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411B1 -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411B1
KR101128411B1 KR1020110120508A KR20110120508A KR101128411B1 KR 101128411 B1 KR101128411 B1 KR 101128411B1 KR 1020110120508 A KR1020110120508 A KR 1020110120508A KR 20110120508 A KR20110120508 A KR 20110120508A KR 101128411 B1 KR101128411 B1 KR 10112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hole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일
정경식
임새봄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1012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장치를 통해 해당 위치에 대한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수집함으로써, 정확한 지도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진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촬영장치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를 사용시 촬영장치의 이동장치에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써, 촬영장치의 이동장치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았더라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Image Drawing Update System}
본 발명은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도화기를 통해 도화이미지로 제작되고, 이러한 도화이미지는 수치지도 등의 지도 제작에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항공촬영에 의한 도화작업은 정확한 지형지물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항공촬영에 의해 식별이 어려운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카메라 장치를 통한 직접촬영이 시행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도화이미지는 영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영상정보 도화이미지 제작에 이용된다.
한편, 이러한 도화이미지는 정확한 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다수의 해당 지역을 방문하여, 지형지물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도화이미지를 갱신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시간이 많이 낭비되고, 작업효율 또한 낮았다.
따라서 여러 지형지물의 변화를 통합적으로 확인하여, 도화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정밀하고 안전한 촬영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변화된 지형지물을 수시로 확인하여, 기존의 도화이미지를 갱신함으로써, 정확한 지도 제작이 가능한 한편, 안전하고 편리한 측정장치를 갖는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 형상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부 내측에 안착홈(1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판지지대(120)를 갖춘 본체(100),
원판 형상을 이루며 둘레부가 회전판지지대(120)의 안착홈(1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판(210)과,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카메라지지대(220)를 갖춘 카메라설치부(200),
카메라설치부(200)의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10)과,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회전판(21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20)를 갖춘 회전판회전장치(300),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판회전장치(30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FS),
소화분말이 내장되어,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화재감지센서(FS)가 화재를 감지하면, 소화분말을 회전판회전장치(300)으로 분사하는 소화분말분사장치(EI),
회전판회전장치(300)에 설치되어 회전판(210)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각측정장치(R1),
카메라설치부(200)의 카메라지지대(22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400),
카메라(400)와 연결되는 회전축(510)과, 카메라지지대(220)에 설치되며 회전축(510)과 연결되어 카메라(4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520)를 갖춘 카메라회전장치(500),
카메라회전장치(5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고각을 측정하는 고각측정장치(R2),
본체 베이스(110)의 하부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스프링을 갖추고서 완충작용을 하는 세 개 이상의 완충장치(60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711); 둘레부 하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가압용삽입홀(712);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좌우방으로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가압용삽입홀(713); 제1가압용삽입홀(712)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되 제1가압용삽입홀(712) 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고정용삽입홀(714); 제2가압용삽입홀(713)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고정용삽입홀(715);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고정용삽입홀(714)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3고정용삽입홀(716);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용삽입홀(715)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4고정용삽입홀(717); 하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바퀴노출홀(719); 하부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방되며 수용공간(711)과 연통되어 바퀴노출홀(719)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홀(718)을 갖춘 바퀴설치부(710)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연통되는 가압홀(72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2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21b)과, 제1윤활유라인(72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는 걸림턱(72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21d)를 갖춘 하부판(721);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고정용삽입홀(714) 또는 제3고정용삽입홀(716)과 연통되는 고정홀(722a)을 갖추고서, 하부판(721)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722); 제1활유라인(72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2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23a)과 연통되는 방출홀(72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22)에 대향되게 하부판(72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2측판(723)을 갖춘 제1승강부재(720)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가압용삽입홀(713)과 연통되는 가압홀(73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3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31b)과, 제1윤활유라인(73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는 걸림턱(73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3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31d)를 갖춘 하부판(731);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고정용삽입홀(715) 또는 제4고정용삽입홀(717)과 연통되는 고정홀(732a)을 갖추고서, 하부판(731)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732); 제1활유라인(73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3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33a)과 연통되는 방출홀(73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32)에 대향되게 하부판(73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2측판(733)을 갖추고서, 바퀴노출홀(719)을 중심으로 제1승강부재(72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730)와:
