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378B1 -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378B1
KR101128378B1 KR1020100062924A KR20100062924A KR101128378B1 KR 101128378 B1 KR101128378 B1 KR 101128378B1 KR 1020100062924 A KR1020100062924 A KR 1020100062924A KR 20100062924 A KR20100062924 A KR 20100062924A KR 101128378 B1 KR101128378 B1 KR 10112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ust
knob
slide
variabl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69A (ko
Inventor
강성옥
Original Assignee
화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3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2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5/8906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 G01S15/8934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 G01S15/8945Short-range imaging systems; Acoustic microscope systems using pulse-echo techniques using a dynamic transducer configuration using transducers mounted for linear mechanic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조절기의 노브의 이동을 위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개구부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겹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먼지방지판을 서로 겹쳐서 상기 노브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먼지방지판에 의하여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일자형의 홀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드 가변저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과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보호하며, 상기 노브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자형의 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은,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관통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노브에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하나 이상의 중간판중 하나의 길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먼지방지판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A STRUCTURE TO PREVENT A DUST-INPUT FOR VARIABLE RESISTOR OF SLIDE}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조절기의 노브의 이동을 위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개구부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겹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먼지방지판을 서로 겹쳐서 상기 노브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먼지방지판에 의하여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진단기에는 다양한 조작을 위한 여러가지 조절기들이 구비된다. 그 중, 슬라이드 조절기는 조절 범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선형적으로 변하는 출력을 필요로 할때 사용된다.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는 그 내부적으로 일정 범위 내의 아날로그적인 변화를 조작하는데 사용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slide potentiometer)을 이용한다.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은 일자형, 즉, 상하, 또는 좌우의 직선경로 이동을 함으로써, 이동거리에 비례 또는 반비례하여 저항값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진단기에 구비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1)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노브(knob)가 구비된다. 상기 노브는 하부의 가변저항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가변저항으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1)의 노브는 좌 우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1)로부터 출력되는 저항값을 조절하고, 이로 인하여 초음파진단기의 기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의 좌, 우 조작을 위한 일자형의 홀을 구비한다. 즉, 상기 노브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와 연결된 가변저항은 하우징의 내부, 즉 회로기판상에 배치되어, 상기 노브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일자형의 홀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자형의 홀은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하우징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을 제공하며, 이러한 일자형의 홀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질들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사용되고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에 사용되는 차단막(2)을 나타내며, 도 3은 종래의 차단막(2)이 사용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상기 종래의 차단막(2)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1)에 구비된 일자형의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자형의 홀을 형성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의 차단막(2)에 형성된 일자형의 홀은 상기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1)에 구비된 일자형의 홀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1)에 구비된 일자형의 홀의 빈 공간을 상기 차단막(2)의 일자형의 홀이 막을 수 있으므로, 먼지의 유입을 어느정도 차단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노브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단막(2)은 그 자체로 일자형의 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차단막(2)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1)의 일자형의 홀을 막는다고 해도 상기 차단막(2)에 형성된 일자형의 홀을 통과하는 먼지의 유입은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이 유입된 먼지는 내부 회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작동 및 고장 발생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단막(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진다. 그러나, 상기 차단막(2)의 소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이용하므로, 상기 차단막(2)이 아래로 처질 수 잇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차단막(2)은 상기 슬라이드 조절기(1)에 형성된 일자형의 홀을 최대한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차단막(2)에 형성된 일자형의 홀의 너비는 최대한 좁게 형성하는데, 이러한 차단막(2)의 일자형의 홀은 상기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눌리거나 구부러진 후 다시 펴지는 상황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노브의 움직임이 장시간 이루어질 경우 상기 차단막(2)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수 잇으며, 손상된 부분으로의 먼지 유입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2)의 일자형의 홀은 그 폭을 최대한 좁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노브의 움직임에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2)은 노브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상기 노브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노브를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단막(2)은 그 자체로 얇고 내부에 다수의 홀을 가지는 판형형상을 가지므로 금형의 제작을 반드시 필요로 하며, 제조가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드조절기에 구비된 노브의 이동을 위하여 형성된 일자형의 개구부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겹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먼지방지판을 서로 겹쳐서 상기 노브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먼지방지판에 의하여 먼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일자형의 홀을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드 가변저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과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보호하며, 상기 노브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자형의 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은,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관통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노브에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하나 이상의 중간판중 하나의 길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먼지방지판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고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을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 및 하나 이상의 중간판의 일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형성된 홀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먼지방지판에 형성된 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먼지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서항의 전체를 커버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먼지방지판은 NCT 가공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노브의 이동 중에도 먼지방지판이 일자형의 홀의 하부의 공간을 막으면서 이동하므로, 상기 일자형의 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속으로 형성된 복수의 먼지방지판을 겹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무게로 인하여 형태가 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먼지방지판을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서, 종래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차단막에서 가해지는 마찰력이 없으므로, 노브의 움직임에 있어서장시간 사용에도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서로 나뉘어진 먼지방지판들이 서로 겹쳐진 구조로 인하여 상기 먼지방지판들은 슬라이드시에 서로 간섭을 하지 않으므로, 노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먼지방지판을 서로 겹쳐서 사용하며, 먼지방지판의 제조시 NCT가공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차단막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음파진단기에 구비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차단막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차단막이 사용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중간판 및 상기 제2중간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의 노브를 최저로 내렸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의 노브를 최저상태에서 최대로 올렸을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가 실제로 적용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는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100), 브라켓(미도시), 슬라이드 가변저항(200), 하우징(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먼지방지판(100)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을 먼지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의 전자회로는 하우징에 의하여 보호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과 같이 전자회로에 결합되어 소정구간 이동을 해야하는 수단은 이동을 위한 빈 공간을 할당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우징에 홀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우징은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에 대응되는 일자형의 홀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우징의 일자형 홀을 통하여 먼지나 오염물질이 그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100)은 상기 하우징의 일자형 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자형 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회로기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먼지방지판(100)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일자형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방지판(100)은 하나 이상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그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보호함으로써,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먼지방지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 복수의 중간판(120, 121) 및 하판(130)으로 이루어지며, 하판(130)이 가장 밑에 배치되고, 그 위에 중간판(120, 121)이 배치되며, 가장 위에 상판(110)이 배치된다.
