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111B1 -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 Google Patents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111B1
KR101129111B1 KR1020100029733A KR20100029733A KR101129111B1 KR 101129111 B1 KR101129111 B1 KR 101129111B1 KR 1020100029733 A KR1020100029733 A KR 1020100029733A KR 20100029733 A KR20100029733 A KR 20100029733A KR 101129111 B1 KR101129111 B1 KR 10112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mal
unit
fixed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0429A (en
Inventor
김성훈
정규림
이백수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111B1/en
Priority to PCT/KR2011/002266 priority patent/WO2011122898A2/en
Publication of KR2011011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04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뼈에 결합되어 악교정 수술의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유닛; 그리고 상기 악고정유닛에 의한 상기 절골부위의 고정과 함께 치열교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악고정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악고정유닛과 함께 구강에 설치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Anchorag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치열교정시 고정원 기능을 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턱뼈의 절골부위를 재결합하는 악고정유닛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악교정 수술과 치열교정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ectile unit coupled to a jawbone for fixing an osteotomy site of orthognathic surgery; And an anchorage for orthodontic fixation provided in the mouth unit together with the erectile unit so that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fixation of the osteotomy site by the erectile unit The orthopedic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fixation functioning as a fixed source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rovided in the mal rigid unit for re-joining the osteotomies of the jaw,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

Description

악교정 수술기구{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

본 발명은 악교정 수술에 적용되는 악교정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교정 수술시 절골부위의 고정과 동시에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앵커로서 적용가능한 복합 기능의 악교정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pplied to orthognath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orthodontic surgical instrument that can be applied as a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fixation while fixing an osteotomy site in orthognathic surgery.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For modern people, the appearance, especially the impression, acts as a criterion for judging people in interviews such as employment or entrance, and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ocial life, such as occupying a large por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

이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인체에 대한 인공적인 성형수술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 얼굴의 주요기관, 예를 들면 눈, 코, 입 등에 대한 성형수술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치아 및 치열은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상기 치열을 고르게 하기 위한 치열교정술이 성행하고 있다.As a result, artificial plastic surgery for the human body has become popular despite the fact that both men and women are young and old. Among them, cosmetic surgery for the main organs of the face, for example, eyes, nose, mouth, etc., is being watched. On the other hand, teeth and dentition generally influence the impression. In recent years, orthodontic treatment for making the above-mentioned dentition even is performed.

그러나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에 대한 이상이 너무나 심해 치열교정술, 즉 교정치료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얼굴의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을 만들기 위해 악교정 수술이 적용되고 있다.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an abnormality in the engagement of the lower teeth or an abnormality in the facial skeletal structure is so severe that orthodontic treatment can not be performed only by orthodontic treatment. In this way, Orthodontic surgery is being applied to create.

다시 말해서, 상기 악교정 수술(Orthognathic Surgery)은 치열교정치료만으로는 얼굴모양의 개선과 치아기능의 개선이 불완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성장중인 아이들의 경우 치열교정치료를 통해 골격적인 개선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악교정 수술을 피할 수 있지만, 성장이 종료된 성인의 경우는 수술이 치열교정만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악교정 수술이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rthognathic surgery can be used only when the orthodontic treatment improves the facial appear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dental function is incomple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rowing children, the orthognathic surgery can be avoided by a skeletal improvement or the like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However, in the case of an adult whose growth has been completed, the operation is difficult only with the orthodontic operation. Surgery can be used.

상기 악교정 수술은 턱교정 수술 또는 간단히 턱수술이라고도 하며, 상악(골)이나 하악(골)이 정상에서 벗어나 과잉, 부족, 혹은 비대칭적인 성장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이러한 형태와 크기의 변이를 바로잡는 수술을 말한다. The orthognathic surgery is also referred to as chiropractic surgery or simple jaw surgery. When the maxillary (bone) or mandible (bone) deviates from normal and has an excess, deficiency, or asymmetric growth state, Surgery.

상기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음식물을 씹거나 깨물기 어렵거나 삼키기 어려운 경우, 발음에 이상이 있는 경우, 만성적으로 턱뼈주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닳아 없어진 경우, 앞니가 닿지 않는 경우 즉 앞니로 음식을 끊어먹을 수 없는 경우, 앞니만 닿고 어금니가 닿지 않는 경우, 얼굴에 비대칭이 있는 경우(얼굴이 비뚤어진 경우), 사고 등으로 얼굴에 손상을 입은 경우, 심한 주걱턱이나 턱이 없는 경우, 그리고 입술을 다물기가 힘든 경우 등이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orthognathic surgery include, for example, chewing, bite or difficulty in swallowing, difficulty in swallowing, abnormal pronunciation, chronic pain in the vicinity of the jaw, abnormal tooth wear, If you can not eat food with the front teeth, you can not reach the front teeth, you can not touch your molars, if there is asymmetry on your face (your face is skewed), if you are injured by an accident, If you do not, and if you have difficulty keeping your lips closed.

