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377B1 -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377B1
KR101133377B1 KR1020100099681A KR20100099681A KR101133377B1 KR 101133377 B1 KR101133377 B1 KR 101133377B1 KR 1020100099681 A KR1020100099681 A KR 1020100099681A KR 20100099681 A KR20100099681 A KR 20100099681A KR 101133377 B1 KR101133377 B1 KR 10113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hearing
corruption
terminal
execu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구석
Original Assignee
채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구석 filed Critical 채구석
Priority to KR102010009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비리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제기가 이루어지고 해당 의혹 제기에 대한 집행부의 해명이 동시에 진행되며,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및 해명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비리 발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고발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고발 내용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이 형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영리 단체의 부정부패를 억제시키고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REAL TIME MONITORING AND PROCESSING METHOD OF ALLEGED IRREGULARITIES IN THE NON-PROFIT ORGANIZATION}
본 발명은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비리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제기가 이루어지고 해당 의혹 제기에 대한 집행부의 해명이 동시에 진행되며,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및 해명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비리 발생 여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고발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고발 내용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이 형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영리 단체의 부정부패를 억제시키고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영리 단체(非營利團體, NPO, Non-Profit Organization)는 소유주나 주주를 위해서 자본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 대신에 그 자본으로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는 단체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비영리로 사회공헌활동 또는 자선활동을 하는 시민단체를 가리키며, 흔한 예로 자선단체나 사회복지재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비영리 단체의 자금은 공동의 재산으로서 그 성격을 정관이나 내규에서 정하거나, 회원들의 합의에 따라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단체자금의 관리에는 중립성과 객관성이 엄격하게 보장되어야 하며 비록 소수의 운영회원이나 선임된 대표와 같은 특정인에 의해 관리되지만, 개인의 독단적인 결정이 배제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고 기금의 오용과 불법적인 활용을 방지하고 집행과정의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여러 결재단계를 거치는 이른바 단계식 결재방법에 의존하거나, 집행위원회의 승인을 얻는 것과 같은, 개인 및 일반 회사의 절차와 제도를 기준삼아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자금의 관리에서는 담당자의 청렴성과 공정성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 로, 일반회사나 개인간의 관계에서는 이에 대한 확인과 적절한 환경이 수월하게 달성되지만, 단체의 자금 집행과 활용과정에서는 담당자 개인의 판단과 행위가 더욱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확보된 자금의 집행에서 회원개인의 권익과 충돌하는 경우도 발생되며, 자금관리자가 직권으로 자금을 집행할 때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며, 혹은 자금관리자에게 개인적인 압력이나 청탁이 있는 경우까지, 단체자금의 운영과정에는 수시로 문제점이 일어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또한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여러 사람의 동의를 얻거나 복잡한 확인과정을 거치도록 제도적 장치를 두는 경우에는 복잡성과 시간적 지리적 한계 때문에 자금집행 담당자는 시간과 비용을 소비하여야 하는 폐단을 감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단체자금 활용은 극히 제한적으로 집행되거나, 필요한 시기를 놓치거나, 집행담당자의 개인자금으로 선 처리된 후 사후에 필요한 승인을 얻는 등, 문제점과 편법이 잠재되어 있다. 단체의 자금은 원칙적으로 회원들 공동의 것이고, 비록 각 개별소유권은 없지만 회원 각자마다 자신의 참여권을 주장할 수 있다는 속성 때문에, 단체의 자금관리에는 현실적으로 객관성?효율성?공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이러한 것이 요인이 되어 자금 관리자가 가지는 소극적 자세와 개인의 실수가 단체의 활동과 모든 회원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현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비리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제기가 이루어지고 해당 의혹 제기에 대한 집행부의 해명이 동시에 진행되며,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및 해명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비리 발생 여부를 가르도록 함으로써 내부 고발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고발 내용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이 형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영리 단체의 부정부패를 억제시키고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a)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비리 투고 게시판에 등록되는 비리 투고 게시물을 접수하고, 관련 집행위원 단말기에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통보하는 단계; (b) 상기 집행위원 단말기로부터 해당 비리 투고 게시물에 대한 의혹 해명 게시글을 접수하여 게시하고,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하여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의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통해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들에게 청문회 개최를 예비공고하고,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하여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이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청문회 개최가 취소되었음을 공지하고 해당 집행부에 대한 운영경고를 집행부 DB에 기록하며, 회원들이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는 경우 청문회 개최를 결정하여 공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및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는 회원들의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유효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회원 등록시 선택된 전문분야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함께 등록되는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자가 속한 전문분야를 비교해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여 비리 의혹 게시물의 접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의혹 해명 게시글에 대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의 온라인 투표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명될 경우, 비리의혹이 해소되었음을 공지하고, 집행부 DB 에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상기 (c) 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c) 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회원의 의혹 해명글을 접수받아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질의자 신청을 접수받고,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질의권한 위임 비율을 검증하여 