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497B1 - 배낭 - Google Patents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497B1
KR101128497B1 KR1020110089056A KR20110089056A KR101128497B1 KR 101128497 B1 KR101128497 B1 KR 101128497B1 KR 1020110089056 A KR1020110089056 A KR 1020110089056A KR 20110089056 A KR20110089056 A KR 20110089056A KR 101128497 B1 KR101128497 B1 KR 10112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lower side
suspenders
pocket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주)셀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파 filed Critical (주)셀파
Priority to KR102011008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으로, 용량이 다른 복수의 수납부, 멜빵부와 등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는 거치 유닛, 그리고 상기 거치 유닛을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판부와 상기 수납부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등판부를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과 상기 수납부 상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멜빵부의 하부측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낭{knapsack}
본 발명은 배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물건을 넣어서 등에 질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이동 하는 거리에 따라 수납하는 물건의 가지 수가 다르다. 이에 따라 등산 자는 근거리 이동할 때와 장거리 이동할 때에 사용하는 배낭의 용량이 다르다.
이러한 배낭은 통상적으로,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수납부, 수납부에 제봉되어 있고 수납부를 등에 질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과 등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깨끈과 등판의 경우 등산자의 허리 및 어깨를 보호 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어깨끈 등판이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배낭의 원가가 상승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1606 호 (수납량 가변형 배낭) 2004.02.02. 등록특허공보 제 10-0143399 호 (배낭) 1998.04.08. 등록특허공보 제 10-0244534 호 (배낭) 1999.11.22.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106204 호 (배낭) 2004.12.27.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98852 호 (무게분산형 배낭) 2000.07.27.
본 발명은 구입 원가를 절감하고 용량이 가변 가능한 배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낭은, 용량이 다른 복수의 수납부, 멜빵부와 등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는 거치 유닛, 그리고 상기 거치 유닛을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판부와 상기 수납부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등판부를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과 상기 수납부 상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멜빵부의 하부측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배낭은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의 수납부 일면 상부측에 형성되어있고, 상기 등판부의 상부측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낭은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등판부의 상부측을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고정하는 포켓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등판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허리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밴드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재 내지 상기 제4 연결 부재는, 상기 거치 유닛에 연결된 암 버클 및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 버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 버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판부는, 일측에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허리 밴드부가 연결된 시트 부재,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을 상기 시트 부재 또는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멜빵 연결부, 그리고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판부는, 일측에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허리 밴드부가 연결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낭은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을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트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연결부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쿠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유닛을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수납부 중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거치 유닛이 없는 수납부만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거치 유닛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낭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가 분리 결합이 쉬운 버클로 이루어져 거치 유닛과 수납부의 분리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거리 및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용량이 다른 복수의 수납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거치 유닛을 선택된 수납부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낭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교체할 수 있는 배낭을 분리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거치 유닛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낭을 결합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거치 유닛의 등판부가 포켓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거치 유닛의 멜빵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거치 유닛와 수납부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낭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를 교체할 수 있는 배낭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낭(1)은 수납부(10a, 10b), 거치 유닛(20), 그리고 제1 내지 제4 연결 부재(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를 포함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수납부(10a, 10b)는 복수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수납부(10a, 10b)는 용량이 다르다. 예컨대 제1 수납부(10a)는 28L, 제2 수납부(10b)는 35L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용량이 다른 수납부(10a, 10b)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물품의 용량에 맞추어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0a, 10b)는 자루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으며, 내부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수납부(10a, 10b)의 개방된 부분에는 지퍼 따위가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0a, 10b)의 개방된 부분에는 덮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부(10a, 10b)의 전면과 양측면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 주머니(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0a, 10b)의 배면 상부측에는 포켓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포켓부(11)의 양측과 상부측 가장자리는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봉제 따위의 방식으로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포켓부(11)의 하부측은 수납부(10a, 10b)의 배면과 떨어져 있다. 즉, 포켓부(11)의 하부측 가장자리는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봉제되어 있지 않다.
