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84B1 -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84B1
KR101126684B1 KR1020110088363A KR20110088363A KR101126684B1 KR 101126684 B1 KR101126684 B1 KR 101126684B1 KR 1020110088363 A KR1020110088363 A KR 1020110088363A KR 20110088363 A KR20110088363 A KR 20110088363A KR 101126684 B1 KR101126684 B1 KR 10112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abled
cover
adsorp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102011008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1Devices for promoting penis e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30Devices for external stimulation of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의성살갗, 하우징, 흡착부를 포함한다. 의성살갗은 인체의 속살과 같은 느낌을 주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이 형성된다. 하우징에는 의성살갗의 삽입공 입구가 노출되게 의성살갗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흡착부는 하우징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기울기를 조절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애인의 신체조건에 맞게 흡착부를 임의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하여 하우징 및 의성살갗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동보조인의 도움이 없이도 장애인 혼자서 성욕구를 해소하거나 성재활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Assistance medical devic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 남성의 성욕구 해소를 보조하거나 성재활에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나 미혼남성들은 거의 대부분이 충만하는 성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위행위를 실시하고 있음은 조사결과 확인된 사실로서 종래 자위행위를 하는 방법은 성행위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기 위해 대개 성기를 손으로 잡고 전후 왕복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손에 의한 성기 마찰 방법은 실제 성교를 하는 느낌과는 동떨어진 것이어서 행위 진행시나 종료시에 좋은 기분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혈기 왕성한 청년들이나 미혼남성들은 윤락가를 드나들게 되어 각종 성병을 얻고, 또 성폭력 행위를 하는 성범죄를 일으키게 되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폐단을 줄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살갗을 이용하여 실제 성행위를 하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는 자위기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0251호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자위기는 본체를 손으로 잡고 사용하여야 하므로 신체에 결함이 있는 장애인들, 특히 손에 장애가 있는 중증 장애인들은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기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성욕이 있다. 신체가 불편해 성생활이 불편하므로 오히려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장애인의 성욕을 사치로 여기는 분위기가 있다. 본능적인 성욕을 그냥 참으라는 것은 배고픈데 참기를 강요하는 것과 같다. 성매매금지 특별법 이후 오히려 장애인의 성적 해소 출구가 사라진 감도 있다.
특히 미혼 장애인들은 신체 제약과 사회 분위기 때문에 성생활이 정말 여의치 않다. 기혼 장애인들은 배우자와의 공동 노력으로 성생활 훈련을 받고 어느 정도 성생활을 회복하지만 미혼의 경우는 매우 어렵다.
성에 대한 욕구는 일반인들이나 혈기왕성한 청년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에게도 기본적인 욕구이며 이를 인정하고 이해해주는 것이 소외된 장애인의 성문제를 건전하고 적절하게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
한국은 최근에 장애인이 활동보조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성적인 활동 보조를 요구하는 문제가 조심스럽게 이야기되고 있다. 성적인 활동 보조는 반드시 성교행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활동보조인이 중증장애인의 요청에 의해서 자위행위를 도와주는 일, 자위도구를 구입해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 장애인의 성적파트너와의 성관계를 포함한 성행위를 지원하는 일, 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일 등이 중요한 성적인 활동 보조가 된다.
장애인의 성적욕구가 건전한 방향으로 해소되지 못하게 되면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어 육체적 장애로 인해 정신적 문제가 쉽게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은 정상인보다 더 심한 우울증, 히스테리 등의 정신 건강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장애인들인 신체적인 이유, 심리적인 이유 등으로 성생활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장애인들의 성재활을 위해 현재 국립재활원 성재활프로그램에는 자위기구 사용법에 대한 강의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위기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수업에 곤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위기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장애인의 정신건강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장애인의 성에 대한 욕구를 해결하거나 성재활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동보조인의 도움이 없이도 장애인 혼자서 성욕구를 해소하거나 성재활에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는 의성살갗, 하우징, 흡착부를 포함한다. 의성살갗은 인체의 속살과 같은 느낌을 주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이 형성된다. 하우징에는 의성살갗의 삽입공 입구가 노출되게 의성살갗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흡착부는 하우징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한다.