상기 악교정 수술은 일반적으로 턱뼈의 절골 및 재결합나 절제를 통해 턱뼈의 위치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수려한 얼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The orthognathic surgery generally changes the position of the jawbone through osteotomy, rejoining or resection of the jawbone, and thus a more beautiful face line can be formed.

여기서 상기 악교정 수술은 상악수술과 하악수술 중 어느 하나의 수술만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양악수술(상악수술과 하악수술을 동시에 하는 수술)을 통해 이루어진다.Here, the orthognathic surgery is performed through only the operation of either the maxillary operation or the mandibular operation, o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ipolar surgery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maxillary operation and the mandibular operation).

그리고 상기 악교정 수술 후에는 전치부의 함입이나 추가적인 치열 이동, 치아의 정출방지를 통한 치열 교정 등의 치열교정치료가 수반될 수 있는데, 상기 치열교정치료는 일반적으로 메탈이나 세라믹 재질의 브라켓과 와이어를 이용한 치열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치열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견인부재가 치열 고정원에 연결된다.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an orthodontic treatment such as an incisor insertion, an additional dental migration, and an orthodontic treatment by prevention of tooth erection may be involved.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metal or ceramic bracket and a wire An orthodontic appliance is used, and a pulling member having elasticity such as a rubber band, a spring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dental fixation source so that the dentition can move.

여기서, 상기 치열 고정원은 상기 악교정 수술 후의 악고정 작업(턱뼈 고정작업)과는 별도의 추가적인 시술을 통해 구강에 고정된 후에 상기 견인부재를 지탱하는 앵커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Here, the dental fixation source functions as an anchor for supporting the traction member after being fixed to the oral cavity through an additional procedure different from the erect fixation operation (jawbone fixation operation)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상술한 바와 같이 치열 교정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치열 고정원이 구강 내, 특히 잇몸을 뚫고 상악 및/또는 하악에 매식되어 고정되어야 하며, 상기 치열 고정원에 상기 치열교정장치가 연결됨으로써 치아의 부정한 배열상태를 점진적으로 고르게 재정립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orthodontic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fixation source must be fixed in the oral cavity, in particular, the dental implant penetrating the gum and inserted into the maxilla and / or mandible,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connected to the dental fixation source, Gradually reestablish a corrupt array state.

상기 악교정 수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 및/또는 하악의 절골 및 재결합을 수반하는 복잡한 수술에 속하므로, 완치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환자에게 신체적 고통과 부담 및 비용적 부담을 주게 된다. Since the orthognathic surgery is a complicated operation involving maxillary and / or mandibular osteotomy and recombination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be cured and causes physical pain, burden and cost burden on the patient.

그리고 상기 악교정 수술이 완치된 후 또는 상기 악교정 수술과 병행하여 상기 치열교정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치열 고정원으로 기능하는 임플란트나 고정구를 별도의 스크류(Screw, 나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is completed or in parallel with the orthognathic surgery, the implant or fixture functioning as the dental fixation source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oral cavity using a separate screw shall.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치열 고정원은 상기 악교정 수술시 절골부위의 재결합을 위한 악고정기구와는 별개로 제조되는 기구로서, 상기 악교정 수술의 완료 후에 별도의 고정원 고정시술을 통해 구강 내에 고정되므로, 시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동시에 신체 특히 잇몸과 골조직에 부담감을 주는 동시에 치료과정에서 통증을 수반하게 되며 구강 내의 이물감이 커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ntal fixation source is a devic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an immobilization device for re-fusion of an osteotomy site in the orthognathic surgery. After completion of the orthognathic surgery, Therefore, it takes a lot of time to perform the procedure, and at the same time, it gives the burden to the body, especially the gums and the bone tissue, accompanies the pain during the treatment, and the feeling of foreign body in the oral cavity becomes large.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악교정 수술시에 절골부위를 재결합시키는 악고정의 기능과 동시에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원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악고정 시술 그 자체에 의해 한 번의 시술만으로도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원과 악고정장치가 구강 내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의 악교정 수술기구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both the function of fixing the osteotomy site during orthognathic surgery and the function of the fixation sour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Orthopedic surgical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which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ixation source and an immobilization device can be simultaneously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본 발명은 악교정 수술시에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유닛의 기능과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원(고정앵커)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악교정 수술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viding a function of an erectile unit for fixing an osteotomy site and a function of a fixation source (anchoring anchor) for orthodontic correction during orthognathic surge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원을 악고정유닛에서 분리하여 구강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고정원을 구강내에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스크류 적용을 피할 수 있는 악교정 수술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which can separate a fixation sour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from an erectile unit and remove it from the oral cavity and avoid the application of a separate screw for installing the fixation source in the oral cavity .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턱뼈에 결합되어 악교정 수술의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유닛; 그리고 상기 악고정유닛에 의한 상기 절골부위의 고정과 함께 치열교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악고정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악고정유닛과 함께 구강에 설치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Anchorag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lleable unit comprising: a mal rigid unit coupled to a jawbone to fix an osteotomy site of orthognathic surgery; And an anchorage for orthodontic fixation provided in the mouth unit together with the erectile unit so that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fixation of the osteotomy site by the erectile unit Thereby providing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constituted.

