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753B1 -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753B1
KR101126753B1 KR1020110072052A KR20110072052A KR101126753B1 KR 101126753 B1 KR101126753 B1 KR 101126753B1 KR 1020110072052 A KR1020110072052 A KR 1020110072052A KR 20110072052 A KR20110072052 A KR 20110072052A KR 101126753 B1 KR101126753 B1 KR 10112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waterproofing
sheet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화
Original Assignee
(주)삼성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건업 filed Critical (주)삼성건업
Priority to KR102011007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수 성능 및 시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방수 공법은, 기초 터널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숏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적어도 배수층과 시트 방수층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를 상기 숏크리트층에 설치하여 여과 배수 및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에 방수재를 뿜칠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도막 방수층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이닝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WATERPROOF SHEET ASSEMBLY, TUNNEL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방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방수층으로 침출수의 배수와 시트 방수를 구현하고, 도막 방수재로 도막 방수를 구현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례를 들면, 터널 방수 공법은 기초 터널을 굴착하여, 터널의 암반을 안정화시킨 후, 터널의 요철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을 1차 복공(覆工)하고, 숏크리트층에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여, 시트 방수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을 2차 복공한다.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는 숏크리트층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방수시트는 숏크리트층에 직접 고정되거나 란델(rondell)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이웃하여 연결되는 방수시트는 열융착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와 같은 터널 방수 공법에서, 숏크리트층에 시공된 시트 방수층이 손상되기 쉽고 시트 방수층이 손상되면 방수 성능이 저하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두꺼운 방수시트가 사용된다. 또한 방수시트를 열융착으로 연결하므로 방수 시공성이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 성능 및 방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는,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의 일면에 부착되는 시트 방수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는, 상기 배수층의 반대측에서 상기 시트 방수층에 부착되는 방수재 부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층과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층은, 상기 방수재 부착층의 밀도에 비하여 저밀도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층과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층은, 상기 방수재 부착층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잇다.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중 하나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방수층은,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열라미네이트 및 PVC(Poly Vinyl Chloride) 중 하나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및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열융착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투수성 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을 차단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투수성을 부여하는 돌출부재들 또는 얼기설기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상기 돌출부재들 또는 상기 얼기설기 부재들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방수 공법은, 기초 터널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숏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적어도 배수층과 시트 방수층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를 상기 숏크리트층에 설치하여 여과 배수 및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에 방수재를 뿜칠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도막 방수층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이닝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고정부재로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의 주부를 시공하는 주부 시공단계와, 상기 주부의 외곽에서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시공하는 조인트부 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시트 방수층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주위를 덮도록 방수 테이프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포개고, 상기 포개진 배수층 상에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포개어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포개어진 1쌍의 배수층을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는, 상기 시트 방수층의 상기 배수층 반대 면에 부착되는 방수재 부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1쌍의 방수재 부착층을 서로 포갤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의 방수재 부착층의 포개어진 부분을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다른 측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 상에 양면 접착성의 제1 조인트 부재와 제2 조인트 부재를 순차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제2 조인트 부재를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 상에 자착식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조인트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상에 1쌍의 방수재 부착층을 서로 맞대며, 상기 1쌍의 방수재 부착층 상에 제2 조인트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상기 방수재 부착층 및 상기 제2 조인트 부재를 압축하면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초속경화 폴리우레탄, 무용제계 또는 수계의 폴리우레아수지, 및 무용제계 또는 수계의 고무화 아스팔트 중 하나를 방수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는, 상기 배수층을 투수성 매트로 형성하며,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들을 형성하고,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을 차단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투수성을 부여하는 돌출부재들 또는 얼기설기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방수 구조는 상기의 터널 방수 공법으로 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층과 시트 방수층을 부착한 방수시트 조립체를 고정부재로 숏크리트층에 설치하여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고, 방수시트 조립체에 도막 방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터널에서 방수 성능 및 방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 방수 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널에 방수시트 조립체를 시공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주부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주부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널 방수 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다. 편의상, 터널 방수 공법, 이 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시트 조립체(3) 및 이 방수시트 조립체(3)와 공법의 결과물인 터널 방수 구조에 대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널 방수 공법은 암반으로 이루어지는 기초 터널(1)에 숏크리트층(2)을 형성하는 제1 단계(ST1), 숏크리트층(2)에 방수시트 조립체(3)를 설치하는 제2 단계(ST2), 방수시트 조립체(30)에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하는 제3 단계(ST3), 및 도막 방수층(4)에 라이닝층(5)을 형성하는 제4 단계(ST4)를 포함한다.
