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975B1 -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975B1
KR101128975B1 KR1020100012316A KR20100012316A KR101128975B1 KR 101128975 B1 KR101128975 B1 KR 101128975B1 KR 1020100012316 A KR1020100012316 A KR 1020100012316A KR 20100012316 A KR20100012316 A KR 20100012316A KR 101128975 B1 KR101128975 B1 KR 101128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djustment knob
ball member
knob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727A (ko
Inventor
김성관
송진한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송진한
김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한, 김성관 filed Critical 송진한
Priority to KR102010001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9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9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와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및 연결 유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설치구멍을 갖는 하우징, 연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 및 통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삽입구멍을 갖는 볼 부재, 볼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볼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구멍에 결합되고 설치구멍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메인 조절 노브, 볼 부재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메인 조절 노브의 관통구멍을 통해 삽입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로드, 사용자가 조절 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절 로드와 연결되는 서브 조절 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볼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고, 서브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볼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볼 부재의 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량 조절 밸브{FLUID CONTROLLING VALVE}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의 조절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밸브는 유체 라인에 설치되어 다양한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밸브는 온수 공급 배관에 설치되어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은 각 방 제어 시스템으로 불리는 것으로, 각 방마다 별도의 실내 온도조절기를 설치하여 각 방의 실내온도를 따로따로 조절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난방시스템이다.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은 각 방의 난방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밸브를 닫음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은 온수 공급 배관에 온도조절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실내온도 조절기 하나로 보일러뿐만 아니라 각 방의 온도까지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은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각 방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난방 온수 공급 헤더와, 각 방으로부터 배출된 온수를 보일러 쪽으로 환수하기 위한 난방 온수 환수 헤더를 구비하고, 난방 온수 공급 헤더 또는 난방 온수 환수 헤더 쪽에 온수조절 밸브가 설치된다.
온수조절 밸브는 온수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연결된다. 액츄에이터는 실내온도 조절기와 연결된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온수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액츄에이터는 온도 감지방식에 따라 실내기온 감지방식과 환수온도 감지방식으로 구분된다. 실내기온 감지방식은 실내기온을 감지하여 온수조절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난방 온수 순환량을 조절하고, 환수온도 감지방식은 환수온도를 감지하여 온수조절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난방 온수 순환량을 조절한다.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의 온수 공급 라인에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도조절 밸브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는 유량제어 밸브가 설치된다.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온수조절 밸브와 수동으로 제어되는 유량제어 밸브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온수 공급량의 조절 폭을 넓힐 수 있다.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방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온수 공급량의 조절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자동 제어 난방 시스템 이외에도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다양한 유체 장치 및 유체 공급시스템에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체의 유량 조절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설치구멍을 갖는 하우징, 상기 연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 및 상기 통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삽입구멍을 갖는 볼 부재, 상기 볼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볼 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설치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멍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메인 조절 노브, 상기 볼 부재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메인 조절 노브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삽입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로드, 사용자가 상기 조절 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절 로드와 연결되는 서브 조절 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설치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볼 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며 상기 볼 부재의 삽입구멍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로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관통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조절 로드의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조절 로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서브 조절 노브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조절 노브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 조절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눈금을 갖는 눈금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서브 조절 노브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서브 조절 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는 노브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로드에는 암나사산이 마련된 결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조절 노브에는 상기 노브 지지부재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조절 로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 로드의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이 마련된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볼 부재와 상기 메인 조절 노브는 상기 조절 로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비원형의 가이드 구멍을 갖고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로드는 상기 가이드 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비원형의 결합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노브 지지부재는, 상기 서브 조절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메인 조절 노브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로드에는 지시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지시부재의 높이를 확인시키기 위한 복수의 눈금이 상기 조절 로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설치구멍을 갖는 제 1 몸체, 상기 유입구를 갖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볼 부재의 통로를 막는 상기 조절 로드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메인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연결 유로에 설치된 볼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고, 서브 조절 노브를 이용하여 볼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로드를 이동시킴으로써 볼 부재의 통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 조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0)는, 유입부(114)와 유출부(115)를 갖는 하우징(111), 하우징(1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로(136)를 갖는 볼 부재(135), 볼 부재(135)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40) 및 메인 조절 노브(150), 볼 부재(135)의 통로(136)를 개폐하기 위한 조절 로드(160), 조절 로드(160)를 이동시키기 위한 서브 조절 노브(17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111)의 유입부(114)에는 유입구(116)가 마련되고 유출부(115)에는 유출구(117)가 마련된다. 유입구(116)와 유출구(117)는 하우징(111) 내부의 연결 유로(118)를 통해 연결된다. 유입부(114)의 외주면에는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을 위한 수나사산(119)이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11)에는 연결 유로(118)와 연결되는 설치구멍(121)이 형성된 설치부(120)가 구비된다. 설치구멍(121)은 연결 유로(118)와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설치부(1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22)이 마련된다.
