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929B1 - In-line pump - Google Patents

In-line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929B1
KR101134929B1 KR1020100008190A KR20100008190A KR101134929B1 KR 101134929 B1 KR101134929 B1 KR 101134929B1 KR 1020100008190 A KR1020100008190 A KR 1020100008190A KR 20100008190 A KR20100008190 A KR 20100008190A KR 101134929 B1 KR101134929 B1 KR 10113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valve
housing
bypass valv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617A (en
Inventor
오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알앤디
Priority to KR102010000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929B1/en
Publication of KR2011008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005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 F04D15/0011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by using valves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5/02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 F04D15/0209Stopping of pumps, or operating valves, on occurrence of unwanted conditio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3/00Axial-flow pumps
    • F04D3/005Axial-flow pumps with a conventional single stag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모터 펌프에 관한 것으로 모토 펌프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체의 압력만으로 유체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 펌프의 가압에 의해서도 유체를 공급하는 모터 펌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모터 펌프는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내부에 모터와 펌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페되는 직류밸브부 및 직류토출관을 포함하는 직류토출부; 및 상기 직류토출부와 일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직류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다른 일측에서 연결되는 배관으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sible motor pump, and to a motor pump structure for supplying a fluid not only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but also by pressurization of the motor pump even when the moto pump is not driven. Submersible motor pump according to the example includes a suction unit for the fluid flow from the connected pipe; A housing having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is transferred and a motor and a pump therein; A direct current discharge part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pump, the direct current discharge part including a direct current valve part and a direct current discharge pipe opened by a pressure of a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DC discharge unit at one side and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C discharge unit to a pipe connected at the other side.

Description

인라인 펌프{In-line pump}In-line pump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서 유체를 이송하는 인라인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을 하지 않으면서도 유체를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을 하여 유체를 이송함에 있어 가압 배관과 비가압 배관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배관에 의해 가능하도록 하는 인라인 펌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pump for transporting a fluid in a pipe, and in particular, the fluid can be transported without being pressurized, and the pressurized pipe and the non-pressurized pipe are not provided separately in the fluid transfer by pressurization. It relates to an inline pump to be possible by the piping of.

통상 지하수는 지상에서부터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지하수맥이 있는 지하 암반까지 굴착한 다음, 지표부의 함몰 예방을 위한 외부 케이싱과 지표 오염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케이싱을 심정 내부에 삽입하고, 그 내부에 심정용 수중 모터 펌프를 설치하여 지하수를 끌어올리도록 하고 있다. 즉, 양수파이프와 함께 설치된 수중 모터 펌프가 기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심정 내의 지하수를 외부로 양수하고 이를 물탱크에 받아 필요한 위치로 재 송수함으로써, 우리가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groundwater is excavated from the ground to the underground rock with underground veins using excavation equipment, and then inserts an outer casing for preventing the sinking of the surface and a casing for blocking the inflow of surface contaminated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heart well, A submersible water motor pump is installed to raise groundwater. In other words, the submersible motor pump installed with the pumping pipe repeatedly starts and stops, pumping the groundwater in the heart to the outside and receiving it in the water tank and resending it to the required position, so that we can use the groundwater.

이때, 수중 모터 펌프는 펌프와 모터가 베이스 위에 수평형으로 배치되는 일반 펌프 및 모터와는 달리, 수중 펌프가 이 수중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중 모터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동축을 연결 커플링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두 몸체 즉, 수중 펌프와 수중 모터가 고정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submersible motor pump is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submersible motor for driving the submersible pump, unlike the general pump and the motor in which the pump and the motor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base.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each drive shaft by the coupling coupling, and the two bodies, that is, the submersible pump and the submersible motor,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fixing bolt and the nut.

심정용 수중 모터 펌프는 지하에 깊게 굴착 시공된 심정 내에 위치하도록 여러 개의 양수파이프가 다단 연결 구조로 설치되고, 이러한 양수 파이프의 상단에는 심정 상부로 노출되는 엘보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엘보우관과 연결되는 공급관에는 수압게이지와 체크밸브 및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Submersible deep water motor pump has a plurality of pump pipes are installed in a multi-stage connection structure to be located in the deep well excavated underground, elbow pipe exposed to the top of the heart pipe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ump. The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elbow pipe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gauge, a check valve and an on-off valve.

또한, 양수 파이프의 하단에는 수중 펌프가 장착되고, 그 내부에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물을 끌어올리는 임펠러(impeller)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임펠러는 수중 모터로부터의 회전축에 의해 고정되어 수중 모터 및 회전축의 작용에 의해 고속 회전된다. 또한, 수중 펌프의 하단에는 흡입구 보호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흡입구 보호대에는 물의 유입을 위한 복수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water pump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ump, and an impeller is installed inside the pump to rotate at a high speed to raise water. At this time, the impeller is fixed by the rotating shaft from the underwater motor and is rotated at high speed by the action of the underwater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In addition, an inlet guard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submersible pump, and the inlet guar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s for inflow of water.

그리고, 흡입구 보호대의 하단에는 수중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And an underwater motor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guard.