제1 단계(ST1)는 암반을 굴착하여 형성되는 기초 터널(1)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방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널(1)의 표면을 방수시트 조립체(30)를 설치하기에 적절한 수준의 요철 범위를 가지도록 숏크리트층(2)을 형성한다. 즉 제1 단계(ST1)는 터널(1)을 숏크리트층(2)으로 1차 복공한다. 숏크리트층(1)은 터널(1)에서 세어 나오는 침출수를 투과시킨다.
제2 단계(ST1)는 숏크리트층(2)에 방수시트 조립체(3)를 설치하여 시트 방수층을 형성한다. 방수시트 조립체(3)는 적어도 배수층과 시트 방수층을 열융착 또는 접착제로 부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방수시트 조립체(3)는 시트 방수층의 양면에 배수층과 방수재 부착층을 부착하거나, 시트 방수층의 일면에 배수층을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터널에 방수시트 조립체(3)를 시공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자른 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방수시트 조립체(3)는 시트 방수층(33)의 양면에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을 열융착 또는 접착제로 부착하여 형성된다.
방수시트 조립체(3)를 숏크리트층(2)에 설치하면, 배수층(31)은 숏크리트층(2) 쪽에 위치하고 방수재 부착층(32)은 도막 방수층(4) 쪽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방수시트 조립체(3)의 배수층(31)은 숏크리트층(2)에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터널(1)로부터 새어 나와서 숏크리트층(2)을 투과한 침출수를 여과하고 배수시킨다.
방수시트 조립체(3)의 시트 방수층(33)은 1차 방수층, 즉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여 배수층(31)을 투과하는 침출수를 터널(1)의 양측으로 유도한다. 또한, 방수시트 조립체(3)의 방수재 부착층(32)은 시트 방수층(33)을 보호하고 방수 도막재의 부착 공간, 즉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시트 방수층(33)은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열라미네이트 또는 PVC(Poly Vinyl Chloride) 시트 방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배수층(31)은 여과 및 배수 성능을 위하여, 방수재 부착층(32)에 비하여 큰 두께 및 저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방수재 부착층(32)은 작은 두께 및 고밀도로 형성되어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할 때, 도막 방수재의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은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계(ST3)는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 조립체(3)의 방수재 부착층(32)에 도막 방수재를 뿜칠하여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터널 방수 구조는 시트 방수층(33)에 의한 시트 방수층과 방수 도막재에 의한 도막 방수층(4)으로 2중 방수 구조를 형성한다.
시트 방수층(33)은 터널 방수 성능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도막 방수층(4)은 시공상 불가피하게 시트 방수층(33)의 방수 구조가 파괴된 부분을 통과한 수분에 대하여 추가 방수를 담당한다. 제3 단계(ST3)는 도막 방수재의 뿜칠을 주로 하고 부분적으로 도막 방수재의 붓칠을 보조적으로 할 수도 있다.
제4 단계(ST4)는 도막 방수층(4)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이닝층(5)을 형성한다. 라이닝층(5)은 도막 방수층(4)를 덮어 대기로부터 차단하여 1차적으로 도막 방수층(4)의 보호하고, 더 나아가 방수시트 조립체(3) 및 도막 방수층(4)으로 형성되는 방수 구조를 전체적으로 보호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계(ST2)는 롤 상태로 공급되는 방수시트 조립체(3)를 현장에서 풀어 절단하여 방수시트 조립체(3)의 폭(W)을 터널(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 대응하여 고정시키고, 방수시트 조립체(3)를 터널(1)의 곡선을 따라 터널(1)의 폭 방향(x측 방향)으로 연장 대응시켜, 터널(1)의 숏크리트층(2)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2 단계(ST2)는 방수시트 조립체(3)의 주부(M)를 시공하는 주부 시공단계(ST21, 도 4)와, 주부(M)의 외곽에서 방수시트 조립체(3)를 연결하는 조인트부(J)를 시공하는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 도 5a 및 도 5b 참조)를 포함한다. 주부 시공단계(ST21)와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터널(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가면서 반복적으로 진행된다(도 3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주부 시공단계(ST21)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3)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3)를 압축 및 관통하면서 숏크리트층(2)에 고정시킨다.