하우징(111)은 유출부(115) 및 설치부(120)를 갖는 제 1 몸체(112)와 유입부(114)를 갖는 제 2 몸체(113)로 분리된다. 제 1 몸체(112)의 일단은 제 2 몸체(113)를 향해 개방되고 제 2 몸체(113)의 일단은 제 1 몸체(112)를 향해 개방된다. 제 1 몸체(112)와 제 2 몸체(113)의 결합을 위해 제 1 몸체(112)의 일단에는 암나사산(123)이 마련되고 제 2 몸체(113)의 일단에는 이에 대응하는 수나사산(124)이 마련된다. 제 1 몸체(112)의 개방된 부분은 제 1 몸체(112)의 내부로 볼 부재(1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 부재(135)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 1 몸체(112)와 제 2 몸체(113)의 사이에는 오링(125)이 개재된다.
연결 유로(118)의 중간에는 회전하는 볼 부재(135)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링(126) 및 제 2 가이드 링(129)이 설치된다. 볼 부재(135)는 이들 가이드 링(126)(129)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링(126)(129)은 볼 부재(135)의 외면에 접하는 구면(127)(130)과 연결 유로(118)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관통구멍(128)(131)을 갖는다.
볼 부재(135)는 하우징(111)의 연결 유로(118)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136), 통로(136)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삽입구멍(137), 삽입구멍(137)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결합홈(138)을 갖는다. 결합홈(138)은 연결부재(14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볼 부재(135)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 유로(118)가 개폐되거나 연결 유로(118)의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통로(136)가 연결 유로(118)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연결 유로(118)의 개도량은 최대가 되며, 통로(136)가 연결 유로(118)에서 벗어나면 연결 유로(118)는 차단된다. 그리고 통로(136)와 연결 유로(118) 사이의 각도가 0°에서 90°에 가까워질수록 연결 유로(118)의 개도량은 감소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재(140)는 하우징(111)의 설치구멍(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재(140)와 설치부(120)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145)이 개재된다. 연결부재(140)는 볼 부재(135)와 메인 조절 노브(150)를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부재(140)의 일단에는 볼 부재(135)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141)가 구비되고, 연결부재(140)의 타단에는 메인 조절 노브(150)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142)가 구비된다. 제 1 결합부(141)는 볼 부재(135)의 결합홈(13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결합부(142)는 메인 조절 노브(150)에 마련되는 결합구멍(151)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메인 조절 노브(150)가 회전하면 연결부재(140) 및 볼 부재(135)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연결부재(140)의 중앙에는 조절 로드(16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구멍(1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40)의 내면 일부에는 조절 로드(16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144)이 마련된다. 하우징(111)의 설치구멍(121)에 삽입된 연결부재(140)는 마개 부재(146)에 의해 하우징(111)에 고정된다. 마개 부재(146)는 연결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구멍(147)과 설치부(120)의 수나사산(122)에 대응하는 암나사산(148)을 갖는다.
