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425B1 -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425B1
KR101137425B1 KR1020080116468A KR20080116468A KR101137425B1 KR 101137425 B1 KR101137425 B1 KR 101137425B1 KR 1020080116468 A KR1020080116468 A KR 1020080116468A KR 20080116468 A KR20080116468 A KR 20080116468A KR 101137425 B1 KR101137425 B1 KR 10113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desk
user
fram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429A (ko
Inventor
여상철
Original Assignee
여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철 filed Critical 여상철
Priority to KR102008011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4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로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책상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정면부; 및 사용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측면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이 가리개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리개의 정면부에 사용자의 정보 및 소속 혹은 광고 등이 세겨진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소속과 식별이 용이하고, 또한, 광고 등에 의해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리개의 측면부에 마련된 수납부에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하는 물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가리개 정면부 또는 측면부에 마련된 절개부에 의해 동절기 보온용 덮개와 하절기에는 통풍구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책상, 가리개, 절개부, 덮개

Description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The curtain of the curtain and a desk with a desk}
본 발명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신체가 외부 시선에 의해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과 같은 가리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면과 측면을 가려줌으로써, 특히, 치마를 착용한 여성들로 하여금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책상용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일반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사무실, 회사, 학원이나 학교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써,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해 있다.
그러나, 복수의 프레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책상은 각 프레임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학교와 같은 곳에서의 수업시간 동안에는 의자에 착석하여 수업에 참가해야 하며, 참가시간 동안은 앉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 때,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조금씩 자세를 바꾸어 다리를 꼬아 앉거나, 혹은 의자에 양반다리를 하여 앉게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자세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어 보는이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책상의 각 프레임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수치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치마를 입은 여성일 경우, 각 프레임 사이로 의자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므로, 앉아있는 동안에는 다리에 힘을주어 양 다리의 무릎은 붙인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로 자신의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걱정해야 하는 문제점과, 특히 치마의 길이가 짧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더 큰 걱정거리일 것이다.
그리고 학교에서 치마의 교복을 착용한 여학생일 경우, 신체 노출의 걱정으로 인해, 심적불안감과 집중력 저하로 이루어 질수 있으며, 이는 학업성적과 직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정보 및 소속의 마크 또는 광고를 부착시키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된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책상에서 사용되는 물품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가리개의 측면부에 수납부가 마련된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리개의 정면부 또는 측면부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절개하여 보온용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로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책상에 탈착 될 수 있도록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정면부; 및 사용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 주기 위한 측면부;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책상을 지지하는 프레임 혹은 상판에 결합시키기 위한 압착핀, 클램프, 끈, 밸크로, 고리 및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부는, 사용자의 정보 및 로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는,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머니가 형성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은 하단이 지면을 지지하고, 상단으로 상판이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각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책상;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지지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 기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찰 결합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수평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리기 위한 가리개; 및 상기 가리개를 상기 책상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똑딱단추, 벨크로, 지퍼, 단추와 홀, 끈, 벨크로, 클램프, 고리와 홀 및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리개는,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가려주는 정면부와; 및