질의자를 선정하여 질의자 선정을 통보하는 단계; 및 (f) 청문회시 질의할 질의 내용 및 청문회 진행에 필요한 집행부측에 대한 문서 요구서를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접수하여 관련 집행위원의 단말기로 전달하며,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요구된 문서를 집행위원의 단말기로부터 접수받아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에서, 청문회 진행의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회원 단말기로부터 회원 및 해당 회원이 위임받은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를 수신하고, 주식 증권번호 및 이에 따른 증권정보가 저장된 주식 DB를 통해 질의자 신청자의 위임비율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질의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d) 단계를 통하여 공고된 청문회 개최일이 도래하면, 각 회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청문회 진행을 볼 수 있는 방송 접속 정보를 공지하는 단계; 및 (h)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청문회를 통한 재단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고,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이 비리 인정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행부 제재를 위한 후속 조치를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비리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비리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제기가 이루어지고 해당 의혹 제기에 대한 집행부의 해명이 동시에 진행되며,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및 해명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회원들의 의견을 모아 비리 발생 여부를 가르도록 함으로써 내부 고발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고발 내용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이 형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비영리 단체의 부정부패를 억제시키고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비리 의혹의 해소 및 징벌 과정이 회원들에게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공개되고 회원들의 직접적인 참여에 의해 진행결과가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비리 의혹의 규명이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빠르고 신속하게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체 운영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영리 단체의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명글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연가족의 가족 구성원 등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연가족 등록 게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새가족 등록 게시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원 단말기(100), 상기 비영리 단체의 집행부 소속 집행위원들에 의하여 작동되는 집행위원 단말기(200), 상기 회원 단말기(100) 및 집행위원 단말기(200)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해당 비영리 단체의 운영에 관한 비리 의혹 발생시 이해 당사자인 상기 회원 단말기(100) 및 집행위원 단말기(200)를 통한 의견 개진을 중재하여 의혹의 해소 또는 청문회 개최를 진행하게 되는 단체 운영서버(300) 및 비리 의혹에 대한 상기 청문회 개최시 상기 회원 단말기(100) 및 집행위원 단말기(200)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청문회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버(4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원 단말기(100), 집행위원 단말기(200), 단체 운영서버(300) 및 방송 서버(400)는 정보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비영리 단체는 소유주나 주주를 위해서 자본의 이익를 추구하지 않는 대신에 그 자본으로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는 단체를 말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경제적?환경적 이유 때문에 사회와 사람들로부터 소외당한 사람들을 위한 복지 재단의 운영과 관련하여 그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비영리 단체는 일반인을 준회원과 정회원으로 받아들여 각기 권리와 의무를 주게 되며, 각 회원들은 해당 비영리 단체의 운영 경비 일부를 월정액의 회비로 납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영리 단체는 해당 단체의 수익사업의 이익금과 회원들의 납입 회비만으로 정부나 외부의 도움 없이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해당 비영리 단체는 재단에 등재된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 가장을 대상으로 국가와 인종, 호적에 관계없이 의부모, 의형제의 가족결연을 맺어 독거노인과 청소년들에게 물질적인 도움 뿐만이 아닌 정신적으로 위로가 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재단 화폐를 발행하여 발행 액수만큼 예치하고 이러한 독거노인과 청소년들에게 재단에서 정해진 룰대로 갚을 의무 없는 재단 화폐를 대출하게 된다. 그 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수익 사업은 장애자나 노숙자 등에게 걸맞는 교육을 이수하게 하고 해당 단체에서 수익사업 부서로 채용되어 근무할 수 있으며 수익사업장에서 근무경력이 쌓여 외부의 기업이 고용의뢰를 해 올 경우 기업의 동정이나 구걸에 의해 고용되는 현실을 탈피해 의뢰 기업의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되지 않는 사람은 능력이 쌓일 때까지 취업을 나갈 수 없도록 제한하게 된다. 비영리 단체의 참여자는 모두가 단체의 회원이 되어야 하며, 전체 투자금액을 주식으로 발행하고 한 주 이상 매입할 수 있으며, 비영리 단체의 회원은 집행부에서 공개하는 회계 장부와 사업의 진행사항 등을 열람하여 올바르게 운영 및 집행이 되고 있는지 회원 자신이 감시하는 감시자가 되어 비영리 단체가 건전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비영리 단체의 운영에 비리가 발생되면 청문회 등 감사를 통해 집행부의 무능력과 비리 등을 밝혀지면 주총을 요구하여 집행부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집행부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단체운영 및 자금집행 등의 중요 사항을 결정하고 처리하는 의결기구로서, 의결권을 갖는 다수의 집행위원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은 직접적으로 해당 비영리 단체의 단체운영 및 자금집행의 의결에 참여하지는 않으며, 상기 집행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집행위원들의 의결에 의해 대부분의 단체운영 및 자금집행이 심사되고 집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비영리 단체의 회원은 해당 비영리 단체에서 발행하는 주식을 일정 주 이상 매입하여 비영리 단체의 운영 비용을 모금하는 주체로서, 비영리 단체의 단체운영 및 자금집행 등의 중요 사항에 대한 직접적인 의결권을 행사하지는 않는다. 또한 비영리 단체의 주식 매입의 수에 따라 각 회원은 정회원과 준회원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주식 매입 이외에도 월정액의 회비 납입 등의 방식을 통해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비영리 단체의 집행부는 해당 비영리 단체를 운영하기 위한 소액주주를 모집하기 위하여 단체 운영서버(300)의 공지 등을 통해 모집공고를 할 수 있으며, 소정 이상의 주식(예컨데, 10 주 이상)을 매입한 회원을 정회원으로 승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정회원으로 승격되면 정회원으로서의 의무 및 권리사항을 숙지하게 되며, 정회원은 주주총회의 개최를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주총회의 개최는 전체 비영리 단체의 주식 중 소정 비율 이상(예컨데, 20% 이상)의 찬성이 있는 경우 개최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의 공지 등을 통해 주주총회의 개최일시 및 장소를 공고하게 된다. 주주총회에서는 주주총회 발의자를 포함한 각 소액주주의 주장 사항이 미리 단체 운영서버(300)의 공지 등을 통해 게재될 수 있다. 그리고 소액주주라 하더라도 전체 비영리 단체의 주식 중 소정 비율 이상(예컨데, 3% 이상)의 권리위임을 받은 회원은 주주총회의 참석이 가능하며, 이러한 권리위임을 받은 소액주주는 주주총회의 의결에 따라 사외이사 등의 직책을 임명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회원 및 집행위원이 매입한 비영리 단체의 주식에는 별도의 증권번호가 부여되게 되며, 이러한 증권번호는 차후 각종 결정사항에 대한 개인 의사표시시 해당 개인의 투표 참여 권리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주식의 증권번호는 숫자, 문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영리 단체는 운영과 관련하여 다수의 분야로 나누어지게 되며, 각각의 회원은 자신의 개인적인 전문식견이나 전문지식에 따라 이들 분야 중 하나 이상의 분야에 대한 전문회원으로 활동하게 된다.