이와 같이 구성된 심정용 수중 모터 펌프의 동작을 살펴보면, 심정 내에 심정용 수중 모터 펌프를 위치시킨 후, 상기 수중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수중 모터 내의 회전축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수중 펌프 내의 임펠러를 회전시키게 되어 지하수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때, 수중 모터와 수중 펌프 사이의 흡입구 보호대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구를 통하여 지하수가 수중 모터 펌프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 과정에서 미세공 형태의 흡입구에 의해 직경이 큰 모래의 유입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submersible motor pum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placing the submersible submersible motor pump in the heart, and applying power to the submersible motor, the rotating shaft in the underwater motor rotates and thus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he impeller inside the pump is rotated to raise groundwater. At this time, the groundwater is introduced into the submersible motor pump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formed in the inlet guard between the submersible motor and the submersible pump. In this inflow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large diameter sand to some extent by the suction hole of the micro-pores.

그러나, 이러한 흡입구 및 흡입구 보호대의 작용만으로는 수중 모터 펌프 내로 유입되는 모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However, the action of these inlet and inlet guards alone does not completely block the sand entering the submersible motor pump.

즉, 종래의 수중 모터 펌프에 있어서도 흡입구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모래가 여전히 수중 모터 펌프 내로 유입되어 수중 펌프 내의 임펠러를 마모시키거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That is, even in a conventional submersible motor pump, a large number of sand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inlet still flow into the submersible motor pump, which causes wear of the impeller in the submersible pump or causes a failure.

또한 종래의 심정용 수중 모터 펌프는 흡입구보다 직경이 큰 다수의 모래가 흡입구 상에 흡착되어 흡입구의 개공율을 저하시키고 흡입구 보호대를 찌그러뜨리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의 개공율이 저하되면 지하수가 수중 모터 펌프로 제대로 유입될 수 없어서 전체 수중 모터 펌프 장치의 효율이 떨어지며 흡입구 보호대 역시 모래에 의해 찌그러져 장치의 수명이 단축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ubmersible submersible motor pump, s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suction port is sucked on the suction port, thereby causing problems such as lowering the opening ratio of the suction port and crushing the suction port protector.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ning rate of the inlet is lowered, groundwater cannot be properly introduced into the submersible motor pump,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entire submersible motor pump device, and the inlet guard is also crushed by sand, which shortens the life of the device.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상수도 가압용 수중모터펌프의 경우, 물을 압송할 때 급격한 유량 변동에 의한 이상 압력에 대처하기 위해 토출측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수압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중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대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최초의 짧은 시간동안 이상 압력이 수중모터펌프에 작용하고 난 시점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중모터펌프가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water pressure pressurized submersible motor pump, a pressure gauge is installed on the discharge side in order to cope with the abnormal pressure caused by the rapid flow rate fluctuation when water is pumped, and the water pressure is measured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bmersible motor. Coping was done in a controlled manner.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submersible motor pump is damaged because the abnormal pressure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the submersible pressure acts on the submersible motor pump for the first short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도로 및 건물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관로 중간에 설치하여 유체를 가압하여 이송할 뿐만 아니라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유체를 이송함에 있어 별도의 배관으로 하지 않고 하나의 배관으로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구조의 인라인 펌프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pipes buried in the basement of the road and the building similarly to the conventionally used to pressurize and transfer the fluid as well as to transfer the fluid without using a pum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of an inline pump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at enables a single pipe instead of a separate pipe.

또한 모터와 펌프가 설치되는 가압관에 별도의 바이패스 배관을 추가하여 펌프를 가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유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의 수중 모터 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adding a separate bypass pipe to the pressure pipe in which the motor and the pump is installed to provide an underwater motor pump of a simple structure that the fl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bypass pipe even when the pump is not operated.

또한 흡입배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하여 모터 또는 펌프의 고장을 발생시키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흡입배관의 길이를 짧게 하면서도 상수로관과 연결하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의 인라인 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line pump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including a device for removing a foreign matter causing a failure of a motor or a pump by a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a suction pipe, and a device f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suction pipe and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do.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라인 펌프는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내부에 모터와 펌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직류밸브부 및 직류토출관을 포함하는 직류토출부; 및 상기 직류토출부와 일측에서 연결되며 상기 직류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다른 일측에서 연결되는 배관으로 토출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line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ction portion that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connected pipe; A housing having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is transferred and a motor and a pump therein; A DC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and including a DC valve part and a DC discharge pipe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DC discharge unit at one side and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DC discharge unit to a pipe connected at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흡입부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측의 종단면에서 상기 흡입관에 체결되는 타공판;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며 또한 상기 흡입관에 체결되는 흡입관 체결부; 및 그 중간부가 신축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가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종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직류밸브 유도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직류토출부의 상기 직류밸브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가 삽입되는 유도홈이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직류밸브부의 연접하는 면에 직류밸브완충부가 더 구비되며,In addition, the suction unit is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pipe in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A perforated plate fastened to the suction pipe at a longitudinal section of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A suction pipe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suction pipe; And a variable coupling part whose middle part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t least two direct current valve induction parts are formed on the end of the housing; At least two induction grooves into which the DC valve induction part is inserted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C valve part of the DC discharge part, and a DC valve buffer part is further provided on a surface in which the DC valve part is connected.

