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409B1 -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409B1
KR101136409B1 KR1020100074067A KR20100074067A KR101136409B1 KR 101136409 B1 KR101136409 B1 KR 101136409B1 KR 1020100074067 A KR1020100074067 A KR 1020100074067A KR 20100074067 A KR20100074067 A KR 20100074067A KR 101136409 B1 KR101136409 B1 KR 10113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sentence
vice versa
word orde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122A (ko
Inventor
박찬준
Original Assignee
박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준 filed Critical 박찬준
Priority to KR102010007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4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a) 제 1 언어(예: 한국어)를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로 표현할 때,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이 표현되도록 배열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해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한국어 등의 문장의 어순을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문장의 어순으로 표현하고 또는 그 반대로 표현하여 효과적으로 외국어 학습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ed medium for making the sentence of the first language represent the word order of the sentence of the second language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와 어순이 비슷한 외국어로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갖고 있는 일본어, 만주어, 몽골어, 우즈벡어, 터키어 등이 있다.
반면에 영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어 문장 하나에 주요 어순을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는 9시에 학교간다.
주어 목적어 동사
이 한국어 문장은 영어 문장으로는 다음과 같은 어순으로 표현된다.
I go to school at 9 o'clock.
주어 동사 목적어
독일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는 영어와 같은 어순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영어 문장은 아래와 같은 독일어 문장으로 표현된다.
Ich gehe um 9 Uhr in die Schule.
주어 동사 목적어
"at 9 o'clock"과 "um 9 Uhr"의 순서 차이에서 볼 수 있듯이 영어와 독일어도 어순이 서로 완전히 같지는 않다.
그러므로,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언어의 문장이 외국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은, (a)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d)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에, (a)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기능;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기능;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기능; (d)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예로 한국어의 문장으로 영어, 독일어, 아랍어 등의 외국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 표현된 영어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영어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 표현된 아랍어 유형의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아랍어 유형의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제 2 언어의 어순과 상응하는 제 1 언어인 영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의 방향이 수직(↓ 또는 ↑)인 경우,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에 따라 제 2 언어의 문장을 표현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위치를 수평적으로 조정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의 방향이 수평(→ 또는 ←)인 경우,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에 따라 제 2 언어의 문장을 표현하기 위해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위치를 수직적으로 조정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배열 속에 보조선을 넣어 제 2 언어의 구나 절을 세분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 1 언어의 문장의 문자열(들)로 제 1 언어의 어순을 표현함과 동시에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 또한 표현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어떤 외국어가 모국어와 어순이 다를수록 그 외국어는 학습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를 들면,가족이 영어로family'라는 것을 맞추는 암기 연습을 하기는 어렵지 않다. '나의 가족'도 'my family'와 어순이 같기 때문에 맞추기가 어렵지 않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1
그러나 '그는 그의 가족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와 같은 한국어 문장은 영어로 표현하면, 'He began talking about his family.'에 해당함을 맞추기는 어렵다.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주어의 위치만 같을 뿐 그 외의 동사, 목적어 등은 대부분 반대의 순서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이 어순이 거의 동일한 일본어를 학습할 때에 비해 어순이 거의 크게 다른 영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는 훨씬 큰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국어와 어순이 완전히 같지 않은 외국어를 학습할 때, 언어 학습은 항상 어순 적응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예컨대 한국인이 일본어를 익힐 때 한국어 문장을 같은 의미의 일본어로 다시 말하거나 적는 것은 능통한 언어 구사를 위한 필수적인 훈련이다. 그런데, 영어를 익힐 때, 한국어 문장을 보고 영어로 다시 말하는 연습은 학습자들이 너무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것이 되었다.
어순의 차이로 인해 그러한 연습에는 어순 재배열의 숙련이 포함되는데, 그러한 숙련은 통역자나 번역자와 같이 두 언어 간의 차이를 극복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나 필요한 어려운 과업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국어를 영어로 다시 말하는 훈련은 능통한 영어 구사를 위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훈련을 실천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러한 어순 차이로 인한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극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언어로 쓰여진 문장이 제 2 언어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언어의 어순이 쉽게 인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할 때, 먼저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한다.
이때 상기 제 1 언어 문장의 의미와 제 2 언어 문장의 전체적 의미가 동일한 것은 당연하다.
예로서, 위 예에서 한국어를 제 1 언어로 하고 영어를 제 2 언어로 할때, 한국어와 영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갖는 문자열(들)을 보면 아래와 같다.
/ 그는 (He) / 그의 가족에 (his family) / 관해 (about) / 이야기하기(talking) / 시작했다(began) /
그 다음 제 1 언어인 한국어 문장을 아래와 같이 배열한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2