메인 조절 노브(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140)의 끝단에 결합된다. 메인 조절 노브(150)의 중앙에는 연결부재(140)의 제 2 결합부(142)가 결합되는 결합구멍(151)과 결합구멍(151)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수용홈(152)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메인 조절 노브(150)를 조작하여 볼 부재(135)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로(118)의 개도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조절 노브(150)의 외면에는 복수의 눈금이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된 링 형상의 눈금판(155)이 결합된다. 메인 조절 노브(150)가 연결부재(140)에 결합될 때 수용홈(152)에는 마개 부재(146)가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절 로드(160)는 연결부재(140)의 관통구멍(143)을 통해 볼 부재(135)의 삽입구멍(137)에 삽입된다. 조절 로드(160)와 연결부재(140)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165)이 개재된다. 조절 로드(160)는 볼 부재(135)의 통로(136)에 삽입되어 통로(136)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부(161)를 갖는다. 차단부(161)가 볼 부재(135)의 내면에 접하면 통로(136)가 차단되고, 차단부(161)의 끝단이 볼 부재(135)의 내면에서 이격되면 통로(136)가 열리게 된다. 또한, 차단부(161)의 끝단과 볼 부재(135)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통로(136)의 개도량이 조절된다. 차단부(161)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통로(136)의 개도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조절 로드(160)의 외주면 일측에는 연결부재(140)의 암나사산(144)에 대응하는 수나사산(162)이 마련되어 조절 로드(160)는 연결부재(14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조절 로드(160)의 일측 끝단에는 결합홈(163)이 마련되고, 이 결합홈(163)에 사용자 조작을 위한 서브 조절 노브(170)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조절 노브(170)가 회전하면 조절 로드(160)도 함께 회전하며, 조절 로드(160)가 회전하면 연결부재(140)의 암나사산(144)과 조절 로드(160)의 수나사산(162)의 작용으로 조절 로드(16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서브 조절 노브(170)는 노브 몸체(171)와 노브 몸체(171)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172)를 갖는다. 결합돌기(172)는 조절 로드(160)의 결합홈(16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6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돌기(172)는 연결부재(140)의 관통구멍(143)을 통해 조절 로드(160)의 결합홈(163)에 결합된다. 노브 몸체(171)는 메인 조절 노브(15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눈금판(155)의 중앙에 배치된다. 노브 몸체(171)의 둘레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73)가 마련되고, 노브 몸체(171)의 중앙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조작 기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174)이 마련된다. 서브 조절 노브(170)는 메인 조절 노브(1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캡(17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노브 몸체(171)를 돌려서 조절 로드(16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눈금판(155)에 마련된 눈금을 확인함으로써 조절 로드(160)의 이동 거리, 즉 통로(136)의 개도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100)는 연결부재(140) 및 메인 조절 노브(150)를 이용하여 하우징(111)의 연결 유로(118)에 설치된 볼 부재(135)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로(118)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고, 볼 부재(13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 로드(160)를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유로(118)와 연결되는 볼 부재(135)의 통로(136)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 조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200)는, 유입부(214)와 유출부(215)를 갖는 하우징(211), 하우징(2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통로(236)를 갖는 볼 부재(235), 볼 부재(235)를 회전시키기 위한 메인 조절 노브(240), 볼 부재(235)의 통로(236)를 개폐하기 위한 조절 로드(250), 조절 로드(2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서브 조절 노브(270), 서브 조절 노브(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노브 지지부재(275)를 포함한다.
하우징(211)의 유입부(214)에는 유입구(216)가 마련되고 유출부(215)에는 유출구(217)가 마련된다. 유입구(216)와 유출구(217)는 하우징(211) 내부의 연결 유로(218)를 통해 연결된다. 유입부(214)의 외주면에는 다른 파이프와의 연결을 위한 수나사산(219)이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211)에는 연결 유로(218)와 연결되는 설치구멍(221)이 형성된 설치부(220)가 구비된다. 설치구멍(221)은 연결 유로(218)와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설치부(2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222)이 마련된다.
하우징(211)은 유출부(215) 및 설치부(220)를 갖는 제 1 몸체(212)와 유입부(214)를 갖는 제 2 몸체(213)로 분리된다. 제 1 몸체(212)의 일단은 제 2 몸체(213)를 향해 개방되고 제 2 몸체(213)의 일단은 제 1 몸체(212)를 향해 개방된다. 제 1 몸체(212)와 제 2 몸체(213)의 결합을 위해 제 1 몸체(212)의 일단에는 암나사산(223)이 마련되고 제 2 몸체(213)의 일단에는 이에 대응하는 수나사산(224)이 마련된다. 제 1 몸체(212)와 제 2 몸체(213)의 사이에는 오링(225)이 개재된다.
연결 유로(218)의 중간에는 회전하는 볼 부재(235)를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링(226) 및 제 2 가이드 링(229)이 설치된다. 볼 부재(235)는 이들 가이드 링(226)(229)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링(226)(229)은 볼 부재(235)의 외면에 접하는 구면(227)(230)과 연결 유로(218)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관통구멍(228)(231)을 갖는다.
볼 부재(235)는 하우징(211)의 연결 유로(218)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236) 및 통로(236)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삽입구멍(237)을 갖는다. 삽입구멍(237)은 비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볼 부재(235)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 유로(218)가 개폐되거나 연결 유로(218)의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통로(236)가 연결 유로(218)와 평행하게 배치될 때 연결 유로(218)의 개도량은 최대가 되며, 통로(236)가 연결 유로(218)에서 벗어나면 연결 유로(218)는 차단된다. 그리고 통로(236)와 연결 유로(218) 사이의 각도가 0°에서 90°에 가까워질수록 연결 유로(218)의 개도량은 감소하게 된다.