상기 직류밸브부 및 상기 직류밸브완충부의 중앙에는 직류밸브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직류밸브 나사홈에 직류밸브 결합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직류밸브부 상부외측면에는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가 결합되는 제2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토출관의 일측 종단부에는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가 결합되는 제1거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직류토출관의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대항하는 종단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토출관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C valve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C valve portion and the DC valve buffer, DC valve coupling portion is screwed to the DC valve screw groov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DC valve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with a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is coupled; Discharge tube screw groove which is screwed to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end portion of the direct current discharge pipe that is oppos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하우징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상기 토출관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토출관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및 바이패스 흡입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흡입부 및 상기 토출관 흡입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토출구 및 바이패스 토출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토출부가 형성되는 바이패스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내부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내주면을 따라 중심축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연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에 연접하여 구비되는 제1바이패스 제어가압부;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따라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일측을 통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1바이패스 제어핸들; 및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바이패스 연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 및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의 중심에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다른 일측의 종단면에 형성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및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지지되는 바이패스 밸브 압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는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를 통공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도록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여 연장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2바이패스 제어핸들과 상기 하우징 토출구와 상기 바이패스 흡입부 사이 제1제수밸브가 더 포함되며, 상기 토출관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토출부 사이에는 제2제수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discharge por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A discharge pipe suction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ipe; A bypass housing including a bypass suction unit coupled to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a bypass discharge unit including a bypass discharge tube coupled to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and a bypass discharge unit including a bypass discharge tube coupled to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And a bypass valv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bypass housing to a central axis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ypass valve mounted to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bypass valve buffer par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bypass valve and mounted on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 buffer unit; A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first bypass control pressure unit and extend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bypass housing along a central axis of the bypass housing; A first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to rotate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And a first bypass connection guide part through which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passes, wherein a through part is formed at a center of the bypass valve and the bypass valve buffer part, and is fitted into the through part to be coupled to the bypass part. A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art formed 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part insert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ar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ypass valv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and through the bypass housing at the same tim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bypass housing. A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for rotating the second bypass connection part and a first dividing valve between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the bypass suction part, wherein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and the bypass discharge part ar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par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lution valve.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모터 펌프는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내부에 모터와 펌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를 연결되는 배관으로 토출하는 토출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하우징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상기 토출관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토출관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및 바이패스 흡입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흡입부 및 상기 토출관 흡입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토출구 및 바이패스 토출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토출부가 형성되는 바이패스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bmersible motor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ction portion that fluid is introduced from the connected pipe; A housing having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is transferred and a motor and a pump therein; A discharge tube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pump and discharging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a pipe connected thereto; A housing discharge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A discharge pipe suction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pipe; A bypass housing including a bypass suction port coupled to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a bypass suction tube, and a bypass discharge part including a bypass discharge port coupled to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and a bypass discharge tub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내부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내주면을 따라 중심축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연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에 연접하여 구비되는 제1바이패스 제어가압부; 상기 바이패스 제어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따라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일측을 통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1바이패스 제어핸들; 및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바이패스 연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 및 바이패스 완충부의 중심에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다른 일측의 종단면에 형성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및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지지되는 바이패스 밸브 압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는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를 통공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도록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여 연장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1바이패스 제어핸들과 상기 하우징 토출구와 상기 바이패스 흡입부 사이 제1제수밸브가 더 포함되며, 상기 토출관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토출부 사이에는 제2제수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ypass housing is provided with a bypass valve support part protruding to the central axis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bypass valve mounted to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bypass valve buffer par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bypass valve and mounted on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 buffer unit; A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and extend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bypass housing along a central axis of the bypass housing; A first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to rotate the first bypass connection part; And a first bypass connection guide part through which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passes, wherein a through part is formed at a center of the bypass valve and the bypass buffer part, and is fitted into the through part to be coupled to the bypass housing. A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And a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part insert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one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art,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ypass valv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and through the bypass housing at the same tim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bypass housing. A first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ypass control handle for rotating the first bypass connection part and a first dividing valve between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the bypass suction part; Between the part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lution val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구조는 종래의 인라인 펌프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종래 수중 모터 펌프에서 토출관의 유체를 강제로 회수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성을 간단하게 대체하였다.The structure of the inlin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improved to a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line pump, but also simply replaced a separate configuration in order to forcibly recover the fluid of the discharge pipe in the conventional submersible motor pump.

또한 직류밸브 및 바이패스 밸브의 기능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에 따라 설치되는 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 생산 가능하므로 펌프 용량 설계 및 펌프 시공 시 사양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C valve and bypass valve function can be properly combined, it can be assembled and produc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use,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specifications when designing the pump capacity and installing the pump. .

종래 기술에 따른 수중 모터 펌프의 구조도이다.It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ubmersible motor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전체 구성도이다.It is the whole block diagram of the inline pump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인라인 펌프의 흡입부의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of the suction part of an inline pump in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바이패스부의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of the bypass part of the inline pump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직류밸브부의 구성도이다.It is a block diagram of the DC valve part of the inline pump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라인 펌프는 직류밸브를 포함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Inline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cluding a direct current valve. Additionally relates to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bypass val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구조 및 동작을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nlin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의 전체 구성도이다.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lin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펌프는 모터와 펌프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220)과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부(210),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부(250), 상기 토출부(도면부호 미포함) 전단에 설치되는 직류 밸브부(230) 및 상기 하우징(220)의 일단과 상기 토출부(250) 일단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밸브부(240)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Inlin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220 in which the motor and the pump is built and the suction portion 210 is the fluid is sucked, the discharge portion 250 is discharged the suction fluid, the discharge portion (not shown) shear A main valve includes a direct current valve unit 230 installed in the bypass valve unit and a bypass valve unit 24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using 220 and one end of the discharge unit 250.

다만, 상기 바이패스 밸브부(24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However, the bypass valve unit 24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as necessary.

