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938B1 - 음식물 광고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광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938B1
KR101129938B1 KR1020100003700A KR20100003700A KR101129938B1 KR 101129938 B1 KR101129938 B1 KR 101129938B1 KR 1020100003700 A KR1020100003700 A KR 1020100003700A KR 20100003700 A KR20100003700 A KR 20100003700A KR 101129938 B1 KR101129938 B1 KR 10112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ate
container
liquid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789A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0000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9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고 선전용으로 표현되는 음식물과;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기체 또는 액체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의 더운 상태, 차가운 상태, 끓는 상태, 향이 나는 상태 등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어 보여주는 상태 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음식물의 상태를 실감 있게 보여 줄 수 있어 광고 선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광고 장치 {Food and Beverage Advertising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의 상태를 표현하는 방법을 개선한 음식물 광고 장치이다.
음식물을 취급하는 식당, 매점 등에서 음식물을 광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광고 장치를 운영하고 있다.
음식물 광고 장치 중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97065호(2005년 9월 22일)와 같이 음식물을 젓가락이 집은 상태에서 젓가락과 음식물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표현하는 입간판이 음식물의 상태를 표현하는 하나의 예이다.
음식물의 광고 장치는 취급하는 음식물을 선전하고 알림과 동시에 음식물을 보다 실제에 가깝게 표현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음식물 광고 장치는 선전 광고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보다 실제에 가깝게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실제에 가깝게 사실감 있는 음식물의 상태를 표현하는 음식물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물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구매 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광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식물 광고 장치에 있어서, 광고 선전용으로 표현되는 음식물과;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기체 또는 액체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의 더운 상태, 차가운 상태, 끓는 상태, 향이 나는 상태 등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어 보여주는 상태 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광고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상태 현출부는 상기 용기에서 더운 상태를 나타내는 수증기가 올라오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수증기 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상기 음식물 사이로 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태 현출부는 기체가 액체를 통과하여 액체가 튀어 올라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의 끓는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실제에 가깝게 음식물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며, 구매 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음식물의 끓는 상태, 더운 상태, 향이 나는 상태를 표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광고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입간판 형태의 광고 장치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음식물의 끓는 상태, 더운 상태를 표현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음식물 광고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110)과, 음식물(110)을 수용하거나 담을 수 있는 용기(120)와, 음식물(110)의 여러 가지 상태를 나타내어 보여주는 상태 현출부(130)를 포함한다.
음식물(110)은 광고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음식물(110)을 포함한다. 음식물(110)은, 우동, 국수, 라면 등의 면 종류, 국밥 등의 밥 종류, 찐빵 등의 빵 종류, 아이스크림, 팥빙수 등의 빙과류 등의 다양한 종류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식물(110)의 일예로 라면 내지 국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식물(110)은 선전용으로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실제 라면, 국수 등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다.
용기(120)는 음식물(110)을 수용하는 것으로 음식물(110)과 물과 같은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형상뿐만 아니라, 찐빵 등의 음식물(11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소 평평한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120)의 재질도 플라스틱, 도자기,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다양한 재질을 포함한다. 용기(120)는 용기(120)를 지지하는 입간판과 같은 지지부(160)에 지지될 수 있다. 물이 용기(120)에 담겨 그 속에 국수, 라면 등의 음식물(110)이 수용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태 현출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20)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110)의 더운 상태(133), 차가운 상태(미도시), 끓는 상태(135), 향이 나는 상태(137) 등을 나타내어 보여준다. 상태 현출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로, 상태 현출부(130)가 음식물(110)의 더운 상태(133)를 나타내어 보여주는 일예이다. 즉, 용기(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60) 내부에 가습기(141)와 같은 수증기 발생장치를 내장하고 가습기(141)와 용기(120) 사이를 가습 배관(143)으로 연결한다. 이에, 가습기(141)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가습 배관(143)을 통해 용기(120)를 통과하여 음식물(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더운 상태(133)를 표현한다. 여기서, 용기(120)에 물 등의 액체가 채워지고 그 속에 라면, 국수 등의 음식물이 수용된 것을 표현하는 경우, 가습 배관(143)은 지지부(160)에서 다수로 분기되어 음식물(1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현출부(130)는 끓는 상태(135), 향이 나는 상태(137)를 나타낼 수 있다. 끓는 상태(135)는 음식물(110)이 끓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식물(110)에 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배관(147)과, 액체 속에서 기포를 형성시켜 액체에서 분출되면서 액체가 끓는 상태(135)를 표현할 수 있도록 기체 공급 배관(145)을 포함한다. 이에, 기체 공급 배관(145)을 통해 공급되는 기체는 액체 공급 배관(147)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 속에서 기포를 형성하여 액체의 표면에서 분출되면서 음식물(110)의 끓는 상태(135)를 나타낼 수 있다. 액체 공급 배관(147)은 액체가 증발되는 량만큼 보충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끓는 상태(135)를 크게 또는 적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액체 공급 배관(147)과 기체 공급 배관(145)에서 공급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끓는 상태(135)를 점차적으로 더 많이 표현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체 공급량을 많이 공급할 수 있는 공급량 제어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향 공급 배관(149)은 향을 공급하며, 음식물(110) 외부로 향을 분출시킬 수 있다. 기체 공급 배관(145)은 필요에 따라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14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태 현출부(130)는 미도시하였지만 음식물(110)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에 소량의 액체가 나오면서 물방울을 형성하여 음식물(110)의 차가운 상태 혹은 음식물(110)이 녹는 상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 현출부(130)는 더운 상태(133), 끓는 상태(135), 차가운 상태, 향이 나는 상태(137) 등을 각각 표현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을 조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은 제어반(1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태 현출부(130)는 각종 공급 배관(143, 145, 147, 149) 등에 공급되는 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공급되는 액체, 기체, 수증기 등을 조절하여 음식물(110)의 상태를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시간이 갈수록 더운 상태(133)와 끓는 상태(135)를 더욱 많이 표현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는 제어반(1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반(150)은 음식물(110)의 더운 상태(133), 차가운 상태, 끓는 상태(135), 향이 나는 상태(137) 등을 표시하는 상태 현출부(130)를 작동 및 제어한다. 제어반(150)은 상태 현출부(130)의 상태를 하나씩 표현할 수도 있고, 이들은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현할 수도 있고, 두 가지 이상의 상태를 조합하여 표현할 수도 있도록 상태 현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그 중 하나의 예로 더운 상태(133), 끓는 상태(135), 향이 나는 상태(137)의 세 가지 상태를 조합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110)의 더운 상태(133), 차가운 상태, 끓는 상태(135), 향이 나는 상태(137) 등을 표현하여 보다 사실감 있게 음식물(110)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음식물(110)의 사실감 있는 표현은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고, 소비자의 호기심과 구매 욕구를 자극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매출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간판 형태의 광고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메뉴판 대용의 샘플용 음식물을 전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시물 후방에서 각종 배관을 통해 음식물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상태 현출부(130)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음식물 광고 장치 110 : 음식물
120 : 용기 130 : 상태 현출부
133 : 더운 상태 135 : 끓는 상태
137 : 향이 나는 상태 141 : 가습기
143 : 가습배관 145 : 기체 공급 배관
147 : 액체 공급 배관 149 : 향 공급 배관
150 : 제어반 160 : 지지부