여기서,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ed ancho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l rigid unit.

그리고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앵커 몸체와, 상기 치열교정을 위한 견인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 몸체에 구비되어 잇몸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fixed anchor comprises: And an anchor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l rigid unit and a hook part provided on the ancho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so that a traction member for orthodontic correction is connected.

상기 걸이부는, 상기 견인부재가 걸림되는 후크(hook)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ook portion may include a hook to which the pulling member is hooked.

또한,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앵커가 파단에 의해 상기 악고정유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악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앵커의 연결부분에는 파단을 위한 분리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anchor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l rigid unit. More specifically, a separation groove for breaking can be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xed unit and the fixed anchor so that the fixed anchor is separated from the fixed unit by breaking.

한편, 상기 악고정유닛은; 복수개의 스크류들에 의해 상기 턱뼈에 결합되어 상기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 몸체와, 상기 악고정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들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홀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l rigid unit includes: A malleable body coupled to the jawbone by a plurality of screws to fix the bones,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formed in the malleable body to fasten the screws.

상기 고정앵커는 전치부의 함입을 유도하거나 정출을 방지하거나 치아의 이동을 유도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xed anchor can provide a supporting force for inducing the inse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preventing the elongation of the anterior portion, or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teeth.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치열교정시 고정원 기능을 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턱뼈의 절골부위를 재결합하는 악고정유닛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악교정 수술과 치열교정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ed anchor for dental orthodontics which functions as a fixation source in the orthodontic correction is provided in the mal rigid unit for re-joining the osteotomies of the jaw bone,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치열교정시 치아이동의 고정원 기능을 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턱뼈의 절골부위를 재결합하는 악고정유닛에 의해 한번의 시술만으로도 구강 내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앵커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술 및 부품의 적용을 피할 수 있고 상기 고정앵커가 인체에 주는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ly,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fixation functioning as a fixation source for tooth movement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by a single operation by the evacuation unit which rejoins the osteotomy site of the jawb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application of a separate procedure and parts for installing the fixed anchor, and the burden of the fixed anchor on the human body can be minimized.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치열교정시 치아이동이나 치아의 함입, 또는 정출방지 등의 고정원 기능을 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간단한 작업에 의해 턱뼈의 절골부위를 재결합하는 악고정유닛에서 쉽게 분리되어 구강에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시술이 간편하다.Third,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fixation functioning as a fixed source such as tooth movement, tooth penetration, or detachment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nstructed by re- It is easy to remove because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xed unit and removed from the mouth.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에 의하면,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턱뼈의 절골부위를 재결합하는 악고정유닛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가 용이하며, 설치위치나 치료목적 등에 따라 악교정 수술기구의 설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erectile unit for re-joining the osteotomy site of the jawbon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가 턱뼈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에 치열교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악고정유닛에서 치열교정용 고정앵커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악고정유닛에서 치열교정용 고정앵커가 분리되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치열교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에 치열교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5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n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jawbone.
FIG. 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thodontic appliance is connected to an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an erectile uni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separated and removed in an erectile unit of an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orthodontic procedure. FIG.
7 is another example of a state of use in which an orthodontic appliance is connected to an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third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fourth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fifth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1 to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가 턱뼈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에 치열교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mbodiment),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an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to a jawbone And FIG. 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thodontic appliance is connected to an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제1실시예는, 악교정 수술시에 절골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악고정유닛(110)과 상기 악고정유닛(110)에 구비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first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rectile unit 110 for fixing an osteotomy site during orthognathic surgery, And a fixed anchor 120 for orthodontic correction.

상기 악교정 수술은, 상악(골)이나 하악(골)의 성장이 정상에서 벗어나 과잉, 부족, 혹은 비대칭적인 상태일 때, 이러한 형태와 크기의 변이를 바로잡는 수술을 말한다. The orthognathic surgery refers to a surgery that corrects such variations in shape and size when the growth of the maxilla (bone) or mandible (bone) deviates from normal and is in an excess, deficiency, or asymmetry state.