흡착부는 하우징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흡착부는 돔형태의 흡착판과, 흡착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흡착판 지지 몸체와, 하우징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흡착판 지지 몸체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우징 베이스에 고정하는 조절고정구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의성살갗의 노출부분을 덮도록 제1커버가 구비된다. 하우징의 타측에는 흡착부를 덮도록 제2커버가 구비된다.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는 의성살갗이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링이 안착된다.
의성살갗은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로 이루어지며, 삽입부와 노출부의 경계에는 걸림링이 끼워져 걸리는 띠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에 의하면, 장애인의 신체조건에 맞게 흡착부를 임의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하여 하우징 및 의성살갗을 기울여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활동보조인의 도움이 없이도 장애인 혼자서 자위행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수치심 없이 성욕구를 해소할 수 있으며, 장애인의 성재활을 위한 학습 도구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성살갗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흡착부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분을 일부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도 1에서는 의성살갗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흡착부가 하우징의 하단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의성살갗을 나타내는 입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흡착부가 하우징에 연결되는 부분을 일부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100)는, 의성살갗(110)과, 하우징(120)과, 흡착부(130)로 이루어진다. 의성살갗(110)은 인체의 속살과 같은 느낌을 주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114)이 형성된다. 하우징(120)에는 의성살갗(110)의 삽입공 입구(114a)가 노출되게 의성살갗(110)이 착탈가능케 결합된다. 의성살갗(110)은 하우징(120)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므로 자위행위 후에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흡착부(130)는 하우징(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우징(120)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10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의성살갗(110)의 노출부분을 덮도록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제1커버(140)가 결합되고, 흡착부(130)를 덮어 보관하도록 하우징(120)의 타측에는 제2커버(150)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성살갗(11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 착탈가능케 삽입되는 삽입부(111)와, 하우징(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112)로 이루어지며, 삽입부(111)와 노출부(112)의 경계에는 후술하는 걸림링이 끼워져 걸리는 띠홈(113)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된다.
의성살갗(110)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 TPE)가 바람직하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 EVA)도 사용될 수 있다.
TPE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는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elastomer)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이며, 사용 재료에 따라 Styrene계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SBC), Olefin계 (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urethane계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mide계 (thermoplastic polyamide, TPAE), polyester계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등으로 구분된다.
삽입부(111)의 상측에는 하우징(120)의 일측(제1커버가 결합되는 부분) 단부의 내면에 밀착하는 밀착면(111a)이 형성되고, 밀착면(111a)의 하측에는 하우징(120)의 후술하는 잘록부에 안착하는 안착면(111b)이 형성되며, 안착면(111b)의 하측에는 줄기 외면을 따라 하우징(120)의 중간 내면에 지지되는 지지띠(111c)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면(111a)과 안착면(111b) 사이에는 의성살갗(110)을 하우징(120)의 내부에 용이하게 끼우고 빼내도록 보조띠홈(111d)이 형성된다.
노출부(112)는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노출부(112)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 입구(114a)가 형성된다.
삽입공(114)은 노출부(112)에서 삽입부(111)에 걸쳐 의성살갗(11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의성살갗(110)은 하우징(120)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므로 자위행위 후에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삽입공(114)이 의성살갗(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를 더욱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삽입공(114)은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되게 형성되며 삽입공 입구(114a)를 포함한 일부의 내부에는 인체의 질 내부와 유사한 질감을 얻도록 특수처리(왁스처리 등)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삽입공 입구(114a)는 인체의 질 입구와 유사한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공 출구(114b)는 흡착부(130)의 후술하는 하우징 베이스 내부에 연통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그 중간에 잘록한 잘록부(121)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 제1커버(140)가 외삽되어 밀착하는 제1커버 밀착부(122)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 제2커버(150)가 외삽되어 밀착하는 제2커버 밀착부(123)가 형성된 통형 구조이다.