사용자의 양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가려주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부는, 사용자의 정보 및 로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부의 양단에 수직 절개된 한 쌍의 정면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 절개부는, 상기 가리개의 하단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가리개의 상단에서 하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는, 사용자의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머니가 형성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의 양단부가 서로 나란하게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된 측면 절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절개부는,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가리개의 하단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절개부는, 상기 상판과 마주하는 상기 가리개의 상단에서 하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 절개부와 측면 절개부는, 절개된 양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똑딱단추, 벨크로, 지퍼, 단추와 홀, 및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리개는 상기 지면과 상판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상기 가리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정면 및 측면이 가리개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리개의 정면부에 사용자의 정보 및 소속 혹은 광고 등이 세겨진 표시부에 의해 사용자의 소속과 식별이 용이하고, 또한, 광고 등에 의해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리개의 측면부에 마련된 수납부에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어 휴대하는 물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리개 정면부 또는 측면부에 마련된 절개부에 의해 동절기 보온용 덮개와 하절기에는 통풍구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50)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154)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100)는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는 정면부(110)와, 사용자의 측면을 가려주는 측면부(12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가리개(100)를 책상(150)과 결합 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154)을 지면과 상판(152)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56)과, 각 수직 프레임(156)에 연결되어 수직 프레임(165)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158)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 프레임(158)은 지면과 근접하게 형성된 하부 프레임(162)과 상판(152)과 근접한 상부 프레임(160)으로 구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정면부(110)는 사용자의 정보, 그림, 광고, 및 로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2)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표시부(112)에 표기되는 사용자의 정보는, 학원, 학교, 및 회사와 같 은 사용자만의 지정된 책상(150)이 확보된 경우, 표시부(112)에 사용자의 이름, 학번, 사번 등을 입력하여 외부에서도 사용자의 식별과 소속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기 다른 소속을 갖는 사용자들이 모였을 경우, 표시부(112)에 각 사용자의 이름과 소속 등을 기재하여 각 사용자간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험을 위해 일정장소에 모일경우, 서로 다른 소속을 갖는 각 사용자마다 지정된 책상(15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정보를 미리 표기하여 자리를 찾아 헤매는 불편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112)에 그림과 같은 미술작품 등을 세겨넣어 기존 책상의 투박함 대신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각 책상별로 각기 다른 미술품을 세겨넣어 미술관을 연상케 할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일 경우, 자신이 그린 그림 등을 부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전시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12)에 상품의 광고와 업체 홍보용으로 광고를 세겨넣어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는 정면부 혹은 정면부(110)와 연장된 측면부(120)까지 세겨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12)에 각 학원, 학교, 회사, 및 각종 단체의 로고(마크) 등을 세겨넣어 사용자의 소속 등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20)는 사용자의 물품 등을 수납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머니가 마련된 수납부(12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항시 휴대햐야 하는 책, 노트, 및 필기류 등을 수납 보관하여 휴대하는 물품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가리개(100)를 책상(15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30)는 도시된 "P-1" 지점의 "A-A" 단면과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의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상태도이다.
상기 체결부재(130)는 가리개(100)가 책상(150)에 마련된 각 프레임(154) 또는 상판(152)에 결합되고, 압착핀(140), 클램프(144), 연결고리(134), 및 바인더(142), 끈(미도시), 벨크로(미도시)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재(130)의 각 일례는 도 3에 도시한 도면 (a) 내지 (d)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는 책상(150)의 상판(152)과 가리개(100)가 압착핀(140)에 결합된 것으로, 압착핀(140)이 가리개(100)의 일면을 관통하여 책상(150)의 일측면을 파고들어 고정된 것이다.
이때, 상판(152)의 재질은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리개(100)는 압착핀(140)에 의해 상판(152)의 상면, 하면, 측면 중 선택되는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의 (b)는 가리개(1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홀(132)과, 결합홀(132)에 연결되어 단부가 고리형상을 갖는 연결고리(134)로 구성되며, 결합홀(132)에 연결된 연결고리(134)는 단부에 마련된 고리(136)가 책상(150)의 수평 프레임(158)과 걸리듯 결합되는 것이다.