상기 악교정 수술시에는 턱뼈(10, 20)의 교정을 위하여 턱뼈, 즉 상기 상악(위턱, 10) 및/또는 하악(아래턱, 20)의 소정부위에 대한 절골이 수행되는데, 상기 턱뼈의 절골부위(절골선을 기준으로 분할된 턱뼈들)는 수술의 목적과 종류 및 수술조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During the orthognathic surgery, an osteotomy is perform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jawbone, that is, the upper jaw (10) and / or the lower jaw (20) for correcting the jawbone (10, 20) The jawbone divided based on the osteotomy lin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kind of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condition.

그리고 상기 턱뼈(10, 20)의 절골부위는 턱뼈의 교정후에 재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턱뼈의 재결합을 위하여 상기 악고정유닛(110)이 상기 턱뼈에 결합된다. The osteotomy site of the jawbone 10, 20 is reassembled and fixed after the jawbone is calibrated. In order to rejoin the jawbone, the mal rigid unit 110 is coupled to the jawbon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악교정 수술을 위하여 상악수술과 하악수술 중 어느 하나의 수술만이 시행되거나, 심한 경우 상악수술과 하악수술을 모두 실시하는 양악수술이 시행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only one of the maxillary surgery and mandibular surgery may be performed for the orthognathic surgery, or, in severe cases, the maxillary surgery and the mandibular surgery may be performed.

다시 말해서, 상기 악교정 수술을 통해 윗니와 아랫니가 교합되고 안면이 심미적으로 교정될 수 있도록, 상악(10) 및/또는 하악(20)의 소정부위가 절골되어 절골선(30)이 형성되고 상기 절골선(30)을 기준으로 턱뼈의 교정이 시행된 후에 상기 절골부위의 재결합 및 고정이 시행되는데, 상기 악고정유닛(110)이 상기 턱뼈에 고정되어 상기 악교정 수술시에 절골된 턱뼈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절골부위를 재결합 및 고정하게 된다.In other words,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upper and / or lower jaws 20 are osteotomized to form the osteotomy line 30 such that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are occluded and the facial surface is aesthetically corrected by the orthognathic surgery, After the jawbone is calibrated on the basis of the line 30, the osteotomy site is reassembled and fixed. The jawbone 110 is fixed to the jawbone so that the jawbone is not moved during the orthognathic surgery. And the bony portions are recombined and fixed.

상기 악고정유닛(110)은 이물감이 최소화되도록 납작한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악고정 몸체(111)와 상기 악고정 몸체(11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사홀(112)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l rigid unit 110 is a flat plate so as to minimize a foreign object. In this embodiment, the mal rigid unit 110 includes a mal rigid body 111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112 formed in the mal rigid body 11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고정 몸체(111)에는 4개의 나사홀(112)들이 형성되고, 상기 악고정 몸체(111)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된 얇은 일자 플레이트(111a)의 양단부에 'V' 형상의 가지(Branch, 111b)가 하나씩 대칭형으로 일체화된 형상을 가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crew holes 112 are formed in the fixed body 111, and a V-shape (not shown) is formed at both ends of a thin flat plate 111a in which the fixed body 111 is substantially straight. Are symmetrically integrat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악고정 몸체(111)의 네 갈래 가지(111b)의 단부(End Portion)에 상기 나사홀(112)이 하나씩 형성되나, 상기 나사홀(112)의 수와 상기 악고정 몸체(111)의 형상이 본 실시예에 개시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악고정유닛(11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threaded holes 112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four branches 111b of the body 111 so that the number of the threaded holes 112 and the number of the threaded holes 112 can be reduced, The shape of the fixing unit 110 is not limited to that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malfunction fixing unit 110. [

상기 악고정 몸체(111)는 복수개의 스크류(130)들에 의해 상기 턱뼈에 결합되어 상기 절골부위를 상호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스크류(130)들은 상기 복수개의 나사홀(112)들을 통해 턱뼈에 식립되어 상기 악고정 몸체(111)를 상기 턱뼈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The malleable body 111 is coupled to the jawbone by a plurality of screws 130 to fix the osteotomies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crews 130 are inser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crew holes 112, So that the fastening body 111 is firmly attached to the jawbone.

이때 상기 악고정유닛(110)은 턱뼈의 교정 형상에 맞게 절곡(벤딩; Bending)되어 상기 절골부위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턱뼈의 교정 형상에 맞추어 단차진 형상이 되도록, 상기 악고정 몸체(111)의 일측과 타측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절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악고정유닛(110)이 상기 절골부위에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mal rigid unit 110 is bent (bent) in accordance with the calibrated shape of the jawbone and is coupled to the bony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body 111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so as to have a stepped shape in conformity with the calibrated shape of the jawbone, and the fastening unit 110 Is fixed to the above-mentioned bony area.

