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89B1 -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89B1
KR101124689B1 KR1020090048998A KR20090048998A KR101124689B1 KR 101124689 B1 KR101124689 B1 KR 101124689B1 KR 1020090048998 A KR1020090048998 A KR 1020090048998A KR 20090048998 A KR20090048998 A KR 20090048998A KR 101124689 B1 KR101124689 B1 KR 10112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sludge
scraper
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0354A (en
Inventor
최영화
Original Assignee
리다산업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다산업 주식회사,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리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89B1/en
Publication of KR2010013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면,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된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가 침전 후 방류될 수 있도록 침전공간(10A)을 갖는 저류조(10); 상기 오염수 내 비점오염원인 슬러지(2)를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0)(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 상기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된 슬러지(2)가 저장되는 슬러지 저장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을 제시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for efficiently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generated from road surface, construction site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orage tank 10 having a settling space (10A)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can be discharged after precipitation; A scraper (20) installed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scrape the sludge (2) which i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the contaminated water; A guide part (30) for guiding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udge storage tank 40 in which the sludge 2 guided by the guide unit 30 is stored.

오염원, 비점오염원, 빗물, 우수, 침전, 저류조, 스크레이퍼 Pollutant, Nonpoint Source, Rainwater, Rainfall, Sedimentation, Storage Tank, Scraper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노면, 건설현장 등에서 발생된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를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for efficiently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generated from road surface, construction site and the like.

오염물질의 발생원은 그 배출구가 일정한 장소에 특정되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Sources of pollutants are classifi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based on whether their outlets are specified in a specific location.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이 특정 장소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로서, 하수처리장, 산업공장의 폐수처리장, 축산, 분뇨, 침출수 등을 들 수 있다.Non-point source is a case where the pollut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a specific place,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industrial plant, livestock, manure, leachate and the like.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배출구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로서, 도로, 교량 등의 상부에 쌓인 오염물질, 차량배기가스, 타이어 등의 미세분진, 도로 농경지 등의 건설현장의 지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우천시 우수(雨水)와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수질오염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Non-point source is a case where the discharge port of pollutants cannot be specified, such as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top of roads and bridges, fine dust such as vehicle exhaust gas and tires, and pollutant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construction sites such as road farmland For example, these pollutants are a representative cause of water pollution because it is introduced into the stream with rainwater (rain water) during rainy weather.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특정 오염원이고 대부분이 빗물에 의해 씻겨져 배수되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주변환경, 지질, 지형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These nonpoint sources are non-specific pollutants as described above, and since most of them are washed and drained by rainwater, they are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environmental conditions, geology, and terrain, which are difficult to artificially control.

그러므로, 비점오염원의 일간, 계절간 비점오염원 배수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매우 어렵다.Therefore, the difference in daily nonpoint source drainage amount between the nonpoint source and the season is large, and prediction and quantification are very difficult.

또한 비점오염원은 많은 비에 의해서 충분히 배출될 수 있는 바, 한번에 대용량의 비점오염원을 처리해야 된다.In addition, the nonpoint source can be discharged sufficiently by a large amount of rain, so a large amount of nonpoint source must be treated at a time.

따라서,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현 실정에서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비와 함께 배수된 비점오염원, 즉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방류하는 침전방식으로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고 있다.Therefore, as a countermeasure for treating a nonpoint sourc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However, in the current situation, a nonpoint source is installed in a sedimentation method in which a nonpoint source, that is, drained with rain, is precipitated and then discharged. Is processing.

그러나 현 실정에서, 침전방식은 대용량의 비점오염원을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불규칙하고 비특정한 비점오염원의 처리관리 및 그 유지,보수가 쉽지만, 단순히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를 침전시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situation, the sedimentation method can economically handle a large amount of nonpoint source, and it is easy to manage, maintain, and repair irregular and nonspecific point source, but it simply precipitates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Therefore, 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처리효율을 위해서는, 충분한 침전시간을 가져야 하므로, 비점오염원의 처리시간이 오래 걸린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effectively treat the nonpoint source, it is necessary to have a sufficient settling time, so that the nonpoint source takes a long time.

