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737B1 -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737B1
KR101132737B1 KR1020110109490A KR20110109490A KR101132737B1 KR 101132737 B1 KR101132737 B1 KR 101132737B1 KR 1020110109490 A KR1020110109490 A KR 1020110109490A KR 20110109490 A KR20110109490 A KR 20110109490A KR 101132737 B1 KR101132737 B1 KR 10113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unit
band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10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4GHz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및 무선랜 통신장치에 RF신호변환기를 탑재하여 2.4GHz 이하의 유휴 대역 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범위를 증대시키고 전력 절감 효과를 유도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RF/베이스밴드부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무선랜 및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RF/베이스밴드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인 제 2RF신호로 변환한 다음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로 변환한 다음 RF/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RF신호변환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for wireless LAN or Bluetooth having RF Signal Converter}
본 발명은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4GHz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및 무선랜 통신장치에 RF신호변환기를 탑재하여 2.4GHz 이하의 유휴 대역 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범위를 증대시키고 전력 절감 효과를 유도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모바일 기기들의 사용이 늘어나고 노트북 시장이 데스크탑 PC 시장을 넘어서는 등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기기들이 늘어남에 따라 무선 인터넷 연결에 대한 수요가 과거보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3G와 와이브로 서비스 등으로 이동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도 증가했지만, 정해진 대역폭에 이용자는 계속 늘어나다 보니 전체적으로 속도가 떨어지고 연결이 자주 끊기는 등 점점 서비스 품질이 낮아지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은 자사의 통신망과 연계해서 사용하는 무선랜(WiFi) 서비스존을 만들어서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지만, 제한된 사용 범위와 자사 고객에게만 제공되는 폐쇄성, 무선랜 연결 시도로 인한 무선 인터넷 딜레이 등으로 인해 일부 3G 가입자들은 아예 무선랜 기능을 끄고 사용하는 등 불편한 점도 만만치 않다.
특히 802.11n 무선랜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는 이동통신사의 무선랜 서비스 뿐만 아니라 가정/직장/공공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무선 공유기, 무선 키보드/마우스, 블루투스, 전자렌지 등에서도 이용되기 때문에 조금만 복잡하고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제대로 연결이 되지 않거나 속도가 크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는 호스트(1)와, 상기 호스트(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1)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RF/베이스밴드부(2)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2)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2)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장치의 경우 안정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전송범위가 불과 100m 이내로써, 최대 전송거리가 짧아 응용범위의 한계가 존재한다.
아울러 다양한 기기들이 상기 대역을 혼용해서 사용함에 따라 신호의 간섭문제가 발생되어 이용시 많은 문제점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RF/베이스밴드부의 후단부에 RF신호변환기를 탑재하여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인 제 2RF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동일 출력으로 송수신 거리가 증가되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보다 상대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2.4GHz 이하의 유휴 대역을 사용함에 따라 간섭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밴드 형태로 데이터 통신가능한 듀얼밴드 RF신호변환기를 구성함으로써 제 2RF신호로 데이터통신가능한 외부기기와 제 1RF신호로 데이터통신가능한 외부기기 모두에 호환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무선통신장치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RF/베이스밴드부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무선랜 및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RF/베이스밴드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인 제 2RF신호로 변환한 다음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로 변환한 다음 RF/베이스밴드부로 전달하는 RF신호변환기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F신호변환기는 RF/베이스밴드부에 연결되어 제 1RF신호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제 1RF신호를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변환회로부와, 제 2RF신호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제 1RF신호로 변환하여 RF/베이스밴드부로 전송하는 수신변환회로부 및 상기 송신변환회로부 및 수신변환회로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변환된 제 2RF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가 수신변환회로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송수신분기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RF신호변환기는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제 1RF신호를 전송받아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변환회로부와, 제 2RF신호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제 1RF신호로 변환하여 RF/베이스밴드부로 전송하는 수신변환회로부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전달받는 제 1RF신호를 주파수 변환없이 송신하는 무변환송신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주파수 변환 없이 RF/베이스밴드부로 송신하는 무변환수신회로부 및 상기 송신변환회로부, 수신변환회로부, 무변환송신회로부 및 무변환수신회로부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송신변환회로부, 수신변환회로부, 무변환송신회로부 및 무변환수신회로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송수신분기회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 통신장치보다 전송거리가 수 배에서 수십 배 증대되며, 동일한 거리의 외부기기로 RF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 송출할 수 있음에 따라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듀얼밴드로 사용가능한 RF신호변환기를 채택함으로써 기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와의 