상기 악고정유닛은 시술과정에서 시술자에 의해 절곡될 수도 있고, 절곡된 제품상태로 치과에 공급될 수도 있다. The mal rigid unit may be bent by a practitioner in a procedure, or may be supplied to the dentist in a bent state.

다음으로 상기 치열교정용 고정앵커(120)는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악고정유닛(110)과 함께 턱뼈에 정착되어 치아의 바른 배열을 위한 치열교정장치(5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치아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고정원으로 작용한다. Next, the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appliance 120 is provided for imparting an orthodontic force to the teet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fixed to the jawbone together with the mal rigid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50 for correct arrangement of the teeth, It serves as a fixture that provides orthodontics to the teeth.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앵커(120)는 시술자의 치아의 함입을 유도하거나 정출을 방지하거나 치열을 이동 등과 같은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력을 제공하는 고정원의 기능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fixed anchor 120 serves as a fixation source for providing an orthodontic for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such as induction of a tooth of a practitioner, prevention of crystallization, or movement of a tooth.

치의학 분야에서는 상기 치열교정장치(50)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치열교정장치(50)의 예로는 치아들(10a, 10b, 20a, 20b)에 고정되는 브라켓(51)들과 상기 브라켓(51)들을 연결하는 와이어(52)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고정앵커(120)는 상기 치열교정장치(50)에 연결되어 치아의 이동이나 함입을 유도하거나 정출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In the dental field, various structures are appli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50. Example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50 include brackets 51 fixed to the teeth 10a, 10b, 20a and 20b, A wire 52 for connecting the wires 51 to each other, and the like. The fixed anchor 120 of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5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inducing movement or insertion of teeth,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앵커(120)는 상기 악고정유닛(110)과 함께 턱뼈에 고정된 상태에서 교정부재, 예를 들면 탄성체(61, 도 3 참조)나 와이어(62, 도 6 참조) 등에 의해 상기 치열교정장치에 고정앵커(120)에 연결된다. The fixed anchor 120 may be fixed to the jawbone together with the mal rigid unit 110 by a correcting member such as an elastic member 61 (see FIG. 3) or a wire 62 (see FIG. 6) And is connected to the fixation anchor 120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상기 치열교정장치(50)의 각 구성 및 기능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에 해당되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Since each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50 corresponds to what is general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탄성체(61)의 예로는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이 있으며, 상기 고정앵커(120)는 상기 탄성체(61)나 와이어(62) 등과 같은 교정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걸이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ed anchor 120 includes a hook 121 for connection with a calibrating member such as the elastic body 61 or the wire 62, do.

여기서, 상기 걸이부(121)는 후크형상이나 링형상 고리, 튜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61)나 와이어(62)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부(121)로서 후크(hook)를 개시한다.The hook portion 1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ook shape, a ring shape, a tube shape, or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61 or the wire 62. In this embodiment, And starts a hook as a part 121.

그리고 상기 고정앵커의 걸이부(121)는 앵커 몸체(12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앵커 몸체(122)는 상기 악고정유닛(11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 몸체(122)는 상기 악고정유닛(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결된다.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가 턱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121)는 상기 교정부재(61, 62)와 연결을 위하여 잇몸의 외부로 노출된다. The anchoring part 121 of the fixed ancho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nchor body 122, and the anchor body 122 is provided in the erecting unit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chor body 12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l rigid unit 110. In a state where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is coupled to the jawbone, the hooking part 1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for connection with the orthodontic member 61, 62.

상기 앵커 몸체(122)는 상기 악고정유닛(1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악고정 몸체(11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치아(또는 치열교정장치)와 상기 걸이부(121) 사이의 거리를 줄이며, 상기 고정앵커(120)는 상기 악고정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chor body 122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al rigid unit 110, more specifically, the mal rigid body 111 to define a distance between the teeth (or orthodontic appliance) and the hanger 121 And the fixed anchor 12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l rigid unit 110. [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앵커(120)는 상기 치아의 교정치료에 사용된 후에 상기 악고정유닛(110)에서 분리되어 구강 외부로 제거됨으로써,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In other words, after the fixed anchor 120 is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teeth, it is separated from the mal rigid unit 110 and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oral cavity, thereby minimizing the foreign body sensa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120)는 상기 악고정유닛(110)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앵커(120)가 상기 악고정유닛(110)에서 분리되어 구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악고정유닛(110)과 상기 고정앵커(120)의 연결부분에는 파단을 위한 분리홈(123)이 형성된다. The fixed anchor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l rigid unit 110 so that the fixed anchor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l rigid unit 110 and removed from the mouth. A separation groove 123 for breaking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al rigid unit 110 and the fixed anchor 120.

