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43B1 -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043B1
KR101137043B1 KR1020090097201A KR20090097201A KR101137043B1 KR 101137043 B1 KR101137043 B1 KR 101137043B1 KR 1020090097201 A KR1020090097201 A KR 1020090097201A KR 20090097201 A KR20090097201 A KR 20090097201A KR 101137043 B1 KR101137043 B1 KR 10113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electrode terminal
secondary battery
cell cas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0072A (en
Inventor
신경철
Original Assignee
문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업 filed Critical 문기업
Priority to KR102009009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43B1/en
Publication of KR2011004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 패키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지에 최소한의 부품만을 부착하여 2차전지의 단위 체적당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tha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and to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secondary battery by attaching only a minimum of parts to the battery.

본 발명은, 내부에 전해액 및 전극 어셈블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구비하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 그리고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도록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절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battery cell case includ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n electrode assembly therein and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t one side thereof; And it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insulating cap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to surround one or mor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Description

2차전지 패키징 구조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반복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 패키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쇼트 방지용 절연캡을 결합하고, 전지 케이스에 직접 인쇄층을 형성하여, 2차전지의 단위 체적당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apable of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more particularly, by combining an insulating cap for preventing a short and forming a printed layer directly on the battery case, thereby reducing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secondary battery.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that can be increased.

최근 무선 전자 제품의 보급에 따라 다양한 전지팩 제품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팩은 통상 PCM, 전지본체, Ni-plate 및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로 구성된다.Recently, with the spread of wireless electronic products, various battery pack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Such a battery pack is usually composed of a PCM, a battery body, a Ni-plate and a metal battery cell case.

무선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전지는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인 리튬이온 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2차전지는 과충전, 과전류의 경우 수명이 급격하게 감소되므로 이차전지의 과충전, 과방전 및 과전류를 방지하는 보호회로 모듈인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2차전지의 패키징시에 전지 본체의 일측면에 장착하고 있다. Batteries used in wireless electronic products are mainly used as a lithium ion battery that i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repe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Since the life of the secondary battery is drastically reduced in the case of overcharge and overcurrent, one side of the battery body is packaged with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which i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that prevents overcharge, overdischarge, and overcurrent of the secondary battery. Equipped with.

통상의 전지팩은 전지 본체에 Ni-plate를 스팟 용접한 후, 보호회로 모듈과 Ni-plate를 스팟 용접하여 보호회로 모듈(PCM)과 전지 본체를 연결함으로써 전지팩 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보호회로 모듈(PCM)이 결합된 전지 본체의 양단에 인서트 몰딩부를 조립한 후, 전지본체 부분을 외장 필름으로 랩핑하여 외장을 깔끔하게 하여 패키징을 마무리한다. Conventional battery packs are spot-welded Ni-plate to the battery body, and then spot-wel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Ni-plate to manufacture the battery pack by connec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nd the battery body. After assembling the insert molding parts at both ends of the battery main body to whic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main body is wrapped with an outer film to clean the exterior to finish the packaging.

여기서 외장 필름은 전지본체, 보호회로 모듈(PCM), 상부캡 및 하부캡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들을 감싸게 된다. 외장 필름은 시트상의 소재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 본체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는 내면을 가진 박형의 성형 구조물일 수 있다. 후자는 양단이 개봉된 일체형 또는 상하 분리형의 성형 구조물일 수 있다. Here, the outer film surrounds them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body,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are assembled. The exterior film may be a sheet-like material or, in some cases, may be a thin molded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battery body. The latter may be an integral or vertically separated molded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도 1이 보여주는 종래의 내장형 전지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회로 모듈(PCM)과 전지 본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스팟 용접 또는 솔더링으로 행한 후, 상하부 케이스(2, 3)를 덮고 외장 필름(4)로 감싸서 외장을 마무리함으로써 패키징이 완성된다. 이러한 전지팩은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휴대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internal battery pack shown in FIG. 1 covers th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3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nd the battery body is performed by spot welding or soldering, and the exterior film 4 Packaging is completed by wrapping it in). The battery pack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phone main body.