도 4는 두개의 중간판(120, 121)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중간판(120, 121)은 용도 및 구성에 따라 그 갯수를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크기가 커지거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중간판(120, 121)의 갯수는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중간판(120, 121)의 갯수는 더 적어질 수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중간판(120, 121) 및 하판(130)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에 그 중심이 관통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은 그 중심에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의 폭과 대응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노브(210)가 상기 상판(110)의 홀에 관통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은 상기 노브(210)와 결합되어 빈공간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먼지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은 후술할 중간판(120, 121) 및 하판(1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의 소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무게에 의하여 소재의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의 소재를 금속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의 기타 어떠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은 그 용도 및 구성에 따라 그 갯수를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은 두개의 판, 제1중간판(120), 제2중간판(121)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은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간판(120)은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의 하부에, 그리고, 상기 제2중간판(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상기 제1중간판(120)이 배치되고, 상기 제1중간판(120)의 하부에 상기 제2중간판(121)이 배치된다.
상기 제1중간판(120)의 길이는 상기 제2중간판(121)보다 짧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들의 갯수가 더 늘어날 경우에도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들의 배치된 순서에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중간판(120) 및 상기 제2중간판(121)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들의 홀을 통하여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와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1중간판(120) 및 상기 제2중간판(12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중간판(120)의 테두리와 상기 제2중간판(121)의 테두리의 길이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할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1중간판(120) 및 상기 제2중간판(121)의 테두리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여 공간의 낭비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들의 테두리의 길이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과 후술할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테두리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은 상기 먼지방지판(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소재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의 소재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방지판(100)의 길이는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중심부에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홀을 통하여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와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길이는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그 길이가 충분히 길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의 이동에도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은 되도록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먼지방지판의 하판(130)의 홀 역시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가 이동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먼지방지판(100)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제조시 공지의 NCT(Numerically Controlled Turret)가공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CT 가공 방법은 전개된 소재 위에 다양한 형상들을 입력된 형상에 맞게 펀칭하는 수단으로서, 주로 금속판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NCT가공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먼지방지판(100)의 제조시 별도로 금형을 제조해야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브라켓은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100)들이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브라켓의 형태는 하우징, 슬라이드 가변저항(200), 회로기판의 크기, 형태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은 손잡이, 즉 노브(210)(knob)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210)의 연동에 의하여 위치가 가변되고, 하부에 하나 이상의 단자들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210)의 연동에 의한 동작 상태에 따라서, 다른 저항값을 나타내는 공지의 가변저항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은 노브(210)가 연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210)는 일직선상의 구간을 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210)는 상기 먼지방지판(100)에 관통결합되며, 상기 먼지방지판(100)의 상판(110)이 상기 노브(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 및 하판(130)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된다. 관통 결하된 상기 노브(210)의 말단에는 사용자가 상기 노브(2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브손잡이(220)가 결합된다.