Claims (3)

  1. 음식물 광고 장치에 있어서,
    광고 선전용으로 표현되는 음식물과;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기체 또는 액체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의 더운 상태, 차가운 상태, 끓는 상태, 향기 나는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어 보여주는 상태 현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현출부는 기체가 액체를 통과하여 액체가 튀어 올라 상기 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의 끓는 상태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광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현출부는 상기 용기에서 더운 상태를 나타내는 수증기가 올라오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수증기 형성장치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상기 음식물 사이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광고 장치.
  3. 삭제
KR1020100003700A 2010-01-15 2010-01-15 음식물 광고 장치 KR10112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00A KR101129938B1 (ko) 2010-01-15 2010-01-15 음식물 광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00A KR101129938B1 (ko) 2010-01-15 2010-01-15 음식물 광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89A KR20110083789A (ko) 2011-07-21
KR101129938B1 true KR101129938B1 (ko) 2012-03-23

Family

ID=4492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700A KR101129938B1 (ko) 2010-01-15 2010-01-15 음식물 광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9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25U (ja) * 1992-09-11 1994-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展示装置
KR960042502A (ko) * 1995-05-20 1996-12-21 김상욱 광고장치
JP2005266439A (ja) * 2004-03-19 2005-09-29 Daisho:Kk 香り付き蒸気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25U (ja) * 1992-09-11 1994-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展示装置
KR960042502A (ko) * 1995-05-20 1996-12-21 김상욱 광고장치
JP2005266439A (ja) * 2004-03-19 2005-09-29 Daisho:Kk 香り付き蒸気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89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0473A (es) Conjunto envasado que tiene un elemento de interaccion sensorial.
WO2011005308A1 (en) Retail fragrance sampling display
US5607211A (en) Fountain beverage center
US20040138949A1 (en) Sponsored appliances
US200401078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cream products
US9254053B2 (en) Promotional coaster
US6223912B1 (en) Method for presenting a packaged product on a stand, stand for presenting a packaged product and package for presenting a product on a stand
KR101129938B1 (ko) 음식물 광고 장치
MX2009004369A (es) Metodo de coccion novedoso para plato de avena con leche.
EP2325134A1 (en) Beverage dispenser
Ellicott et al. Packaging essentials: 100 design principles for creating packages
US2741400A (en) Juice display fountain
JP2008024310A (ja) カロリー表示付きビールジョッキ
JP2005266439A (ja) 香り付き蒸気発生装置
US20130205820A1 (en) Chilling and ice making system and methods
US2629954A (en) Advertising and display device
KR200393213Y1 (ko) 음료 광고장치
CN201080338Y (zh) 一次性密封软包装广告酒杯
CN202269868U (zh) 可更换展示层的找零盘
CN201647322U (zh) 一种保管瓶盖罩
KR200388645Y1 (ko) 현실감을 구현한 입체 광고장치
US20150052082A1 (en) Shaped food container
JP2003233338A (ja) 看板広告用機能拡張装置
KR200450510Y1 (ko) 어류,육류용 진열대
KR200488863Y1 (ko) 막대 손잡이를 사용하는 식품의 포장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