한편, 내장형 전지팩 중에서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좀 더 단순하게 제조하기 위한 구조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단순화된 구조의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structure for manufacturing a simpler without using a case of the built-in battery pack.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having such a simplified structure.

즉, 전지본체에 Ni-plate를 스팟 용접한 후, PCM(15)과 Ni-Plate를 스팟 용접하여 PCM(15)과 전지셀(10)을 연결함으로써 2차 전지(50)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PCM(15)이 결합된 전지셀(10)의 양단에 인서트 몰딩부(20, 30)를 조립한 후, 전지셀(10) 부분을 외장 필름(40)으로 싸서 패키징을 마무리한다. That is, after spot welding the Ni-plate to the battery body, the spot welding the PCM (15) and Ni-Plate to connect the PCM (15) and the battery cell 10 to manufacture a secondary battery (50). After assembling the insert molding parts 20 and 30 at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0 to which the PCM 15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ell 10 is wrapped with an outer film 40 to finish packaging.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2차전지 패키징 구조는 여러 부품들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공정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 의 증가를 가져온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composed of a number of component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productivity of the assembly process is reduced, leading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아울러, 2차전지에 여러 부품들이 결합되고, 외장 필름이 2차전지의 패키지를 둘러싸서 두께만큼 체적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everal components are coupled to the secondary battery, the outer film surrounding the package of the secondary battery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the volume by the thickness, there was a problem that acts as a factor to lower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본 발명은 2차전지의 패키징 공정을 지극히 단순화시켜서 조립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패키징 완료된 전지팩의 무게, 부피 및 조립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 패키징이 완료된 2차전지의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를 제고할 수 있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ssembly efficiency by greatly simplifying the packaging process of the secondary battery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weight, volume and assembly cost of the packaged battery pack while improving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packaged secondary batte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본 발명은, 내부에 전해액 및 전극 어셈블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구비하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 그리고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도록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절연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battery cell case includ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n electrode assembly therein and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t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insulating cap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또한, 제1 절연캡은 음극단자가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means to selectively expos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또한, 음극단자의 상단에 PTC 소자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TC elemen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또한,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구비되고, 전지셀 케이스의 타측면을 에워쌀 수 있는 제2 절연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insulating cap that can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또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지셀 케이스의 타측면에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ot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또한,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n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ase.

또한, 인쇄층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외부로부터 전지셀 케이스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inted layer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insulate the battery cell cas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셀에 쇼트 방지용 절연캡 또는 PTC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부착 후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 표면에 직접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종래의 외장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생산 공정을 줄이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structure including a short prevention insulating cap or a PTC to the battery cell and directly printing on the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there is no need to use a conventional exterior film, reducing the production process, production cost Can be lowered.

아울러, 주로 휴대용 제품의 배터리로 제공되는 2차전지에서는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가 중요하게 관리되는 인자인데, 2차전지 패키징을 간소화 함으로 체적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를 높이게 된다.In addition,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is an important management factor in the secondary battery provided mainly as a battery of a portable product, and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is increased by acting as a factor for reducing the volume by simplifying the packa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외장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이에 따라 하부캡도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두께 및 전지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use an outer film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thus can be used without a lower ca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attery and the weight of the battery.

그리고 다양한 코팅 방법으로 전지 표면에 제품의 설명을 위한 라벨링뿐만 아니라, 전지셀의 외관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as well as labeling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on the surface of the battery by various coating metho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an aesthetic appearance to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ell.

이밖에, 전지표면에 직접 코팅을 하여 전지셀 케이스를 외부로부터 절연시키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ttery cell case may be direct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ttery to insulate the battery cell from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패키징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서는 전지셀 일측부와 타측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제1 절연캡 및 제2 절연캡이 분리되어 있는 모습이며, 도 3b는 절연캡이 전지셀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In FIG. 3A, a first insulating cap and a second insulating cap which can be fit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are separated, and FIG. 3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cap is coupled to the battery cell case.