상기 예의 한국어 문장에서 '그는' 이나 '관해' 등과 같이 일련의 문자들이 덩어리진 부분을 '문자열(string)'이라 지칭하고, '그의 가족에' 와 같이 복수의 문자열들로 구성된 부분을 '문자열들(text strings)'로 지칭하며, 종합하여 '문자열(들)' 또는 'text string(s)'로 표시하기로 한다.
위의 문자열(들)을 위에서 아래로 한 줄씩 읽어나가면, 원래의 문장은 '그는 그의 가족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와 동등함을 쉽게 알 수 있다. 그 다음에는 각 문자열(들)의 좌우 위치를 아래와 같이 바꾼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3

이렇게 바꾸어도 위에서 아래로 한 줄씩 읽어나가면, 여전히 원래의 한국어 문장의 어순과 차이가 없으며, 이 문자열(들)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보면, 영어의 어순대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4
즉, 도 1을 보면, 한국어 문장 어순은 위에서 아래로 표현되어 있고 영어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현되어 있어, 결국 하나의 공간상에서 한국어의 어순을 표현함과 동시에 영어의 어순이 표현되어 있어, 한국어 문장만을 보면서도 영어의 어순을 손쉽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국어의 문자열(들)에 대응되는 영문을 안다면 즉시 한국어 문장을 영어 문장으로 바꿔 말하거나 쓸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로써 제 1 언어와 제 2 언어의 어순 차이로 인해 생기는 학습 훈련의 어려움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문자열(들)이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는 위에서 아래로 시선을 이동하는 것만으로 쉽게 원래의 한국어 문장의 의미를 즉시 인지하면서도, 같은 의미를 영어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선을 이동하면서 각 한국어 문자열(들)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들을 상기하기만 하면 영어 문장이 완성된다. 이때, 각 문자열(들)이 가리키는 의미들의 순서가 영어의 어순과 일치함으로 인해, 학습자는 어순 재배열의 부담이 전혀 없이 용이하게 해당 영어 문장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예: 영어,독일어,불어,아랍어 등)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할 때, 두 언어의 문자열들의 의미 상응이 가능한 한 일대일이 되도록 하기위해 일반적인 철자법은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나는 9시에 학교에 간다.“와 같은 한국어 문장을 아래와 같이 분할하여 영어와 대응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5

즉, 영어의 전치사 'to'나 ‘at'가 각각 한국어의 조사 ’에‘와 상응되도록 하기 위해 ’학교에‘를 ’학교‘와 ’에‘로 ’9시에‘를 ’9시‘와 ’에‘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열을 반드시 명시적으로 보여주어야하는 것은 아니나, 경우에 따라 제2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열 또한 일반적인 철자법을 무시하고 분할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너는 나를 보았다”는 한국어에 해당하는 페루 인디언의 언어를 알파벳으로 표기하면 “rikuwarkanki"라는 하나의 단어가 된다. 그러나, 이 단어는 'riku (보다) + wa (나를) + rka (과거) + nki (너)‘로 의미에 따라 분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언어인 한국어와는 아래와 같이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6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제 1 언어의 문장이나 반드시 명시적으로 보여줄 필요는 없는 제 2 언어의 문장을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할 때 일반적인 철자법을 무시하고 융통성 있게 분할하여 두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 간에 가능한 한 일대일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위의 한 예의 배열에서는 영어의 어순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도록 하였지만, 한국어 문장을 달리 배열하면 위에서 아래로의 의미 진행이 영어의 어순과 같도록 할 수도 있다. 먼저, 아래와 같이 한국어 문장을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쪼개어 놓는다.
그는 | 그의 가족에 | 관해 | 이야기하기 | 시작했다.
그 다음에 한국어 문장은 각 문자열(들)의 상하 위치를 바꿈으로써, 위에서 아래로 보았을 때 의미의 진행이 영어의 어순과 일치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영어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7