호환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RF신호변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는 크게 호스트(10)와, 상기 호스트(1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10)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RF/베이스밴드부(20)와, RF/베이스밴드부(20)와 안테나(40) 사이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인 제 2RF신호로 변환한 다음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로 변환한 다음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달하는 RF신호변환기(30)와, 상기 RF신호변환기(30)에 연결되어 RF신호변환기(30)로부터 제 2RF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는 기존 무선통신장치의 간섭문제와 전송범위 협소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RF신호변환기(30)를 RF/베이스밴드부(20)에 결합하여 제 1RF신호를 제 2RF신호로 변환하여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함으로써 동일한 출력으로 전송범위를 대폭 증대시키며, 동일한 전송거리인 경우에는 작은 출력으로 송수신 가능하여 전력 절감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RF신호변환기(30)는 RF/베이스밴드부(20)에 연결되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제 1RF신호를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인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변환회로부(31)와, 제 2RF신호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회로부(32)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제 1RF신호로 변환하여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송하는 수신변환회로부(33) 및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 및 수신변환회로부(3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송신변환부로부(31)로부터 변환된 제 2RF신호가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가 수신변환회로부(33)로 전달되도록 하는 송수신분기회로부(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는 RF/베이스밴드부(20)에 연결되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2.4GHz 대역보다 낮으며 유휴 대역(ISM)인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데, 이러한 상기 제 2RF신호로는 920MHz 대역이 될 수 있으며, 향후 TV 방송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됨에 따라 전환 시점인 2013년부터 사용가능한 UHF 대역(300MHz ~ 3000MHz) 또한 적용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수신변환회로부(33)는 안테나(40)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전달받아 제 1RF신호로 변환한 다음 RF/베이스밴드부(20)로 이를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 및 수신변환회로부(33)의 동작은 송수신분기회로부(44)의 선택적 연결에 따라 송신변환회로부(31)로부터 제 2RF신호가 외부로 송신되거나 외부로 수신되는 제 2RF신호가 수신변환회로부(33)를 통해 제 1RF신호로 변환된 다음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송수신분기회로부(34)의 선택적 연결은 안테나(40)로부터 제 2RF신호 수신이 감지되면 수신변환회로부(33)로 연결을 수행하고 RF/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송신변환회로부(31)로 제 1RF신호가 전송되면 송수신분기회로부(34)는 송신변환회로부(31)와 연결을 수행하여 송신변환회로부(31)에 의해 변환된 제 2RF신호를 안테나(4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RF신호변환기(30)를 통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이유는 아래의 식(Friis Transmission Formula)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gure 112011083661617-pat00001
여기서, PR = 수신 전력, PT = 송신 출력, GT = 송신 안테나 이득, GR = 수신 안테나 이득, c = 빛의 속도, R =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 f =무선주파수이다.
위의 식을 통해 살펴보면 분모를 구성하는 전송거리 R 및 무선 주파수 f는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RF신호를 920MHz 대역으로 하여 실시할 경우, 2.4GHz 와 5GHz 주파수 대비 동일한 조건에서 최소 2.6배 이상의 전송거리가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송수신 대상물일 경우에는 송신출력을 1/3으로 감소시켜 전송하여도 동일한 거리로 송신가능하므로 송신출력을 감소시켜 전력 절감 효과가 도출됨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RF신호변환기(30)는 무선통신장치를 생산시 RF신호변환기(30)를 탑재할 수 있으며, 모듈 형태로 형성하여 기존 무선통신장치의 RF/베이스밴드부(20) 후단부에 결합시킴으로써 기존 무선통신장치의 전송효율을 증대시키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RF신호변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F신호변환기(30)는 듀얼밴드로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듀얼밴드로는 제 1RF신호 대역과 제 2RF신호 대역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RF신호변환기(30)가 탑재된 무선통신장치(100)와, 탑재되지 않으며 제 1RF신호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100) 모두와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RF신호가 RF신호변환기(30)로 전달될 수 없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1RF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이를 후술할 송수신분기회로부(34)와 무변환수신회로부(36)를 통해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송가능해진다.
이러한 상기 RF신호변환기(30)는 RF/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송받아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변환회로부(31)와, 제 2RF신호 대역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회로부(32)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제 1RF신호로 변환하여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송하는 수신변환회로부(33)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전달받는 제 1RF신호를 주파수 변환없이 외부로 송신되도록 하는 무변환송신회로부(35)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주파수 변환 없이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달하는 무변환수신회로부(36) 및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 수신변환회로부(33), 무변환송신회로부(35) 및 무변환수신회로부(36)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 수신변환회로부(33), 무변환송신회로부(35) 및 무변환수신회로부(36)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송수신분기회로부(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신변환회로부(31), 발진회로부(32), 수신변환회로부(33)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무변환송신회로부(35) 및 무변환수신회로부(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로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데이터 통신하는 외부기기가 본 발명에 따른 RF신호변환기(30)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RF신호로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송수신분기회로부(34)는 무변환송신회로부(35) 또는 무변환수신회로부(36)와 연결된다.