즉, 비영리 단체는 홍보, 재무, 운영사무, 인사, 행정기획, 복지사업, 후원, 자재 등의 세부분야를 통해 운영되게 되며, 각각의 개인 회원들은 자신들의 개인적인 전문식견이나 전문지식에 따라 이들 분야 중 하나에 소속되어 해당 분야의 활동에 조언을 하거나 감사를 하고, 분기별 운영 자료를 공유하거나 결산을 지원하게 함으로써 비영리 단체의 운영이 보다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고 또한 비록 실제 운영에 관여하지는 않는 회원이기는 하지만 각 분야 전문가로서 구성되는 전문회원의 전문적인 조언 및 도움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영리 단체는 외부 기업 등을 통해 단체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모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기업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업홍보 컨텐츠를 회원들에게 제공하게 되며, 회원들의 자발적인 기업홍보 컨텐츠의 이용에 의해 기업으로부터 홍보비를 받아 자금을 모으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업홍보 컨텐츠라 함은 해당 기업에서 자사의 광고나 홍보를 위하여 제작하는 컨텐츠로서,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업홍보 컨텐츠에 대하여 회원들은 단체 운영서버(300)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통해 열람이나 다운로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업홍보 컨텐츠의 회원 이용에 따라 기업에서는 소정의 기업홍보비를 지불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업홍보비는 컨테츠를 제공한 비영리 단체와 컨텐츠를 이용한 회원이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회원은 자신이 분배받는 기업홍보비를 다시 후원금이나 회비 등의 형태로 비영리 단체에 기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업홍보의 일 예로, 기업은 자사를 홍보할 수 있는 퀴즈 형태의 기업홍보 컨텐츠를 단체 운영서버(300)로 전송하고, 단체 운영서버(300)는 해당 퀴즈 형태의 기업홍보 컨텐츠를 웹사이트에 게시하여 회원들이 이용가능하게 하며, 회원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웹사이트에 접근해 상기 기업홍보 컨텐츠 상의 퀴즈를 풀도록 함으로써 기업은 자사의 홍보를 할 수 있고, 비영리 단체는 운영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인 회원들은 분담금을 통해 후원금을 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체 운영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기본적으로 비영리 단체의 대외 홍보 및 단체 내 공지를 위해 운영되는 웹서버로서 동작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해 인증된 회원만이 열람 및 참여할 수 있는 별도의 게시판을 함께 운영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회원 단말기(100)를 통해 접속한 비영리 단체의 회원이 해당 비영리 단체의 단체운영 및 자금집행 등의 중요 사항에서 비리 발생을 감지한 경우 해당 사항에 대한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투고 진행부(320), 상기 투고 진행부(320)의 비리 의혹 게시물 등록에 따라 상기 집행위원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한 비영리 단체의 집행위원이 상기 투고 진행부(320)를 통해 등록된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하여 해명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는 해명 진행부(330), 상기 회원의 비리 의혹 투고에 대한 집행부의 해명에도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경우 청문회 개최 여부를 처리하는 청문회 예비처리부(340), 상기 청문회 예비처리부(340)의 청문회 개최 결정에 따라 해당 청문회의 회원측 질의자를 선정하고 청문회 진행을 위한 예상 질의 및 문서 제출을 요구하는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 해당 청문회의 진행을 지원하고 청문회의 결과에 대한 회원 의사를 처리하는 청문회 진행부(360), 상기 투고 진행부(320), 해명 진행부(330), 청문회 예비처리부(340) 및 청문회 진행부(360)를 통해 진행되는 회원의 의사 결정을 집계하여 처리하는 의사 집계부(370), 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80) 그리고 상기 각 부를 제어하여 회원으로부터 해당 비영리 단체의 비리 발생에 대한 의혹 제기를 공개 처리하고 이에 대한 집행위원의 해명 게시물을 공개 처리하여 전체 회원의 의사를 물어 청문회 개최 여부를 결정하고 청문회 개최시 회원 중 질의자를 선정하여 청문회를 진행해 해당 의혹 제기된 비리 혐의에 대하여 회원 의사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이 자신의 단말기(100)를 이용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비리 투고 게시판을 운영하며, 해당 비리 투고 게시판에 게시물이 등록될 경우 상기 집행위원들에게 비리 투고 게시물의 등재를 통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리 투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영리 단체에 대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은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또는 집행위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시물 등록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하여 타인의 게시물의 열람시 게시물 등록자의 정보가 비공개로 처리될 수 있다. 비리 투고 게시물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회원이 등록하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하여 게시물 등록 자격을 검증하게 된다.
이는 회원들이 무분별하게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회원들의 비리 의혹 제기시 전문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이해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분야 전문회원의 동의를 얻어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시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비리 의혹 분야에 대하여 선택하도록 하며, 게시물 등록과 함께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분야의 적어도 하나의 전문회원으로부터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되는 경우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을 통과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회원 단말기(10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투고 게시판에 등록시킬 때, 비리 의혹이 제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등록시키고,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는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내용을 이미 숙지한 해당 분야 전문회원의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하여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시 선택된 전문분야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함께 등록되는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자가 속한 전문분야가 동일할 경우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검증을 마치고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정식으로 접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 및 이에 대한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의혹동의 게시물은 서로 다른 게시판을 통해 등록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비리 투고 게시판에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전문회원의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자격검증을 용이하게 하고 열람시 게시물의 신뢰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전문회원의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된다 함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서브 게시물로 상기 의혹동의 게시물이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게시물 등록번호 통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비리 투고 게시판에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이 등록되면,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관련 집행부의 집행위원들에게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하여, 차후 기회가 주어지는 해명 게시물의 등록을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이와 함께 각 회원들에게도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차후 비리 의혹에 대한 판단이 회원 각자에게 있기 때문에 각 회원의 비리 의혹에 대한 진행상황 파악을 위해 미리 각 회원들에게도 통지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와 달리 차후 집행부의 해명글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각 회원들에게 진행상황을 통지하는 것도 좋다.