먼저 상기 흡입부(210)는 외부의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배관(도면부호 미포함), 상기 유입된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타공판(도면부호 미포함) 및 흡입관(도면부호 미포함) 상기 흡입관(도면부호 미포함)과 상기 모터와 펌프가 내장되어 있는 하우징(220)을 결합하는 가변 결합부(도면부호 미포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suction unit 210 is a suction pipe (not shown) for the fluid flow from the external pipe, a perforated plate (not shown)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of the introduced fluid and the suction pipe (not shown) the suction pipe (drawing And a variable coupling part (not shown) for coupling the housing 220 in which the motor and the pump are installed.

상기 가변 결합부(도면부호 미포함)는 그 재질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있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고정된 길이의 배관으로 연결함에 따라 상기 배관이 짧거나 긴 경우, 설치가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결 가능해진다.The variable coupling portion (not show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allow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installation when the pipe is short or long as it is connected by a pipe of fixed length in the past.

이를 도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흡입관(330)을 외부배관에 연결한 후 하우징(미도시)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이거나 또는 짧은 경우 종래에는 상기 하우징(미도시)을 재배치하여 상기 흡입관(330)과 하우징(미도시)에 연결된 배관에 일치되도록 조정하여야 하나,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미도시)은 하중이 매우 큰 것으로 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작업으로 시공상의 많은 곤란과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If the distance to the housing (not shown) is too long or short after connecting the suction pipe 330 to the external pipe, conventionally, the housing (not shown) is re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330 and the housing (not shown). The housing (not shown) should be adjusted to match the pipe, but the housing (not shown) has a very large load, and it is not easy to finely adjust it, which causes a lot of difficulties in construction and waste of time and cos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변 결합부(310)의 재질을 수축가능한 재질로 하였으므로 가변 결합부(310)를 수축하거나 팽창하여 흡입관(330)과 하우징(미도시)까지의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한번 설치된 하우징(미도시)을 흡입관(330)을 연결하기 위해 재배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variable coupling part 310 is made of a shrinkable material, the variable coupling part 310 may be contracted or expanded to be connected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ipe 330 and the housing (not shown). Do. Accordingly, the housing (not shown) once installed does not need to be rearranged to connect the suction pipe 330.

한편 상기 타공판(320)은 흡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plate 320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ipe.

종래기술에 따른 수중 모터 펌프에서는 거름망 형성의 스트레이너가 사용되었으나 이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흡입되는 유체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미도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이물질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가 파손되어 이물질이 모터와 펌프에 유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In the submersible motor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trainer of the strainer is used, but when foreign matter accumulates, it acts not only as a resistance to the fluid to be sucked but also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not shown), and is caus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cting on the foreign matter. The strainer may be damaged and foreign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motor and the pump, causing a failur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320)은 거름망 형상의 스트레인너와는 다르게 타공구(321)가 흡입관(33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타공판(320)에 누적되는 경우 흡입되는 유체가 타공판(320)에 부딪히면서 생성되는 와류에 의해 타공구로(321)부터 제거되어 이물질이 타공구(321)를 막아 유체의 이동에서 저항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데 된다. However, the punching plat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strainer of the strainer shape, the punching tool 321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ipe 330, so that when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s on the punching plate 320, the fluid sucked into the punching plate 3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the resistance of the movement of the fluid by blocking the other tool 321 is removed from the other tool by the vortex generated while hitting the.

이에 따라 이물질이 타공판(320)에 누적되는 양이 종래 스트레이너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타공판(320)의 파손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결과적으로 모터와 펌프의 고장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perforated plate 320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ainer,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perforated plate 320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failure of the motor and the pump can b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lowered.

하우징(미도시)에는 그 내부에 모터와 펌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통상의 수중모터 펌프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housing (not shown) includes a motor and a pump therein, which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ubmersible motor pump,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중 모터 펌프에서 펌프의 가압없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관을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수중 모터 펌프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의 직류밸브부에 의해 달성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derwater motor pump of an improved structure for removing a straight pipe used for conveying fluid without pressurization of the pump in the underwater motor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DC valve part. .

이하에서는 상기 직류밸브부에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C valve unit will be described.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밸브부의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rect current val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직류밸브부(500)는 펌프의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와 외부의 배관에 연결되는 토출관(도면부호 미포함)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종래 가압라인과 직관라인의 구성되는 수중 모터 펌프를 하나의 라인만으로도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DC valve unit 500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not shown) of the pump and the discharge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external pipe as a conventional underwater motor pump composed of a pressure line and a straight line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only by the line.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종단부(도면부호 미포함), 즉 펌프의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에 적어도 두 개의 직류밸브 유도부(561, 56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직류밸브(5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561, 56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561, 562)에 삽입되는 유도홈(도면부호 미포함)이 형성되어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561, 562)가 상기 유도홈(도면부호 미포함)에 끼워진다.Specifically, at least two DC valve induction parts 561 and 562 are protruded from an end portion (not shown) of the housing, that is, a discharge port (not shown) of the pump, and the direct current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C valve 520. Induction grooves (not shown) are inserted into the DC valve induction parts 561 and 56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alve induction parts 561 and 562 so that the DC valve induction parts 561 and 562 are the induction grooves. Not included).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펌프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펌프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유체가 상기 직류밸브(520)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직류밸브(520)가 회전력을 받게 되며 반복적인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원위치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데,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561, 562)는 회전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직류밸브(520)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위치로 돌아오는 경우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직류밸브(52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The reason for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fluid flowing out of the pump outlet (not shown) has a rotational pressur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ump, when such a fluid collides with the DC valve 520 the DC valve 520 is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and the repetitiv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he possibility of departure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creases. The DC valve induction units 561 and 562 not only serve to block the rotational force but also the DC valve 520 is opened. When returning to the closed position also serves to guide the DC valve 520 to be in the correct position.