양단이 제1승강부재(720) 및 제2승강부재(730)의 제2측판(722,732)에 각각 설치되되, 제2측판(722,732)의 방출홀(723b,733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740)과:
제1,2승강부재(720,730)의 하부판(721,731)의 윤활유주입부(721d,731d)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제1체크밸브(750)와:
제1,2승강부재(720,730)의 제2측판(723,733)의 방출홀(723b,733b)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외부로 방출되도록만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760)와:
일단부가 라운드 지며 타단부 둘레부에 돌출부(771)가 구비되고,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시 윤활유에 압력을 가하는 개폐구(770)와:
바퀴설치부(710)의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가압홀(721a,731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삽입되어 개폐구(770)를 가압하는 가압구(P)와:
바퀴설치부(710)의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고정홀(722a,732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승강부재(720,730)을 고정하는 고정구(F)와: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승강부재(720)의 하부판(7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1승강부재(72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S1)과: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부재(730)의 하부판(73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2승강부재(73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S2)과:
회전축(7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780):
를 갖추고서 완충장치(6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장치(700),
본체(100)에 설치되는 GPS장치(G),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800)를 갖추고서,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장치(A)와,
촬영장치(A)의 송수신기(800)와 신호를 교신하는 송수신기(11); 촬영장치(A) 및 원격컴퓨터(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12); 촬영장치(A)가 및 원격컴퓨터(10)가 제어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3); 촬영장치(A)의 회전판회전장치(300)?카메라(400)?카메라회전장치(500)?회전각측정장치(R1)?고각측정장치(R1)?GPS장치(G)?송수신기(800) 및 원격컴퓨터(10)의 송수신기(11)?디스플레이장치(12)?입력장치(13)를 작동제어하는 한편, 촬영장치(A)의 최초설치 GPS위치에 따른 좌표를 통해 최초설치위치에서 카메라(400)의 촬영방향이 기준점 좌표를 향하기 위해서 필요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연산하여,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디스플레이장치(12)에 출력하는 한편, 촬영장치(A)의 현재위치에서 촬영장치(A)의 최초위치로부터 측정된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만큼 회전한 카메라(400)를 통해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점촬영대상이 오차범위 안으로 확인될 경우, 카메라(400)가 주변 지형지물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14)를 갖춘 원격컴퓨터(10)와,
원격컴퓨터(10)가 수집한 상기 촬영 영상이미지를 저장하여,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를 포함하는 영상도화장치(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장치를 통해 해당 위치에 대한 정확한 영상이미지를 수집함으로써, 정확한 지도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진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촬영장치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를 사용시 촬영장치의 이동장치에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써, 촬영장치의 이동장치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았더라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X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Y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X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Y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제1,2승강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영상촬영을 위한 다수의 촬영장치(A)와, 각각의 촬영장치(A)를 작동제어하는 원격컴퓨터(10)와, 원격컴퓨터(10)로부터의 촬영영상이미지를 통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도화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장치(A)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카메라설치부(200)와, 카메라설치부(200)와 연동하는 회전판회전장치(300)와, 카메라설치부(200)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FS)와, 화재감지센서(FS)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소화분말분사장치(EI)와, 회전판회전장치(300)에 설치되는 회전각측정장치(R1)와, 카메라설치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400)와, 카메라(400)를 상하 회전시키는 카메라회전장치(500)와, 카메라회전장치(500)에 설치되는 고각측정장치(R2)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완충장치(600)와, 완충장치(600)에 설치되는 이동장치(700)와, GPS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GPS장치(G)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송수신기(800)를 갖추고서,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판 형상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판지지대(120)를 갖춘다. 이때 회전판지지대(120)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에는 외부로 개구된 안착홈(1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10)는 원판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설치부(200)는, 원판 형상을 이루며 둘레부가 회전판지지대(120)의 안착홈(1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판(210)과,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카메라지지대(220)를 갖춘다. 이때 카메라지지대(220)는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회전장치(300)는, 카메라설치부(200)의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10)과,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카메라설치부(200)의 회전판(21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20)를 갖춘다. 