도 3의 (c)는 가리개(10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홀(132)과, 결합홀(132)에 삽입되어 책상(150)의 수평 프레임(154)과 함께 묶어주기 위한 바인더(14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d)는 가리개(100)가 수평 프레임(154)의 일면을 감싼 상태에서 가리개(100)의 외측에서 가리개(100)와 프레임(154)을 함께 물어주는 클램프(144)로 구성되며, 클램프(144)의 탄성을 이용하여 가리개(100)가 책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의 (b) 내지 (d)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평 프레임(154)의 상단 프레임(160) 및 하단 프레임(162)에 가리개(100)의 상/하단이 각각 체결부재(130)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도 3의 (b)에서 연결고리(134)는 결합홀(132)과 고리(136) 사이에 탄성체(138)가 더 마련되어 가리개(100)의 상/하부를 팽팽하게 당겨주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 내지 (d)는 체결부재(13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체결부재(130)는 설명한 일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책상(150)과 가리개(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50)과 가리개(100)가 체결부재(130)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정면부(110)는 물론 측면부(120)를 함께 가려주어 사용자의 신체, 즉 하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특히, 치마를 입은 여성 사용자들의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출에 의한 수치심을 방지하음 물론, 가리개(100)의 내부에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200)은 복수의 프레임(214)과 상판(212)으로 구성된 책상(210)과, 각 프레임(214)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져주기 위한 가리개(230), 및 책상(210)과 가리개(2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70)로 구성된다.
이러한 책상(210)은 지면과 상판(212)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216)과, 각 수직 프레임(216)에 연결되어 수직 프레임(216)이 내/외측으로 벌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 프레임(218)으로 구성된다.
이때, 수평 프레임(218)은 수직 프레임(216)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작하며, 수직 프레임(216) 상에 상/하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수직 프레임(216)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상판(212)과 근접하게 설치된 상부 프레임(220)과 지면과 근접된 하부 프레임(222)으로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216)의 상/하부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리개(230)는 각 프레임(214)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 즉 하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치마를 입은 여성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수치심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리개(230)는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정 면부(240)와, 사용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측면부(2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정면부(240)는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정보, 그림, 광고, 및 로고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242)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표시부(242)에 사용자의 정보를 표시할 경우, 학원, 학교, 및 회사와 같은 사용자만의 지정된 책상(210)이 확보된 경우, 표시부(242)에 사용자의 이름, 학번, 사번 등을 입력하여 외부에서도 사용자의 식별과 소속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기 다른 소속을 갖는 사용자들이 모였을 경우, 표시부(242)에 각 사용자의 이름과 소속 등을 기재하여 각 사용자간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수험을 위해 일정장소에 모일경우, 서로 다른 소속을 갖는 각 사용자마다 지정된 책상(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정보를 미리 표기하여 자리를 찾아 헤매는 불편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242)에 그림과 같은 미술작품 등을 세겨넣어 기존 책상의 투박함 대신 미술품의 감상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각 책상별로 각기 다른 미술품을 세겨넣어 미술관을 연상케 할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일 경우, 자신이 그린 그림 등을 부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전시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42)에 상품의 광고와 업체 홍보용으로 광고를 세겨넣어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는 정면부 혹은 정면부(240)와 연장된 측면부(250)까지 세겨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242)에 각 학원, 학교, 회사, 및 각종 단체의 로고(마크) 등을 세겨넣어 사용자의 소속 등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50)는 사용자의 물품 등을 수납시키기 위한 복수의 주머니가 마련된 수납부(25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항시 휴대해야 하는 책, 노트, 및 필기류 등을 수납 보관하여 휴대하는 물품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가리개(230)를 책상(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70)는 도 5에 도시된 "P-2" 지점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상태도이다.