직류밸브(52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펌프의 토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는데, 개방 시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며, 폐쇄 시에는 탄성을 가지는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530)에 의해 달성된다.The direct current valve 520 opens or closes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When the direct current valve 520 is opened, the direct current valve 520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530)는 탄성을 성질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고 그 일단은 직류토출부(도면부호 미포함)의 일단 중 토출관 방향의 종단면에 형성된 제1거치부(540)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 거치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직류밸브 상부에 형성된 제2거치부(550)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 거치된다.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30 is sufficient to have elasticity, and one end of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unit 540 formed at the end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DC discharge unit (not shown) in the discharge tube direction.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5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C valve to a sufficient depth.

한편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530)의 탄성은 펌프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직류밸브(520)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할 정도이어야 하며, 또한 유체의 이송이 중단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상기 직류밸브(520)를 회복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이면 충분하다.Meanwhile, the elasticity of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30 should be such that the DC valve 520 opens the discharge port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hat is not pressurized by the pump, and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transfer of the fluid is stopped. The pressure enough to recover the direct current valve 520 is sufficient.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530)는 상기 제1거치부(540)에 구비된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30 may be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mounting unit 540, and such a configuration is commonly known,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직류밸브(520)의 연접하는 면 하부에는 직류밸브완충부(510)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 (530)에 압력에 의해 상기 직류밸브(520)가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는 경우 상기 직류밸브(520)가 펌프의 토출구 종단면에 직접 충돌되지 않도록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직류밸브(520) 및 직류밸브 완충부(510)는 그 중앙에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직류밸브 결합부(580)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직류밸브 결합부(580)는 상기 제2거치부(5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직류밸브부(500)의 부품이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만 교체가능하게 하였다.In addition, a DC valve buffer 510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surface of the DC valve 520 that is connected to the DC valve 520 to restore the DC valve 520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pressure of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30. In this case, the DC valve 520 functions to cushion the pump so that it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outlet end surface of the pump. On the other hand, the DC valve 520 and the DC valve buffer 510 is a screw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s coupled by the DC valve coupling portion 580, the DC valve coupling portion 580 is the It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50. Accordingly, even if a part of the DC valve part 500 is damaged, only the damaged part can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whole part.

상기 직류밸브부(500)는 상기 펌프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와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하우징(미도시)의 외부에 형성되는 나사홈(도면부호 미포함)과 상기 직류밸브부(500)의 외부의 일측에 상기 나사홈(도면부호 미포함)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과 나사홈(도면부호 미포함)이 나사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DC valve unit 500 should be coupled to the pump discharge port (not shown) and the screw groove (not shown) formed outside the housing (not shown) and the outside of the DC valve unit 500 for this purpose.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through hole and the screw groove (not shown) may be screw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라인 펌프는 직류밸브를 포함하지 않으며, 바이패스 밸브만을 포함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inline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DC valve, and relates to a structure including only a bypass valve.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ypass valve unit will be described.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부(400)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ypass valv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이패스 밸브부(400)는 일체의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케이싱(470)을 포함하고 있다.The bypass valve unit 400 includes a bypass casing 470 having integral components provided therein.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의 일측에는 바이패스 흡입관(463) 및 바이패스 흡입구(461)가 형성되어 하우징(미도시)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토출구(도면부호 미포함)와 상기 바이패스 흡입구(461) 사이 제수 밸브(451, 45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토출관 흡입구(미도시)와 상기 바이패스 토출구(462) 사이에는 제2제수밸브(452)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bypass suction pipe 463 and a bypass suction port 461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bypass casing 470 and are coupled to a housing discharge port (not shown) formed at one side of a housing (not shown). Meanwhile, dividing valves 451 and 452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discharge port (not shown) and the bypass suction port 461, and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not shown) and the bypass discharge port 462. The second dilution valve 452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수 밸브 (451, 452)는 바이패스 밸브부(400)를 수리하는 경우, 바이패스 밸브부(400)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1제수 밸브(451)는 하우징 측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고, 제2제수 밸브(452)는 토출관 측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황하에서는 상기 제1제수 밸브(451) 및 제2제수 밸브(452)는 개방상태로 있게 된다.The dilution valves 451 and 452 are for blocking the fluid flowing into the bypass valve 400 when the bypass valve 400 is repaired, and the first dilution valve 451 is introduced from the housing side. The fluid to be blocked is blocked, and the second dilution valve 452 blocks the fluid flowing from the discharge pipe side. However,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valves 451 and 452 are left open.

상기 바이패스 흡입관(463)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의 내부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바이패스 토출관(464)을 통하여 토출관으로 토출되게 된다.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bypass suction pipe 463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through the bypass discharge pipe 464 through the through hole inside the bypass casing 470.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 내부에는 그 내주면 일측에 원주면을 따라 전체 혹은 일부에 바이패스 지지부(412)가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 지지부(412)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이패스 밸브(4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bypass casing 470, a bypass support part 412 is formed in whole or in part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bypass support 412 is for supporting the bypass valve 41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바이패스 지지부(412)의 토출관 방향의 일측면에는 바이패스 밸브(410)가 거치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와 상기 바이패스 지지부(412)의 사이에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4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ypass valve 41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ypass support 412 in the discharge tube direction. In addition, a bypass valve buffer 411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ypass valve 410 and the bypass support 412.

