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456B1 -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456B1
KR101136456B1 KR1020090080353A KR20090080353A KR101136456B1 KR 101136456 B1 KR101136456 B1 KR 101136456B1 KR 1020090080353 A KR1020090080353 A KR 1020090080353A KR 20090080353 A KR20090080353 A KR 20090080353A KR 101136456 B1 KR101136456 B1 KR 10113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mmunication channel
application
smart car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868A (ko
Inventor
이형진
김경태
허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8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4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performs an I/O function other than control of data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1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allocating resources to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은, (S1)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특정 통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S2)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S3)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스마트 카드, USIM 카드, 통신채널, 타이머 인터럽트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pplication and smart card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구동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에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로지컬 채널(logical channel)의 개폐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이동통신기술은 2세대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3세대의 WCDMA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WCDMA 시스템에서는 영상 통화가 가능해지고 기존 CDMA 방식보다 고속 데이터,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자유로운 글로벌 로밍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WCDMA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가입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를 탑재해야 한다. 2세대의 CDMA 시스템에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이 선택 사양이지만 WCDMA 시스템에 서는 USIM 카드가 필수다.
이러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카드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로 불리기도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운영 시스템(COS:Card Operation System), 보안 알고리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내장하여 구동된다. USIM 카드에는 전화번호, 가입자 인증 키, 패스워드(PIN), 통화 시간, 요금 정보, 금융 정보 등 다양한 개인 정보가 저장된다.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어플리케이션이 이러한 USIM 카드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USIM 카드와 통신을 위한 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상호 간에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로지컬 채널이 이용된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USIM 카드와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할 때마다 USIM 카드가 특정 채널을 개방(open)하고 개방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 통신이 종료된 때에는 USIM 카드가 해당 채널을 폐쇄하여, 통신을 원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한 로지컬 채널의 개수는 보통 2개 내지 4개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USIM 카드와 어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위해 4개의 채널이 존재한다면, 일반적으로 1개의 채널은 USIM 카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3개의 채널에 대하여 개폐가 반복된다. 즉, 상기 3개의 채널은 어플리케이션이 USIM 카드와 통신을 하고자 할 때 개방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 더 이상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에 통신이 필요없게 된 경우에는 해당 채널이 폐쇄된다.
그런데, 어플리케이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비정상적으로 종료하는 경우에는 USIM 카드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반납 요청을 받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USIM 카드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던 채널을 폐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해당 채널은 다른 어플리케이션도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모든 로지컬 채널이 점유 중인 경우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USIM 카드에 인터페이스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의 통신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은, (S1)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특정 통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S2)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S3)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특정 통신 채널을 개방 또는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여,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채널개폐 확인모듈;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채널개폐 요청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 송수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장착하는 모바일 단말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 카드와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한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통신 채널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USIM 카드와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 채널이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개방되어 있는 경우, 해당 채널을 폐쇄함으로써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그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에 원활한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채널 사용 및 반납 요청에 대하여 USIM 카드로 채널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하기 전에 해당 요청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고 부적절한 요 청에 대해서는 미리 차단함으로써 통신 채널의 개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200)과 USIM 카드(300) 사이에서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의 어플리케이션(200)과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USIM 카드(300) 사이에서 로지컬 채널(logical channel)을 관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모바일 단말에는 다수 의 어플리케이션(200)들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구동된 어플리케이션(200)은 로지컬 채널을 통해 USIM 카드(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러나, 상기 로지컬 채널은 그 개수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CH1, CH2, CH3의 3개의 채널을 관리한다. USIM 카드(300)와 어플리케이션(200)간의 로지컬 채널이 총 4개인 경우, 통상적으로 1개의 채널은 항상 개방되어 USIM 카드(300)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3개의 채널은 어플리케이션(200)과 USIM 카드(300)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도 1에는 통신을 위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3개의 채널(CH1, CH2, CH3)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채널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각 로지컬 채널(CH1, CH2, CH3)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ID(즉, 어플리케이션 ID) 및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ID는, 로지컬 채널을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200)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ID를 말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ID는 해당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해 특정 로지컬 채널이 할당될 때,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에 의해 부여된다. 이때,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ID로서 알파벳 및 숫자를 조합하여 3바이트 정도의 크기로 랜덤한 값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 ID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지정될 수 있다.