이때 구동장치(320)는 본체 베이스(110)의 상부 중심부에 설치되어, 회전축(31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는 모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재감지센서(FS)는,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판회전장치(300)의 화재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FS)는 연기 또는 불빛 등을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소화분말분사장치(EI)는, 소화분말이 내장되어,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화재감지센서(FS)로부터 화재를 수신하면, 소화분말을 회전판회전장치(300)로 분사한다. 이때 소화분말분사장치(EI)는 밸브를 갖추며, 화재감지센서(FS)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고압으로 압축저장된 소화분말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분말은 화재진압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각측정장치(R1)는, 회전판회전장치(300)에 설치되어 회전축(310)의 회전각을 측정하며, 카메라(400)가 향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통상의 것이다. 이때 회전각측정장치(R1)는 좌우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210)의 회전각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각측정장치(R1)는 엔코더 등을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400)는, 카메라설치부(200)의 카메라지지대(22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한다. 카메라(4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회전장치(500)는, 카메라(400)와 연결되는 회전축(510)과, 카메라지지대(220)에 설치되며 회전축(510)과 연결되어 카메라(4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52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장치(520)는 모터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각측정장치(R2)는, 카메라회전장치(5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고각을 측정하며, 카메라(400)가 향하는 방향을 알 수 있는 통상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각측정장치(R2)는 엔코더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장치(600)는, 스프링을 갖추고서, 본체 베이스(110)의 하부 둘레부에 네 개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장치(600)는 일정기준을 넘어서는 압력이 가해질 경우 완충을 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장치(700)는, 완충장치(6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설치부(710)와, 바퀴설치부(710)에 내설되는 제1?2승강부재(720,730)와, 제1?2승강부재(720,730)에 설치되는 회전축(740)과, 제1?2승강부재(720,730)에 내설되는 제1?2체크밸브(750,760) 및 개폐구(770)와, 회전축(740)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압구(P)와, 제1?2승강부재(720,730)를 고정하는 고정구(F)와, 제1?2승강부재(720,730)를 탄발지지하는 제1?2스프링(S1,S2)과, 회전축(7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780)를 갖추고서, 완충장치(600)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600) 및 이동장치(700)는 세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퀴설치부(710)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711); 둘레부 하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가압용삽입홀(712);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좌우방으로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가압용삽입홀(713); 제1가압용삽입홀(712)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되 제1가압용삽입홀(712) 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고정용삽입홀(714); 제2가압용삽입홀(713)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고정용삽입홀(715);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고정용삽입홀(714)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3고정용삽입홀(716);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용삽입홀(715)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4고정용삽입홀(717); 하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바퀴노출홀(719); 하부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방되며 수용공간(711)과 연통되어 바퀴노출홀(719)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홀(718)을 갖춘을 갖춘다.
상기 제1승강부재(720)는,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722)과, 제1측벽(722)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721)과, 하부판(721)에 연결되어 제1측벽(722)과 대향되는 제2측벽(723)을 갖춘다.
상기 하부판(721)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연통되는 가압홀(72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2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21b)과, 제1윤활유라인(72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며 윤활유주입부(721d) 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걸림턱(72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21d)를 갖춘다.
상기 제1측판(722)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고정용삽입홀(714) 또는 제3고정용삽입홀(716)과 연통되는 고정홀(722a)을 갖추고서, 하부판(721)의 상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723)은, 제1활유라인(72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2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23a)과 연통되는 방출홀(72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22)에 대향되게 하부판(72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승강부재(730)는, 측벽을 이루는 제1측벽(732)과, 제1측벽(732)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731)과, 하부판(731)에 연결되어 제1측벽(732)과 대향되는 제2측벽(733)을 갖추고서, 바퀴설치부(710)의 바퀴노출홀(719)을 중심으로 제1승강부재(720)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판(731)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가압용삽입홀(713)과 연통되는 가압홀(73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3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31b)과, 제1윤활유라인(73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며 제1윤활유주입부(731d) 보다 전방에 구비되는 걸림턱(73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3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31d)를 갖춘다.
상기 제1측판(732)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고정용삽입홀(715) 또는 제4고정용삽입홀(717)과 연통되는 고정홀(732a)을 갖추고서, 하부판(731)의 상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733)은, 제1활유라인(73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3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33a)과 연통되는 방출홀(73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32)에 대향되게 하부판(73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2측판(733)을 갖춘다.