포켓부(11)의 양측과 상부측 가장자리만이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봉제 되어 있으므로 포켓부(11)의 일면과 수납부(10a, 10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포켓부(11)는 용량이 작은 제1 수납부(10a) 보다는 용량이 다소 큰 제2 수납부(10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수납부(10a, 10b)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포켓부(11)와 수납부(10a, 10b)의 상단 사이에는 보강 패널(13)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 패널(13)은 수납부(10a, 10b)의 내부에 위치하며 수납부(10a, 10b)의 상단부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거치 유닛(20)은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등에 지기 위한 것으로, 등판부(21), 멜빵부(22), 그리고 허리 밴드부(23)를 포함한다. 거치 유닛(20)은 연결부(30)로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등판부(21)는 수납부(10a, 10b)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시트 부재(211) 및 지지 부재(212)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211)는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납부(10a, 10b)의 배면과 마주하는 시트 부재(211)의 일면 상부측에는 상부 포켓(211a)이 형성되어 있고, 시트 부재(211)의 일면 하부측에는 하부 포켓(21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포켓(211a)이 형성된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 부분은 포켓부(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부재(211)의 타면은 배낭(1) 착용자의 등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부재(211)의 내측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포켓부(11)로 삽입된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이 포켓부(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포켓부(11)의 내부면과 시트 부재(211)의 타면 상부측 사이에는 포켓 고정부(12)가 배치되어 있다.
포켓 고정부(12)는 벨크로(Velcro)로 형성되어 있다. 벨크로의 꺼끌꺼끌한 부분은 포켓부(11)에 결합되고 있고 벨크로의 부드럽게 만들어진 부분은 시트 부재(211)에 결합되어 있다. 벨크로로 형성된 포켓 고정부(12)에 의하여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은 포켓부(11)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포켓(211b)과 수납부(10a, 10b)의 배면 하부측 사이에는 시트 부재(211)를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31a, 31b)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31a, 31b)는 벨크로(Velcro)로 형성되어 있다. 벨크로의 꺼끌꺼끌한 부분은 하부 포켓(211b)의 겉 표면에 결합되어 있고 벨크로의 부드럽게 만들어진 부분은 수납부(10a, 10b)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크로로 형성된 제1 연결 부재(31a, 31b)에 의하여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은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하부측에 견고히 고정되면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은 제1 연결 부재(31a, 31b)와 더불어 시트 연결부(211c)에 의하여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시트 연결부(211c)는 수납부(10a, 10b)의 배면과 저면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소정의 넓이를 갖는다. 소정의 넓이를 갖는 시트 연결부(211c)는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 타면을 감싸게 된다. 시트 연결부(211c)의 일면과 시트 부재(211)의 타면이 접하는 부분에는 벨크로(211c-1)가 형성되어 있다. 벨크로(211c-1)에 의하여 시트 연결부(211c)는 시트 부재(2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연결부(211c) 부분이 착용자의 허리 부분에 위치하므로 시트 연결부(211c)에는 쿠션부(211d)가 형성된다. 쿠션부(211d)는 스펀지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12)는 등판부(21)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트 부재(211)와 수납부(10a, 10b)의 배면 사이에 배치되어 수납부(10a, 10b)의 중량에 의하여 시트 부재(2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부재(212)의 상부측이 시트 부재(211)의 상부 포켓(211a)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측이 시트 부재(211)의 하부 포켓(211b)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212)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일면이 시트 부재(211)와 마주하는 패널(212a)과, 패널(212a)의 타면에 고정된 금속 프레임(212b)을 포함한다.
금속 프레임(212b)은 패널(212a)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평바(213a, 213b)와 패널(2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한 쌍의 수평바(213a, 213b)를 연결하는 수직바(214)를 포함한다. 수평바(213a, 213b)와 수직바(214)는 경량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213a, 213b) 부분은 상부 포켓(211a)과 하부 포켓(211b) 부분에 위치한다. 상부 포켓(211a) 부분에 위치한 수평바(213a, 213b)는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 포켓(211b) 부분에 위치한 수평바(213a, 213b)는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수직바(214)는 시트 부재(211)가 길이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며, 수납부(10a, 10b)의 방향으로 활 형태로 굽어져 있다. 이에 따라 패널(212a) 또한 수납부(10a, 10b) 방향으로 활 형태로 굽어져 있다.