우선,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는 전지셀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지셀을 외부 디바이스에 체결하여 전류를 생산하게 된다. 전지셀의 과충전, 과방전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 모듈(PCM)이 포함되지 않으며, 보호회로 모듈(PCM)은 외부 디바이스 등에 위치하게 된다. 전지셀의 상측에는 외부 디바이스의 음극 접속부재와 연결되는 음극 단자(103)가 위치하게 되며, 양극 접속부재와 연결되는 양극단자는 전지셀의 상단면(101) 또는 하단면(106)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지셀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 밀봉하는 전해액 주입구(104)가 전지셀 상단면(101)에 형성된다. First, a battery cell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is shown, and the battery cell is fastened to an external device to produce a curren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is not included to effectively prevent abnormal conditions such as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is located in an external device. The negative terminal 103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onnecting member of the external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cell, and the positiv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connecting member may be the top surface 101 or the bottom surface 106 of the battery cell. . In addition,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104 is formed on the battery cell upper surface 101 to seal the electrolyte cell after injec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한편, 전지셀의 음극단자(103) 및 양극단자(101)가 외부 도체와 접촉 등이 되는 경우 쇼트 및 방전될 염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음극단자(103)가 위치하는 전지셀의 일측면에 쇼트 및 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절연캡(230)이 전지셀 케이스(100)에 끼워지게 된다. 즉, 제1 절연캡(230)은 음극단자(103) 및 양극단자(101)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에워싸도록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제1 절연캡(230)은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시 제거되어,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절연캡(230)이 제거 되지 않고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 절연캡(230)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103)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개방수단(231, 233)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시에는 개방수단(231, 233)을 열고, 보관시에는 개방수단(231, 233)을 닫아 방전 또는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지셀 케이스(100)의 타측부에도 제2 절연캡(24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절연캡(230, 240)은 외부로부터 전지셀 케이스(100)를 절연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어도 상관 없으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캡은 전지셀에 공지의 어떠한 방법으로도 결합할 수 있으며, 도 3a에서는 제2 절연캡이 양면테이프(145)에 의하여 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01 of the battery cell is in contact with an external conductor, etc., there is a risk of short-circuit and discharge. Therefore,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ell case 100 to prevent short and discharge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is located. That is,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so as to surround any one or more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01.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may be removed when combined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be combined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coupled without being removed,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positively coupled to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Openable opening and closing means 231 and 233 may be positioned to selectively expose th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Therefore, the opening means 231, 233 is opened when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opening means 231, 233 is closed during storage to prevent discharge or short circuit.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cap 240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100, and the insulating caps 230 and 24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the battery cap case 100 can be insulated from the outside. None, but preferably made of plastic. The insulating cap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by any known method, and in FIG. 3A, the second insulating cap is coupled by the double-sided tape 145.

도 3c는 PTC소자가 음극단자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105)는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낮은 저항을 유지하여 전류를 흘러 보내고, 과전류 또는 고온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온도 상승에 따라 저항이 급격히 높아져 단전 또는 미량의 전류만을 흘러 보냄으로써 과열 발생으로 인한 전지 내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PTC소 자(105)는 음극단자(103)의 상단면에 일체로 장착하게 되며, 음극단자(103)에 레이져, 스팟용접 또는 솔더링 등을 통하여 접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전지를 외부 디바이스에 결합하게 되면, 제1 절연캡(230)의 개방수단(233)을 개방하고, PTC소자(105)는 외부 디바이스의 접속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전류가 외부 디바이스로 흐르게 된다. 3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TC device is mounted on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The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105 maintains a low resistance in a normal operating state and flows current, and in an abnormal state such as overcurrent or high temperature, the resistance rapidly increases with temperature rise, so that only a single current or a small amount of current flows. It serves to suppress the increase in battery internal pressure due to overheating. The PTC device 105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and is bond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by laser, spot welding, or solderin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opening means 233 of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opened, and the PTC device 10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curren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Will flow into.

