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966B1 -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 Google Patents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966B1
KR101136966B1 KR1020090117191A KR20090117191A KR101136966B1 KR 101136966 B1 KR101136966 B1 KR 101136966B1 KR 1020090117191 A KR1020090117191 A KR 1020090117191A KR 20090117191 A KR20090117191 A KR 20090117191A KR 101136966 B1 KR101136966 B1 KR 10113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ervice
intelligent network
subscriber
network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572A (ko
Inventor
박성철
송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1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9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음원 서비스 로직을 처리하는 음원 검색 모듈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능망 서비스를 구현하는 서비스 모듈들과 별개로 구현된다. 이러한 음원 검색 모듈은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서 서비스 모듈들과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음원 검색 모듈은 가입자 DB에 탑재되어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와 연동할 수 있다.
음원, 링백톤, 통화 부가서비스, 지능망 서비스, SCP, 음원 검색 모듈

Description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Intelligent network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and service control point}
본 발명은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음, 통화중 배경음 등의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시 각종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링백톤 서비스, 통화 대기 서비스, 착신 전환 서비스 등이 그 예이다. 특히, 음원은 다양한 통화 부가서비스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컨대 링백톤 서비스는 통화 연결음으로 기계음이 아닌 사용자가 설정한 다양한 음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음원 제공 서비스는 다른 통화 부가서비스와 동시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통화 부가서비스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지능망 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에 지능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10)이 호를 발신(①)하면 교환기(20)는 착신 단 말(60)이 통화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발신 호를 지능망 서비스 수행 교환기(이하, 'SSP'로 통칭함)(30)로 전달(②)한다.
SSP(30)는 서비스 호를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이하, 'SCP'로 통칭함)(40)에게 전달(③)한다. SCP(40)는 가입자 DB(50)에 가입자 조회를 요청(④)하고 가입자 조회 응답을 수신(⑤)한다. 이때, 착신 단말(60)이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음원 ID를 제공받는다. 이후, SCP(40)는 서비스 호 응답을 SSP(30)에게 전송(⑥)하고 SSP(30)는 착신 호를 착신 단말(60)에게 전송(⑦)한다.
여기서, (③) 단계에서 SSP(30)는 SCP(40)에게 한가지 서비스 호만 요청할 수 있다. SSP(30)는 호 요청 메시지를 SCP(40)로 전송하는데, 호 요청 메시지는 발신번호, 착신번호, 요청하는 서비스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식별코드에 하나의 서비스 식별코드만 수록할 수 있게 되어있다. 여러 가지 통화 부가서비스를 결합하여 제공하고자 할 경우 개별 통화 부가서비스가 결합한 서비스 식별코드를 새로 부여하여 이러한 서비스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SSP(30)는 SCP(40)에게 한번에 서비스 호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SCP(40)는 서비스 식별코드 별로 해당 서비스의 처리 로직을 수행하는 서비스 모듈(서비스 모듈 1, 서비스 모듈 2, … 서비스 모듈 n)(42)을 구비한다. 이때, 음원 부가서비스가 결합된 경우, 서비스 모듈(42)은 음원 부가서비스 로직을 함께 포함한다.
따라서, 개별 통화 부가서비스가 총 27개라고 할 때, 음원 부가서비스를 지원하려면 27개의 개별 통화 부가서비스 별 서비스 모듈(42)과, 음원 부가서비스 로 직이 결합된 27개의 서비스 모듈(42)을 구현해야 한다. 즉 SCP(40)는 총 54개의 서비스 모듈(42)을 구비하게 된다.