상기 체결부재(270)는 가리개(230)가 책상(210)에 마련된 각 프레임(214) 또는 상판(212)에 결합되고, 압착핀(272), 똑딱단추(274), 단추(280), 벨크로(296), 연결고리(286), 바인더(292), 및 클램프(294)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재(270)의 각 일례를 도 6과 도 7에 도시한 (a) 내지 (g)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체결부재(270)가 압착핀(272)일 경우, 압착핀(272)이 가리개(230)의 일면을 관통후, 책상(210) 상판(212)의 일측면을 파고들어 압착핀(272) 에 의해 가리개(23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압착핀(272)의 상판(212)의 일측면을 파고들수 있도록 상판(212)의 재질은 목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b)는 체결부재(270)가 똑딱단추(274)일 경우, 책상(210)의 상판(212)에 마련된 암단추(276)와, 암단추(276)와 대응하는 가리개(230)의 일면에 수단추(278)가 마련되어 서로 암수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의 (c)는 체결부재(270)가 단추(280)일 경우, 책상(210)의 상판(212)에 단추(280)가 마련되고, 대응하는 가리개(230)의 일면에 단추(28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추홀(282)이 마련되어 가리개(230)의 단추홀(282)이 단추(28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의 (d)는 체결부재(270)가 벨크로(296)일 경우, 책상(210) 상판(212)의 일면과, 그 일면에 대응하는 가리개(230)의 일면에 각각 암/수 벨크로(296)가 부착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a) 내지 (d)의 각 체결부재(270)는 책상(210)의 상판(212)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책상(210)의 수직 프레임(216) 혹은 수평 프레임과(218)도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e)는 체결부재(270)가 연결고리(286)일 경우, 연결고리(286)는 탄성체(290)와 고리(288)가 결합된 형태로, 탄성체(290)는 가리개(230)의 단부에 마련된 결합홀(284)과 연결되며, 고리(288)는 수평 프레임(218)의 외주면을 감싸듯이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의 (f)는 체결부재(270)가 바인더(292)일 경우, 가리개(23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홀(284)과, 결합홀(284)에 삽입되어 책상(210)의 수평 프레임(218)과 함께 묶어주어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의 (g)는 체결부재(270)가 클램프(294)일 경우, 가리개(230)가 수평 프레임(218)의 일면을 감싼 상태에서 가리개(230)의 외측에서 가리개(230)와 수평 프레임(218)을 함께 물어주어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클램프(294)의 탄성을 이용한 것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클램프(294)는 대략 270°의 외주면과 90°정도의 개방구가 형성되어 개방구가 형상된 일측을 수평 프레임(218)을 감싼 가리개(230)의 일면으로 압착하여 탄성에 의해 클램프(294)의 개방구가 수평 프레임(218)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지름의 크기로 더 벌어지게 되며, 이때, 클램프(294)는 탄력적으로 가리개(230)의 외측면과 클램프(294)의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일례로써 설명한 것일뿐, 도시한 형상의 클램프(294)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의 (e) 내지 (g)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평 프레임(218)의 상단 프레임(220) 및 하단 프레임(222)에 가리개(230)의 상/하단이 각각 체결부재(270)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도 7의 (e)에서 연결고리(286)는 결합홀(284)과 연결되는 탄성체(290)에 의해 가리개(230)의 상/하부를 팽팽하게 당겨주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270)를 설명하기 위한 (a) 내지 (g)는 체결부재(17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체결부재(270)는 설명한 일례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책상(210)과 가리개(230)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정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정면부(2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높이로 양단을 각각 절개된 정면 절개부(244)가 마련된다.
이러한 정면 절개부(244)는 책상의 정면을 가려줌과 동시에 그 공간을 제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즉 하체가 길어 다리를 움추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답답함과 다리를 뻗어 스트래칭과 같은 움직임에 대해 대응할 수 있도록 정면부의 양단을 절개한 것이다.
이때, 소정의 높이란, 정면 절개부(244)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되지 않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일례로 소정높이는 지면에서 책상(210) 높이의 20% 내지 50%가 바람직하며, 30% 내지 40%가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정높에 대한 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정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정면부(2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소정높이로 양단을 각각 절개된 정면 절개부(244)가 마련된다.
이러한 정면 절개부(244)는 책상(210)의 도시한 도 11과 같이 정면 절개부(244)를 사용자의 다리와 무릎 등으로 끌어올려 보온용 덮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치마를 입을 여성 사용자는 물론, 동절기에 보온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소정의 높이란, 정면 절개부(244)에 의해 사용자의 다리 및 무릎을 덮어줄 수 있는 범위를 말하며, 일례로 소정높이는 책상(210)의 상판(212)에서 지면까지의 30% 내지 60% 가 바람직하며, 또는 40% 내지 50%가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정높에 대한 값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측면부(2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높이로 양단을 각각 절개된 측면 절개부(254)가 마련된다.