제1커버 밀착부(122)의 끝단에는 내부에 걸림턱(122a)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22a)에는 의성살갗(110)의 띠홈(113)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링(160)이 안착된다. 제1커버 밀착부(122)는 제1커버(140)가 외삽되어 걸리도록 걸림단을 이루고 있다.
제2커버 밀착부(123)의 내면에는 흡착부(130)의 후술하는 하우징 베이스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제2커버 밀착부(123)는 제2커버(150)가 외삽되어 걸리도록 걸림단을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130)는 하우징(120)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하우징(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흡착부(130)는 돔 형태의 흡착판(131)과, 흡착판(131)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흡착판 지지 몸체(132)와, 하우징(120)에 분리가능케 나사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133)와, 흡착판 지지 몸체(132)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우징 베이스(133)에 고정하는 조절 고정구(134)를 구비한다.
흡착판(131)은 고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인 진공 흡착판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착판(131)의 중앙에 결합된 로드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흡착판 지지 몸체(132)에 결합되는 회전레버(135)를 나선홈을 따라 회전시키면 흡착판(131)이 흡착판 지지 몸체(132)에 달라붙고 떨어지는 작동을 하게 되어, 흡착판(131)을 벽면 또는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부착하거나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손쉽게 뗄 수 있게 되어 있다.
흡착판 지지 몸체(132)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133)의 후술하는 암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플랜지(132a)가 형성된다. 플랜지(132a)에는 조절 고정구(134)의 후술하는 볼트가 끼워지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133)는, 하우징(120)의 하측 트인부분을 막는 평판부(133a)의 일측면에는 제1커버 밀착부(123)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공간(S)을 형성하는 나사벽(133b)이 형성되고, 평판부(133a)의 타측면에는 플랜지(132a) 사이에 끼워지는 암(133c)이 형성된 구조이다. 플랜지(132a)의 내측면과 암(133c)의 외측면에는 흡착부(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에 흡착판 지지 몸체(132) 또는 하우징 베이스(133)가 급격하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T)가 형성된다. 이 돌기(T)는 조절 고정구(134)의 중심축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띠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고정구(134)는 플랜지(132a)와 암(133c)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볼트(134a)와, 볼트(134a)의 단부에 체결되어 하우징 베이스(133)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나비너트(134b)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140)는 하우징(120)의 제1커버 밀착부(122)에 외삽되어 억지끼움되는 원통 캡 형태이며, 그 바닥에는 압착시 공기가 빠지도록 다수의 공기구멍(141)이 형성된다. 제1커버(140)는 의성살갗(110)의 노출부(112)를 가려주므로 성기 모양을 노출시킴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커버(150)는 하우징(120)의 제2커버 밀착부(123)에 외삽되어 억지끼움되는 원통 캡 형태이며, 그 바닥에는 압착시 공기가 빠지도록 다수의 공기구멍(151)이 형성된다.