상기 비리 투고 게시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은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명 진행부(330)는 상기 투고 진행부(320)를 통해 진행된 비리 의혹 제기에 따라 해당 비영리 단체의 집행위원들이 자신의 단말기(200)를 이용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의혹 해명 게시판을 운영하며, 해당 해명 게시물에 대하여 전체 비영리 단체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켜 "비리의혹 해소" 또는 "해명 미진"의 결정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의혹 해명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리 의혹에 대한 해명은 해당 비영리 단체의 집행위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리 의혹 해소를 위한 게시물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의혹 해명 게시판에 의혹 해명 게시물이 등록되면, 상기 해명 진행부(330)는 최초 비리 의혹을 제기한 게시물의 등록자를 포함한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에게 의혹 해명 게시물의 게시를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하여, 차후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의혹 해명 게시판의 의혹 해명 게시물 역시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의혹 해명 게시물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투표는 일반 회원과 전문회원으로 나누어 진행됨으로써 해당 분야의 비전문가인 일반 회원의 의견과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회원의 의견을 모두 청취함으로써 해명글에 대한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판단이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즉, 해당 의혹 해명 게시판의 의혹 해명 게시물은 일반 회원과 전문회원을 대상으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 역시 일반 회원과 전문회원을 대상으로 각각 분리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리 의혹이 모두 해소되었으므로 절차를 종료하게 되지만, 양측이 모두 "해명 미진"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청문회 진행의 후속 조치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그리고, 투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해명 미진"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후술하는 청문회 진행의 후속 조치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이 비리가 있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고 해당 분야에 비전문가인 일반회원이 비리가 없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을 경우이며, 이 경우 되도록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의 의견을 따라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투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해명 미진"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로 판단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들의 의견에 따라 해당 전문회원들이 직접 별도의 해명글을 해당 의혹 해명 게시판에 게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문회원들의 해명글은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전문회원의 전문적인 식견에 의해 비리 의혹에 대한 해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청문회 예비처리부(340)는 상기 해명 진행부(330)를 통해 진행된 비리 의혹에 대한 집행부 해명에 대한 온라인 투표를 통해 회원들이 해명 미진이라는 결론을 내릴 경우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들에게 청문회 개최를 예비공고할 수 있는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운영하며, 해당 청문회 예비공고를 알리는 게시물에 대하여 전체 비영리 단체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켜 "청문회 개최결정" 또는 "집행부 운영경고"의 결정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문회 개최의 예비과정은 최초 비리 의혹을 제기한 게시물의 등록자를 포함한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과 집행위원들에게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되며, 차후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청문회 개최 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의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한 게시물 역시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는 상기 청문회 예비처리부(340)에 의해 청문회 개최결정이 난 경우, 청문회 진행시 비리의혹에 대한 질의를 담당할 질의자를 선정하고, 각 질의자들로부터 청문회시 질의할 질의 내용 및 청문회 진행에 필요한 집행부측에 대한 문서 요구서를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100)로부터 접수하여 관련 집행위원의 단말기(200)로 전달하며,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요구된 문서를 집행위원의 단말기(200)로부터 접수받아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질의자는 실제 청문회의 진행시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집행위원들과 대질하여 질의를 진행할 회원측 대표로서,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중에서 선정되게 된다.
이러한 질의자의 선정은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신청서를 수신하는 한편, 해당 질의자가 비영리 단체의 각 주주들로부터 질의 권한을 위임받은 비율이 전체 주식 중 소정 비율 이상인 것을 선정기준으로 하여 선정된다.
즉, 청문회 진행 질의자 신청자는 자신의 주식 증권번호를 포함해 자신이 위임받은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를 함께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해 단체운영 서버(300)에 송신함으로써 자신의 위임비율을 단체운영 서버(300)에 확인시키게 되며, 단체운영 서버(300)의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에서는 주식 증권번호 및 이에 따른 증권정보가 저장된 주식 DB를 통해 질의자 신청자의 위임비율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질의자로 선정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질의자 신청인의 위임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는 각 위임 주주들로부터의 위임장을 이메일을 통해 수신하여 주주 대장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거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입력이나 개인 공인인증서 등을 활용한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주주총회 의결권 전자위임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위임비율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액주주의 회원이라 하더라도 질의자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질의자의 선정시 위임비율과 관계없이, 질의자 신청인 중 선착순으로 질의자를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물론, 이들 질의자 선정 방식들에서 최초 비리 의혹 제기자는 질의자에 자동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의자 선정 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질의자의 질의 내용 및 요구 문서 목록은 청문회에 참석하는 질의자 및 집행위원들에게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예비답변 내용 및 요구 문서 역시 질의자 및 집행위원들에게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문회 진행부(360)는 상기 청문회 예비처리부(340) 및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에 의해 준비된 청문회가 개최되게 되면, 해당 청문회 현장에서 방송 카메라를 통해 생중계 또는 녹화중계되는 화면을 각 회원들이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를 통해 자신의 회원 단말기(100)에서 볼 수 있도록 해당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 서버(400)의 방송 접속 정보를 공지하고, 청문회 진행이 완료되면 해당 청문회 진행을 지켜본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켜 "비리 인정" 또는 "비리의혹 해소"의 결정을 하며, 비리 인정이 되는 경우 감사나 주주총회 등의 차후 절차를 지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청문회의 개최 및 중계에 대한 공지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과 집행위원들에게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도 통보되며, 차후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청문회를 통한 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의사 집계부(370)는 상기 해명 진행부(330)를 통해 진행되는 해명 게시물에 대한 의혹 해소 여부 온라인 투표, 상기 청문회 예비처리부(340)를 통해 진행되는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한 개최 여부 온라인 투표, 상기 청문회 진행부(360)를 통해 진행되는 청문회 결과에 따른 비리 인정 여부 온라인 투표에서 각 회원의 온라인 투표를 지원하여 회원의 의사를 집계하고 소정의 규칙에 따라 투표 결과를 결정하게 된다.