즉, 외부기기로 데이터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무변환송신회로부(35)로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20)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전송받아 주파수 변환 없이 증폭하거나 필터링 등의 프로세싱을 거쳐 외부기기로 전송하며 이와 반대로 외부기기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제 1RF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분기회로부(34)가 무변환수신회로부(36)에 연결되어 제 1RF신호를 주파수 변환 없이 RF/베이스밴드부(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무변환송신회로부(35) 또는 무변환수신회로부(36)는 바이패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파워앰프, 필터(Pre-Filter, LNA) 등이 탑재되어 증폭 또는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듀얼밴드형태의 RF신호변환기(30)에 따라 기존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전송거리를 증대시킴은 물론 기존 무선통신장치와의 호환성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호스트 20 : RF/베이스밴드부
30 : RF신호변환기 31 : 송신변환회로부
32 : 발진회로부 33 : 수신변환회로부
34 : 송수신분기회로부 35 : 무변환송신회로부
36 : 무변환수신회로부 40 : 안테나
100 : 무선통신장치

Claims (3)

  1.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RF/베이스밴드부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에 연결되어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무선랜 및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RF/베이스밴드부와 안테나 사이에 연결되며,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제 1RF신호를 전송받아 제 2RF신호로 변환하는 송신변환회로부와, 제 2RF신호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제 2RF신호를 제 1RF신호로 변환하여 RF/베이스밴드부로 전송하는 수신변환회로부와, 상기 RF/베이스밴드부로부터 전달받는 제 1RF신호를 주파수 변환없이 송신하는 무변환송신회로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 1RF신호를 전달받아 주파수 변환 없이 RF/베이스밴드부로 송신하는 무변환수신회로부 및 상기 송신변환회로부, 수신변환회로부, 무변환송신회로부 및 무변환수신회로부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송신변환회로부, 수신변환회로부, 무변환송신회로부 및 무변환수신회로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송수신분기회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변환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109490A 2011-10-25 2011-10-25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KR10113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0A KR101132737B1 (ko) 2011-10-25 2011-10-25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0A KR101132737B1 (ko) 2011-10-25 2011-10-25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737B1 true KR101132737B1 (ko) 2012-04-06

Family

ID=4614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90A KR101132737B1 (ko) 2011-10-25 2011-10-25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815B1 (ko) 2022-09-20 2023-08-02 비전아이 주식회사 Rf 신호 변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611A (ko) * 2007-08-21 2009-02-25 (주)에프알텍 주파수 변환 중계 방법 및 장치
KR20110099493A (ko) * 2010-03-02 2011-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마이크로파 대역을 이용한 무선랜 주파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611A (ko) * 2007-08-21 2009-02-25 (주)에프알텍 주파수 변환 중계 방법 및 장치
KR20110099493A (ko) * 2010-03-02 2011-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마이크로파 대역을 이용한 무선랜 주파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815B1 (ko) 2022-09-20 2023-08-02 비전아이 주식회사 Rf 신호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784B2 (en) Multiple RF band operation in mobile devices
WO2019233253A1 (zh) 射频电路、终端及信号发射控制方法
WO2022033592A1 (zh) 适用于多链路的关键bss参数管理方法及相关装置
US20080057862A1 (en) Ultra wide band stand-alone repeater/selector and systems
US200700199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ignals between a fiber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antenna
KR101466185B1 (ko) 빔 포밍 안테나를 갖는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역방향 채널 추정
WO2010133117A1 (zh) 移动通信终端的无线收发装置
US9264124B2 (en) Antenna polarization optim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TW200843193A (en) Antenna modu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20077695A (ko) 다중모드 무선모뎀
EP2797240A9 (en) Antenna polarization optim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924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CN112153186A (zh) 移动终端的数据传输装置及移动终端
KR101132737B1 (ko) Rf신호변환기를 가지는 무선랜 또는 블루투스용 무선통신장치
WO2016086593A1 (zh) 一种移动终端切换天线及其切换方法
WO2023005907A1 (zh) 无线帧发送方法及装置、无线帧接收方法及装置
CN214675198U (zh) 多频段无线扩展器和wifi通信系统
CN111787646A (zh) 一种基于降频WiFi的自组网通信系统及其方法
KR20130048553A (ko) 내 외장 안테나 겸용 와이파이 모듈
CN101741404A (zh) 一种通过单接收机通道实现多频段收发器连接的方法
EP2797168A1 (en) Monopole antenna with a tapered balun
CN210670577U (zh) 一种多频段无线网桥传输装置及传输系统
CN115396901A (zh) 一种多频通信架构
US20240097717A1 (en) Antenna structure including power and signal lines
CN101207920A (zh) 可减少相互干扰的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