언어 학습자의 눈에 곧바로 보이도록 배열한 문자열(들)의 언어를 제 1 언어라고 하고 다른 언어를 제 2 언어라고 하였을 때, 위의 두 가지 예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이 시선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 2 언어의 어순을 동시에 나타내도록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언어를 배열함에 있어 수직(위에서 아래로) 방향은 제 1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하되 이를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그 반대(즉 제 1 언어의 어순은 수평이고 제 2 언어의 어순은 수직 방향)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1 언어를 배열함에 있어 수직(아래에서 위로)방향은 제 1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하되 이를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언어를 배열함에 있어 수직(위에서 아래로)방향은 제 1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하되 이를 수평(우측에서 좌측으로)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언어를 배열함에 있어 수직(위에서 아래로)방향은 제 1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하되 이를 수평(우측에서 좌측으로)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법으로서 아랍어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영어를 활용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8
즉 영어 문장인 "He began talking about his family."을 아랍어의 표기 방식을 모사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ylimaf sih tuoba gniklat nageb eH"
이렇게 표기되는 언어 또한 한국어 문장과 두 가지 방법으로 매칭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아랍어 문장의 어순과 상응하는 한국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09
즉,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어순 방향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혹은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나타내면서도 제 2 언어의 어순으로 배열함에 있어, 수직(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그 반대) 혹은 수평(아래에서 위로, 또는 그 반대)로 표현하는 것이 모두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언어의 문자열(들)이 위에서 아래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제 1 언어가 영어일 때, 위 예의 제 2 언어로서 한국어 문장인 "그는 그의 가족에 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를 수직 방향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0
이것을 제1 언어인 영어와 매칭시키는 배열법 중 하나는 아래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방향으로 표현된 제2 언어의 어순과 상응하는 제1 언어인 영어 문자열(들)이 갖는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1
즉, 제2 언어(한국어 문장)의 문자열 표기가 수직 방향인 경우에도, 제1 언어(아랍어 문장)의 문자열(들)의 배열을 바꿔서 제 2 언어의 어순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시사한다. 어떤 언어에 익숙한 사람은 그 언어를 표현하는 문자열(들)이 배열된 순서가 수평 방향(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이면 학습자의 시선을 그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문자열(들)의 수직적 위치의 편차에 관계없이 문장을 원래 순서대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언어에 익숙한 사람은 문자열(들)이 배열된 순서가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이면 시선을 그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문자열(들)의 수평적 위치의 편차에 관계없이 문장을 원래 순서대로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제1 언어(한국어)의 문자열(들)의 수직적 위치나 수평적 위치를 그 문자열(들)이 가리키는 의미에 해당하는 제2 언어(영어, 독일어, 아랍어 등)의 어순과 일치하도록 조정해줌으로써, 학습자의 시선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열(들)이 제2 언어의 어순에도 나타내도록 하는 배열법이다.
또한, 제1 언어(한국어)나 제2 언어(영어, 독일어, 아랍어 등)를 문자로 표기하는 순서에는 위에서 아래로 적어나가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어나가는 것도 있는데, 그런 경우에도 각 문자열(들) 내에서만 원래의 표기 순서가 지켜진다면 위에 기술한데로 제1 언어의 그 문자열(들)의 배열 순서가 수평 방향이든 수직 방향이든 문자열(들) 위치의 수직적, 수평적 편차에 관계없이 제2 언어의 문장을 원래 순서대로 인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일반화시킨 내용을 도 6과 7로 설명한다.
도 6은 제 1 언어의 어순 진행 방향이 수직(↓↑ )인 경우, 즉 제 1 언어의 문장을 구성하는 문자열(들)을 제 1 언어의 어순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열할 때,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2
도 7은 제 1 언어의 어순 진행 방향이 수평( → ←)인 경우, 즉 제 1 언어의 문장을 구성하는 문자열(들)을 제 1 언어의 어순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할 때,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3
본 발명의 문자열의 배열법은 완전한 문장뿐만 아니라 구 및 절 일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예컨대 '내가 젊었을 때'와 같은 귀절을 아래와 같이 배열할 수 있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4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배열 속에 보조선을 넣어 제 2 언어의 구나 절을 세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아래는 그러한 예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5
도 9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Figure 112010049538802-pat00016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은, 제 1 언어(예: 한국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예: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한다(단계 S10). 또한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배열한다(단계 S20). 또한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한다(단계S30). 만약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해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한다(단계S40).
위 단계는 제 1 언어의 문자열(들)로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제 2 언어의 문자열(들)로 제 1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는 방법도 동일하다.
상기 제 1 언어는 한국어이고, 상기 제 2 언어는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 1 언어가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등이고, 상기 제 2 언어가 한국어가 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제 2 언어가 둘다 한국어가 아닌 언어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제 1 언어인 영어의 문장으로 제 2 언어인 독일어의 어순을 표현하는 것과, 그 반대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배열 속에 보조선을 넣어 제 2 언어의 구나 절을 세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없음