또한 바이패스 밸브(410)의 바이패스 흡입관 방향의 일측면에는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4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425)에는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의 일측에 구비된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23)에 삽입 결합된다.In addition, a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425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ypass valve 410 in the bypass suction pipe direction, and a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unit 421 is provided at the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425. ) Is combined.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2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art 42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ypass casing 470.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는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23)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을 통공하여 연장되며 상기 통공하여 연장된 일부에 제1바이패스 제어 핸들(4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21 extends through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art 423 and the bypass casing 470, and has a first bypass control handle at a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hole. 422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우징 토출구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는 상기 유체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는 상기 토출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도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는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23)에 의해 안내되므로 결국 바이패스 밸브(410)는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bypass valve 41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bypass valve 410 receives the pressure from the flui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from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thus the bypass valve 410 ) Moves in the discharge tub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21 is also moved, but since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21 is guided by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423, the bypass valve 410 is the cent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한편 상기 하우징 토출구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없는 경우, 토출관에 잔존하는 유체가 상기 바이패스 밸브부(400)로 역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역류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는 흡입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가 상기 바이패스 지지부(412)까지 이동되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fluid flowing from the housing discharge port, the fluid remaining in the discharge pipe flows back to the bypass valve unit 400, wherein the bypass valve 410 is a suction pipe by the pressure of the flow back flow Direction, and when the bypass valve 410 is moved to the bypass support 412 to block the flow of the fluid.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411)는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밸브(410)가 차단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바이패스 지지부(412)와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ypass valve buffer 41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prevent direct collision with the bypass support 412 when the bypass valve 410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ypass valve 410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바이패스 밸브(410)는 오로지 유체에 압력에 의해 이동되게 되므로 역류 시 일부 유체가 하우징(미도시) 측으로 역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역류된 유체는 상기 하우징(미도시) 내부에서 폐수로서 모터 및 펌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흡입관으로부터 유체의 유입이 중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바이패스 밸브(410)를 차단되는 위치로 회복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였다.Meanwhile,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ypass valve 410 is moved only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so that some fluid may be flowed back to the housing (not shown) during the back flow, and the fluid thus flowed back is the housing (not shown). Internally, the waste water adversely affects the motor and the pump. In order to improve thi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returning the bypass valve 410 to a position where the inflow of fluid from the suction pipe is stopped is added.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에 탄성력을 개방되는 방향와 반대로 작용하는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에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 및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411)의 중심 형성된 통공부(도면부호 미포함)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의 토출관 측 일측의 종단면에 형성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33)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와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33)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에 의해 지지되는 바이패스 밸브 압력제어부(440)를 더 포함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bypass valve 410 is achieved by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unit 440 which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pen the elastic force, the center of the bypass valve 410 and the bypass valve buffer 411 is formed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32 is fitted into the through portion (not shown) and coupled to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433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one side of the discharge casing side of the bypass casing 470. ) Is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32 and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433,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bypass valve 410. Being further includes a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unit 440.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는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433)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싱(470)을 통공하여 연장되며 상기 통공하여 연장된 일부에 제2바이패스 제어 핸들(4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32 extends through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433 and the bypass casing 470, and a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H2) is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passing through. 431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부(400)의 동작을 하기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ypass valve unit 40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어 수축 시 수축되는 위치만큼 복원력을 가지게 되는데, 유체의 압력과 복원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그 위치에서 바이패스 밸브(410)는 정지 개방상태로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bypass valve 410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ler 440 is contrac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At this time,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ler 44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There is a restoring force as much as the contracted position when the contraction, the pressure and restoring force of the fluid is in equilibrium, so the bypass valve 410 is in a stop open state at that position.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의 유입이 중단되는 경우, 유체의 압력과 복원력의 평형은 깨지게 되며 유체의 유입이 없으므로 복원력만이 작용하게 되며, 복원력에 의해 바이패스 밸브(410)는 폐쇄상태에 있게 된다.When the inflow of the fluid is stopped in this state, the equilibrium of the pressur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fluid is broken and there is no inflow of the fluid, so only the restoring force acts, and the bypass valve 410 is in the closed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 복원력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핸들(422)에 의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 핸들(422)을 일측으로 회전하거나 미는 경우,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 핸들(422)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 및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에 연결된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425)를 이동하게 되며, 이는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를 이동시키게 하는데, 상기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가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와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21)의 연결점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440)의 초기 수축/신장 상태가 달라지게 함에 의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의 이동이 시작되는 임계값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restoring force can be adjusted as needed and this is achieved by the first bypass control handle 422. In detail, when the first bypass control handle 422 is rotated or pushed to one side,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21 and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bypass control handle 422 ( The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425 connected to the 421 is moved, which causes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unit 421 to move, and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ler 440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bypass.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valve connecting portion 421,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unit 440 and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21 is moved. Accordingly, the initial contraction / extension state of the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ler 440 is changed so that the threshold value at which the bypass valve 410 starts to move is chang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다른 한편으로 유체를 토출관으로부터 하우징 측으로 강제로 역류할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토출관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설정치로 맞추기 위해서는 토출관의 유체를 회수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fluid is forced to flow back from the discharge tube to the housing side.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in the discharge tub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fluid in the discharge tube must be recovered.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즉, 유체를 강제로 역류하기 위해서 바이패스 밸브(410)를 강제로 개방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such that the bypass valve 410 is forcibly positioned in order to force the fluid to flow back.