방수 와셔(61)는 탄성 고무 팩킹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6)에 의하여 관통되어 부분적으로 방수 구조가 파괴된 방수시트 조립체(3)에 방수 구조를 형성한다. 일례를 들면, 고정부재(6)는 타커(tacker)에 의하여 타격되는 타커 못으로 형성됨으로써 숏크리트층(2)에 방수시트 조립체(3)의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고정부재(6)의 설치로 인하여, 시트 방수층(33)이 뚫리면서 방수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지만 시트 방수층(33)의 양면에서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이 고밀도로 압축되고, 고정부재(6)에서 압축된 외곽에서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이 저밀도의 비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의 저밀도 부분에서 여과 및 배수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방수시트 조립체(3)의 방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방수 접착제를 도포하여 숏크리트층에 박힘으로써 방수시트 조립체를 숏크리트에 고정 설치하면서, 고정부재의 외면과 시트 방수층의 관통구를 방수 접착제로 부착함으로써 고정부재의 설치로 인하여 방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수 접착제로 더 방지할 수 있다(미도시).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자른 조인트부(J)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이웃하여 연결되는 방수시트 조립체(3, 7)에서 1쌍의 배수층(31, 71)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맞대며, 1쌍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을 서로 포개어,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3, 7)를 서로 연결하여 숏크리트층(2)에 고정한다.
따라서 방수시트 조립체(3, 7)에서 방수재 부착층(32, 72)은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서로 맞대어지는 배수층(31, 71) 또는 서로 맞대어지는 시트 방수층(33, 73)의 폭보다 더 큰 차이 폭(ΔW1, ΔW2)을 가지고 형성된다. 배수층(31, 71)의 폭과 시트 방수층(33, 73)의 폭은 동일하고, 방수재 부착층(32, 72)은 맞대어진 배수층(31, 71)의 선상과 시트 방수층(33, 73)의 선상에서, 차이 폭의 합(ΔW1 + ΔW2)만큼 서로 포개어진다. 방수재 부착층(32, 72)이 서로 포개어짐으로써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3, 7)의 연결력이 강해진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하여 양측의 방수시트 조립체(3, 7)의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측의 방수시트 조립체(3, 7)에서 진행된다.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3)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3)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7)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의 포개어진 부분을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를 숏크리트층(2)에 박아서 포개어진 부분을 고정시킨다.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7)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다른 측 방수시트 조립체(7)를 압축하여 고정부재(6)를 숏크리트층(2)에 박아서 방수시트 조립체(7)를 고정시킨다.
주부 시공시와 같이, 조인트부 시공에서, 고정부재(6)의 설치로 인하여, 시트 방수층(33, 73)이 뚫리면서 방수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지만 시트 방수층(33)의 양면에서 배수층(31, 71)과 방수재 부착층(32, 72)이 고밀도로 압축되고, 고정부재(6)에서 압축된 외곽에서 배수층(31, 71)과 방수재 부착층(32, 72)이 저밀도의 비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배수층(31, 71)과, 방수재 부착층(32, 72)의 저밀도 부분에서 여과 및 배수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방수시트 조립체(3, 7)의 방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제3 단계(ST3)는 방수시트 조립체(3)의 방수재 부착층(32)에 도막 방수재를 뿜칠하여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방수재는 초속경화 폴리우레탄, 무용제계의 폴리우레아수지, 수계의 폴리우레아수지, 무용제계의 고무화 아스팔트 또는 수계의 고무화 아스팔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막 방수재는 주부(M)에서 방수시트 조립체(3)의 압축된 홈에 채워지고, 주부(M)의 전체 범위에 걸쳐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한다(도 4 참조). 도막 방수층(4)은 방수재 부착층(32)의 표면에 형성되어 터널(1)에 전체적으로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또한 도막 방수층(4)은 주부(M)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압축된 홈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므로 고정부재(6)로 인하여 방수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약화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보강 및 안정시킨다.