즉, 해명 게시물에 대한 의혹 해소 여부 온라인 투표,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한 개최 여부 온라인 투표, 청문회 결과에 따른 비리 인정 여부 온라인 투표의 결과에 대하여 상기 의사 집계부(370)의 결론 도출은 회원 투표 수에 대하여 모두 일괄적으로 과반을 기준으로 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도 있지만, 사안에 따라 투표에 의한 의결정족수를 정하고 과반 이상 득표(예컨데, 투표 회원의 절반 이상 득표 또는 2/3 이상 득표)시 결론이 도출되는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의사 집계부(370)는 이러한 온라인 투표시 각 회원들이 자신 또는 자신이 위임받은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투표 자격이 있는 회원임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개인의 투표시 해당 투표인이 함께 입력하는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의 입력을 통해 위임받은 타회원의 의사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의사 집계부(370)는 이러한 온라인 투표시 각 회원들이 자신의 고유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해 투표 자격이 있는 회원임을 인증하거나 별도의 공인인증서를 통해 투표 자격이 있는 회원임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80)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정관 및 각종 내규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한 내규 DB, 해당 비영리 단체의 단체운영 내역이나 자금집행 및 결제 내역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한 집행 DB,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DB, 해당 비영리 단체의 집행부 및 집행위원 정보를 관리하는 집행부 DB, 각 회원들이 전문회원으로 소속된 전문분야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회원 DB, 그리고 각 회원들의 매입 주식에 대한 증권번호 및 이에 따른 증권정보를 관리하는 주식 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영리 단체의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비리 투고 게시판에 등록되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등록받게 된다(S6).
여기에서, 상기 비리 투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영리 단체에 대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은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또는 집행위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시물 등록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하여 타인의 게시물의 열람시 게시물 등록자의 정보가 비공개로 처리될 수 있다. 비리 투고 게시물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리 투고 게시물의 등록시 상기 회원 단말기(100)는 비리 의혹 분야에 대하여 선택하게 되며, 해당 게시물 등록과 함께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분야의 적어도 하나의 전문회원의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한 의혹동의 게시물을 등록받게 된다.
이에 따라 단체 운영서버(30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시 선택된 전문분야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함께 등록되는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자가 속한 전문분야를 비교하여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고(S8), 상기 검증이 통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 게시 자격에 부합되는 경우에만 다음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는 회원들이 무분별하게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단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회원들의 비리 의혹 제기시 전문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이해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분야 전문회원의 동의를 얻어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리 의혹을 제기하는 회원 단말기(10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투고 게시판에 등록시킬 때, 비리 의혹이 제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등록시키고,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는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내용을 이미 숙지한 해당 분야 전문회원의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하여 상기 투고 진행부(320)는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등록시 선택된 전문분야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함께 등록되는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자가 속한 전문분야가 동일할 경우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검증을 마치고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을 정식으로 접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 및 이에 대한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의혹동의 게시물은 서로 다른 게시판을 통해 등록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비리 투고 게시판에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전문회원의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자격검증을 용이하게 하고 열람시 게시물의 신뢰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회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이에 대한 전문회원의 의혹동의 게시물이 함께 등록된다 함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서브 게시물로 상기 의혹동의 게시물이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게시물 등록번호 통일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관련 집행부의 집행위원 단말기(200)로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하여, 차후 기회가 주어지는 해명 게시물의 등록을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S12).
상기 제 S12 단계에서 상술한 집행위원 통보와 함께 각 회원들에게도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차후 비리 의혹에 대한 판단이 회원 각자에게 있기 때문에 각 회원의 비리 의혹에 대한 진행상황 파악을 위해 미리 각 회원들에게도 통지하는 것이 좋다. 물론, 이와 달리 차후 집행부의 해명글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각 회원들에게 진행상황을 통지하는 것도 좋다.
상기 비리 투고 게시판의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은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 S12 단계를 통하여 통보가 이루어진 집행위원들의 집행위원 단말기(200)로부터 해당 비리 투고 게시물에 대한 의혹 해명을 위한 의혹 해명 게시글이 의혹 해명 게시판에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 의혹 해명 게시글이 등록된 경우, 해당 의혹 해명 게시글을 접수하고 의혹 해명 게시판에 게시하여 회원 및 집행위원이 열람 가능하게 하며 해당 해명 게시물에 대하여 전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게 된다(S16).
여기에서, 상기 의혹 해명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리 의혹에 대한 해명은 해당 비영리 단체의 집행위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리 의혹 해소를 위한 게시물 등록에 대한 유효성 검증은 게시물 등록자가 입력하는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의혹 해명 게시판에 의혹 해명 게시물이 등록되면, 상기 해명 진행부(330)는 최초 비리 의혹을 제기한 게시물의 등록자를 포함한 비영리 단체의 전체 회원들에게 의혹 해명 게시물의 게시를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하여, 차후 전체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투표("비리의혹 해소" 또는 "해명 미진")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의혹 해명 게시판의 의혹 해명 게시물 역시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6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해명 게시물에 대한 전체 비영리 단체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의 진행은 온라인 투표시 각 회원들이 자신 또는 자신이 위임받은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투표 자격이 있는 회원임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개인의 투표시 해당 투표인이 함께 입력하는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의 입력을 통해 위임받은 타회원의 의사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 S16 단계를 통하여 카운트가 이루어진 집행부의 해명글에 대한 회원 의사를 집계하여 회원들의 의사 중 "해명 미진"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여기에서 상기 제 S18 단계의 판단결과, "비리의혹 해소"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비리의혹이 해소되었음을 공지하고, 집행부 DB 에 결과를 저장한 후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S20).