수직바(214)에 의하여 패널(212a)이 활 형태로 굽어지므로 패널(212a)과 시트 부재(211) 사이에는 통풍 공간(21a)이 형성된다. 통풍 공간(21a)으로 유입된 공기는 시트 부재(211)의 구멍을 통하여 배낭(1) 착용자의 등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프레임(212b)은 수납부(10a, 10b)의 중량에 의하여 등판부(21)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금속 프레임(212b)에 의하여 등판부(21)는 사용자가 배낭(1)을 메었을 때 수납부(10a, 10b)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 부재(212)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 부재(211)만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판부(21)는 생략될 수도 있다.
멜빵부(22)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시트 부재(211)의 타면 상부측에 봉제 방식으로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이 포켓부(11)로 삽입되므로 멜빵부(22)는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 가장자리에서 하부측 방향으로 소정 걸이 떨어져 시트 부재(211)의 타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멜빵부(22)가 시트 부재(211)에 고정된 부분은 포켓부(11)의 하부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멜빵부(22)의 상부측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에 암 버클과 수 버클로 이루어진 제1 멜빵 연결 버클(221a, 221b)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멜빵부(22)가 시트 부재(2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시트 부재(211)에서 분리된 멜빵부(22)를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기 위하여 수납부(10a, 10b)의 배면 상부측에는 암 버클로 이루어진 제2 멜빵 연결 버클(2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2 멜빵 연결 버클(222)에는 멜빵부(22)에 결합된 제1 멜빵 연결 버클(221b)이 결합될 수 있다.
멜빵부(22)는 스냅 단추, 지퍼 따위로 시트 부재(211), 수납부(10a, 10b)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멜빵부(22)의 상부측을 수납부(10a, 10b)에 직접 연결할 경우 등판부(21)의 사용은 생략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한편, 시트 부재(211)에 결합된 멜빵부(22)는 수납부(10a, 10b)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멜빵부(22)의 상부측 가장자리에서 하부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부분은 연결부(30)의 제2 연결 부재(32a, 32b)로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멜빵부(22)의 하부측은 연결부(30)의 제3 연결 부재(33a, 33b)로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멜빵부(22)는 사용자의 어깨에 위치한다.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하기 위하여 멜빵부(22)는 쿠션을 갖는다.
허리 밴드부(23)는 시트 부재(211)의 하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다. 허리 밴드부(23)는 양단부가 상호 분리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허리 밴드부(23)의 분리된 양단부에는 허리 버클(231a, 231b)이 설치되어 있다. 허리 버클(231a, 231b)은 암 버클 및 수 버클로 이루어져 있다. 수 버클은 암 버클에 끼움 결합되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허리 밴드부(23)는 연결부(30)의 제4 연결 부재(34a, 34b)로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30)의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32a, 32b, 33a, 33b, 34a, 34b)에 대하여 설명한다.
멜빵부(22)의 상부측을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의 제2 연결 부재(32a, 32b), 멜빵부(22)의 하부측을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연결부(30)의 제3 연결 부재(33a, 33b), 그리고 허리 밴드부(23)와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연결 부재(34a, 34b)는 분리 결합이 간편한 암 버클과 수 버클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연결 부재(32a, 32b)의 암 버클은 멜빵부(22)의 상부측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고, 암 버클에 분리 결합되는 제2 연결 부재(32a, 32b)의 수 버클은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3 연결 부재(33a, 33b)의 암 버클은 멜빵부(22)의 하부측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고, 암 버클에 분리 결합되는 제3 연결 부재(33a, 33b)의 수 버클은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4 연결 부재(34a, 34b)의 암 버클은 허리 밴드부(23)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고 암 버클에 분리 결합되는 제4 연결 부재(34a, 34b)의 수 버클은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4 연결 부재(34a, 34b)의 암 버클을 허리 밴드부(23)에 연결하는 끈은 허리 밴드부(23)가 시트 부재(211)에 연결된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본원 발명은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32a, 32b, 33a, 33b, 34a, 34b)를 수 버클과 암 버클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32a, 32b, 33a, 33b, 34a, 34b)는 스냅 단추, 클립, 단추 따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위에서 설명한 배낭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이동 거리와 수납할 물품에 따라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수납부(10a, 10b)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거치 유닛(20)을 선택한 수납부(10a, 10b)에 설치한다.