도막 방수재는 조인트부(J)에서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3, 7)의 압축된 홈에 채워지고, 조인트부(J)에 걸쳐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한다(도 5a 및 도 5b 참조). 도막 방수층(4)은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3, 7)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의 표면에 형성되어 조인트부(J)에서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또한 도막 방수층(4)은 조인트부(J)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압축된 홈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고정부재(6) 및 맞댄 구조로 인하여 방수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약화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보강 및 안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23)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23)는 시트 방수층(33)과 시트 방수층(33)의 일면에 열융착으로 부착되는 배수층(31)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는 시트 방수층(33)의 양면에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을 구비하는데 비하여, 제2 실시예는 시트 방수층(33)의 일면에 배수층(31)을 구비한다.
제2 단계(ST2)에서 주부 시공단계(ST21)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23)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23)를 압축 및 관통하면서 숏크리트층(2)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6)의 설치로 인하여 시트 방수층(33)이 뚫리면서 방수 구조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지만 시트 방수층(33)의 일면에서 배수층(31)이 고밀도로 압축되고 고정부재(6)에서 압축된 외곽에서 배수층(31)이 저밀도의 비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저밀도 부분에서 여과 및 배수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방수시트 조립체(23)의 방수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주부 시공단계(ST21)는 시트 방수층(33)에서 고정부재(6)의 주위를 덮도록 방수 테이프(62)를 더 부착한다. 방수 테이프(62)는 고정부재(6)와 고정부재(6) 주위에서 부분적으로 방수 구조가 파괴된 시트 방수층(33)을 덮음으로써 고정부재(6)와 시트 방수층(33) 사이에서 방수 구조를 보강 및 안정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2 단계(ST2)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이웃하여 연결되는 방수시트 조립체(23, 27)에서 1쌍의 배수층(31, 71)을 서로 포개고,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포개어 접합하여,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23, 27)를 서로 연결하여 숏크리트층(2)에 고정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하여 양측의 방수시트 조립체(23, 27)에서 진행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23)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27)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의 포개어진 부분을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를 숏크리트층(2)에 박아서 포개어진 부분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6) 및 방수 와셔(61)를 덮어서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23)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27)의 시트 방수층(33, 73)을 포개어 접합한다.
제2 실시예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시트 조립체(23, 27)를 포개어 연결하므로 제1 실시예의 맞대는 구조에 비하여, 고정부재(6)의 사용 개수가 감소하므로 조인트부(J2)의 시공을 더 용이하게 한다.
조인트부에서 고정부재는 포개어지는 양측에 각각 사용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조인트부에서 시공성의 향상을 위하여, 고정부재는 방수시트 조립체를 서로 포개어 방수시트 조립체와 배수층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미도시).
제3 단계(ST3)에서 도막 방수재는 조인트부(J2)에서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23, 27)의 압축된 홈에 채워지고, 조인트부(J2)에 걸쳐 도막 방수층(24)을 형성한다(도 7a 및 도 7b 참조). 도막 방수층(24)은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23, 27)의 시트 방수층(33, 73)의 표면에 형성되어 조인트부(J2)에서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또한 도막 방수층(24)은 조인트부(J2)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압축된 홈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고정부재(6)로 인하여 약화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보강 및 안정시킨다.
제2 실시예에서 도막 방수층(24)을 형성하는 제3 단계(ST3)는 조인트부(J2)에서만 진행되므로 제1 실시예의 주부(M)와 조인트부(J)에서 진행되는 구조에 비하여, 도막 방수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단계(ST4)는 주부(M2)의 시트 방수층(33)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이닝층(5)을 형성한다. 라이닝층(25)은 시트 방수층(33)을 덮어 보호하고, 홈부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시트 방수층(33)으로 형성되는 방수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약화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보강 및 안정시킨다. 홈부에 방수 시트 방수층(62)을 부착한 경우, 라이닝층(5)은 방수 시트 방수층(62)과 시트 방수층(33) 상에 형성된다(도 6 참조).
조인트부(J2)에서 라이닝층(25)은 도막 방수층(24)과 도막 방수층(24)에 노출되는 양측의 시트 방수층(33, 73)을 덮어서 주부(M2)에 연결된다(도 7a 및 도 7b 참조). 라이닝층(25)은 시트 방수층(33)을 덮어 보호하고, 홈부에서 더 얇게 형성되어, 시트 방수층(33)으로 형성되는 방수가 부분적으로 파괴되고 도막 방수층(24)에 의하여 보강된 방수 구조를 안정시킨다.