Claims (6)

  1.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2.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언어는 한국어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언어는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중 하나의 외국어이거나,
    상기 제 1 언어는 영어, 독일어, 불어, 아랍어 중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제 2 언어는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상기 제 1 언어와 상기 제 2 언어 둘다 서로 다른 외국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 2 언어의 어순에 따른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의 배열 속에 보조선을 넣어 제 2 언어의 구나 절을 세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5.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에,
    (a)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기능;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기능;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평의 기준선에 대한 수직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직 방향(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에,
    (a) 제 1 언어의 문장을 제 2 언어의 문장의 부분들과 의미가 상응하는 여러 개의 문자열(들)로 분할하는 기능;
    (b) 상기 제 1 언어의 문자열(들)을 수평(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이나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의 4가지 중 한 방향으로 표기하는 기능;
    (c) 상기 제 1 언어의 문장의 어순 표기 방향이 수직(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인 경우, 상기 제 1 언어의 각 문자열(들)에 수직의 기준선에 대한 수평적 편차를 부여함으로써 수평 방향(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는 제 2 언어의 어순을 표현하도록 배열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또는 언어 학습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74067A 2010-07-30 2010-07-30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13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67A KR101136409B1 (ko) 2010-07-30 2010-07-30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67A KR101136409B1 (ko) 2010-07-30 2010-07-30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22A KR20120012122A (ko) 2012-02-09
KR101136409B1 true KR101136409B1 (ko) 2012-04-18

Family

ID=4583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067A KR101136409B1 (ko) 2010-07-30 2010-07-30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310B1 (ko) * 2019-01-08 2020-12-23 정안우 영어 학습책 및 영어 학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775A (ko) * 1999-12-23 2001-07-05 오길록 문장골격을 기반으로 한 자동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9107A (ko) * 2003-05-16 2004-11-26 이인섭 자동번역기, 그 자동번역기를 이용한 자동번역방법 및 그자동번역기가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775A (ko) * 1999-12-23 2001-07-05 오길록 문장골격을 기반으로 한 자동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9107A (ko) * 2003-05-16 2004-11-26 이인섭 자동번역기, 그 자동번역기를 이용한 자동번역방법 및 그자동번역기가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22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ber et al. Comparing native and learner perspectives on English grammar: A study of complement clauses
Walker-Jones Hebrew for biblical interpretation
Li et al. How character reading can be different from word reading in Chinese and why it matters for Chinese reading development
KR101936208B1 (ko) 현대 한국어에서 대표할 수 있는 발음으로 중국 전통 음운학 사호이론에 부합하는 중성자모체계와 한글 합자법을 활용한 중문표기 제공방법 및 시스템
Moskowich et al. Astronomy ‘playne and simple’: The writing of science between 1700 and 1900. Including CD-Rom: A Corpus of English Texts on Astronomy (CETA)
Llaurado et al.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spelling in Catalan from first to fifth school grade
Altamimi et al. A Review of Spelling Errors in Arabic and Non-Arabic Contexts.
KR101136409B1 (ko) 제 1 언어의 문장이 제 2 언어의 문장의 어순을 동시에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10083268A (ko)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방법
Cruz-Ferreira First language acquisition and teaching
Schönström et al. Elicited imitation tasks (EITs) as a tool for measuring sign language proficiency in L1 and L2 signers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Souzandehfar How to improve pronunciation? An in-depth contrastive investigation of sound-spelling systems in English and Persian
McDonald Grammar West to East: The Investigation of Linguistic Meaning in European and Chinese Traditions
Stavans Is American Spanish Healthy?
KR20130005496A (ko) 외국어 학습 제어 방법
Lukankina et al. Russian language as non-mother tongue in polyethnic region of Russia
KR102523075B1 (ko) 영어 문장 구조를 시각화한 교재
KR20190109906A (ko) 카테고리 셀로 구성된 영어 문장구조 맵과 이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Quist Resisting monolingualism in the creative writing classroom: adapting Yoko Tawada’s ‘surface translation’and ‘microscopic readings’ of script
Kovacs et al. Foreign manga reader: learn grammar and pronunciation while reading comics
Gil et al. What Do We (Not) Know about Language?
McDonald Grammar West to East
Matsunaga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New Perspectives on the Japanese Writing System and Reading Japanese as L1 and L2
BOGÁR SLAVIC L1 VS. FINNO-UGRIC L2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