등판부(21)의 시트 부재(211) 상부측을 포켓부(11)에 삽입시켜 포켓 고정부(12)로 시트 부재(211)의 상부측을 포켓부(11)에 고정한다. 그리고 연결부(30)의 제1 연결 부재(31a, 31b)를 이용하여 시트 부재(211)를 수납부(10a, 10b)의 배면에 고정 시킨다. 또한, 시트 연결부(211c)를 이용하여 시트 부재(211)의 하부측을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지지 부재(212)의 상부측이 포켓부(11)에 삽입되어 있어 지지 부재(212)의 상부측과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배낭(1)을 등에 메었을 때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이 뒤로 젖혀지지 않게 된다.
한편, 멜빵부(22)가 시트 부재(211)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경우, 시트 부재(211)를 수납부(10a, 10b)에 연결하지 않고 멜빵부(22)를 제2 멜빵 연결부(30)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등판부(21)의 사용은 생략된다. 등판부(21)의 사용이 생략된 경우 수납부(10a, 10b)의 배면이 착용자의 등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부재(32a, 32b)의 암 버클과 수 버클을 서로 연결하며 암 버클과 수 버클이 결합된 끈을 당겨 멜빵부(22) 상부측과 수납부(10a, 10b)의 상부측 장력을 조절하고, 제3 연결 부재(33a, 33b)의 암 버클과 수 버클을 서로 연결하며 암 버클과 수 버클이 결합된 끈을 당겨 멜빵부(22)의 하부측과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 장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2 연결 부재(32a, 32b)와 제3 연결 부재(33a, 33b)를 이용하여 멜빵부(22)를 수납부(10a, 10b)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더불어, 제4 연결 부재(34a, 34b)의 암 버클과 수 버클을 서로 연결하며, 암 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끈을 당겨 허리 밴드부(23)와 수납부(10a, 10b)의 하부측 장력을 조절한다.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32a, 32b, 33a, 33b, 34a, 34b)의 끈의 장력 조절로 거치 유닛(20)과 연결된 수납부(10a, 10b)는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 유닛(20)을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수납부(10a, 10b) 중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0a, 10b)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거치 유닛(20)이 없는 수납부(10a, 10b)만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거치 유닛(20)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낭(1)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지 제4 연결 부재(32a, 32b, 33a, 33b, 34a, 34b)가 분리 결합이 쉬운 버클로 이루어져 거치 유닛(20)과 수납부(10a, 10b)의 분리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배낭
10a, 10b: 수납부 11: 포켓부 12: 포켓 고정부 13: 보강 패널
20: 거치 유닛
21: 등판부 21a: 통풍 공간
211: 시트 부재 211a: 상부 포켓 211b: 하부 포켓 211c: 시트 연결부 211d: 쿠션부
212: 지지 부재 212a: 패널 212b: 금속 프레임 213a, 213b: 수평바 214: 수직바
22: 멜빵부 221a, 221b: 제1 멜빵 연결 버클 222: 제2 멜빵 연결 버클
23: 허리 밴드부 231a, 231b: 허리 버클
30: 연결부
31a, 31b: 제1 연결 부재 32a, 32b: 제2 연결 부재 33a, 33b: 제3 연결 부재 34a, 34b: 제4 연결 부재

Claims (11)

  1. 용량이 다른 복수의 수납부,
    멜빵부와 등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는 거치 유닛,
    상기 거치 유닛을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일면 상부측에 각각 형성되어있고, 상기 거치 유닛의 등판부 상부측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부
    를 포함하는 배낭.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판부와 상기 수납부가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등판부를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부재,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과 상기 수납부 상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 그리고
    상기 멜빵부의 하부측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배낭.