상기 회전축(740)은, 양단이 제1승강부재(720) 및 제2승강부재(730)의 제2측판(721,731)에 각각 설치되되, 제1?2측판(721,731)의 방출홀(723b,733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회전축(740)은 방출홀(723b,733b)의 하부에 배치되어 윤활유를 용이하게 공급받는다.
상기 제1체크밸브(750)는, 제1?2승강부재(720,730)의 하부판(721,731)의 윤활유주입부(721d,731d)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윤활유는 압력을 받을 시 윤활유주입부(721d,731d)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체크밸브(760)는, 제1?2승강부재(720,730)의 제2측판(723,733)의 방출홀(723b,733b)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외부로만 방출되도록 개폐한다. 따라서 윤활유는 압력을 받을 시 방출홀(722b,732b)을 통해 회전축(740)으로 방출된다.
상기 개폐구(770)는, 일단부가 라운드 지며 타단부 둘레부에 돌출부(771)가 구비되고,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시 윤활유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개폐구(770)는 제1,2승강부재(720,730)의 걸림턱(721d,731d)에 걸린다. 또한 개폐구(770)는 윤활유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가벼운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구(P)는, 바퀴설치부(710)의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가압홀(721a,731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삽입되어 개폐구(770)를 가압한다.
상기 고정구(P)는, 바퀴설치부(710)의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고정홀(722a,732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승강부재(720,730)을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구(P) 및 고정구(F)는 일정 탄성을 가져,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에 삽입될 시 견고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구(P) 및 고정구(F)의 둘레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가압구(P) 및 고정구(F)가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스프링(S1)은,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승강부재(720)의 하부판(7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1승강부재(72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이때 제1스프링(S1)은 제1승강부재(720)의 제1?2측판(722,723)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판(7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S2)은,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부재(730)의 하부판(73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2승강부재(73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이때 제2스프링(S2)은 제2승강부재(730)의 제1?2측판(732,733)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판(73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퀴(780)는 회전축(7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바퀴(780)는제1?2승강부재(720,730)가 하강하였을 시, 하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GPS장치(G)는, 본체(100)의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촬영장치(A)의 GPS 상 현재위치를 측정한다. GPS장치(G)는 위치를 측정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수신기(800)는, 본체(100)의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회전판회전장치(300)?카메라(400)?카메라회전장치(500)?회전각측정장치(R1)?고각측정장치(R2)?GPS장치(G) 등의 작동신호를 외부로 무선 출력하고, 원격컴퓨터(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원격컴퓨터(10)는, 각각의 촬영장치(A)의 송수신기(800)와 신호를 교신하는 송수신기(11)와,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12)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3)와, 송수신기(11)?디스플레이장치(12)?입력장치(13)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4)를 갖춘다.
상기 송수신기(11)는, 제어부(14)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촬영장치(A)의 송수신기(800)로부터 촬영장치 각 구성요소의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촬영장치(A)의 송수신기(8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2)는, 제어부(14)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촬영장치(A)의 카메라(400가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며, 촬영장치(A) 및 원격컴퓨터(10)의 작동상태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장치(13)는, 제어부(14)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촬영장치(A)가 원격제어되고, 원격컴퓨터(10)가 제어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입력장치(13)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촬영장치(A)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송수신기(11)를 매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회전판회전장치(300)?카메라(400)?카메라회전장치(500)?회전각측정장치(R1)?고각측정장치(R2)?GPS장치(G)?송수신기(800)를 원격 작동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은, 촬영장치(A)의 최초설치 GPS위치에 따른 좌표를 통해 최초설치위치에서 카메라(400)의 촬영방향이 기준점 좌표를 향하기 위해서 필요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연산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은,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디스플레이장치(12)에 출력하는 한편, 촬영장치(A)의 현재위치에서 촬영장치(A)의 최초위치로부터 측정된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만큼 카메라(4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4)은, 카메라(400)를 통해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점촬영대상이 오차범위 안으로 확인될 경우, 카메라(400)가 주변 지형지물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을 저장한다.