상기 분리홈(123)의 예로는 응력집중을 가져오는 노치(Notch)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앵커(120)에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앵커(120)가 파단에 의해 상기 악고정유닛(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xed anchor 120, the fixed anchor 120 is broken by the breaking of the force of the fixed unit 110 ). ≪ / RTI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가 턱뼈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악수술에 의해 아래턱(하악)의 정면에 설치된 상태로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면은 상기 악교정 수술기기구가 턱뼈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jawbone, more specifically,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jaw (mandible) by the mandibular opera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state where the device is installed on the jawbon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술자(치과의)는 턱뼈의 교정(악교정)을 위해 하악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잇몸을 절개하고 하악(20)을 절골하여 절골된 골조직을 원하는 형태로 교정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practitioner (dentist) cuts the gums of patients who require mandibular surgery for correcting the jawbone, and corrects the mandibular bone 20 to a desired shape by osteotomy.

그리고 상기 하악의 절골부위(21, 22)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100)를 턱뼈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절골부위(21, 22)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악고정 몸체(111)를 상기 턱뼈의 소정위치(예를 들면 정중앙)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130)들을 턱뼈에 박아 상기 악고정유닛(110)을 결합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앵커(120)가 상기 악고정유닛(110)과 함께 상기 턱뼈에 정착된다.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100 is coupled to the jawbone so that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21 and 22 do not move. At this time, in order to fix the osteotomy sites 21 and 22, the screws 130 are inserted into the jawbone in a state in which the malicious fixing body 111 is aligned with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jawbone, Unit 110 so that the fixed anchor 120 is fixed to the jawbone together with the mal rigid unit 110. [

상기 하악의 절골방식과 상기 악고정 몸체(111)의 결합위치는 시술자의 악교정 계획 및 치아교정계획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앵커의 걸이부(121)는 상기 잇몸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121)에는 상기 교정부재, 예를 들면 상기 탄성체(61)가 연결되어 치아 교정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hooking part 121 of the anchoring anch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and the hooking part 121 of the anchoring anch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 In addition, the orthodontic member,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61 is connected to the hook 121 to provide a pulling force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100)를 하악(20)의 정면에 설치하여 하악의 절골부위(21, 22)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앵커(120)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체(61)를 연결하여 치아의 함입, 특히 전치(20a)의 함입을 유도하도록 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1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ndible 20 to fix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s 21 and 22, and an elastic body 61 such as a rubber string is connected to the fixed anchor 120 So as to induce the penetration of the tooth, particularly the incision of the anterior teeth 20a.

다음으로 상기 치아교정 치료가 끝난 후에는 상기 고정앵커(120)를 구강에서 제거하는데, 잇몸의 국소마취하에서 상기 고정앵커(120)를 도 4에서와 같이 전후 또는 좌우로 꺽어주거나 비틀어주면 상기 분리홈(123)이 파단되면서, 상기 고정앵커(120)가 상기 악고정유닛(1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앵커(120)를 구강 외부로 제거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악고정유닛(110)만 턱뼈(하악의 절골부위)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Next, when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completed, the fixed anchor 120 i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When the fixed anchor 120 is bent or twisted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4 under local anesthesia of the gum, The fixed anchor 120 is detached from the mal rigid unit 110 while breaking the fixing anchor 120. When the fixed anchor 120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nly the mal rigid unit 110 is coupled to the jawbone (mandibular osteotomy site)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100)는 인체에 무해하고 거부반응이 없거나 낮은 재질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티타늄(Titanum) 베이스의 재질, 특히 티타늄 G4 재질을 개시한다.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materi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no rejection reaction or a low material. In this embodiment, a titanium based material, in particular, a titanium G4 material is disclosed.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치료 목적이나 방식 등 기타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치열고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치열교정장치가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의 시술 위치도 시술방법 및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as described below, and may be applied to a dental fixation device having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other conditions such as a treatment purpose,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lso, the position of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and purpose of the operation.

도 6은 악교정과 함께 수행되는 교정치료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a)단계에서와 같이 부정적 배열 상태의 치아를 교정하는 동시에 악교정을 수행하여 (b)단계를 거쳐 (c)단계로 치료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correction treatment process performed with a rough correction. As shown in step (a), a tooth having a negative arrangement state is corrected while a rough correction is performed. Show the process.