반면, 상기 제 S18 단계의 판단결과, 해명글에 대하여 "해명 미진"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통해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들에게 청문회 개최를 예비공고하여 회원 및 집행위원이 열람 가능하게 한다(S22).
여기에서 상술한 S16 및 S18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기 보다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으로 나누어 해명 및 해명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집행위원 단말기(200)로부터 등록된 해명글에 대하여 일반회원 및 전문 회원을 대상으로 각각 "해명 미진" 또는 "비리의혹 해소"를 선택할 수 있는 온라인 투표를 별도로 진행시키게 된다(S102).
즉, 상기 의혹 해명 게시물에 대한 회원들의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투표는 일반 회원과 전문회원으로 나누어 진행됨으로써 해당 분야의 비전문가인 일반 회원의 의견과 해당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전문회원의 의견을 모두 청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명글에 대한 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판단이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우선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투표에서 집행부의 해명글에 대한 일반 회원들의 의사를 집계하여 일반 회원들의 의사 중 "해명 미진"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전문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투표에서 집행부의 해명글에 대한 전문회원들의 의사를 집계하여 전문회원들의 의사 중 "해명 미진"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a, S106b).
상기 제 S102 단계, S106a 단계 및 S106b 단계의 판단결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비리의혹이 해소되었음을 공지하고, 집행부 DB 에 결과를 저장한 후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S20).
이와 달리,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해명 미진"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청문회 진행의 후속 조치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또한, 투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해명 미진"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후술하는 청문회 진행의 후속 조치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이는 해당 분야에 대해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이 비리가 있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고 해당 분야에 비전문가인 일반회원이 비리가 없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을 경우이며, 이 경우 되도록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의 의견을 따라가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투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해명 미진"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로 판단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전문회원들의 의견에 따라 해당 전문회원들이 직접 별도의 해명글을 해당 의혹 해명 게시판에 게시하도록 한다(S108). 이러한 전문회원들의 해명글은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전문회원의 전문적인 식견에 의해 비리 의혹에 대한 해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해당 전문회원의 해명글에 대하여는 차후 일반회원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온라인 투표가 이루어져 비리 의혹의 해소 여부를 판단하여, 상술한 비리의혹 해소의 프로세스로 진행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청문회 진행의 후속 조치로 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해당 청문회 예비공고를 알리는 게시물에 대하여 전체 비영리 단체 회원들의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켜 회원 의사를 카운트하게 된다(S24).
이때, 상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문회 개최의 예비과정은 최초 비리 의혹을 제기한 게시물의 등록자를 포함한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과 집행위원들에게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 통보되며,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청문회 개최 여부에 대한 투표("청문회 개최결정" 또는 "집행부 운영경고")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상기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의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한 게시물 역시 아직 비리 결정이 나지 않은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열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 S24 단계를 통하여 카운트가 이루어진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한 회원 의사를 집계하여 회원들의 의사 중 "청문회 개최결정"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여기에서 상기 제 S26 단계의 판단결과, "청문회 개최결정"의 의견이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청문회 개최가 취소되었음을 공지하고 해당 집행부에 대한 운영경고를 집행부 DB에 기록한 후, 결과를 저장하고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S28).
여기에서 상기 "집행부 운영경고"는 집행부의 경미한 실수 또는 비리 의혹에 대한 해명 노력의 미진에 대하여 주어지는 경고로서, 청문회를 개최할 정도의 중대 실수가 아닌 경우 집행부에 주어질 수 있는 경고이다. 이러한 운영경고의 누적은 내규에 따라 차후 집행부 교체 등의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
청문회 예비공고에 대하여 "청문회 개최결정"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 경우, 내규에 따라 청문회 개최일시를 결정하여 공고해 회원 및 집행위원이 열람 가능하게 하고 해당 청문회 진행시 비리의혹에 대하여 청문회장에서 집행위원들에게 질의를 할 질의자의 접수를 시작하게 된다(S30).
여기에서, 상기 질의자는 실제 청문회의 진행시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집행위원들과 대질하여 질의를 진행할 회원측 대표로서,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중에서 선정되게 된다.
우선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질의자 신청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2), 질의자 신청이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접수된 경우,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질의권한 위임 비율을 검증하여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자격통과 여부를 판단한다(S34).
이러한 질의자의 선정은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신청서를 수신하는 한편, 해당 질의자가 비영리 단체의 각 주주들로부터 질의 권한을 위임받은 비율이 전체 주식 중 소정 비율 이상인 것을 선정기준으로 하여 선정된다.
즉, 청문회 진행 질의자 신청자는 자신의 주식 증권번호를 포함해 자신이 위임받은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를 함께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해 단체운영 서버(300)에 송신함으로써 자신의 위임비율을 단체운영 서버(300)에 확인시키게 되며, 단체운영 서버(300)의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에서는 주식 증권번호 및 이에 따른 증권정보가 저장된 주식 DB를 통해 질의자 신청자의 위임비율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질의자로 선정하게 된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질의자 신청인의 위임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350)는 각 위임 주주들로부터의 위임장을 이메일을 통해 수신하여 주주 대장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거나,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입력이나 개인 공인인증서 등을 활용한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주주총회 의결권 전자위임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위임비율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액주주의 회원이라 하더라도 질의자로 선정될 수 있도록 질의자의 선정시 위임비율과 관계없이, 질의자 신청인 중 선착순으로 질의자를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물론, 이들 질의자 선정 방식들에서 최초 비리 의혹 제기자는 질의자에 자동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34 단계의 판단결과, 질의자가 선정되게 되면, 상기 단체운영 서버(300)는 질의자 선정을 통보한 후, 청문회시 질의할 질의 내용 및 청문회 진행에 필요한 집행부측에 대한 문서 요구서를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100)로부터 접수하고(S36), 질의 내용 및 문서 요구서를 관련 집행위원의 단말기(200)로 전달하며(S38),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요구된 문서를 집행위원의 단말기(200)로부터 접수받아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100)로 전달하게 된다(S40).