만약, 신규 서비스 5개를 업데이트 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5개의 서비스 모듈(42)과, 음원 부가서비스 로직이 포함된 5개의 서비스 모듈(42)을 구현하여 총 10개의 서비스 모듈을 구현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신규 서비스가 생겨날 때마다 서비스 모듈(42)을 새로 개발해야 하므로 개발자 입장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부담은 서비스 개발 활성화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음원 부가서비스의 경우 음원 업데이트가 주기적으로 한번씩 이루어져야 하는데, 음원 부가서비스 로직이 서비스 모듈(42)에 부가된 형태이므로 서비스 모듈(42) 별 특성 때문에 바로 업데이트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음원 업데이트는 주기, 세부적인 동작, 서비스 별로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업데이트 시점이 서비스 모듈(42) 별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 모듈(42)이 64개면 개발자는 64개의 서비스 모듈(42)에 각각 음원 업데이트를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능망 서비스 플랫폼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용이한 구조를 사용하여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 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지능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지능망 서비스를 해당 서비스 로직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로부터 음원 검색이 요청된 경우,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 별로 등록된 음원 컨텐츠의 ID를 저장하는 가입자 DB와 연동하여 상기 가입자 DB로부터 가입자의 음원을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에게 제공하는 음원 검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은 해당 서비스와 더불어 상기 음원 검색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이용하여 음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지능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 별로 등록된 음원 컨텐츠의 ID를 저장하고, 음원 검색이 요청되면 가입자의 음원 서비스 가입 여부 및 해당 음원 ID를 검색하여 응답하는 가입자 DB; 및 지능망 서비스 호가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DB와 연동하여 획득한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이용한 음원 서비스와 더불어 요청받은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통화 부가서비스 플랫폼에서 신규 플랫 폼 구조로 변경없이 기존 음원 부가서비스의 음원 ID 선택 로직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음원 ID 요청을 받고 음원 ID를 보내주는 연동 기능만 개발하면 되므로 개발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플랫폼과 기존 서비스들의 변경을 최소한으로 하므로 적은 예산과 짧은 기간에 음원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 등에서도 음원 부가 서비스 로직을 별도로 개발하지 않고 지능망에서 음원 ID를 공급받으므로 네트워크가 달라도 심리스(seamless)하게 음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서비스 모듈 업그레이드시에도 음원 서비스 모듈만 고치면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동일하게 반영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시퀀스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200)은 이동통신망(미도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미도시)과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 통화 부가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통화 부가서비스는 통화 연결음, 통화 배경음, 착신 전환 서비스, 발신자 표시명 서비스(예, 레터링 서비스) 등의 통화시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를 말한다.
교환기(30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호 발신이 요청되면, 착신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200)의 통화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한다.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200)이 통화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발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호를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이하 'SSP'라 통칭함)(400)에게 전달한다.
SSP(400)는 망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로서, 교환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 호를 인식하고 필요한 제어 정보를 서비스 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이하 'SCP'라 통칭함)(500)에게 요구한다. 그리고 SCP(500)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00)에게 착신 단말(200)이 등록한 통화 부가서비스 또는 착신 단말(200)에게 발신 단말(100)이 등록한 통화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SCP(500)는 지능망 서비스 즉 통화 부가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유하여 서비스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SCP(500)는 SSP(400)의 통화 부가서비스 호 처리 요구에 따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SCP(500)는 음원 검색 모듈(520), 음원 호 처리 모듈(540) 및 서비스 모듈(서비스 모듈 1, … 서비스 모듈 n)(560)을 포함한다.
음원 검색 모듈(520)은 서비스 모듈(560)로부터 음원 호 처리 모듈(540) 또는 서비스 모듈(560)로부터 음원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자 DB(600)와 연동하여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음원 콘텐츠의 ID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음원 호 처리 모듈(540)은 SSP(400)의 음원 부가서비스 호 요청에 따른 음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음원 검색 모듈(520)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하고 제공받은 음원을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에게 플레이시킨다.
음원 호 처리 모듈(540)은 교환기(300) 및 IMS(Intelligent Multimedia Server, 음원 플레이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음원을 플레이한다. 이후, 통화 호가 연결되거나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음원 플레이를 중지시킨다.
서비스 모듈(서비스 모듈 1, … 서비스 모듈 n)(560)은 각각의 고유한 서비스 로직을 구현하는 모듈이다. 예컨대 착신 전환 서비스 모듈, 레터링 서비스 모듈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모듈(560)은 음원 부가서비스에 동시 가입된 경우 해당 서비스 로직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음원 검색 모듈(520)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 호 처리와 더불어 음원 호 처리 모듈(540)과 연동하여 제공받은 음원을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가입자 DB(600)는 지능망 서비스(통화 부가서비스 포함)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 별 음원 콘텐츠를 저장한다. 가입자 DB(600)는 음원 검색 모듈(520)의 요청에 따라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의 음원 ID를 제공한다.
한편, 발신 단말(700) 및 착신 단말(800)은 SoIP(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인터넷(미도시)을 이용한 미디어 단말이다.
