 500, the glove part 600, the sock part 700, the power switch formed in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The temperature of the air may be appropriately set using 231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r 232.

이런 상태에서, 발 쪽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좀 더 높이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3호스(350)에 설치된 제3온도조절부(360)를 이용하여 발 쪽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손 쪽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좀 더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호스(330)에 설치된 제2온도조절부(340)를 이용하면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if the user want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toward the foot a little, the user uses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60 installed in the third hose 350 to se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toward the foot.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to the hand, us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340 installed in the second hose 330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out. .

한편, 사용자가 안면이나 손, 발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만 데워진 공기가 유출되게 하고자 할 경우, 예를 들어 발 쪽으로만 공기가 유출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형성된 제1밸브(260)와 제2밸브(270)를 잠그고, 제3밸브(280)만 열어 놓게 되면 발 쪽으로만 공기가 유출되고, 손으로만 공기가 유출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밸브(260)와 제3밸브(280)를 잠그고, 제2밸브(270)만 열어 놓게 되면 손 쪽으로만 공기가 유출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let the air warmed to only one of the face, hands, feet, or the like, for example, to let the air outflow only toward the foot, the first valve formed in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When 260 and the second valve 270 are locked and only the third valve 280 is opened, air flows out only to the feet, and when the air is only released by hand, the first valve 260 and the second valve 270 are closed. When the three valves 280 are locked and only the second valve 270 is opened, air is leaked only toward the hand.

이와 같이, 겨울철 야외작업시 안면이나 손, 발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안면은 물론 손과 발을 항상 따뜻한 상태로 유지시켜주어 손과 발이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In this way,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ace, hands, and feet during outdoor work in winter, the hands and feet are always kept warm as well as the face so that hands and feet are not caught in frostbit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그리고, 에어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연결된 작업공구연결호스(30)에 에어작업공구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And,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work using the air working tool is used to connect the air working tool to the work tool connecting hose 30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patent registration scope described later but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분출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 상태도, 1 is a wearing state showing a state wearing the air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밸트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work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air supply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fac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5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평단면상태를 나타낸 평단면상태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flat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7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glove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갑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8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armo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9 is a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soc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10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도, 11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온도조절부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에어펌프 20: 에어펌프연결호스 30: 작업공구연결호스10: air pump 20: air pump connection hose 30: work tool connection hose

100: 작업밸트 110: 밸크로 200: 에어공급조절부100: work belt 110: Velcro 200: air supply control unit

210: 에어공급조절몸체 230: 제어구 231: 전원스위치210: air supply control body 230: control port 231: power switch

232: 온도조절구 250: 열선 260: 제1밸브232: temperature control port 250: hot wire 260: first valve

270: 제2밸브 280: 제3밸브 310: 제1호스270: second valve 280: third valve 310: first hose

320: 제1온도 조절부 321: 제1몸체 323: 제1제어판320: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321: first body 323: first control panel

324: 제1스위 325: 제1조절구 327: 제1열선코일324: first switch 325: first control 327: first hot coil

330: 제2호스 340: 제2온0도 조절부 341: 제2몸체330: second hose 340: second temperature 0 degree adjustment unit 341: second body

343: 제2제어판 344: 제2스위치 345: 제2조절구343: second control panel 344: second switch 345: second control port

347: 제2열선코일 348: 제1필터체 349: 커버347: second coil coil 348: first filter body 349: cover

350: 제3호스 360: 제3온도조절부 361: 제3몸체350: third hose 360: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61: third body

363: 제3제어판 364: 제3스위치 365: 제3조절구363: third control panel 364: third switch 365: third control port

367: 제3열선코일 368: 제2필터체 369: 덮개367: third coil coil 368: second filter body 369: cover

500: 안면부 510: 목폴라 515: 제1분출호스500: face part 510: Mok Pola 515: first blowout hose

520: 마스크 521: 연결관 525: 안변분출호스520: mask 521: connector 525: fecal ejection hose

530: 귀덮개 600: 장갑부 610: 제1층530: Ear cover 600: Armored portion 610: First layer

611: 코튼층 612: 제1장갑층 615, 616, 617: 돌기611: cotton layer 612: first armor layer 615, 616, 617: projection

620: 제2층 621: 고무층 622: 제2장갑층620: second layer 621: rubber layer 622: second armor layer