상기 영상도화장치(20)는, 각각의 촬영장치(A)의 카메라(40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여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이미지DB(2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영상도화장치(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26)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편집모듈(23)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이미지편집모듈(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촬영이 요구되는 영상이미지는 편집시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도록 처리되어서, 재촬영에 의한 새로운 영상이미지가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작성되는 도화이미지는 그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표합성모듈(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한다.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영상도화모듈(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다수의 촬영장치(A)를 새로운 지형지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A)는 도 10과 같이 바퀴(730)가 바퀴설치부(710)에 수용되어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촬영장치(A)의 고정구(F)를 바퀴설치부(710)의 제3고정용삽입홀(716) 및 제4고정용삽입홀(717)로부터 이탈시키면, 제1승강부재(720) 및 제2승강부재(730)는 제1스프링(S1) 및 제2스프링(S2)의 탄발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고정구(F)를 바퀴설치부(710)의 제1고정용삽입홀(714) 및 제2고정용삽입홀(715)에 결합시키면, 도 11(도 7의 C-C선 단면도)와 같이 제1승강부재(720) 및 제2승강부재(730)는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가 가압구(P)를 바퀴설치부(710)의 제1가압용삽입홀(712) 및 제2가압홀(713)에 삽입하면, 가압구(P)는 제1,2승강부재(720,730)의 가압홀(721a,731a)에 삽입되면서 개폐구(770)를 측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개폐구(770)는 윤활유에 압력을 가하고, 이로 인해 제1,2승강부재(710,720)의 제1~2윤활유라인(721c,723a/731c,733a)에 채워져 있던 윤활유가 도 12과 같이 제1,2승강부재(710,720)의 방출홀(723b,733b)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방출된 윤활유는 회전축(740)과 접촉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가 촬영장치(A)를 촬영위치로 이동시키면, 바퀴(780)는 회전하게 되고, 이때 윤활유가 바퀴(780)와 회전축(740) 사이로 스며들면서,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지 않은 바퀴(78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상기 촬영장치(A)가 촬영위치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가압구(P)를 바퀴설치부(710)의 제1가압용삽입홀(712) 및 제2가압홀(713)에 이탈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고정구(F)를 바퀴설치부(710)의 제1고정용삽입홀(714) 및 제2고정용삽입홀(715)로부터 이탈시키면, 촬영장치(A)의 자중에 의해 제1,2승강부재(720,73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2스프링(S1,S2)를 가압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고정구(F)를 바퀴설치부(710)의 제3고정용삽입홀(716) 및 제4고정용삽입홀(717)에 삽입하여, 도 10과 같이 제1,2승강부재(720,730)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촬영장치(A)는 이동이 제한되어,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자는 촬영장치(A)의 전자적 기능이 작동하도록 셋팅한다.
이때 상기 원격컴퓨터(10)의 제어부(14)는 각각의 촬영장치(A)의 GPS장치(G)로부터의 최초설치위치에 따른 촬영장치 GPS위치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컴퓨터(10)의 제어부(14)는, 해당 촬영장치(A)의 최초설치위치 GPS좌표 및 미리 설정된 기준점 좌표를 통해, 촬영장치(A)의 카메라(400)가 회전할 각을 연산 및 기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14)는, 최초설치위치 GPS좌표에 위치한 카메라(400)의 촬영방향이 기준점 좌표를 향하기 위해서 필요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연산하여, 연산된 각도 값을 디스플레이장치(12)에 나타낸다. 이때 기준점 좌표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기준점촬영대상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해당 촬영장치(A)의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장치(12)에 표시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을 본 후, 입력장치(13)를 통해 촬영장치(A)를 원격제어하여, 카메라(400)가 기준점촬영대상을 바라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원격컴퓨터(10)의 디스플레이장치(12)에 나타나는 영상을 통해 카메라(400)가 기준점촬영대상을 정확하게 바라보고 있는지 확인한 후, 카메라(400)가 기준점촬영대상을 정확하게 바라보고 있으면, 주변을 촬영하여, 촬영영상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 촬영장치(A)는, 외부인이 옮기거나 또는 기타 외력 등에 의해 작업자가 알지 모르는 사이에 위치가 조금 씩 변화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작업자는 촬영을 하기 전에 촬영장치(A)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A)의 위치는 자체 GPS신호를 확인할 수도 있으나, GPS신호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다음과 같이 보다 정밀한 방법을 사용한다.