소프트스위치(Softswitch)(900)는 호 연결 제어와 서비스 제어를 한다. 소프트스위치(900)는 발신 단말(700)로부터 발신 호가 수신되면 착신 단말(800)로 착신 호를 전달한다. 이때, 응용 서버(1000) 또는 미디어 서버(1100)로부터 제공받은 통화 부가서비스 호를 결합하여 착신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응용 서버(1000)는 발신 단말(700) 또는 착신 단말(800)에서 설정한 통화 부가 서비스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색하여 이에 알맞은 미디어 서버(1100)로 연결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응용 서버(1000)는 음원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경우, 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음원 검색 모듈(520)에 접속하여 음원 검색을 요청하고 음원 ID를 제공받는다. 이렇게 하면 응용 서버(1000) 자체에서 음원 콘텐츠를 보유하고 음원 콘텐츠를 검색하는 로직을 구현할 필요가 없게 된다.
게이트웨이(1100)는 서로 다른 망 규격에 의해 운용되는 응용 서버(1000)와 음원 검색 모듈(520)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
미디어 서버(1100)는 응용 서버(1000)가 요청한 통화 부가서비스를 소프트스 위치(900)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때, 응용 서버(1000)가 획득한 음원 ID를 재생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도 3은 도 2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나 음원 검색 모듈이 가입자 DB(600)에 구현되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도 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DB(600)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 및 음원 테이블(640)을 포함한다.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는 가입자 DB(600) 상에서 음원 검색 모듈(도 2의 5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음원 테이블(640)은 가입자 별로 음원 콘텐츠의 ID를 수록한 정보이다.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는 음원 호 처리 모듈(540) 또는 서비스 모듈(560)의 음원 검색 요청에 따라 가입자의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 해당하는 음원 ID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원 호 처리 모듈(540)은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플레이한다. 서비스 모듈(560)은 해당 서비스 호 처리와 더불어 음원 호 처리 모듈(540)과 연동하여 제공받은 음원을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이때,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는 게이트웨이(1100)와 연동하여 응용 서 버(1000)로부터 음원 검색을 요청받고 그에 따라 음원 ID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를 가입자 DB(600)에서 구현할 경우, 음원 검색 모듈(520)을 서비스 모듈(560)과 별개의 모듈로 SCP(500)상에서 구현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초기 개발이 용이하여 적용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
한편, 음원 검색 모듈(520) 또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과 서비스 모듈(560) 간의 연동 흐름을 도 2 및 도 3의 구성을 참조하여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모듈(560)은 지능망 서비스 호(통화 부가서비스 호 포함)가 수신(S101)되면, 음원 검색 모듈(520) 또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한다(S103).
음원 검색 모듈(520) 또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는 가입자 DB(600)를 통해 지능망 서비스 호 대상 즉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이 음원 서비스 가입자 인지를 조회한다(S105, S107).
조회 결과, 가입자인 경우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검색(S109)하여 서비스 모듈(560)에게 제공한다(S111). 그러면 서비스 모듈(560)은 해당 음원 ID를 이용하여 음원 부가서비스를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에게 제공한다(S113).
조회 결과,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음원 서비스 불가 응답을 서비스 모듈(560)에게 제공한다(S11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과정 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모듈(560)은 지능망 서비스 호(통화 부가서비스 호 포함)가 수신(S201)되면, 지능망 서비스 호 대상 즉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이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자 인지를 판단한다(S203). 이때, 서비스 모듈(560)은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와 더불어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자인 경우로 판단되면, 서비스 모듈(560)은 음원 검색 모듈(520) 또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한다(S205).
음원 검색 모듈(520) 또는 음원 검색 프로시져(620)는 음원 서비스 가입자를 조회(S207)하고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검색(S209)하여 서비스 모듈(560)에게 제공한다(S211). 그러면 서비스 모듈(560)은 수신한 음원 ID를 이용하여 음원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S213).
한편, 음원 부가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음원 검색 요청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해당 서비스를 바로 제공한다(S21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지능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다.