메인 조절 노브(240)는 설치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조절 노브(240)의 중앙에는 조절 로드(250)의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241)과 관통구멍(241)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수용홈(242)이 마련된다. 메인 조절 노브(240)의 수용홈(242) 둘레에는 암나사산(243)과 한 쌍의 걸림홈(244)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다. 수용홈(242)에는 조절 로드(25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245)가 삽입된다.
가이드 부재(245)는 조절 로드(250)가 삽입되는 비원형의 가이드 구멍(246)과 메인 조절 노브(240)의 걸림홈(244)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247)를 갖는다. 메인 조절 노브(240)와 조절 로드(250)는 가이드 부재(245)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조절 노브(240)가 회전하면 조절 로드(2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조절 로드(250)는 볼 부재(235)와도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메인 조절 노브(240)를 회전시켜 하우징(211)의 연결 유로(218)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절 로드(250)는 설치구멍(2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 로드(250)와 설치부(220)의 내면 사이에는 오링(257)이 개재된다. 조절 로드(250)는 볼 부재(235)의 삽입구멍(237)에 삽입되어 통로(236)를 개폐하는 차단부(251) 및 가이드 부재(245)의 가이드 구멍(24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축(252)을 갖는다.
설치구멍(221)에 삽입된 조절 로드(250)는 설치부(220)에 결합되는 마개 부재(260)에 의해 설치구멍(221)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못한다. 마개 부재(260)는 결합축(252)이 삽입되는 관통구멍(261)을 갖는다. 마개 부재(260)의 내면에는 설치부(220)의 수나사산(222)에 대응하는 암나사산(262)이 마련되어 마개 부재(260)는 설치부(220)에 나사 결합된다.
차단부(251)는 볼 부재(235)의 삽입구멍(237)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삽입구멍(237) 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단부(251)와 볼 부재(235)는 상대 회전할 수 없고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다. 차단부(251)가 볼 부재(235)의 내면에 접하면 통로(236)가 차단되고, 차단부(251)의 끝단이 볼 부재(235)의 내면에서 이격되면 통로(236)가 열리게 된다. 또한, 차단부(251)의 끝단과 볼 부재(235)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통로(236)의 개도량이 조절된다. 차단부(251)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통로(236)의 개도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축(252)은 가이드 부재(245)의 가이드 구멍(246) 형상에 대응하는 비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결합축(252)과 가이드 부재(245)는 상대 회전할 수 없고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다. 결합축(252)의 끝단에는 결합부(253)가 마련되고, 결합축(252)의 중앙에는 결합홈(254)이 형성된다. 결합홈(254)은 서브 조절 노브(27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결합홈(254)의 둘레에는 암나사산(255)이 마련된다. 결합축(252)에는 지시부재(265)가 결합된다. 지시부재(265)는 결합부(25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266)을 가지며, 조절 로드(250)와 함께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조절 로드(250)의 이동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 조절 노브(270)는 노브 몸체(271)와 노브 몸체(271)로부터 돌출된 결합돌기(272)를 갖는다. 노브 몸체(271)의 둘레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273)가 마련된다. 결합돌기(272)의 외주면에는 조절 로드(250)의 암나사산(255)에 대응하는 수나사산(274)이 마련되어 결합돌기(272)는 조절 로드(250)와 나사 결합된다.
서브 조절 노브(270)는 메인 조절 노브(240)에 결합되는 노브 지지부재(27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브 지지부재(275)는 메인 조절 노브(240)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체(276)와 지지체(276)의 끝단에 마련되어 서브 조절 노브(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77)을 포함한다.