즉 상기 작업자가 최초위치로부터 이동된 촬영장치(A)의 이동위치에서 촬영장치 최초설치위치에 따라 연산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만큼 카메라(400)를 회전시키면, 카메라(400)는 기준점 촬영대상을 정확히 바라보지 못하거나 벗어나서 바라본다.
이때 상기 해당 촬영장치(A)가 설치된 지점에서의 촬영은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촬영장치(A)가 설치된 지점은 직접 촬영이 필요한 곳으로 기록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해당 촬영장치(A)의 최초설치위치에서 촬영장치(A) 또는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정확한 영상을 얻는다.
그 후 상기 작업자는 위치가 이동되지 않은 각각의 촬영장치(A)의 촬영영상이미지를 통해 지도 제작에 사용되는 도화이미지를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촬영장치(A)는, 원격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매우 취약하다.
특히 상기 촬영장치(A)는, 구조상 회전판회전장치(300)에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회전판회전장치(300)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FS)가 이를 감지하고, 이때 화재감지센서(FS)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한 소화분말분사장치(EI)가 도 13과 같아 회전판회전장치(300)로 소화분말을 분사함으로써,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작업을 마쳤을 경우,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사용하여, 제1,2승강부재(720,730)의 윤활유주입부(722b,732b)에 윤활유를 공급하여, 윤활유를 채울 수 있다.
A; 촬영장치 100; 본체
200; 카메라설치부 300; 회전판회전장치
400; 카메라 500; 카메라회전장치
R1; 회전각측정장치 R2; 고각측정장치
600; 완충장치 700; 이동장치
800; 송수신기 FS; 화재감지센서
EI; 소화분말분사장치 10; 원격컴퓨터
11; 송수신기 12; 디스플레이장치
13; 입력장치 14; 제어부
20; 영상도화장치 21; 영상이미지DB
22; 도화이미지DB 23; 이미지편집모듈
24; 좌표합성모듈 25; 영상도화모듈

Claims (1)

  1. 판 형상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부 내측에 안착홈(1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판지지대(120)를 갖춘 본체(100),
    원판 형상을 이루며 둘레부가 회전판지지대(120)의 안착홈(1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판(210)과,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카메라지지대(220)를 갖춘 카메라설치부(200),
    카메라설치부(200)의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10)과,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회전판(21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20)를 갖춘 회전판회전장치(300),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판회전장치(300)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FS),
    소화분말이 내장되어, 카메라설치부 카메라지지대(220)의 하부에 설치되며, 화재감지센서(FS)가 화재를 감지하면, 소화분말을 회전판회전장치(300)으로 분사하는 소화분말분사장치(EI),
    회전판회전장치(300)에 설치되어 회전판(210)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각측정장치(R1),
    카메라설치부(200)의 카메라지지대(220)에 상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400),
    카메라(400)와 연결되는 회전축(510)과, 카메라지지대(220)에 설치되며 회전축(510)과 연결되어 카메라(4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520)를 갖춘 카메라회전장치(500),
    카메라회전장치(5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고각을 측정하는 고각측정장치(R2),
    본체 베이스(110)의 하부 둘레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되, 스프링을 갖추고서 완충작용을 하는 세 개 이상의 완충장치(60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711); 둘레부 하부 중심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가압용삽입홀(712);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좌우방으로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가압용삽입홀(713); 제1가압용삽입홀(712)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되 제1가압용삽입홀(712) 보다 상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1고정용삽입홀(714); 제2가압용삽입홀(713)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상호 대향되게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2고정용삽입홀(715);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고정용삽입홀(714)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3고정용삽입홀(716);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제2고정용삽입홀(715)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제4고정용삽입홀(717); 하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711)과 연통되는 바퀴노출홀(719); 하부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개방되며 수용공간(711)과 연통되어 바퀴노출홀(719)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개방홀(718)을 갖춘 바퀴설치부(710)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가압용삽입홀(712)과 연통되는 가압홀(72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2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21b)과, 제1윤활유라인(72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는 걸림턱(72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21d)를 