이러한 동작은 제2바이패스 제어핸들(431) 및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에 의해 달성된다. This operation is accomplished by the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431 and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432.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이패스 밸브(410)를 강제로 개방해야 하는 경우, 제2바이패스 제어핸들(431)을 이동시키면 상기 제2바이패스 제어핸들에 연결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가 대응하여 이동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가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에 관통되어 결합되어 있기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410)는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432)와 같이 이동하게 되어 개방상태로 있게 된다.In detail, when the bypass valve 410 needs to be forcibly opened, moving the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431 may caus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32 connected to the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Is moved correspondingly, and sinc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32 is coupled to the bypass valve 410, the bypass valve 410 is lik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432. It moves and stays op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직류밸브부와 바이패스 밸브부가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직류밸브부와 바이패스 밸브부가 구분되는 것 외에 같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DC valve portion and the bypass valve portion are formed separately,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C valve portion and the bypass valve portion.

구체적으로, 직류밸브부와 바이패스 밸브부에 자동 복원을 위한 구성부와 강제 개방 위한 구성부가 제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직류밸브부와 바이패스 밸브부에 자동 복원을 위한 구성만을 추가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직류밸브부와 바이패스 밸브부에 자동 복원과 강제 개방을 위한 구성을 모두 포함하여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nent for automatic restoration and the component for forced opening may be removed and coupled to the DC valve unit and the bypass valve unit, and the DC valve unit and the bypass valve unit may be combined by adding only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 restoration. Alternatively, the DC valve unit and the bypass valve unit may be combined to include both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 restoration and forced opening.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의 결합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서 유추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for this purpose can be inferred by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210: 흡입부 220: 하우징 230: 직류밸브부
240: 바이패스 밸브부 250: 토출부
300: 흡입부 330: 흡입관 311: 흡입관 체결부 320: 타공판
321: 타공구 322: 타공판 결합홈
400: 바이패스 밸브부 410: 바이패스 밸브 412: 바이패스 지지부
411: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 421: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422: 제1바이패스 제어 핸들 423: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
424: 제2바이패스 밸브 결합부 425: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
431: 제2바이패스 제어 핸들 432: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433: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 가이드부 440: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 451: 제1제수 밸브 452: 제2제수 밸브
461: 바이패스 흡입구 462: 바이패스 토출구
463: 바이패스 흡입관 464: 바이패스 토출관
470: 바이패스 케이싱
510: 직류밸브 완충부 520: 직류밸브
530: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 540: 제1거치부 550: 제2거치부
561: 제1직류밸브 유도부 562: 제2직류밸브 유도부
570: 토출관 결합부 571: 토출관 나사홈 580: 직류밸브 결합부
210: suction part 220: housing 230: DC valve part
240: bypass valve portion 250: discharge portion
300: suction part 330: suction pipe 311: suction pipe fastening portion 320: perforated plate
321: punching tool 322: punching plate coupling groove
400: bypass valve portion 410: bypass valve 412: bypass support portion
411: bypass valve buffer 421: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422: first bypass control handle 423: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424: second bypass valve coupling portion 425: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portion
431: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432: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433: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ortion 440: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unit 451: first dividing valve 452: second dividing valve
461: bypass inlet 462: bypass outlet
463: bypass suction pipe 464: bypass discharge pipe
470: bypass casing
510: DC valve buffer 520: DC valve
530: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540: first mounting portion 550: second mounting portion
561: first direct current valve induction part 562: second direct current valve induction part
570: discharge pipe coupling portion 571: discharge pipe screw groove 580: DC valve coupling portion

Claims (14)