여기에서 질의자 선정 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질의자의 질의 내용 및 요구 문서 목록은 청문회에 참석하는 질의자 및 집행위원들에게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예비답변 내용 및 요구 문서 역시 질의자 및 집행위원들에게 공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체운영 서버(300)는 상기 S30 단계를 통하여 공지한 청문회 개최일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2), 해당 청문회 현장에서 방송 카메라를 통해 생중계 또는 녹화중계되는 화면을 각 회원들이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를 통해 자신의 회원 단말기(100)에서 볼 수 있도록 해당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 서버(400)의 방송 접속 정보를 공지하여 해당 비리 청문회의 현장을 전체 회원들이 볼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S44).
여기에서, 상기 청문회의 개최 및 중계에 대한 공지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들과 집행위원들에게 이메일이나 모바일 메시지 등의 형태로도 통보되며, 차후 회원 및 집행위원들의 온라인 투표로 이루어지는 청문회를 통한 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찬반 투표를 준비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청문회의 현장 중계가 완료되면, 상기 단체운영 서버(300)는 진행된 청문회에 대하여 전체 비영리 단체 회원들의 재단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켜 회원들의 "비리 인정" 또는 "비리의혹 해소"의 의사를 카운트하게 된다(S46).
이때, 청문회를 통한 재단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는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에 의해서만 투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제 S46 단계를 통하여 카운트가 이루어진 청문회를 통한 재단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의 회원 의사를 집계하여 회원들의 의사 중 "비리 인정"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8).
여기에서 상기 제 S48 단계의 판단결과, "비리 인정"의 의견이 기준 이하인 경우(즉, "비리의혹 해소"의 의견이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비리의혹이 해소되었음을 공지하고, 집행부 DB 에 결과를 저장한 후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 S48 단계의 판단결과, "비리 인정"의 의견이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의혹 제기된 비리 내용을 진실로 결정하여 공지하고, 집행부에 대하여 재단 감사 요청이나 주주총회 개최, 집행부 교체 요구 등의 직접적인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속 조치의 공지 등을 지원하게 된다(S50).
한편, 이러한 비영리 단체에서는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특정 가족 구성원이 결여된 결연가족에 대하여 새가족 만들기 사업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결연가족이라 함은 부모가 없이 아이들로만 구성된 가족이나, 도움을 줄 자식들이 없는 고령 노인으로만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
또한, 새가족이라 함은 특정 가족 구성원이 결여된 결연가족에 대하여 신청자에 한하여 가족 구성원이 되도록 하여 완성된 가족 형태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 결여된 가족 구성원의 의무와 역할을 신청자가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결연가족을 돕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평소 주위에서 보고 들은 결연가족에 대하여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결연가족 등록 신청을 받고, 조사관이 해당 결연가족이 있는 현장에서 조사한 현장답사 보고서를 접수하게 된다. 이러한 현장답사 보고서에는 결연가족의 현재 구성원 정보, 주소, 결연구성원 정보, 생활환경 정보, 생활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현장답사 보고서를 검증한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해당 결연가족에 대한 정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연가족 등록정보로서 등록하여 회원들이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근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가족 구성원 등재 신청이 접수되면,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해당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소정의 신청서를 접수하여 가족 구성원 등재의 자격을 검증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족 구성원 등재를 위한 신청자의 자격 검증은 해당 신청자의 나이가 결여된 가족 구성원으로 적합한지 여부, 해당 신청자의 경제력, 해당 신청자의 직업, 해당 신청자의 주거지역 등이 검증대상이 될 수 있다.
이렇게 가족 구성원 등재 신청자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해당 신청자와 결연가족의 미팅이 이루어지고,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상기 신청자의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미팅결과를 접수받게 된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가족 구성원 등재 신청자로부터 가족 구성원 등재 희망 여부에 대하여 체크하고, 또한 결연가족으로부터 해당 신청자의 가족 구성원 등재 수용 여부에 대하여 체크하게 된다. 이러한 등재 희망 여부 및 등재 수용 여부에 대한 체크는 온라인상으로 접근한 신청자의 단말기 및 결연가족의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단체 운영서버(300)는 등재 희망 여부 및 등재 수용 여부에 대하여 체크한 결과, 신청자 및 결연가족이 모두 원하는 경우 해당 신청자를 새로운 가족 구성원으로 하는 새가족을 구성하고 이를 양자에 통보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가족의 정보를 공개하게 된다.