  3. 제1항에서,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등판부의 상부측을 상기 포켓부의 내부에 고정하는 포켓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낭.
  4. 제2항에서,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등판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허리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허리 밴드부와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낭.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부재 내지 상기 제4 연결 부재는,
    상기 거치 유닛에 연결된 암 버클 및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암 버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 버클
    을 포함하는
    배낭.
  6. 제4항에서,
    상기 등판부는
    일측에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허리 밴드부가 연결된 시트 부재,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을 상기 시트 부재 또는 상기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멜빵 연결부, 그리고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에 결합된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배낭.
  7. 제4항에서,
    상기 등판부는
    일측에 상기 멜빵부의 상부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상기 허리 밴드부가 연결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수납부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에 결합된 지지 부재
    를 포함하는
    배낭.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 상기 시트 부재의 하부측을 상기 수납부의 하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시트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낭.
  9. 제8항에서,
    상기 시트 연결부는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쿠션부를 갖는 배낭.
  10.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금속인 배낭.
  11. 제1항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벨크로(Velcro)인 배낭.
KR1020110089056A 2011-09-02 2011-09-02 배낭 KR10112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56A KR101128497B1 (ko) 2011-09-02 2011-09-02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56A KR101128497B1 (ko) 2011-09-02 2011-09-02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497B1 true KR101128497B1 (ko) 2012-03-28

Family

ID=4614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056A KR101128497B1 (ko) 2011-09-02 2011-09-02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60B1 (ko) * 2014-03-19 2014-10-22 (주)케리비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2184091B1 (ko) * 2020-02-18 2020-11-27 김승호 구명구 기능이 구비된 낚시 가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51A (ja) * 2002-04-26 2003-11-05 Look Inc バックパッキング用のセット
JP2006141567A (ja) * 2004-11-17 2006-06-08 Hideo Kito リュックサ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351A (ja) * 2002-04-26 2003-11-05 Look Inc バックパッキング用のセット
JP2006141567A (ja) * 2004-11-17 2006-06-08 Hideo Kito リュックサ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460B1 (ko) * 2014-03-19 2014-10-22 (주)케리비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2184091B1 (ko) * 2020-02-18 2020-11-27 김승호 구명구 기능이 구비된 낚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087B2 (en) Bag with adjustable strap adapted to be carried on shoulders or back
US8038042B2 (en) Backpack
US3860157A (en) Back pack and frame
US10098440B2 (en) Load-bearing systems
US20120205409A1 (en) Backpack shoulder strap
US10285490B2 (en) Fastener systems
JP2020018822A (ja) 背負いかばん
KR101128497B1 (ko) 배낭
KR101301377B1 (ko) 스마트폰 파우치
US10506867B2 (en) Configurable bag having faceplates
US20130020368A1 (en) Ergonomic backpack
US20090205758A1 (en) Carrying bag
US20190191856A1 (en) Backpack having a vertical holding frame and a support cover
KR101237048B1 (ko) 배낭
KR101274311B1 (ko) 모듈식 배낭 시스템
CN209563694U (zh) 一种背包支撑结构和背包
JP4530816B2 (ja) 背負い式かばん
KR200284167Y1 (ko) 통풍수단이 구비된 배낭
KR20120017176A (ko) 양복 및 신발 수납용 백팩
KR101313304B1 (ko) 상의 어셈블리
JP3222882U (ja) バッグ
KR20130011239A (ko) 조립식 가방
WO2000069305A1 (en) A luggage
KR200346092Y1 (ko) 다용도 인라인 스케이트 배낭
KR20210071726A (ko) 일반보조가방 고정이 가능한 여행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