걸림링(160)은 와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의성살갗(110)의 띠홈(113)에 끼워져 걸려 하우징(120)의 걸림턱(122a)에 안착된다. 걸림링(160)은 의성살갗(110)의 노출부(112)가 하우징(120)에 정위치하여 결합되는 역할을 하며, 자위행위 중에 의성살갗(110)이 이동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제1커버(140)와 제2커버(150)를 하우징(120)에서 분리하고, 장애인의 선택에 따라 벽면이나 바닥면에 흡착부(130)를 부착한다. 이때 흡착부(130)의 회전레버(135)를 회전시키면 흡착판(131)이 흡착판 지지 몸체(132)에 달라붙게 되어 흡착판(131)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고정구(134)의 나비너트(134b)를 풀어 하우징 베이스(133)를 기울이면 하우징(120)과 함께 의성살갗(110)도 기울어지므로, 장애인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삽입공 입구(114a)를 위치시켜 나비너트(134b)를 조여 하우징(120)을 고정시키고 음경을 의성살갗(110)의 삽입공(114)에 삽입하면서 혼자서 자위행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위행위 중에 사정된 액체는 삽입공(114)의 삽입공 출구(114b)를 통해 하우징 베이스(133)의 공간(S)에 모이게 되는데, 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된 하우징 베이스(133)를 분리시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110 : 의성살갗
111 : 삽입부 112 : 노출부
113 : 띠홈 114 : 삽입공
120 : 하우징 121 : 잘록부
122 : 제1커버 밀착부 123 : 제2커버 밀착부
130 : 흡착부 131 : 흡착판
132 : 흡착판 지지 몸체 133 : 하우징 베이스
134 : 조절 고정구 135 : 회전레버
140 : 제1커버 150 : 제2커버
160 : 걸림링

Claims (6)

  1.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인체의 속살과 같은 느낌을 주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의 입구가 노출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의성살갗과,
    상기 하우징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는 돔형태의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흡착판 지지 몸체와,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흡착판 지지 몸체의 기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우징 베이스에 고정하는 조절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의성살갗의 노출부분을 덮도록 제1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흡착부를 덮도록 제2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의성살갗이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링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의성살갗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노출부의 경계에는 상기 걸림링이 끼워져 걸리는 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KR1020110088363A 2011-09-01 2011-09-01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KR10112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63A KR101126684B1 (ko) 2011-09-01 2011-09-01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363A KR101126684B1 (ko) 2011-09-01 2011-09-01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684B1 true KR101126684B1 (ko) 2012-03-29

Family

ID=4614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363A KR101126684B1 (ko) 2011-09-01 2011-09-01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251Y1 (ko) * 1996-07-27 1999-07-01 김성규 남성용 자위기구
US20110040142A1 (en) 2009-08-17 2011-02-17 Firma Medical Holdings, Llc Vacuum erection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0251Y1 (ko) * 1996-07-27 1999-07-01 김성규 남성용 자위기구
US20110040142A1 (en) 2009-08-17 2011-02-17 Firma Medical Holdings, Llc Vacuum erection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346B2 (en) Contoured dildo and harness plate
KR101677355B1 (ko) 남성 오르가즘을 촉진하는 장치와 방법
US6464653B1 (en) Clitoral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JP5206789B2 (ja) 男性器用マッサージ具
JP5512902B2 (ja) 早期射精の処置及び男性器の刺激のための装置
WO2005099366A2 (en) Sexual intercourse simulation device
WO2004093754A2 (en) A multiuse/ multipurpose automatic sheath, methods and tools
US20130245366A1 (en) Medical Device to Aid in Ejaculation
US9211211B2 (en) Female posterior wall prosthesis
JP2004159948A (ja) 介護用使い捨て便器
KR101126684B1 (ko)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KR20240039307A (ko) 장애인용 의료보조기구
JP4381843B2 (ja) 性不全者用補助器具
US20050233876A1 (en) Doctor underpants
CN213346510U (zh) 一种护理用洗头机
JP6900555B2 (ja) 自在ストレッチ式連動ペニス運動器具
US20230201071A1 (en) Enhanced prophylactics for vacuum therapy
JP4212002B1 (ja) 男性用受尿器具
KR20220035362A (ko) 휴대용 소변기
JP2015196019A (ja) 性不全者用補助器具
KR200183578Y1 (ko) 진동용 전립선 맛사지 팬티
JP2008136776A (ja) 性不全者用補助器具
CN110368175A (zh) 脏器托抵装置
JPH062142B2 (ja) 性不全者用補助器具
JP2012016549A (ja) 性不全者用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