이러한 측면 절개부(254)는 책상(210)의 측면을 가려줌과 동시에 그 공간을 제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하절기와 같이 날씨가 더운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부(250)에 측면 절개부(254)를 마련하여 원활한 통풍을 위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된 측면부(250)를 말아서 고정시키기나, 혹은 접어서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소정의 높이는 측면부(250)의 50% 정도가 바람직하나, 그러나 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측면부(2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소정높이로 양단을 각각 절개된 측면 절개부(254)가 마련된다.
이러한 측면 절개부(254)는 도시한 도 15와 같이 측면 절개부(254)를 사용자의 다리와 무릎을 덮을 수 있는 보온용 덮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치마를 입을 여성 사용자는 물론, 동절기에 보온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소정의 높이는 50% 정도가 바람직하나, 그러나 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250)의 양단이 마련된 측면 절개부(254)에 의해 측면부(250)가 책상(210)으로 부터 분리 되도록 구성되느 것으로, 이는 하절기와 같은 더운 날씨에 적용하여 원활한 통풍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정면부(240)의 양단이 절개된 정면 절개부(244)와 측면부(250)의 양단이 절개된 측면 절개부(254)는 절개된 각 면과 면이 서로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7에 도시된 (a) 내지 (e)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태난 연결 상태도이다.
각 정면 절개부(244)와 측면 절개부(254)는 절개된 각 면과 면이 서로 착탈되수 있도록 각 면과 면에 연결부재(256)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부재(256)는 도시한 바와 같이 (a)지퍼(258), (b)벨크로(260), (c)똑딱단추(262), (d)단추(264), 및 (e)바인더(266)에 의해 각 면과 면이 서로 연결되는 이에 대한 착탈 및 결합은 주지관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리개(230)가 치마를 입은 여성의 신체의 일부 즉, 속옷과 같이 외부로 노출시 수치심을 유발시키는 최소의 영역만을 가려주기 위한 것으로, 가리개(230)의 상/하단에 마련된 결합홀(284)에 결합되어 가리개(230)가 수직 프레임(216)과 나란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298)가 마련된다.
이동부재(298)는 양단이 각각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000)에 감싼 후, 가리개(230)의 상/하단에 마련된 결합홀(284)으로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리개(230)의 크기를 최소화 하여 치마를 입은 여성 사용자의 노출되는 신체부위에 맞춰 가리개(230)의 위치를 도 19와 같이 바라보는 거리에 따라 시선의 각도에 따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를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의 체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가리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정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정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측면부에 대한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19는 도 18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리개 110 : 정면부
112 : 표시부 120 : 측면부
122 : 수납부 130 : 체결부재
132 : 결합홀 134 : 연결고리
136 : 고리 138 : 탄성체
140 : 압착핀 142 : 바인더
144 : 클램프 150 : 책상
152 : 상판 154 : 프레임
156 : 수직프레임 158 : 수평 프레임
160 : 상부 프레임 162 : 하부 프레임
200 :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210 : 책상
212 : 상판 214 : 프레임
216 : 수직 프레임 218 : 수평 프레임
220 : 상부 프레임 222 : 하부 프레임
230 : 가리개 240 : 정면부
242 : 표시부 244 : 정면 절개부
250 : 측면부 252 : 수납부
254 : 측면 절개부 256 : 연결부재
258 : 지퍼 260 : 벨크로
262 : 똑딱단추 264 : 단추
266 : 바인더 270 : 체결부재
272 : 압착핀 274 : 똑딱단추
276 : 암단추 278 : 수단추
280 : 단추 282 : 단추홀
284 : 결합홀 286 : 연결고리
288 : 고리 290 : 탄성체
292 : 바인더 294 : 클램프
296 : 벨크로 298 : 이동부재

Claims (5)

  1. 책상을 지지하는 각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가리개로서,
    상기 가리개는,
    상기 책상에 결합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체결부재;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정면부; 및
    사용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신체를 가려주기 위한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책상을 지지하는 프레임 혹은 상판에 결합시키기 위한 압착핀, 클램프, 고리, 끈, 벨크로 및 바인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며,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정면부의 양단에 수직 절개된 한 쌍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면 절개부; 및
    상기 측면부의 양단에 수직 절개된 한쌍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절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절개부 및 상기 측면 절개부는,