이러한 결연가족의 새가족 만들기를 통해 결연가족의 사회적 배려와 경제적 안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회원 단말기 200 : 집행위원 단말기
300 : 단체 운영서버 310 : 제어부
320 : 투고 진행부 330 : 해명 진행부
340 : 청문회 예비처리부 350 : 질의자 선정 및 질의 접수부
360 : 청문회 진행부 370 : 의사 집계부
380 : 데이터 저장부 400 : 방송 서버

Claims (9)

  1. (a) 단체 운영서버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비리 투고 게시판에 등록되는 비리 투고 게시물을 투고 진행부를 통해 접수하고, 관련 집행위원 단말기에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게시를 통보하는 단계;
    (b) 상기 단체 운영서버가 상기 집행위원 단말기로부터 해당 비리 투고 게시물에 대한 의혹 해명 게시글을 해명 진행부를 통해 접수하여 게시하고, 회원 단말기를 통해 의혹 해명 게시글을 열람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하여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는 단계;
    (c) 상기 단체 운영서버가 상기 (b) 단계의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의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상기 단체 운영서버가 청문회 예비공고 게시판을 통해 해당 비영리 단체의 회원 및 집행위원들에게 청문회 개최를 예비공고하고, 회원 단말기를 통해 청문회 개최 예비공고를 열람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하여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체 운영서버가 상기 (c) 단계의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이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청문회 개최가 취소되었음을 공지하여 회원 단말기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하고 해당 집행부에 대한 운영경고를 집행부 DB에 기록하며, 회원들이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는 경우 청문회 개최를 결정하여 회원 단말기를 통해 열람 가능하게 공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해명 게시물을 통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 및 청문회의 진행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는 회원들의 주식 증권번호를 통하여 유효성이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의 회원 등록시 선택된 전문분야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과 함께 등록되는 의혹동의 게시물의 등록자가 속한 전문분야를 비교해 해당 비리 의혹 제기 게시물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여 비리 의혹 게시물의 접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의혹 해명 게시글에 대한 비리의혹 해소 여부의 온라인 투표는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명될 경우, 비리의혹이 해소되었음을 공지하고, 집행부 DB 에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과 전문회원들의 의견이 모두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명될 경우, 상기 (c) 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c) 단계를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일반 회원 및 전문 회원의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한 결과, 일반 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전문회원들로부터는 비리의혹 해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회원의 의혹 해명글을 접수받아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회원 단말기로부터 질의자 신청을 접수받고,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질의권한 위임 비율을 검증하여 질의자를 선정하여 질의자 선정을 통보하는 단계; 및
    (f) 청문회시 질의할 질의 내용 및 청문회 진행에 필요한 집행부측에 대한 문서 요구서를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접수하여 관련 집행위원의 단말기로 전달하며, 해당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 및 요구된 문서를 집행위원의 단말기로부터 접수받아 해당 질의자로 선정된 회원의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청문회 진행의 질의자로 신청한 회원의 회원 단말기로부터 회원 및 해당 회원이 위임받은 타회원의 주식 증권번호를 수신하고, 주식 증권번호 및 이에 따른 증권정보가 저장된 주식 DB를 통해 질의자 신청자의 위임비율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질의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상기 (d) 단계를 통하여 공고된 청문회 개최일이 도래하면, 각 회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청문회 진행을 볼 수 있는 방송 접속 정보를 공지하는 단계; 및
    (h)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청문회를 통한 재단비리 인정 여부에 대한 온라인 투표를 진행시키고, 온라인 투표 결과를 집계하여 회원들이 비리 인정으로 결정하는 경우, 집행부 제재를 위한 후속 조치를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KR1020100099681A 2010-10-13 2010-10-13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KR10113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81A KR101133377B1 (ko) 2010-10-13 2010-10-13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81A KR101133377B1 (ko) 2010-10-13 2010-10-13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377B1 true KR101133377B1 (ko) 2012-04-06

Family

ID=4614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681A KR101133377B1 (ko) 2010-10-13 2010-10-13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282A (ja) * 1994-10-14 1996-06-25 Sachiko Nomura レースの遠隔投票方法と遠隔投票システム
JP2002288384A (ja) 2001-03-27 2002-10-04 Tsutaya Online:Kk オンライン投票システム
KR20030000153A (ko) * 2001-06-22 2003-01-06 최윤수 비영리 단체의 운영 자금 조성 방법
KR20050015542A (ko) * 2003-08-06 2005-02-21 송창용 네트워크 기반의 실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투표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282A (ja) * 1994-10-14 1996-06-25 Sachiko Nomura レースの遠隔投票方法と遠隔投票システム
JP2002288384A (ja) 2001-03-27 2002-10-04 Tsutaya Online:Kk オンライン投票システム
KR20030000153A (ko) * 2001-06-22 2003-01-06 최윤수 비영리 단체의 운영 자금 조성 방법
KR20050015542A (ko) * 2003-08-06 2005-02-21 송창용 네트워크 기반의 실명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투표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2597A1 (en) Decentralized cryptographic real estate transac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20180060981A1 (en) Network-leveraged real estate transac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Ateljevic et al. Corruption and public procurement: example from Croatia
Hickey et al. Achieving lasting affordability through inclusionary housing
US20090307129A1 (en) Community-based work value system and method
Bassett et al. Rules, roles, and controls: governance in social protection with an application to social assistance
US20130013477A1 (en) System and method of exchanging financial services information and of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nd providers
KR102321484B1 (ko) 문제 해결 시스템 및 문제 해결 방법
Hadfield Delivering Legality on the Internet: Developing Principles for the Private Provision of Commercial Law
Reina et al. Treasury Emergency Rental Assistance Programs in 2021: Analysis of a National Survey
KR101133377B1 (ko) 비영리 단체의 실시간 운영비리 모니터링 및 처리를 위한 방법
McAllister Can brokers rig the real estate market?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mmercial real estate sector
KR102322583B1 (ko)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운영컴퓨터,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방법
KR20010106812A (ko) 사이버 재테크 장치 및 그 방법
Nguyen et al. Public procurement related complaint handling mechanism in Vietnam
Abdulai et al. Localiz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Access to Information and Citizen Engagement Under the Local Government Act 2004
US20140365282A1 (en) Web-based System and Process for Creating Child Entities While Incentivizing Users to Engage in Positive Behavior
Voet et al. Bridging the EU Consumer Enforcement Pathways in Mass Harm Situations
Dethier et al. Bridging the EU consumer enforcement pathways in mass harm situations
Armour et al. Report on digitalisation in company law
Mingo Strategies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Critical Success Factors
Street ffi
Mansfield Inquiry into the options for reform of political funding and donations in the Northern Territory
Tadesse Taxation of the Digital Economy: Pros and Cons of Introducing a Digital Service Tax in Ethiopia
Abbott SMMMS SSSS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