이렇게 부여된 어플리케이션 ID는 해당 어플리케이션(200)이 USIM 카드(300) 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채널을 반납하는 경우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로부터 삭제된다. 그리고, 도1의 CH2 채널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ID로서 'OxFFFFFF'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납된 채널에 대해서는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200)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ID가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ID가 'OxFFFFFF'로 표시된 CH2 채널은 미사용중인 채널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머 인터럽트는, 상기 로지컬 채널의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즉, USIM 카드(3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해 특정 로지컬 채널을 개방하거나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 ID를 부여할 때 해당 채널의 타이머 인터럽트는 "ON"으로 트리거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ID가 'Ox2E75A1'인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해 CH1 채널이 할당되고, 어플리케이션 ID가 'Ox1AC62F'인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해 CH3 채널이 각각 할당될 때, 해당하는 타이머 인터럽트는 각각 "ON"으로 트리거된다. 이때,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의 내부 타이머는 대응하는 타이머 인터럽트의 "ON" 트리거와 동시에 펄스의 카운팅을 시작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00)이 USIM 카드(300)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채널을 반납할 때 해당 타이머 인터럽트는 "OFF"로 트리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CH2 채널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200)이 CH2 채널의 사용을 중단하고, 해당 채널을 반납할 때,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CH2 채널의 어플리케이션 ID를 'OxFFFFFF'로 표시함과 동시에 타이머 인터럽트를 "OFF"로 트리거한다. 이때, 내부 타이머는 타이머 인터럽트의 "OFF" 트리거와 동시에 펄스의 카운팅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Ox1AC62F')에 의한 특정 채널(예를 들어, CH3)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채널 개방 유지시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한다. 즉,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채널 개방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채널의 폐쇄를 USIM 카드(300)로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시간은 어플리케이션(200)과 USIM 카드(30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질 때 일반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최대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로지컬 채널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계속 개방되고 있다면, 비정상적으로 채널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지컬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해당 채널을 강제적으로 폐쇄시켜 다른 어플리케이션(200)으로 하여금 해당 채널을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로지컬 채널의 사용을 효율화시키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채널개폐 확인모듈(110), 채널개폐 요청모듈(120) 및 데이터 송수신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120)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USIM 카 드(300)에 대한 액세스 요청에 따라 USIM 카드(300)에 대해 특정 로지컬 채널의 개방을 요청하거나 또는 특정 로지컬 채널을 점유 중인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구동 중단을 감지한 후, 해당 로지컬 채널의 폐쇄를 USIM 카드(300)에 요청한다.
또한 채널개폐 요청모듈(120)은 상기 채널개폐 확인모듈(110)로부터 특정 로지컬 채널의 강제 폐쇄 명령을 수신하고, 이 로지컬 채널의 폐쇄를 USIM 카드(300)에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채널개폐 확인모듈(110)은, USIM 카드(300)의 로지컬 채널의 개폐 여부에 따라 타이머를 트리거하고, 타이머로부터 카운트 값을 전달 받아 로지컬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연산하며, 연산된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미리 저장된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로지컬 채널의 강제 폐쇄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채널 개폐 확인모듈(110)은 특정 로지컬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120)에 해당 로지컬 채널의 강제 폐쇄를 명령한다.