한편, 기초 터널(1)로부터의 새어 나오는 침출수의 양이 동일한 경우, 제1, 제2 실시예를 비교하면, 제1 실시예는 시트 방수층(33)의 양면에 배수층(31)과 방수재 부착층(32)을 사용하고 주부(M)와 조인트부(J)에 도막 방수층(4)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터널(1)의 요철이 큰 경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2 실시예는 시트 방수층(33)의 일측에 배수층(31)만을 사용하고 조인트부(J2)에 도막 방수층(4)을 형성하므로 터널(1)의 요철이 작은 경우에 경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단계(ST2)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이웃하여 연결되는 방수시트 조립체(43, 47)의 1쌍의 배수층(31, 71)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 상에 양면 접착성의 제1 조인트 부재(64)와 제2 조인트 부재(65)를 순차적으로 부착하여,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43, 47)를 서로 연결하여 숏크리트층(2)에 고정한다. 즉 제1 조인트 부재(64)는 양측 시트 방수층(33, 73)을 방수 구조로 연결하고, 제2 조인트 부재(65)는 방수 와셔(61)와 고정부재(6)로부터 제1 조인트 부재(64)를 보호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하여,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43, 47)에서 진행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43)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47)에서 배수층(31, 71), 시트 방수층(33, 73), 제1 조인트 부재(64) 및 제2 조인트 부재(65)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숏크리트층(2)에 박아서 포개어진 부분을 고정시킨다. 제1 조인트 부재(64)는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연결하여 제2 조인트 부재(65)에 부착하도록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 방수층의 양면 테이프로 형성되거나, 자착식 부틸 고무 시트에 격자형 유리섬유를 적층한 방수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계(ST3)에서 도막 방수재는 조인트부(J3)에서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43, 47)의 압축된 홈에 채워지고, 조인트부(J3)에 걸쳐 도막 방수층(44)을 형성한다. 도막 방수층(44)은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43, 47)의 시트 방수층(43, 47)의 표면에 형성되어 조인트부(J3) 및 주부(M, 도 6 참조)에서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에서, 조인트부의 분해 단면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단계(ST2)에서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53, 57)의 1쌍의 배수층(31, 71)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33, 73) 상에 자착식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조인트 부재(66)를 부착하고, 제1 조인트 부재(66) 상에 1쌍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을 서로 맞대며, 1쌍의 방수재 부착층(32, 72) 상에 제2 조인트 부재(67)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53, 57)를 서로 연결하여 숏크리트층(2)에 고정한다. 즉 제1 조인트 부재(66)는 양측 시트 방수층(33, 73)을 방수 구조로 연결하고, 제2 조인트 부재(67)는 방수 와셔(61)와 고정부재(6)로부터 방수재 부착층(32, 72)을 보호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하여,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53, 57)에서 진행된다. 조인트부 시공단계(ST22)는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53)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57)에서 배수층(31, 71), 시트 방수층(33, 73), 제1 조인트 부재(66), 방수재 부착층(32, 72) 및 제2 조인트 부재(67)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숏크리트층(2)에 박아서 포개어진 부분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제1 조인트 부재(66)는 시트 방수층(33, 73)을 서로 연결하여 방수재 부착층(32, 72)에 부착하도록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 방수층의 양면 테이프로 형성되거나, 자착식 부틸 고무 시트에 격자형 유리섬유를 적층한 방수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인트 부재(66)와 제2 조인트 부재(67)는 일체식 또는 분리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단계(ST3)에서 도막 방수재는 조인트부(J4)에서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53, 57)의 압축된 홈에 채워지고, 조인트부(J4)에 걸쳐 도막 방수층(54)을 형성한다. 도막 방수층(54)은 양측 방수시트 조립체(53, 57)의 방수재 부착층(32, 72)의 표면에 형성되어 조인트부(43) 및 주부(M, 도 4 참조)에서 2차 방수층을 형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방수시트 조립체(83)의 주부(M3)를 시공하는 주부 시공단계(ST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주부 시공단계(ST21)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83)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83)를 압축 및 관통하면서 숏크리트층(2)에 고정시킨다.
방수시트 조립체(83)는 투수성 매트로 배수층(831)을 형성한다. 또한 배수층(831)은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834)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제5 실시예에서는 필터층(834)을 구비하여 도시한다.