Claims (8)

  1. 지능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지능망 서비스를 각각의 서비스 로직에 따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듈로부터 음원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 별로 등록된 음원 컨텐츠의 ID를 저장하는 가입자 DB로부터 상기 음원 검색 요청을 통해 요청받은 가입자의 음원을 검색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듈에게 제공하는 음원 검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듈은 고유의 서비스 로직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와 더불어 상기 음원 검색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음원을 이용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검색 모듈은,
    인터넷 프로토콜 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여기서 응용 서버는 소프트스위치의 요청에 따른 음원 서비스 호를 처리함-로부터 음원 검색이 요청되면,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듈은,
    지능망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음원 검색 모듈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하여 상기 음원 검색 모듈이 음원 서비스 가입 판단 여부에 따라 제공하는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이용하여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듈은,
    지능망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가입자의 음원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음원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상기 음원 검색 모듈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5. 지능망을 통해 가입자 단말로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능망 서비스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 별로 등록된 음원 컨텐츠의 ID를 저장하고, 음원 검색이 요청되면 가입자의 음원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요청받은 음원 ID를 검색하여 응답하는 가입자 DB; 및
    지능망 서비스 호가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DB와 연동하여 획득한 가입자의 음원 ID를 이용한 음원 서비스와 더불어 요청받은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는,
    각각의 고유한 서비스 로직에 따른 서로 다른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가입자 DB에게 음원 검색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의 음원 ID를 수신하며, 상기 요청받은 지능망 서비스와 상기 음원 ID를 이용한 음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듈
    을 포함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인터넷 프로토콜 망을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여기서 응용 서버는 소프트스위치의 요청에 따른 음원 서비스 호를 처리함-로부터 음원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가입자 DB로 전달하고, 상기 가입자 DB가 제공하는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상기 응용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를 더 포함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는,
    지능망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DB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하여 상기 가입자 DB가 음원 서비스 가입 판단 여부에 따라 제공하는 해당 가입자의 음원 ID를 이용하여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는,
    지능망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가입자의 음원 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여 음원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 상기 가입자 DB에게 음원 검색을 요청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KR1020090117191A 2009-11-30 2009-11-30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KR10113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91A KR101136966B1 (ko) 2009-11-30 2009-11-30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91A KR101136966B1 (ko) 2009-11-30 2009-11-30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72A KR20110060572A (ko) 2011-06-08
KR101136966B1 true KR101136966B1 (ko) 2012-04-20

Family

ID=4439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191A KR101136966B1 (ko) 2009-11-30 2009-11-30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9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8A (ko) * 2003-04-28 2004-11-16 (주)옴니텔 지능망을 이용한 가입자 기반의 상용 링백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1477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링백톤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84755A (ko) * 2006-02-21 2007-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망을 이용한 발신 중심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838A (ko) * 2003-04-28 2004-11-16 (주)옴니텔 지능망을 이용한 가입자 기반의 상용 링백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31477A (ko) * 2003-09-29 2005-04-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을 이용한 링백톤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70084755A (ko) * 2006-02-21 2007-08-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능망을 이용한 발신 중심의 멀티미디어 링백톤 대체음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72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5808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の選択を援助するためのリングバック・トーン好み情報
US8175252B2 (en) Ringback tone bookmark request by calling party
KR101235088B1 (ko) 통화 연결음의 재생 특성 변경
US20060264208A1 (en) Telephone system based on presence and call routing method thereof
US20070280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ividualized information
CA252390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bt in communication network
US8073128B2 (en) Ringback tone service opt-in and opt-out requests for use by calling party
EP1692892A1 (en) Method for setting substitute ringback tone of calling party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0407746C (zh) 一种通用个人号码回铃音业务的系统及播放方法
RU2010110349A (ru) Способы, системы и центр crbt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персонифицированных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контроля посылки вызова (crbt) и персонифицированных тон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телефонного вызова (crt)
WO2009003386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de production d'un signal de rappel
US200902140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ring back tones
WO2006119711A1 (fr) Plate-forme de service de publicite, procede et appareil de publicite
WO2005006726A1 (en) Integrated disparate intelligent peripherals
KR20050075830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36966B1 (ko) 음원을 제공하는 지능망 서비스 시스템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KR100509103B1 (ko) 통화중대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1268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RU2431942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между сигналом обратного вызова и звонком вызова
KR20030016325A (ko) 가입자 기반 홀드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08126100A2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registering a user for value added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23311A (ko) 통화 연결 중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0039111A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통화 대기음 제공 장치 및 방법
JPH11243453A (ja) 音声案内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71802A (ko) 대기음 발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