또한, 상기 채널개폐 확인모듈(11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한 특정 로지컬 채널의 점유 상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ID"를 부여하거나 삭제하고 해당 로지컬 채널의 타이머 인터럽트를 "ON" 또는 "OFF"로 트리거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130)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요청을 USIM 카드(300)에 전달하고, USIM 카드(300)의 응답을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과 USIM 카드(300) 사이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예를 들어, 채널개폐 요청모듈(120)이 특정 채널의 개방 또는 폐쇄를 요청할 때, 그 요청 신호를 USIM 카드(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USIM 카드(300)로부터 특정 채널이 개방 또는 폐쇄되었다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00)이 채널 사용 또는 반납 요청을 한 경우 이러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USIM 카드(300)로부터 채널이 개방 또는 폐쇄되었다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를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도 2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140)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채널개폐 확인모듈(110), 채널개폐 요청모듈(120) 및 데이터 송수신모듈(130)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200)과 USIM 카드(300)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번호, 어플리케이션 ID 및 타이머 인터럽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채널의 점유 상태, 특정 채널을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200)의 식별정보, 채널 개방 유지시간 및 기준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40)는 물리적으로 반드시 하나로 통합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채널개폐 확인모듈(110), 채널개폐 요청모듈(120) 및 데이터 송수신모듈(130) 등에 분리되어 존재해도 무방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3은,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부터의 채널 사용 요청을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이 USIM 카드(300)와의 통신을 위해 채널 할당을 요청하면(S11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하여 로지컬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0). 이때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면,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사용 가능한 채널이 없다는 응답을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한다(S130). 반면에,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면, 해당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한 미사용 채널의 개방을 USIM 카드(300)에 요청한다(S140).
이때, USIM 카드(300)로부터 채널 할당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S15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 할당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ID를 지정하여 ID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160).
도 4는, 미사용 채널에 대하여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와 USIM 카드(300)의 판단이 다른 경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채널 할당 요청에 대하여(S21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로지컬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함을 확인하면(S220), USIM 카드(300)로 채널 개방을 요청한다(S230). 이때, USIM 카드(300)로부터 미사용 채널이 없다는 응답을 수신하면(S24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해당 채널의 강제 폐쇄를 요청한다(S250). 이에 대해 USIM 카드(300)로부터 해당 채널을 강제 폐쇄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S26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USIM 카드(300)에 대해 상기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에 대한 채 널 개방을 다시 요청한다(S270). 그 후, USIM 카드(300)로부터 채널 할당에 대한 완료 응답을 수신하면(S280), 이러한 채널 할당 정보 및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ID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한다(S290). 한편, 상기 S220 단계에서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미사용 채널의 존재를 확인한 경우 미사용 채널 및 어플리케이션 ID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200)으로 곧바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S230 단계 내지 S280 단계가 반드시 필수적인 과정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USIM 카드(300)와 통신 중인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이 채널 반납을 요청한 경우,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가 이러한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로지컬 채널을 점유 중인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이 해당 채널의 반납을 요청하면(S310), 통신 채널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반납 요청이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이때, 채널 반납 요청의 적합성 여부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이 반납 요청한 채널에 대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하는지 여부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만일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반납 요청이 적합하지 않다면, 적합하지 않은 반납 요청이라는 응답을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한다(S330). 반면에,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의 반납 요청이 적합하다면, USIM 카드(300)로 해당 채널의 폐쇄를 요청한다(S340). 그리고 나서, USIM 카드(300)로부터 해당 채 널이 폐쇄되었다는 응답을 수신하면(S350), 채널 반납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전송한다(S360).
도 6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USIM 카드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을 위해 특정 로지컬 채널을 개방하면(S410), 해당 채널에 대한 개방 유지시간을 연산하고, 이렇게 연산된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이때,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SIM 카드로 개방된 채널의 강제 폐쇄를 요청한다(S430).
바람직하게, 상기 S410 단계 이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USIM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채널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사용 채널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통신 채널로서 개방할 것을 상기 USIM 카드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 요청을 수신한 USIM 카드로부터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강제 폐쇄를 상기 USIM 카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강제적으로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을 다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 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 경우, 상기 USIM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USIM 카드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스마트 카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에서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채널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채널 관리 장치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채널 사용 요청을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미사용 채널에 대하여 통신 채널 관리 장치와 USIM 카드의 판단이 다른 경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USIM 카드와 통신 중인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채널 반납을 요청한 경우, 통신 채널 관리 장치가 이러한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USIM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5)

  1.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S1)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특정 통신 채널을 개방하는 단계;
    (S2)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S3)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폐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1) 이전에,
    (a)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사용 채널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통신 채널로서 개방할 것을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 요청을 수신한 스마트 카드로부터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강제 폐쇄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강제적으로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을 다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반납 요청한 채널에 대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U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방법.