예를 들면, 투수성 매트는 일면을 차단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본체부(311), 및 본체부(311)의 일면에 형성되어 투수성을 부여하는 돌출부재들(미도시) 또는 얼기설기 부재들(31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얼기설기 부재들(311)은 가는 실 구조로 형성되어 불규칙하고 무정형화 구조로 얼기설기 얽힌 구조로 본체부(311)의 일면에 구비되어 침출수를 투과 및 배수시킬 수 있다.
필터층(834)은 얼기설기 부재들(311)과 숏크리트층(2) 사이에 개재되어 숏크리트층(2)에서 얼기설기 부재들(311)로 유입되는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얼기설기 부재들(311)에서 배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방수시트 조립체(83)는 본체부(311)의 일면에 부착되는 시트 방수층(83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는 시트 방수층과 본체부 및 얼기설기 부재들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방수시트 조립체는 시트 방수층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미도시).
제5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83)를 적용하는 조인트부 시공단계, 제3, 제4 단계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인트부 구조, 도막 방수층 및 라이닝층에서 적절히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미도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 및 터널 방수 공법을 적용한 터널 방수 구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방수시트 조립체(93)의 주부(M4)를 시공하는 주부 시공단계(ST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제5 실시예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11의 제6 실시예에서, 배수층(931)을 형성하는 투수성 매트는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들(935)을 형성한다. 또한 배수층(931)은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9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제6 실시예에서는 필터층(934)을 구비하여 도시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주부 시공단계(ST21)는 방수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부재(6)를 사용함으로써, 방수 와셔(61)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93)를 압축하면서 고정부재(6)에 의하여 방수시트 조립체(93)를 압축 및 관통하면서 숏크리트층(2)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투수성 매트에 형성되는 관통구들(935)는 침출수를 투과시킬 수 있다. 필터층(934)은 투수성 매트의 관통구들(935)과 숏크리트층(2) 사이에 개재되어 숏크리트층(2)에서 관통구들(935)로 유입되는 침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관통구들(935)에서 배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투수성 매트에서 이웃하는 관통구들(935)은 홈(G)으로 서로 연결되어 침출수의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방수시트 조립체(93)는 배수층(931)의 일면에 부착되는 시트 방수층(933)을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6)는 시트 방수층(933)과 배수층(93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투수성 매트의 필터층(934)의 반대측에 부직포(미도시)를 구비하여 관통구(935)를 경유한 침출수의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시트 방수층(934)은 필터층(934)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부직포에 부착될 수도 있다(미도시).
제6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 조립체(93)를 적용하는 조인트부 시공단계, 제3, 제4 단계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인트부 구조, 도막 방수층 및 라이닝층에서 적절히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미도시).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터널 2 : 숏크리트층
3, 7, 23, 27, 43, 47, 53, 57, 83, 93 : 방수시트 조립체
31, 71, 831, 931 : 배수층 311 : 본체부
312 : 얼기설기 부재 834, 934 : 필터층
32, 72 : 방수재 부착층 33, 73, 833, 933 : 시트 방수층
4, 24, 44, 54 : 도막 방수층 5, 25 : 라이닝층
6 : 고정부재 61 : 방수 와셔
62 : 방수 테이프 64, 66 : 제1 조인트 부재
65, 67 : 제2 조인트 부재 J, J2, J3, J4 : 조인트부
M, M2: 주부 935 : 관통구
W : 폭 ΔW1, ΔW2 : 차이 폭
G : 홈

Claims (31)

  1.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의 일면에 부착되는 시트 방수층
    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층의 반대측에서 상기 시트 방수층에 부착되는 방수재 부착층을 더 포함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과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층은,
    상기 방수재 부착층의 밀도에 비하여 저밀도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과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층은,
    상기 방수재 부착층의 두께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 및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중 하나의 부직포로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방수층은,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EVA(Ethylene Vinyl Acetate), PE(PolyEthylene), 열라미네이트 및 PVC(Poly Vinyl Chloride) 중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및 상기 방수재 부착층은 열융착으로 부착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투수성 매트로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들을 형성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
    을 더 포함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을 차단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투수성을 부여하는 돌출부재들 또는 얼기설기 부재들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상기 돌출부재들 또는 상기 얼기설기 부재들에 부착되는 필터층
    을 더 포함하는 방수시트 조립체.