이렇게 제1 절연캡(230) 및/또는 제2 절연캡(240)이 끼워지는 전지셀 케이스(1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품의 정보, 디자인 및 사용상 주의 사항 등이 빼곡하게 인쇄될 수 있다. 전지셀 케이스 타측면은 도 5에서와 같이 슬롯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절연캡(240)에도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battery cell case 100 in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and / or the second insulating cap 240 is fitted may be printed with information, design, and precautions for use of the product as describ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may have a slot formed as shown in FIG. 5, and a slo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cap 240 correspondingly.

한편, 전지셀의 외부 케이스(100)는 다양한 재질의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가볍고, 성형하기 쉬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케이스에 제품의 상표, 제품의 정보, 사람들의 구매력을 일으키는 디자인 및 사용상의 주의 사항 등을 직접 인쇄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150)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어 외부로부터 전지셀 케이스(100)를 절연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case 100 of the battery cell may be formed of a metal of various materials,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light, easy to form aluminum. The aluminum case can be printed directly on the product's trademark, product information, design and usage precautions that generate people's purchasing power. The printed layer 15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insulate the battery cell case 100 from the outside.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강판 또는 티타늄 같이 표면 경도가 높은 금속의 표면에 단색 또는 컬러 문양 등의 이미지를 삽입하여 장식하거나, 라벨링 등을 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인쇄의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 평판인쇄법(오프셋 인쇄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orm a printed layer,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inserting an image such as monochromatic or color patterns on a surface of a metal having high surface hardness,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plate, or titanium, to decorate or labeling. As a printing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 flat plate printing method (offset printing method), etc. are mentioned, A detailed description is given below.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방식에는 평면 인쇄 방법과 곡면 인쇄 방법 등이 있 다. 평면 스크린 인쇄는 포스터, 골판지, 면포 등에 하는 인쇄 방식이며, 곡면 스크린 인쇄는 유리병, 금속캔 등의 원통 용기의 측면 등에 하는 방식이다. 우선, 나일론(Nylon), 데트론(Polyester)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짜여진 스크린 망사를 나무나 알루미늄 등의 틀에 고정시켜 그 위에 수공적 또는 광화학적 방법으로 판막을 만들어 필요한 화상이외의 부분을 막고 그안에 인쇄잉크를 부어 스퀴지(Squeegee)라 불리는 주걱으로 스크린 내면을 가압하면서 움직이면 잉크는 판막이 없는 부분의 망사를 통과하여 판 밑에 놓여 있는 금속이나 기타 피인쇄체에 찍혀 나와서 인쇄된다. 이러한 스크린 인쇄방식은 평면의 피인쇄 소재뿐만 아니라 병이나 컵 등의 원통, 원뿔체 등의 곡면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스크린 인쇄에서는 수성, 유성은 물론 여러 종류의 기능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재질에 대해, 또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해서도 그 목적을 만족시키는 인쇄를 행할 수 있다. 표현 효과에서, 색채의 선명함은 뛰어나고, 내장성도 훌륭하다. 잉크의 두께 선택이 자유로운 점도 특징적이다. 거친 불투명한 잉크로 두껍게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screen printing includes a flat printing method and a curved printing method. Flat screen printing is a printing method for posters, corrugated cardboard, cotton cloth, and the like, and curved screen printing is for a side of cylindrical containers such as glass bottles and metal cans. First, screen mesh woven from nylon, polyester or stainless steel is fixed to the frame of wood or aluminum, and the valves are made on the surface by manual or photochemical methods to prevent parts other than the necessary images. When the ink is poured into it by a squeegee called a squeegee, it presses on the inside of the screen and moves through the mesh in the non-valve area where it is printed on a metal or other printed object under the plate. This screen printing method can be printed on not only flat printed materials but also curved surfaces such as cylinders and cones such as bottles and cups. In screen printing, various types of functional inks as well as aqueous and oil type can be used, so that printing can be performed on all materials and various conditions to satisfy the purpose. In the expressive effect, the color clarity is excellent and the built-in is excellent. It is also characteristic that the thickness of the ink can be freely selected. It is also possible to print thick with rough opaque ink.