하우징은 상기 먼지방지판(100)들과 브라켓, 슬라이드 가변저항(200) 및 회로기판을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일직선 형상의 홀을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득 가변저항의 노브(210)가 관통결합되어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먼지방지판(100)들을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를 최저로 내렸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6b는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를 최저상태에서 최대로 올렸을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를 내리면(일단-설명의 편의상 왼쪽이라 함-을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노브(210)와 결합되어 있는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이 상기 노브(210)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중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노브(210)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어 있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과 하판(130)은 상기 노브(210)의 이동에 의하여 그 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왼쪽에 걸리면 상기 노브(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210)가 최대한 왼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먼지방지판(100)들은 왼쪽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이때,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이 왼쪽으로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그 하부에 배치된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에 형성된 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에 형성된 홀의 일단에서 상기 상판(110)의 타단 까지의 길이가 그 하부에 형성된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에 형성된 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의 하부에 배치된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의 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먼지방지판(100)들에 모두 해당된다. 즉, 임의의 먼지방지판(100)에 형성된 홀은 그 상부에 배치된 먼지방지판(100)에 형성된 홀의 일단에서부터 그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의 노브(210)를 올리면(타단-설명의 편의상 오른쪽이라 함-을 향해 이동시키면), 마찬가지로 상기 노브(210)와 결합되어 있는 먼지방지판의 상판(110)이 상기 노브(210)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중심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노브(210)와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어 있는 상기 먼지방지판의 중간판(120, 121)과 하판(130)은 상기 노브(210)가 그 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오른쪽에 걸리면 상기 노브(210)를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210)가 오른쪽에 도달하면, 상기 먼지방지판(100)들은 오른쪽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사진을 나타내며, 도 8은 상기 도 7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가 실제로 적용된 슬라이드 조절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은 노브(210)를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먼지가 유입될 공간이 상기 먼지방지판(100)에 의하여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먼지 또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먼지방지판(100)들은 직각사각형의 모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간의 낭비가 없으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이 동시에 사용되더라도, 별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각각의 슬라이드 가변저항(200)을 따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드 조절기의 하우징(300)에 형성된 홀은 상기 먼지방지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는 초음파 진단기에 사용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의 수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종래의 슬라이드 조절기 2: 종래의 차단막
100: 먼지방지판 110: 먼지방지판의 상판
120: 먼지방지판의 제1중간판 121: 먼지방지판의 제2중간판
130: 먼지방지판의 하판 200: 슬라이드 가변저항
210: 노브 220: 노브손잡이
300: 하우징

Claims (5)

  1. 내부에 일자형의 홀을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의 이동에 의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드 가변저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과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보호하며, 상기 노브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자형의 홀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은,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관통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에 유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 및 하나 이상의 중간판중 하나의 길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먼지방지판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고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먼지방지판을 상기 슬라이드 가변저항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나 이상의 중간판의 일단으로부터 그 내부에 형성된 홀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그 하부에 배치된 임의의 먼지방지판에 형성된 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방지판은 상기 슬라이드 가변서항의 전체를 커버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방지판은 NCT 가공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KR1020100062924A 2010-06-30 2010-06-30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KR10112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4A KR101128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24A KR101128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69A KR20120002169A (ko) 2012-01-05
KR101128378B1 true KR101128378B1 (ko) 2012-03-23

Family

ID=4560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924A KR101128378B1 (ko) 2010-06-30 2010-06-30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3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399A (en) 1982-03-26 1986-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lider control
KR960042795A (ko) * 1995-05-31 1996-12-21 배순훈 슬라이드 볼륨 스위치
KR19980038728U (ko) * 1996-12-19 1998-09-15 배순훈 텔레비젼의 먼지유입 방지장치
KR19990048382A (ko) * 1997-12-09 1999-07-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399A (en) 1982-03-26 1986-01-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Slider control
KR960042795A (ko) * 1995-05-31 1996-12-21 배순훈 슬라이드 볼륨 스위치
KR19980038728U (ko) * 1996-12-19 1998-09-15 배순훈 텔레비젼의 먼지유입 방지장치
KR19990048382A (ko) * 1997-12-09 1999-07-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69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881B2 (en) Enclosure for electrical system
JP6445080B2 (ja) ワークを垂直に上げる機能を有するグリッパー
US20110079502A1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al appliance
EP3129999B1 (de) Elektrischer tastschalter und bedienelement mit einem elektrischen tastschalter
EP2715755B1 (de) Bedienteil für eine möbelsteuerung und elektrisch verstellbares möbel
JP5979043B2 (ja) 基板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2017139934A5 (ko)
DE102005025021A1 (de) Schalterelement
KR101128378B1 (ko)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 구조
DE102019000919A1 (de) Berührungs- und/oder annäherungsempfindliche Eingabevorrichtung
JP6030254B1 (ja) ベルト式リニア伝動モジュール
EP2579552B1 (en) Slide unit mechanism
JP2006107336A (ja) 多方向入力装置
ITTO20100636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er interruttori con duomi siliconici.
KR101142021B1 (ko) 슬라이드 가변저항을 위한 먼지유입 방지판
DE112017004836T5 (de) Auslöseschalter
CN1848311A (zh) 输入装置
JPWO2021193623A5 (ko)
CN109155213A (zh) 开关体
US20150084890A1 (en) Input device
JP7023252B2 (ja) スイッチ装置
JP6716789B2 (ja) プッシュ式シフト装置
JP6587863B2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リンク
US10838552B2 (en) Touch sensor false detection preve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JP5828130B2 (ja) 電気採暖具の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