    상기 가리개의 상단에서 하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거나,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가리개의 하단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3. 하단이 지면을 지지하고, 상단으로 상판이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각 수직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된 책상;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착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프레임 사이로 노출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가리기 위한 가리개; 및
    상기 가리개를 상기 책상에 탈착 될 수 있도록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똑딱단추, 끈, 벨크로, 지퍼, 단추와 홀, 클램프, 고리와 홀 및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이며,
    상기 가리개는,
    사용자의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가려주는 정면부와; 및
    사용자의 양측면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가려주는 측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가리개는
    상기 정면부의 양단에 수직 절개된 한 쌍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면 절개부; 및 상기 측면부의 양단에 수직 절개된 한쌍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절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절개부 및 상기 측면 절개부는,
    상기 가리개의 상단에서 하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이거나,
    지면과 마주하는 상기 가리개의 하단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절개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절개부 및 측면 절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절개된 양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똑딱단추, 벨크로, 지퍼,끈, 단추와 홀, 및 바인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KR1020080116468A 2008-11-21 2008-11-21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KR10113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468A KR101137425B1 (ko) 2008-11-21 2008-11-21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468A KR101137425B1 (ko) 2008-11-21 2008-11-21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29A KR20100057429A (ko) 2010-05-31
KR101137425B1 true KR101137425B1 (ko) 2012-04-20

Family

ID=4228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468A KR101137425B1 (ko) 2008-11-21 2008-11-21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54Y1 (ko) * 2010-10-25 2011-05-24 이용욱 책상 가리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7Y1 (ko) 2005-10-20 2006-01-25 이용호 책상에 부착되는 전면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7Y1 (ko) 2005-10-20 2006-01-25 이용호 책상에 부착되는 전면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29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942B1 (en) Carrying bag for portable computer
US20100001565A1 (en) Lounge chair cushion cover and method
US8950024B1 (en) Covering
US20090172881A1 (en) Mattress Wrap Bedding System
US11369892B2 (en) Reconfigurable infant play mats and displays
US20190125062A1 (en) Hands-free item carrying device
US20130292976A1 (en) Receptacle With a Pocket for a Collapsible Chair
US20150123439A1 (en) Outdoor Cushion Cover Sleeve
US200800868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ertising and Display of Mattress Coverings
US6014935A (en) All weather outdoor table cover
US20090038516A1 (en) Table covering
US6206468B1 (en) Removable padded seat cover
KR101137425B1 (ko) 책상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US11472218B1 (en) Clipboard jacket
KR101137424B1 (ko) 책상용 가리개와 그 가리개를 구비한 책상
US20150272356A1 (en) Tablecloth with Securing Means
KR20210000522U (ko) 재사용이 가능한 이중 용도 가방
US20180303258A1 (en) Multifunctional sleeping bag with insertable and composable parts and combined sleeping bag
KR20140028690A (ko) 학생용 책상의 앞가림막
EP1754431A2 (en) Flexible cover which is intended for seats at public performances
US9510713B2 (en) Methods for sewing T-pocket towels
US20230148687A1 (en) Adjustable Length Garment Device
US20110305867A1 (en) Outdoor recreational covering apparatus with internal weighting system
JP3234970U (ja) ループ付きタオル
WO2015174716A1 (ko) 이미지 탈부착 이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