다른 방법으로, 평판인쇄(off-set printing)를 들 수 있으며, 판면의 요철은 없지만, 판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잉크가 부착하는 부분인 친유성의 화선부와, 물이 흡착하는 부분인 친수성의 비화선부를 형성하여 물과 유성잉크의 반발성을 이용하는 인쇄 방식이다. 즉, 인쇄판상에 화선부로서 잉크에 친화성이 높은 부분과, 비화선부로서 잉크에 친화성이 낮은 부분을 만들어, 판면에 물과 잉크를 서로 줌으로써 감지성 화선부에는 잉크가 부착하고, 비화선부는 물의 엷은 층으로 카버되기 때문에 잉크는 부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평판인쇄는 물과 지방이 서로 반발한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인쇄를 하는 방법인데, 이렇게 해서 화선부에 묻은 잉크를 일단 탄력성이 있는 고무 블랭킷을 붙인 실린더에 옮기고, 다시 블랭킷으로부터 피인쇄체에 전사하는 간접인쇄 방식이다. 이 인쇄판의 형상으로부터, 블랭킷을 거쳐 간접인쇄하는 방식을 합하여 평판인쇄라고 한다. 평판인쇄는 색수가 자유롭고, 톤재현성이 뛰어나며, 제판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있다. 다만, 색조가 불안정하며, 인쇄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Alternatively, off-set printing may be used, and there are no irregularities on the plate surface, but a lipophilic wire portion, which is a portion to which ink is attached by chemically treating the surface of the plate, and a hydrophilic portion, where water is adsorbed It is a printing method that uses the repellency of water and oil-based ink by forming a non-fired portion of. That is, a portion having a high affinity for ink as a wire portion and a portion having a low affinity for ink as a non-firing portion is formed on a printing plate, and ink is attached to the sensitive firing portion by giving water and ink to the plate surface, and the non-firing portion is formed of water. The ink does not adhere because it is covered with a thin layer. In this way, flat printing is a method of printing using the property that water and fat repel each other. In this way, the ink deposited on the caustic portion is transferred to a cylinder with elastic rubber blanket and then transferred from the blanket to the printed object. Indirect printing method. From the shape of this printing plate, the method of indirect printing via a blanket is called flat printing. Flat printing is free in color, excellent in tone reproducibility, easy to plate and stable.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lor tone is unstable and the printer is complicated.

상술한 방법외에, 금속캔에 인쇄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인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드라이오프셋 인쇄방식(dry offset printing), 그라비어 인쇄방식(gravure printing), 플렉소 그래픽 인쇄방식(flexography printing) 및 잉크젯 인쇄방식(ink-jet printing)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can be printed in any method that can be printed on a metal can, as well as dry offset printing, gravure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flexography printing) And ink-jet print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전지셀과 이에 결합하게되는 절연성 상부캡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상부캡에는 보호회로 모듈이 내장되며, 보호회로 모듈과 전지셀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성 장착부재가 위치하게 된다. 4A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insulating upper cap coupled to the battery cell. The upper cap include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n insulating mounting member for insulat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battery cell is positioned.

2차전지 패키징 구조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 과충전 등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PCM 어셈블리(110), 상부에 PCM 어셈블리(110)가 탑재되며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절연성 장착부재(120), PCM 어셈블리(110)가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재(120)를 감싸면서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절연성 상부캡(130), 전지셀 케이스(100)의 하단부에 양면테이 프(145) 등에 의해 결합되는 절연성 하부캡(140)을 포함한다.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includes a metal battery cell case 100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sealed inside a battery case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 PCM assembly 110 that effectively controls abnormal conditions such as overcharge, and a PCM assembly 110 on the top.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while surrounding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120 and the PCM assembly 11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Insulating upper cap 1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ell case 100 includes an insulating lower cap 140 is coupled by a double-sided tape 145 or the like.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와 절연된 상태에서 상부로 돌출된 음극 단자(103)가 형성되어 있고, 음극 단자(103)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양극 단자(101)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사이에는 절연성 장착부재(120)가 개재되어 상호 절연을 이룰 수 있다. 양극 단자(101) 상에는 PTC 소자(105)가 결합될 수 있으며, 대향 측에는 금속볼 및 고분자 수지 등에 의해 밀봉된 전해액 주입부(104)가 평면상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PTC 소자(105)가 PCM 어셈블리(110)에 형성되고, PTC 소자(105)로부터 연장되는 양극 접속부재(미도시)가 양극단자(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is formed with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protruding upward in an insulated state from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a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03 is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01. ), And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120 is interposed therebetween to achieve mutual insulation. The PTC device 105 may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01,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part 104 sealed by the metal ball, the polymer resin, or the like protrudes in a planar circular shape on the opposite side. In some cases, the PTC device 105 may be formed in the PCM assembly 110, and an anode connection member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PTC device 10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101.