630: 에어유동공 700: 양말부 710: 양말층630: air flow 700: socks 710: socks layer

720: 고무층 730: 돌출구720: rubber layer 730: protrusion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작업밸트(100)와, 상기 작업밸트(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내측에 외부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열선(250)이 설치되고, 에어펌프(10)나 압축공기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을 조절하는 에어공급조절부(200)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에어유동관(300)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체의 일정부위에 에어가 분출되게 하는 말단부로 구성된 에어분출장치에 있어서, The work belt 100 worn on the waist of the worker, and the heating wire 250 for generating hea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st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ork belt 100 is installed, the air pump 10 or An air supply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cylinder, and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ipe 300 through the end portion to allow the air to be ejected to a certain part of the body In the air blowing device consisting of, 상기 에어유동관(300)은 상기 에어공급조절부(200)에 각각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1,2,3호스(310,330,350)로 구성되고, 상기 제1,2,3호스(310,330,350)에는 상기 말단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2,3온도조절부(320,340,360)가 설치되며, 상기 말단부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얼굴에 에어를 분출하는 안면부(500)와, 상기 제2호스(3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에 에어를 분출하는 장갑부(600)와, 상기 제3호스(3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부위에 에어를 분출하는 양말부(700)로 구성되며, The air flow pipe 300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hoses 310, 330 and 35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ontrol unit 200, and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ses 310, 330 and 350. The first, second, third temperature control unit 320, 340, 360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air is installed, the distal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se 310 to eject air to the user's neck or face It is connected to the face portion 50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se 330, the glove portion 600 for ejecting air to the user's hand,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hose 350 is connected to the foot portion of the user Consists of a sock portion 700 for ejecting air, 상기 제1온도조절부(3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1몸체(321)와, 제1스위치(324)와 제1조절구(32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몸체(321)에 설치되는 제1제어판(323)과, 상기 제1제어판(323)에 연결되는 제1열선코일(327)로 구성되고,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ler 320 has the first body 321 of the box body with an empty inner side, the first switch 324 and the first control opening 325 is formed in the first body 321 The first control panel 323 is installed in the, and the first heating coil 327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panel 323, 상기 제2온도조절부(34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2몸체(341)와, 제2스위치(344)와 제2조절구(34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에 설치되는 제2제어판(343)과, 상기 제2제어판(343)에 연결되는 제2열선코일(34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2몸체(34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1필터체(348)와, 상기 제1필터체(348)를 상기 제2몸체(34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1필터체(34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몸체(341)에 나사결합되는 커버(349)로 구성되며,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 340 has a second body 341 of a box body having an empty inner side, a second switch 344, and a second control opening 345 in a state where the second body 341 is formed. Installed inside the second body 341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trol panel 343 installed in the second control panel, a second heating coil 347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panel 343, and a cotton containing fragrance are accommodated. The first filter body 348 and the first filter body 348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41 and then cover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body 348. The cover 349 is screwed to the) 상기 제3온도조절부(360)는 내측이 비어 있는 박스체의 제3몸체(361)와, 제3스위치(364)와 제3조절구(365)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에 설치되는 제3제어판(363)과, 상기 제3제어판(363)에 연결되는 제3열선코일(367)과, 향이 함유된 솜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3몸체(36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필터체(368)와, 상기 제2필터체(368)를 상기 제3몸체(361)에 삽입설치한 후 상기 제2필터체(368)의 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3몸체(361)에 나사결합되는 덮개(36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The third temperature controller 360 has a third body 361 of the box body having an empty inside, a third switch 364, and a third control opening 365 formed therein. Installed inside the third body 361 in a state in which a third control panel 363 installed on the third control board, a third heating coil 367 connected to the third control panel 363, and cotton containing fragrance are accommodated. The second filter body 368 and the second filter body 368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body 361 and then cover the inside of the second filter body 368. Air e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ver (369) screwed to the).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안면부(500)는, 상기 제1호스(310)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분출호스(515)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구성된 목폴라(510)와; The face part 500 includes a neck polarizer 510 which is provided with a first ejection hose 515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se 310 is connected, and surrounds the neck of the user; 상기 제1분출호스(515)에 연결관(521)을 매개로 연결되는 안면분출호스(525)가 설치되고, 사용자의 얼굴부위를 덮도록 구성된 마스크(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The face ejection hose 525 connected to the first ejection hose 515 via the connecting pipe 521 is installed, and the air ejection comprises a mask 520 configured to cover the face of the user. Device.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장갑부(60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 재질의 제1층(610)과; 상기 제1층(6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제2층(620)으로 구성되며, The glove part 600 includes: a first layer 610 of a cotton material provided with a space into which a user's hand can be inserted; Consists of the second layer 620 of rubber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제1층(610)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Air e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5)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yer (610) in the back of the user's hand.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장갑부(60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 재질의 코튼층(611)과;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코튼층(611)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고무층(621)으로 구성되며, The glove part 600 may include a cotton layer 611 made of cotton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a user's hand may be inserted; Consists of a rubber layer 621 of a rubber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tton layer 611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user's hand,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코튼층(611)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Air blow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tton layer (611) in the back of the user's hand.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장갑부(600)는,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고무 재질의 제1장갑층(612)과;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제1장갑층(6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면 재질의 제2장갑층(622)으로 구성되며, The glove part 600 includes a first glove layer 612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space in which a user's hand can be inserted; It consists of a second glove layer 622 of cotton material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love layer 612 in the back of the user's hand, 사용자 손등 방향의 상기 제2장갑층(622)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돌기(6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Air blow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glove layer (622)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of the user's hand.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양말부(700)는, 사용자의 발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면 재질의 양말층(710)과; 사용자 발바닥 방향의 상기 양말층(710) 외측면에 형성되는 고무층(720)으로 구성되고, The sock part 700 includes a sock layer 710 of a cotton material provided with a space into which a user's foot can be inserted; Consists of a rubber layer 7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layer 710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sole, 상기 양말층(710)과 고무층(720)의 사이 공간에는 일측이 상기 양말층(710)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돌출구(7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분출장치. In the space between the sock layer 710 and the rubber layer 720, a plurality of protrusions 730, one side is fixed to the sock layer 710 is formed.
KR1020090097147A 2009-10-13 2009-10-13 Air emiting apparatus KR101137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47A KR101137772B1 (en) 2009-10-13 2009-10-13 Air emi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147A KR101137772B1 (en) 2009-10-13 2009-10-13 Air emi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26A KR20110040026A (en) 2011-04-20
KR101137772B1 true KR101137772B1 (en) 2012-04-24