그리고 도 7은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의 일 실시예가 치아의 정출, 특히 전치의 정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하악의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적용된 예이다.7 is an example in which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is applied so as to function to fix the mandibular osteotomy site while preventing the dentition, particularly the anterior teeth, from being deteriorated.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가 하악의 정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아랫니의 전치(20a)가 와이어(62)와 같은 구속형 교정부재에 의해 상기 걸이부(121)와 치열교정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치열교정과정 중에 상기 전치(20a)의 정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is fixed to the front face of the mandible, the anterior teeth 20a of the lower teeth are connected with the hanger 121 and the orthodontic appliance by a restricting member such as a wire 6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ision of the incisor 20a during the orthodontic correction process.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기구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는 설치위치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 개시된 이외에도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shown in FIGS. 8 to 11,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func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can be changed to other shap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턱뼈를 고정하는 악고정유닛과 치열교정을 위한 고정앵커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가 쉽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즉 얇은 플레이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구부리는 등의 제조공정을 통해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가 제조될 수도 있고, 원하는 형상으로 디자인된 틀에 넣고 찍어내는 방식 등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Since an erectile unit for fixing the jawbone and a fixed anchor for orthodontic correction are integrally forme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hat is, the orthopedic surgical instrument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cutting a thin plate into a desired shape and bending, or may be manufactured by a variety of other methods such as a method of putting in a frame designed in a desired shape and taking a picture.

도 8에 도시된 악교정 수술기구(200)는 주로 하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악고정유닛(210)과 고정앵커(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200 shown in FIG. 8 is mainly applied to the mandible, and includes the mal rigid unit 210 and the fixed anchor 2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악교정 수술기구(200)는 하악수술 후에 절골부위를 고정하도록 아래턱에 결합되어 절골부위의 재결합을 수행하는 동시에 치열교정용 고정원, 예를 들면 치아의 함입을 유도하거나 정출을 방지하거나 치열을 이동 등과 같은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력을 제공하는 고정원의 기능을 한다.
Accordingly, the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lower jaw so as to fix the osteotomy site after the mandibular operation, performs the rejoining of the osteotomy site, and at the same time induces the fixation sour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t functions as a fixed circle to provide correction force for orthodontic prevention such as prevention of digestion or movement of teeth.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악(10)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의 악교정 수술기구들의 예(300, 400, 500)를 나타낸 것이다.9 to 11 illustrate examples of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s 300, 400, and 500 of a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maxilla 10.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악고정유닛(310, 410, 510)과 고정앵커(320, 420, 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악교정 수술의 목적 및 시술방식 기타 시술자의 계획에 따라 상악의 정면이나 측면 등에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적용될 수 있다.These embodiments include mal rigid units 310, 410, 510 and fixed anchors 320, 420, 520, respective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and method of orthognathic surgery,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face or the side face of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lan of FIG.

도 9에 도시된 악교정 수술기구는 고정앵커(320)가 하향 설치되도록 상악(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악고정기능과 동시에 치열교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악교정 수술기구는 윗니의 구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악(10)에 결합되어 악고정기능과 동시에 치열교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shown in FIG. 9 may b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jaw 10 so that the anchoring anchor 320 is installed downward to perform the orthodontic function and the orthodontic function simultaneously. As shown in FIG. 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jaw 1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lar of the upper teeth so as to perform the orthodontic function and the orthodontic function simultaneously. However,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만 상악(10)에 적용되는 악교정 수술기구는 하악(20)에 적용되는 것에 비해 상하 폭이 좁은 악교정 수술기구가 적용될 수가 있다. However, the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pplied to the upper jaw 10 may be applied to an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narrower upper and lower width than that applied to the mandible 2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상악 20: 하악
10a, 10b, 20a, 20b: 치아
21, 22: 절골부위 30: 절골선
50: 치열교정장치 51: 브라켓
100, 200, 300, 400, 500: 악교정 수술기구
110, 210, 310, 410, 510: 악고정유닛
120, 220, 320, 420, 520: 고정앵커
111: 악고정 몸체 112: 나사홀
121: 걸이부 122: 앵커 몸체
10: maxilla 20: mandible
10a, 10b, 20a, 20b: teeth
21, 22: osteotomy site 30: osteotomy line
50: orthodontic appliance 51: bracket
100, 200, 300, 400, 500: orthognathic surgery instrument
110, 210, 310, 410, 510:
120, 220, 320, 420, 520: Fixed anchor
111: Fixing body 112: Screw hole
121: hook part 122: anchor body

Claims (8)