절연성 장착부재(120)는 공지의 접착방식으로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면에 탑재되어 결합되며, 전지셀(100)의 돌출된 음극단자(103)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절연성 장착부재(120)의 중앙 부위에 제1개구(121)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부위에는 PTC 소자(105)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2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부위에는 밀봉된 전해액 주입부(104)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3개구(123)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 입출력단자(113)가 형성되어 있다.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120 is mounted on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by a known adhesive method, and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so that the protruding negative electrode 103 of the battery cell 100 is exposed upward. The first opening 12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120, and the second opening 122 is formed in the right por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TC element 105 can be exposed. In addition, a third opening 123 is formed at the left side to expose the sealed electrolyte injection unit 104 to the upper portion,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113 which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s formed. .

PCM 어셈블리(110)에는 2개의 접속용 관통구(111, 112)들이 천공되어 있으며, 접속용 관통구들을 밀폐하는 구조로 하면에 접속부재들이 결합되어 음극단자(103) 및 PTC 소자(105)와의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In the PCM assembly 110, two connection through holes 111 and 112 are perforated, and a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PCM assembly 110 to seal the connection through holes. Provid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m.

절연성 상부캡(130)은 PCM 어셈블리(110)가 탑재된 상태에서 절연성 장착부 재(120)를 감싸면서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전지셀 케이스(100)의 상단부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있고, 상단면 일측에는 A/S 라벨(13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절연성 상부캡(130)은 PCM 어셈블리의 입출력단자(113)를 외부 디바이스(미도시)쪽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PCM 어셈블리(110)를 수용하고,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전지셀 케이스(100)과 결합하게 되고,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표면에는 직접 인쇄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The insulating upper cap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while surrounding the insulating mounting member 120 in the state where the PCM assembly 110 is mount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ell case 100. It extends dow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wrapped, and an A / S label 132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insulating upper cap 130 has an opening 135 for exposing the input / output terminal 113 of the PCM assembly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nd accommodates the PCM assembly 110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It is coupled to the battery cell case 100, and the printing layer 150 is direct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절연성 하부캡(140)이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는데, 절연성 하부캡(140)의 소정 위치에는 요홈부(141)이 제공되어, 2차전지 패키지가 외부 디바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절연성 상부캡(130)에 형성되는 요홈부(137)과 함께 2차전지 패키지의 상대적인 유동을 막을 수 있게 된다. An insulating lower cap 140 may be provided below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and a recess 141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sulating lower cap 140 to mount the secondary battery package to an external device. When i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lative flow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age with the recess 137 formed in the insulating upper cap 130.