Family

ID=4404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147A KR101137772B1 (en) 2009-10-13 2009-10-13 Air emi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7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2616B (en) * 2016-08-30 2018-10-09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Device for diaphragm pump and evaporator integrated heat exchan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909A (en) * 1997-09-26 1999-12-07 Takuo Ono Heating and cooling coat provided with small-sized air-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KR200369478Y1 (en) * 2004-05-19 2004-12-04 박명희 Portable Cool and Heating System
KR20060065082A (en) * 2004-12-09 2006-06-14 김진학 Working suit for cooling and heating
KR100661970B1 (en) * 2005-08-05 2007-01-02 정지용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oldness and warmth clot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909A (en) * 1997-09-26 1999-12-07 Takuo Ono Heating and cooling coat provided with small-sized air-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KR200369478Y1 (en) * 2004-05-19 2004-12-04 박명희 Portable Cool and Heating System
KR20060065082A (en) * 2004-12-09 2006-06-14 김진학 Working suit for cooling and heating
KR100661970B1 (en) * 2005-08-05 2007-01-02 정지용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oldness and warmth clo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26A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787B2 (en) Warming device
CA2352217C (en) Shoe with an active air-conditioning device
MX2007006652A (en) Warming device.
US20130090683A1 (en) System for maintaining or altering the body temperature and method of use
MX2007006650A (en) Warming device with varied permeability.
US11399612B2 (en) Apparatus for hair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KR20080089686A (en) An air massager for leg
US8696300B1 (en) Body fan device
KR101044801B1 (en) Massage device for eyeball
US10905585B1 (en) Respiratory therapeutic electric heat source face mask
US20150013680A1 (en) Exhaled vapor collection device
KR101137772B1 (en) Air emiting apparatus
JP2007301317A (en) Fresh air supply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wear, accessary or the like
KR200451494Y1 (en) Therapeutic heating device for eye
KR20180005469A (en) Calf guard attached with spats
US20230011592A1 (en) Inflatable bladder for headgear with climate control
KR200254281Y1 (en) mask
KR20100042855A (en) Assistance heater apparatus for rhinitis
KR20110016526A (en) Air emiting apparatus for ejecting the air containing perfume in fixed part of the body
KR100198029B1 (en) A helmet which supplies cool and fresh air in treating agricultural chemicals
EP1872676A1 (en) A lightweight bib for surgical personnel
KR101245933B1 (en) Hot and cool muffler
KR200296020Y1 (en) Radiation Shielding Cloth having Air Supply Line
KR200362030Y1 (en) A disinfection-cloth
KR101589431B1 (en) Cool air feeding apparatus for face 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