인라인 펌프에 있어서,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과 내부에 모터와 펌프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직류밸브 및 직류토출관을 포함하는 직류밸브부; 및
상기 직류밸브부와 유체가 토출되는 배관을 연결하는 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과 연결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측의 종단면에서 상기 흡입관에 체결되는 타공판;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흡입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관을 지지하는 흡입관 체결부; 및
신축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흡입관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In an inline pump,
A suction part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from a connected pipe;
A housing having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is transferred and a motor and a pump therein;
A direct current valve unit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pump and including a direct current valve and a direct current discharge pipe opened and clos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C valve part and the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The suction unit
A suction pipe connected to a pipe into which the fluid is introduced;
A perforated plate fastened to the suction pipe at a longitudinal section of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A suction pipe fastening part supporting the suction pipe to prevent the suction pi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An inline pump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coupling part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o elastically connect the housing and the suction pi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종단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직류밸브 유도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직류밸브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직류밸브 유도부가 삽입되는 유도홈이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며,
상기 직류밸브의 연접하는 면에는 직류밸브 완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직류밸브 및 상기 직류밸브 완충부의 중앙에는 직류밸브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직류밸브 나사홈에 직류밸브 결합부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직류밸브의 다른 연접하는 면에는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가 결합되는 제2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two direct current valve induction parts protrude from an end of the housing;
At least two induction grooves in which the DC valve induction part is inserted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C valve part.
A direct connection valve of the DC val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C valve buffer,
The DC valve screw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C valve and the DC valve buffer, the DC valve coupling portion is screwed to the DC valve screw groov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DC valve is coupled to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상기 직류밸브부와 결합되는 토출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토출관 결합부 일측 종단부에는 상기 직류밸브 탄성 제어부가 결합되는 제1거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관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직류밸브부와 나사결합되는 토출관 나사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pipe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ip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DC valve portion, and one end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coupling portion at one end thereof is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C valve elastic control unit is coupled;
Inline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screw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coupling portion screwed with the DC val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하우징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관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토출관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토출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흡입구 및 바이패스 흡입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흡입부 및 상기 토출관 흡입구에 결합되는 바이패스 토출구 및 바이패스 토출관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토출부가 형성되는 바이패스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The method of claim 1,
A housing discharge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erpendicular to a central axis of the housing;
A discharge tube suction port is formed at one sid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tube perpendicular to a central axis of the discharge tube;
A bypass housing including a bypass suction unit coupled to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a bypass discharge unit including a bypass discharge tube coupled to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and a bypass discharge unit including a bypass discharge tube coupled to the discharge tube suction port Inline pump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내부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내주면을 따라 중심축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연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 지지부에 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에 연접하여 구비되는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
상기 제1바이패스 제어 가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중심축으로 따라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일측을 통공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1바이패스 제어핸들; 및
상기 제1바이패스 밸브 연결부가 관통되는 제1바이패스 연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The method of claim 5,
An inside of the bypass housing is provided with a bypass valve support part protruding toward a central axis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ypass valve mounted to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bypass valve buffer par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bypass valve and mounted on the bypass valve support part;
A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unit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ypass valve buffer unit;
A first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ypass control pressurizing portion and extended to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bypass housing along a central axis of the bypass housing;
A first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to rotate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art; And
And a first bypass connection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bypass valve connection portion passes.
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 완충부의 중심에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의 다른 일측의 종단면에 형성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 및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삽입되고 일측이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 지지되는 바이패스 밸브 압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According to claim 6,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ypass valve and the bypass valve buffer,
A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art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and coupled to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art formed at a second end of the bypass housing; And
Inser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one side is supported by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on guide portion,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es a bypass valve pressure control unit supported by the bypass valve Inline pump featured.
상기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는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가이드부를 통공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도록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하우징을 통공하여 연장된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 밸브 연결부를 회전 이동시키는 제2바이패스 제어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is further extended to pass through the bypass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guide portion,
And a second bypass control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hrough the bypass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bypass valve connect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토출구와 상기 바이패스 흡입부 사이 제1제수밸브가 더 구비되며,
상기 토출관 흡입구와 상기 바이패스 토출부 사이에는 제2제수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펌프.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dividing valv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discharge port and the bypass suction unit.
And a second dividing valv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suction port and the bypass discharge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8190A 2010-01-29 2010-01-29 In-line pump KR101134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90A KR101134929B1 (en) 2010-01-29 2010-01-29 In-line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190A KR101134929B1 (en) 2010-01-29 2010-01-29 In-line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17A KR20110088617A (en) 2011-08-04
KR101134929B1 true KR101134929B1 (en) 2012-04-18

Family

ID=4492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190A KR101134929B1 (en) 2010-01-29 2010-01-29 In-line p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9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301B1 (en) 2014-10-29 2016-03-29 세한산업기계 주식회사 In-line type pump for pressurizing water pipel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90U (en) * 1992-09-08 1994-04-15 水道機工株式会社 Submersible motor pump sax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90U (en) * 1992-09-08 1994-04-15 水道機工株式会社 Submersible motor pump sax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301B1 (en) 2014-10-29 2016-03-29 세한산업기계 주식회사 In-line type pump for pressurizing water pipe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17A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5253C1 (en) Immersed pump with cleaned in well filter
RU2405891C2 (en) Pump to drain wells by alternating aspitation and repulsion cycles that operates on pneumatic principle
CA3081973C (en) Sandguard for a progressive cavity pump
KR101134929B1 (en) In-line pump
RU60607U1 (en) SUBMERSIBLE PUMP INSTALLATION FOR OIL PRODUCTION AND VALVE ASSEMBLY OF SUBMERSIBLE PUMP INSTALLATION, PREFERRED INSTALLATION OF ELECTRIC DRIVE SCREW PUMP
RU177609U1 (en) VERTICAL PUMP INSTALLATION
AU2010246912B2 (en) A fluid driven pump
CN211898560U (en) Integrated pump well equipment
JP2007009576A (en) Excavated earth and sand exhausting device and shield device
KR200388323Y1 (en) Underwater motor pump apparatus
US3077932A (en) Lift for oil and other fluids
WO2014116137A1 (en) Pump,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 liquid medium
KR20180121945A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WAY REMOVING PIPE TRANSMISSION PIPE
CN108474188B (en) Pipeline gate module
KR200269700Y1 (en) The protective device of an aquatic motor pump for a deep well
CN207194067U (en) A kind of more well pump coordinated type deep-well water systems
CN216554478U (en) Sand-proof check valve for deep well submersible pump
RU160115U1 (en) HYDRAULIC DRUM BELL PUMP PUMP
RU214949U1 (en) Valve for circulating the process fluid between the internal cavity of the tubing string and the annulus
RU2792939C1 (en) Self-cleaning filter for ecpu protection
RU29103U1 (en) INSTALLING A ROD SCREW PUMP WITH SEPARATOR
CN218437145U (en) Water supply and drainage device for deep foundation pit
RU44142U1 (en) SPECIAL VALVE TWO-CHAMBER FOR OPERATION OF WELLS BY INSTALLATIONS OF ELECTRIC CENTRIFUGAL PUMPS
KR100722508B1 (en) Prevent structure to water-hammer that includes underwater pump
KR20240018137A (en) Two-way by-pass check valve assembly and series double pump underground water pumping system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