또한, 도 4b는 도 4a에 분해 사시도로 보인 2차전지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준다. In addition, Figure 4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ded state of the secondary battery shown i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Figure 4a.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는 통상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는데, 위와 같이 상부캡(130) 혹은 하부캡(140)이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에, 공지의 방법, 즉, 볼트 혹은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결합되거나, 양면테이프에 의한 테이핑, 본딩 또는 인서트 몰드의 강제 압입 방식 등으로 결합되어 이들이 분리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is usually formed of aluminum or the like. The upper cap 130 or the lower cap 140 is formed in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as described above, that is, a known method, that is, a separate bolt or screw It is coupled using a fastening member of, or coupled by a double-sided tape, such as taping, bonding or forced pressing of the insert mold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패키징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전지셀 케이스(100)에 인쇄층(15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5b는 전지셀 케이스(100)의 하단면(106)을 포함한 사시도이다. 전지셀에는 절연캡을 끼우지 않고 전지셀 케이스(100)에 프린팅만 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전지셀의 하단면(106)에는 전지셀이 외부 디바이스에 장착시 고정이 되도록 복수개의 슬롯(107)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 슬롯(107) 사이에는 aging 공정 및 충, 방전 실험 때 단자가 위치하는 환형의 평탄부(108)가 존재하게 된다.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print layer 150 is formed on the battery cell case 100,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bottom surface 106 of the battery cell case 100. The battery cell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battery cell case 100 without inserting an insulation cap. A plurality of slots 107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6 of the battery cell so that the battery cell is fixed when the battery cell is mounted on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lots 107, there is an annular flat portion 108 in which terminals are positioned during the aging process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experiments.

어느 경우든,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는 인쇄층(150)의 일 예를 도시의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나타내었으나, 인쇄층(150)은 상품에 대한 정보, 즉 상표,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자인이 직접 프린팅에 의해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에 표시된다.In any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printed layer 150 is briefly shown in FIGS. All types of designs, including details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by direct printing.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전지에 최소한의 부품을 결합하여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할 수 있게 되고, 종래까지 제공되어 왔던 외장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외장 필름의 두께만큼 2차전지 패키지의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손실로 작용하였던 체적의 삭제가 가능하다. 즉, 외장필름의 두께는 밀리미터 단위(수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인 반면에,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는 인쇄층의 두께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수백 마이크로미터 이하)이므로, 그만큼 체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단위체적당 에너지 밀도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전지 패키지의 중량 및 부피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combining a minimum component,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n exterior film that has been provi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lete the volume that acted as a loss in terms of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age by the thickness of the outer film.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outer film is in the unit of millimeters (several millimeters or less), whereas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is in the micrometer unit (hundreds of micrometers or less), so that the volum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age can be reduced.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는 인쇄방법은, 습식 혹은 건식 의 이미 공지된 어떤 인쇄 방법도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에 통상의 인쇄 방법에 의해 모델 번호 등을 표시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인쇄라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인쇄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전면, 배면, 좌우 측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상당한 영역에 걸쳐 이루어진다. 즉, 인쇄층(150)에는 꽃 모양과 같은 무늬가 제공될 수 있고, 여백의 남은 부분에 빼곡하게 2차전지의 사용상 주의사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As the print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any known printing method, whether wet or dry, may be adopted. However, displaying a model number or the like on the surface of a metal battery cell case by a conventional printing method is not a printing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over a substantial area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That is, the print lay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pattern such as a flower shape, and precautions for use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displaye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margin.

어느 경우든 완성된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 자체에 인쇄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장차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를 구성할 알루미늄 판재에 미리 인쇄층을 적용한 후, 이를 제단하여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100)를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ny case, the printed metal battery cell case 100 may be printed on itself, or alternatively, a printing layer may be applied to an aluminum sheet to constitute the metal battery cell case 100 in advance, and then the metal battery cell case may be cut out. It may be used to make 100).

이 밖에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전지셀의 케이스 표면에 코팅은 전지케이스의 어느 일면에서 시작하여, 360˚회전하여 그 시작한 곳에서 종료할 수 도 있으며, 어느 일면의 코팅과 다른 일면의 코팅이 별개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즉,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에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ase of the battery cell made of aluminum may start at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rotate 360 ° to end at the beginning, and the coating on one side and the coating on the other side may be made separately. There is also. That is, the coating is made on th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ase by various method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가 전자제품인 핸드폰에 수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mobile phone which is an electronic product.