갖춘 하부판(721);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1고정용삽입홀(714) 또는 제3고정용삽입홀(716)과 연통되는 고정홀(722a)을 갖추고서, 하부판(721)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722); 제1활유라인(72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2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23a)과 연통되는 방출홀(72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22)에 대향되게 하부판(72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2측판(723)을 갖춘 제1승강부재(720)와: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가압용삽입홀(713)과 연통되는 가압홀(731a)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가압홀(731a)과 연통되는 제1윤활유라인(731b)과, 제1윤활유라인(731b)의 내부 둘레부에 형성되는 걸림턱(731c)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제1윤활유라인(731b)과 연통되어 바퀴설치부(710)의 개방홀(718)에 삽탈되는 윤활유주입부(731d)를 갖춘 하부판(731); 좌우방으로 관통형성되어 바퀴설치부(710)의 제2고정용삽입홀(715) 또는 제4고정용삽입홀(717)과 연통되는 고정홀(732a)을 갖추고서, 하부판(731)의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732); 제1활유라인(731b)과 연통되는 제2윤활유라인(733a)과, 상부에 형성되며 외측로 개구되어 제2윤활유라인(733a)과 연통되는 방출홀(733b)을 갖추고서, 제1측판(732)에 대향되게 하부판(731)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2측판(733)을 갖추고서, 바퀴노출홀(719)을 중심으로 제1승강부재(72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승강부재(730)와:
    양단이 제1승강부재(720) 및 제2승강부재(730)의 제2측판(722,732)에 각각 설치되되, 제2측판(722,732)의 방출홀(723b,733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740)과:
    제1,2승강부재(720,730)의 하부판(721,731)의 윤활유주입부(721d,731d)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제1체크밸브(750)와:
    제1,2승강부재(720,730)의 제2측판(723,733)의 방출홀(723b,733b)에 설치되어, 윤활유가 외부로 방출되도록만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760)와:
    일단부가 라운드 지며 타단부 둘레부에 돌출부(771)가 구비되고,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시 윤활유에 압력을 가하는 개폐구(770)와:
    바퀴설치부(710)의 제1,2가압용삽입홀(712,713)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가압홀(721a,731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윤활유라인(721b,731b)에 삽입되어 개폐구(770)를 가압하는 가압구(P)와:
    바퀴설치부(710)의 제1~4고정용삽입홀(714~717) 및 제1,2승강부재(720,730)의 고정홀(722a,732a)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승강부재(720,730)을 고정하는 고정구(F)와: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승강부재(720)의 하부판(72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1승강부재(72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스프링(S1)과:
    일단이 바퀴설치부(710)의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승강부재(730)의 하부판(731)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2승강부재(730)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스프링(S2)과:
    회전축(7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780):
    를 갖추고서 완충장치(6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장치(700),
    본체(100)에 설치되는 GPS장치(G),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800)를 갖추고서,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장치(A)와,
    촬영장치(A)의 송수신기(800)와 신호를 교신하는 송수신기(11); 촬영장치(A) 및 원격컴퓨터(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12); 촬영장치(A)가 및 원격컴퓨터(10)가 제어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3); 촬영장치(A)의 회전판회전장치(300)?카메라(400)?카메라회전장치(500)?회전각측정장치(R1)?고각측정장치(R1)?GPS장치(G)?송수신기(800) 및 원격컴퓨터(10)의 송수신기(11)?디스플레이장치(12)?입력장치(13)를 작동제어하는 한편, 촬영장치(A)의 최초설치 GPS위치에 따른 좌표를 통해 최초설치위치에서 카메라(400)의 촬영방향이 기준점 좌표를 향하기 위해서 필요한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연산하여, 카메라(400)의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 값을 디스플레이장치(12)에 출력하는 한편, 촬영장치(A)의 현재위치에서 촬영장치(A)의 최초위치로부터 측정된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만큼 회전한 카메라(400)를 통해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점촬영대상이 오차범위 안으로 확인될 경우, 카메라(400)가 주변 지형지물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14)를 갖춘 원격컴퓨터(10)와,
    원격컴퓨터(10)가 수집한 상기 촬영 영상이미지를 저장하여, 기존의 영상이미지를 갱신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를 포함하는 영상도화장치(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20110120508A 2011-11-17 2011-11-17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12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508A KR101128411B1 (ko) 2011-11-17 2011-11-17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508A KR101128411B1 (ko) 2011-11-17 2011-11-17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411B1 true KR101128411B1 (ko) 2012-03-27