  13. 기초 터널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숏크리트층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적어도 배수층과 시트 방수층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방수시트 조립체를 상기 숏크리트층에 설치하여 여과 배수 및 시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에 방수재를 뿜칠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도막 방수층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라이닝층을 형성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의 주부를 시공하는 주부 시공단계와,
    상기 주부의 외곽에서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시공하는 조인트부 시공단계
    를 포함하는 터널 방수 공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고정부재로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시트 방수층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주위를 덮도록 방수 테이프를 더 부착하는 터널 방수 공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포개고,
    상기 포개진 배수층 상에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포개어 접합하는 터널 방수 공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포개어진 1쌍의 배수층을 상기 고정부재로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는,
    상기 시트 방수층의 상기 배수층 반대 면에 부착되는 방수재 부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1쌍의 방수재 부착층을 서로 포개는 터널 방수 공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일측 방수시트 조립체와 다른측 방수시트 조립체의 방수재 부착층의 포개어진 부분을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다른 측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3.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 상에 양면 접착성의 제1 조인트 부재와 제2 조인트 부재를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터널 방수 공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및 상기 제2 조인트 부재를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5.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이웃하는 방수시트 조립체의 1쌍의 배수층을 서로 맞대고, 1쌍의 시트 방수층을 서로 맞대며,
    맞대어진 1쌍의 시트 방수층 상에 자착식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제1 조인트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상에 1쌍의 방수재 부착층을 서로 맞대며,
    상기 1쌍의 방수재 부착층 상에 제2 조인트 부재를 배치하는 터널 방수 공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층, 상기 시트 방수층, 상기 제1 조인트 부재, 상기 방수재 부착층 및 상기 제2 조인트 부재를 압축하면 상기 숏크리트층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초속경화 폴리우레탄,
    무용제계 또는 수계의 폴리우레아수지, 및
    무용제계 또는 수계의 고무화 아스팔트 중 하나를 방수재로 사용하는 터널 방수 공법.
  2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는,
    상기 배수층을 투수성 매트로 형성하며,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에서 다른 일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들을 형성하고,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상기 투수성 매트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성 매트는,
    일면을 차단하여 방수성을 부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투수성을 부여하는 돌출부재들 또는 얼기설기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부 시공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에 방수 와셔를 개재하여 상기 방수시트 조립체를 압축하여 상기 숏크리트에 고정시키는 터널 방수 공법.
  31. 제13항, 제14항 및 제16항 내지 제30 항 중 어느 한 항의 터널 방수 공법으로 시공되는 터널 방수 구조물.
KR1020110072052A 2011-07-20 2011-07-20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KR10112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52A KR101126753B1 (ko) 2011-07-20 2011-07-20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52A KR101126753B1 (ko) 2011-07-20 2011-07-20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753B1 true KR101126753B1 (ko) 2012-03-29

Family

ID=4614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052A KR101126753B1 (ko) 2011-07-20 2011-07-20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999A (zh) * 2017-09-18 2018-06-15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寒区隧道的防水防冻防火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999A (zh) * 2017-09-18 2018-06-15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寒区隧道的防水防冻防火结构
CN108166999B (zh) * 2017-09-18 2023-10-27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一种寒区隧道的防水防冻防火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0161C (en) Below grade, blind side,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8104245B2 (en) Method for waterproofing a structural surface
CA2275551C (en) Combined waterproofing sheet and protection course membrane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2096858B1 (ko)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CA2712098C (en) A materi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sulation and drainage to a foundation wall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26753B1 (ko) 방수시트 조립체,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JP4357914B2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1126754B1 (ko) 요철 방수-배수 시트,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KR101298794B1 (ko) 도로 및 교면 방수부재
US11427983B2 (en) Below grade, blind side, improved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704733B1 (ko) 라이닝용 복합패널
JP7486804B2 (ja) 水硬化性土木シートの施工方法
US11007755B2 (en) Self-repairing and self-sealing waterproof membrane, for insulating built structures subjected to hydrostatic pressure
CA2598886C (en)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EP2826620B1 (en) An under tile multilayer sheet for waterproofing a roof of a building, wherein said roof includes a metal roof covering.
KR102226957B1 (ko) 옥상바닥면 방근방수시스템
KR1014193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043834B1 (ko) 방수 시트 이음용 복합 조인트 및 상기 복합 조인트와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AU2009266426A1 (en)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