제1 절연캡(230)이 결합되는 2차전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전자제품)는 2차전지를 수용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내부에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PCM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또한, PCM 어셈블리에는 온도 상승시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PTC소자 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절연캡(230)이 결합되는 전지셀(100)을 휴대폰(400)에 끼워 넣으면 휴대폰(400)이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절연캡(230)에 부착되는 개방수단(231,233)을 개방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접속부재(미도시)와 연결하게 된다. 450은 전지셀 덮개를 나타낸다. 도 6에는 휴대폰(400)에 2차전지(100)가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2차전지(100)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제품 모두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 external device (electronic product) inclu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econdary battery 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couple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when accommodating a secondary battery, thereby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ing therein. It will contain a PCM assembly to prevent it. In addition, the PCM assembly may include a PTC device that the resistance is rapidly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rises. When the battery cell 100 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is coupled is inserted into the mobile phone 400, the mobile phone 400 operates. In this case, the opening means 231 and 233 attached to the first insulating cap 230 are opened to connect with a connection member (not shown) of the external device. 450 denotes a battery cell cover.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100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400, of course, the secondary battery 100 may be used in all of the electronic products that can use the secondary battery 100 as a power sourc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 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 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PCM 어셈블리 하면에 접속부재들이 결합된 구조의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ructure in which connection members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CM assembly.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패키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제1 실시예에서 전지셀과 절연캡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이다.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n insulating cap are coupl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PTC소자가 음극단자에 일체로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3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TC device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패키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econdary battery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제2 실시예에서 전지셀과 절연캡이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이다.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ell and the insulating cap is coupled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전지 패키징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하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인 휴대폰이 2차전지와 분리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which is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secondary battery.

Claims (7)

내부에 전해액 및 전극 어셈블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구비하는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 그리고A metal battery cell case having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n electrode assembly therein and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t one side thereof; And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하나 이상을 에워싸도록 금속제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절연캡을 포함하며, 제1 절연캡은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And a first insulating cap coupled to one side of the metal battery cell case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wherein the first insulating cap may selectively expose one or mor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 rechargeable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음극단자의 상단에 PTC 소자가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TC element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구비되고, 전지셀 케이스의 타측면을 에워쌀 수 있는 제2 절연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and further include a second insulating cap that may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전지셀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전지셀 케이스의 타측면에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omprising a slot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c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전지셀 케이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A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omprising a printing lay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as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인쇄층은 절연재료로 이루어져서 외부로부터 전지셀 케이스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패키징 구조.The printed layer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insulate the battery cell case from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090097201A 2009-10-13 2009-10-13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KR1011370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1A KR101137043B1 (en) 2009-10-13 2009-10-13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201A KR101137043B1 (en) 2009-10-13 2009-10-13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2A KR20110040072A (en) 2011-04-20
KR101137043B1 true KR101137043B1 (en) 2012-04-20

Family

ID=4404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201A KR101137043B1 (en) 2009-10-13 2009-10-13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39B1 (en) 2012-02-07 2014-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of Novel Embedded Typ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113A (en) * 2004-07-23 2007-04-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113A (en) * 2004-07-23 2007-04-0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072A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4334B1 (en)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CN101320791A (en) Battery pack
KR100770115B1 (en) Battery Pack
KR101699855B1 (en) Battery Pack Having Electric Insulating Member
US20080107964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222397B1 (en) Battery pack
EP2330655B1 (en) Secondary battery
CN110140254A (en) Bag type secondary battery group including protecting circuit module
US923661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90957A (en) Battery cell of novel embedded type structure
US4758482A (en) Enclosed type lead batter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37043B1 (en) Secondary battery packaging structure
CN211907489U (en) Cover plate assembly,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1422656B1 (en) Battery Cell of Novel Embedded Type Structure
EP3671892B1 (en) Battery pack and label attaching method thereof
CN217641690U (en) Multi-tab battery cell and single battery
JP2001313012A (en) Battery pack
CN215644579U (en) Battery with a battery cell
CN201540909U (en) Lithium battery cover board assembly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assembly
CN212434783U (en) Battery with safety valve
KR20120085540A (en) Secondary battery
JP4162212B2 (en) battery
KR100585379B1 (en) Battery pack
KR100585382B1 (en) Battery pack
CN218498210U (en) Secondary battery case,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