  6.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해 특정 통신 채널을 개방 또는 폐쇄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여,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는 채널개폐 확인모듈;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채널개폐 요청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이터 송수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채널개폐 확인모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이 해당 미사용 채널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통신 채널로서 개방할 것을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이 상기 미사용 채널의 존재로 인한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 요청을 수신한 스마트 카드로부터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이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강제 폐쇄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이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폐쇄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이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을 다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채널개폐 확인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반납 요청한 채널에 대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 경우, 상기 채널개폐 요청모듈이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U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 관리 장치.
  11. 스마트 카드를 장착하는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고 상기 스마트 카드와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을 위한 특정 통신 채널의 채널 개방 유지시간을 카운팅하고, 이 채널 개방 유지시간과 미리 결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채널 개방 유지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통신 채널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카드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 채널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중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미사용 채널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통신 채널로서 개방할 것을 상기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용 채널의 존재로 인한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 요청을 수신한 스마트 카드로부터 미사용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 채널 관리 장치는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강제 폐쇄를 상기 스마트 카드에 요청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을 폐쇄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개방을 다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 채널 관리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반납 요청한 채널에 대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채널 번호 및 어플리케이션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반납 요청이 적합한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로 상기 특정 통신 채널의 폐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US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090080353A 2009-08-28 2009-08-28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3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53A KR101136456B1 (ko) 2009-08-28 2009-08-28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53A KR101136456B1 (ko) 2009-08-28 2009-08-28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8A KR20110022868A (ko) 2011-03-08
KR101136456B1 true KR101136456B1 (ko) 2012-04-19

Family

ID=4393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53A KR101136456B1 (ko) 2009-08-28 2009-08-28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401B1 (ko) * 1998-10-01 2003-12-18 썬텍 주식회사 면상 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509B1 (ko) * 1996-01-20 1999-02-01 김광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의 통신채널 관리방법
KR20030046621A (ko) * 2001-12-1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화 구조의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와휴대 단말기의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20050114158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장치와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84710B1 (ko) 2008-07-29 2009-02-1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입자 인증카드의 데이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509B1 (ko) * 1996-01-20 1999-02-01 김광호 집합주택 통신시스템의 통신채널 관리방법
KR20030046621A (ko) * 2001-12-1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화 구조의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와휴대 단말기의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20050114158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장치와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84710B1 (ko) 2008-07-29 2009-02-1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입자 인증카드의 데이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401B1 (ko) * 1998-10-01 2003-12-18 썬텍 주식회사 면상 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8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192A (en) Checking the access right of a subscriber equipment
US8047444B2 (en) Method, system and smart card reader for management of access to a smart card
US8606943B2 (en)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commands from physical channel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and system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US10833715B2 (en)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cluding communication profiles
KR19980702394A (ko) 가입자 장치의 액세스 권리 체크
US905535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ini-messages and associated device
CN109495875B (zh) Sim卡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01027A (ko) 복수의 가입자 식별 번호를 저장하는 스마트 카드 및 가입자 식별 번호 설정 방법
CN109743722B (zh) 网络连接处理方法和装置
EP32869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gical channels for accessing several virtual profiles in a secure element
WO2010067222A2 (en)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04800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저장방법
KR101136456B1 (ko)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스마트 카드 사이의 통신 채널관리 장치 및 방법
CN102667806B (zh) 芯片卡、电子系统以及由芯片卡和计算机程序产品执行的方法
US200400295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US20140229372A1 (en) Smart card having multiple payment instruments
US6975883B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initial utilization of a processor /chip card
CN107526955B (zh) 熄屏解锁方法和装置
US6047070A (en) Process for ensuring a securing interface between a telephone with a card and the network in a telephone system
JP4293729B2 (ja) チップカード読取り装置遠距離通信端末
RU2000123779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бора системы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16754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user authentication card
KR100619882B1 (ko) 휴대단말기의 도용 방지장치 및 방법
CN107610257B (zh) 一种psam阵列加密运算服务方法、存储介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