Family

ID=4614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508A KR101128411B1 (ko) 2011-11-17 2011-11-17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4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15B1 (ko) 2013-09-25 2014-01-23 네이버시스템(주) 영상이미지 업데이터를 기준점별로 적용해 처리하는 수치지도의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장치
KR101491610B1 (ko) 2014-06-19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영상이미지 업데이터를 기준점별로 적용해 처리하는 수치지도의 영상처리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92416B1 (ko) 2014-08-25 2015-02-16 주식회사 동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564410B1 (ko) 2015-07-27 2015-11-02 (주)아세아항측 영상이미지의 구간별 링크정보 수정을 위한 영상처리 방법
KR101578822B1 (ko) 2015-07-28 2015-12-21 (주)동광지엔티 Gis 기반의 항공영상 정합을 통한 2차원 영상이미지의 3차원 텍스처 복원장치
KR101830297B1 (ko) 2017-09-12 2018-02-20 (주)원지리정보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0906802B1 (ko) 2009-03-03 2009-07-17 (주)원지리정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041190B1 (ko) 2010-09-17 2011-06-13 김은경 지피에스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0906802B1 (ko) 2009-03-03 2009-07-17 (주)원지리정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101041190B1 (ko) 2010-09-17 2011-06-13 김은경 지피에스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615B1 (ko) 2013-09-25 2014-01-23 네이버시스템(주) 영상이미지 업데이터를 기준점별로 적용해 처리하는 수치지도의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장치
KR101491610B1 (ko) 2014-06-19 2015-02-06 천우항측 주식회사 영상이미지 업데이터를 기준점별로 적용해 처리하는 수치지도의 영상처리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92416B1 (ko) 2014-08-25 2015-02-16 주식회사 동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564410B1 (ko) 2015-07-27 2015-11-02 (주)아세아항측 영상이미지의 구간별 링크정보 수정을 위한 영상처리 방법
KR101578822B1 (ko) 2015-07-28 2015-12-21 (주)동광지엔티 Gis 기반의 항공영상 정합을 통한 2차원 영상이미지의 3차원 텍스처 복원장치
KR101830297B1 (ko) 2017-09-12 2018-02-20 (주)원지리정보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850B1 (ko) 다수의 지면측지측량 영상이미지 편집을 통해 3차원 수치지도이미지의 영상,도화처리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수치영상처리 갱신시스템
KR101128411B1 (ko) 변화된 지형지물의 기존 영상이미지를 편집하는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US11448600B1 (en) Multi-camera pipe insp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06872011B (zh) 用于高速视频振动分析的模块化设备
US96319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librating sensors of a computing device
KR101116184B1 (ko) 지형지물의 이미지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의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115603B1 (ko)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US20140320631A1 (en) Multi-camera pipe inspec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200014912A1 (en) Calibr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874926B1 (ko) 인식된 오브젝트들을 사용하여 센서들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N103673990A (zh) 获取摄像机姿态数据的装置及其方法
KR101895951B1 (ko) 실시간 데이터 변화의 영상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N107145162A (zh) 摄像头角度调整方法、系统和虚拟现实系统
CN110910460A (zh) 一种获取位置信息的方法、装置及标定设备
KR101342629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의한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353615B1 (ko) 영상이미지 업데이터를 기준점별로 적용해 처리하는 수치지도의 영상처리 시스템의 운용장치
CN104434104A (zh) 成像设备和在检查期间确定患者的位置和/或运动的方法
CN109584263B (zh) 可穿戴设备的测试方法及系统
KR101231703B1 (ko) 기준점을 통한 지형의 정밀 위치 확인용 지상 측량데이터 수집시스템
KR101235313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 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124491B1 (ko) 설정 기준점을 이용한 지형물의 영상도화 업데이트시스템
KR101473984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현장 정보 수집 시스템
CN111199576B (zh) 一种基于移动平台的室外大范围人体姿态重建方法
KR20160031464A (ko) 비디오 필름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KR101830297B1 (ko)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영상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도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