지지판(277)의 중앙에는 서브 조절 노브(270)의 결합돌기(272)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78)이 마련된다. 지지체(276)의 외주면 일측에는 메인 조절 노브(240)의 암나사산(243)에 대응하는 수나사산(279)이 마련된다. 지지체(276)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체(276)에는 조절 로드(25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의 눈금이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된다. 노브 지지부재(275)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서브 조절 노브(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서브 조절 노브(270)를 회전시킴으로써 볼 부재(235)의 통로(236)를 개폐하거나 통로(236)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브 조절 노브(270)를 회전시키면 조절 로드(250)가 하강하거나 상승하여 조절 로드(250)의 차단부(251)가 통로(236)를 막거나 통로(236)를 열게 된다. 조절 로드(250)가 움직일 때 지시부재(265)도 함께 움직이므로, 사용자는 노브 지지부재(275)의 눈금과 지시부재(265)를 보면서 조절 로드(250)의 이동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200)는 메인 조절 노브(240)를 이용하여 하우징(211)의 연결 유로(218)에 설치된 볼 부재(235)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 유로(218)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고, 서브 조절 노브(270)를 이용하여 볼 부재(23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 로드(250)를 이동시킴으로써 볼 부재(235)의 통로(236)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유량 조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조절 밸브는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 등 다양한 유체 장치 및 유체 공급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 유량 조절밸브 111, 211 : 하우징
112, 212 : 제 1 몸체 113, 213 : 제 2 몸체
116, 216 : 유입구 117, 217 : 유출구
120, 220 : 설치부 121, 221 : 설치구멍
135, 235 : 볼 부재 136, 236 : 통로
140 : 연결부재 150, 240 : 메인 조절 노브
155 : 눈금판 160, 250 : 조절 로드
161, 251 : 차단부 146, 260 : 마개 부재
170, 270 : 서브 조절 노브 172, 272 : 결합돌기
175 : 보호 캡 245 : 가이드 부재
265 : 지시부재 275 : 노브 지지부재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유입구,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설치구멍이 마련된 설치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연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 및 상기 통로의 중간에 연결되는 삽입구멍을 갖는 볼 부재;
    상기 하우징의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멍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이 중앙에 마련된 메인 조절 노브;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 조절 노브의 관통구멍과 연결되는 비원형의 가이드 구멍을 갖는 가이드 부재;
    상기 볼 부재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볼 부재의 삽입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에서 연장되고 단면 형상이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구멍에 대응하는 비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구멍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축 및 상기 결합축에 구비되고 암나사산이 마련된 결합홈을 갖는 조절 로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덮도록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구멍과 연결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노브 지지부재; 및
    상기 노브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노브 지지부재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조절 로드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의 암나사산에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돌기에 마련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서브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조절 노브가 회전하면 상기 조절 로드를 통해 상기 볼 부재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볼 부재가 회전하고, 상기 서브 조절 노브가 회전하면 상기 서브 조절 노브와 상기 조절 로드의 나사 운동에 의해 상기 조절 로드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지지부재는, 상기 서브 조절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메인 조절 노브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상기 메인 조절 노브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로드에는 지시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지시부재의 높이를 확인시키기 위한 복수의 눈금이 상기 조절 로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출구와 상기 설치구멍을 갖는 제 1 몸체, 상기 유입구를 갖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볼 부재의 통로를 막는 상기 조절 로드의 끝단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KR1020100012316A 2010-02-10 2010-02-10 유량 조절 밸브 KR101128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16A KR101128975B1 (ko) 2010-02-10 2010-02-10 유량 조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16A KR101128975B1 (ko) 2010-02-10 2010-02-10 유량 조절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727A KR20110092727A (ko) 2011-08-18
KR101128975B1 true KR101128975B1 (ko) 2012-03-27

Family

ID=4492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316A KR101128975B1 (ko) 2010-02-10 2010-02-10 유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4876A (zh) * 2016-06-17 2016-08-10 胡俊 一种圆盘抛光机清洗管道阀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641B1 (ko) * 2016-12-15 2018-09-04 주식회사 한화 테이퍼형 유로가 형성된 셔터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KR102207973B1 (ko) * 2020-06-18 2021-01-26 (주)가온텍 급속 여과지의 유량 자동평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4876A (zh) * 2016-06-17 2016-08-10 胡俊 一种圆盘抛光机清洗管道阀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727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757B2 (en) Valv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valve in a fluid conduit
EP1596110B1 (en) Water mixing valve
US7344088B2 (en) Dual-function valve with pressure adjustment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CA2867104C (en) Poppet valve
RU2670003C1 (ru) Клапан разности давления с промыванием
KR100815086B1 (ko) 자동 온도조절 밸브
KR101128975B1 (ko) 유량 조절 밸브
WO2007110859A3 (en) Control valve with integrated insert providing valve seat and plug guides
KR101253666B1 (ko) 유량 조절 밸브
KR20170051012A (ko) 자동유량조절 이중 볼밸브
US9244467B2 (en) Automated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EP2901060B1 (en) Self-aligning valve plug
KR101187045B1 (ko) 유량 조절용 볼 밸브
KR100922006B1 (ko) 차단 밸브 기능이 구비된 유량조절밸브
KR20110092726A (ko) 밸브 조립체
WO2018001233A1 (zh) 出水管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CN109139931B (zh) 一种具有稳压结构的闸阀
WO2004109421A1 (en) Thermostatic mixing valve
JP5648179B2 (ja) 流量調節弁装置
RU2647008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мывания клапана
RU118007U1 (ru) Клапан трехходовой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прибора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KR20100040192A (ko) 자동온도조절밸브
KR102529601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 온수 분배기
KR20080000074A (ko)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