턱뼈에 결합되어 악교정 수술의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유닛; 그리고
상기 악고정유닛에 의한 상기 절골부위의 고정과 함께 치열교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악고정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악고정유닛과 함께 구강에 설치되는 치열교정용 고정앵커(Anchorag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An erectile unit coupled to the jawbone to fix the osteotomy site of the orthognathic surgery; And
And an anchorage for orthodontic fixa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mal rigid unit and installed in the mouth together with the mal rigid unit so that the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fixation of the bite area by the mal rigid unit Orthopedic surgical instruments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ancho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l rigid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 몸체와,
상기 치열교정을 위한 교정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 몸체에 구비되어 잇몸의 외부로 노출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xed anchor comprises:
An anchor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l rigid unit,
And a hook portion provided on the anchor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m so that the orthodontic member for orthodontic correction is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후크(hoo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oking portion includes a hook.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악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xed anchor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l rigid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가 파단에 의해 상기 악고정유닛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악고정유닛과 상기 고정앵커의 연결부분에는 파단을 위한 분리홈이 형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eparation groove for fracture is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xed unit and the fixed anchor so that the fixed anchor is separated from the fixed unit by break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고정유닛은;
복수개의 스크류들에 의해 상기 턱뼈에 결합되어 상기 절골부위를 고정하는 악고정 몸체와,
상기 악고정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들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악교정 수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l rigid unit includes:
A malleable body coupled to the jawbone by a plurality of screws to fix the bones,
And a plurality of screw holes formed in the malleable body to fasten the scre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는, 치열교정장치에 연결되어서 전치부의 함입을 유도하거나 정출을 방지하거나 치아의 이동을 유도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악교정 수술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anchor is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for inducing the insertion of the anterior portion, preventing the elongation or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teeth.
KR1020100029733A 2010-04-01 2010-04-01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KR101129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33A KR101129111B1 (en) 2010-04-01 2010-04-01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PCT/KR2011/002266 WO2011122898A2 (en) 2010-04-01 2011-04-01 Orthognathic surg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733A KR101129111B1 (en) 2010-04-01 2010-04-01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29A KR20110110429A (en) 2011-10-07
KR101129111B1 true KR101129111B1 (en) 2012-03-23

Family

ID=4471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733A KR101129111B1 (en) 2010-04-01 2010-04-01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9111B1 (en)
WO (1) WO2011122898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0430A (en) * 2013-04-04 2014-10-27 康寛 斉宮 Orthodontic implant ji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96A (en) * 1996-10-10 1997-01-21 전윤식 Dental Orthodontics
WO2004049967A1 (en) 2002-12-02 2004-06-17 Masato Ueno Molded article for dental use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KR100814509B1 (en)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s device generating cyclic tensility
KR20090085618A (en) * 2006-10-10 2009-08-07 오름코 코포레이션 Orthodontic anterior open-bite spl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196A (en) * 1996-10-10 1997-01-21 전윤식 Dental Orthodontics
WO2004049967A1 (en) 2002-12-02 2004-06-17 Masato Ueno Molded article for dental use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KR20090085618A (en) * 2006-10-10 2009-08-07 오름코 코포레이션 Orthodontic anterior open-bite splint
KR100814509B1 (en) 2007-02-12 2008-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s device generating cyclic tens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0429A (en) 2011-10-07
WO2011122898A2 (en) 2011-10-06
WO2011122898A3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lina et al. Maxillary distraction: aesthetic and functional benefits in cleft lip-palate and prognathic patients during mixed dentition
US8662889B2 (en) Arch bars for use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s
JP3751562B2 (en) Rapid orthodontic orthodontic method by cortical osteotomy and its orthodontic appliance
KR101919909B1 (en) Functional dentofacial orthopedic apparatus
US20050159754A1 (en) Periosteal distraction bone growth
US6227861B1 (en) Preformed mandibular splint
JPH0710267B2 (en) Oral protection device for muscle expansion
TWM615022U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592421B1 (en) Orthodontic appliance
US9517087B2 (en) Bone fixation system and methods
Perillo et 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diagnosis and treatment
KR101129111B1 (en) Surgical Apparatus For Orthognathic Surgery
KR101094139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Vatsa et al.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on self-drilling screws and Erich arch bars in mandibular fractures
KR101597669B1 (en) Apparatus for inducing respiration
Azzaldeen et al. Cleft Lip and Palate: Clinical Update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Storum et al. Implant-osseous osteotomy for correction of the misaligned anterior maxillary implant
KR101158726B1 (en) Instrum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11875Y1 (en) Supporting device for monent resisting orthdontic microimplan
KR200456280Y1 (en) The plat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corticotomy
Nowak et al. Treatment options and limitations in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Prakash et al. Slow expansion in cleft patient with quad-helix
KR20170050468A (en) Orthodontic plate fixed on the ramus
Mohammed A Project Submitted to the College of Dentistry, University of Baghdad, Department of Orthodontics in Partial Fulfillment for the Bachelor of Dental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