또한 미세 슬러지의 부유는 물론, 침전된 정화수의 배수나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의 유입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반에 의한 슬러지의 부유, 많은 슬러지량 등으로 인해, 슬러지를 충분히 침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flotation of fine sludge, the sludge caused by the agitation caused by the drainage of precipitated purified water or the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etc. have.

또한 슬러지의 장시간 침전으로 인해 2차적인 오염원이 발생되어, 오염수를 충분히 정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침전된 슬러지의 처리가 어렵다.In addition, secondary sedimentation sources are generated due to prolonged sedimentation of the sludge, and there is a limit in purifying contaminated water sufficiently, and it is difficult to treat the precipitated sludge.

또한 침전된 슬러지의 배출을 위해, 수시로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중단해야되고, 침전된 슬러지의 배출 등에 따른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charge the precipitated sludge, the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must be stopped from time to time, and a lot of time and cost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due to discharge of the precipitated slud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을 침전방식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that can more effectively treat the non-point source by the precipitation method.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가 침전 후 방류될 수 있도록 침전공간(10A)을 갖는 저류조(10); 상기 오염수 내 비점오염원인 슬러지(2)를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0)(scraper);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 상기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된 슬러지(2)가 저장되는 슬러지 저장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e storage tank 10 having a settling space (10A)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non-point source can be discharged after precipitation; A scraper (20) installed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scrape the sludge (2) which i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the contaminated water; A guide part (30) for guiding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Present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omprising a; sludge storage tank 40, the sludge 2 guided by the guide portion 30 is stored.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상기 저류조(10)의 외측에 연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0).

상기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부에 상기 가이드부(30)가 연결될 수 있다.The guide part 3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40) 내 슬러지(2)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부(4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42 for external discharge of the sludge 2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상기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부에는 상기 슬러지(2)가 침전된 정화수가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으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홀(4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verflow hole 44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so that the purified water in which the sludge 2 is precipitated may overflow into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 내 오염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로 펌핑하는 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30 may include a pump 32 for pump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상기 저류조(1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상기 슬러지(2)가 모아지고, 상기 가이드부(30)와 연결된 집진챔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hamber 50 in which the sludge 2 is collected by the scraper 20 and connected to the guide part 30.

상기 집진챔버(40)는 상기 저류조(10)의 입구부와 출구부 중 입구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hamber 40 may be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tank 10.

상기 집진챔버(5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가 유입되고,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구부(52)를 가질 수 있다.The dust chamber 50 may have an opening 52 through which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is introduced and can be covered by the scraper 20.

상기 저류조(10) 및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precast structure 100 constructed by a precast method.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양단부가 개구된 공동을 형성토록 상하로 조립되고, 각각 복수개가 상기 공동의 개구방향을 따라서 연접되게 설치되는 상,하부부재(110,120); 상기 상,하부부재(110,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개구된 양단부를 각각 복개하는 한 쌍의 마감부재(130); 상기 공동을 상기 저류조(10)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로 구획토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cast structure 100 includes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assembled up and down to form a cavity having both ends opened, and a plurality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avity; A pair of finishing members 130 covering the open ends of the cavity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40 installed to partition the cavity into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상기 상부부재(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는 파워팩(powerpack)부재(16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upper members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ower pack member 160 in which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craper 20 is installed.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상기 침전공간(10A) 및 상기 슬러지 저장 조(40)의 저장공간(60A)을 각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cast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50 for partitioning the precipitation space 10A and the storage space 60A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respectively.

상기 격벽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52)를 가질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150 may have at least one opening 152.

상기 격벽부재(150)는 상기 상부부재(1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상측 격벽부(150A) 및, 상기 하부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상측 격벽부(150A)와 함께 상기 격벽부재(150)를 이루는 하측 격벽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150 is formed with the upper partition wall part 150A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120 with the upper partition wall part 150A and the partition wall member ( Lower barrier rib portion 150B constituting 150 may be included.

상기 격벽부재(15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상기 스크레이퍼(20)가 적어도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scraper 20 may be installed in each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150.

상기 구획부재(14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격벽부재(15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와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140 may be installed to cros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aper 20, and the partition member 150 may be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본 발명은 저류조 내 슬러지를 침전시킴과 아울러 저류조 내 슬러지를 스크레이퍼로 긁어모아서 배출시킴으로써, 침전방식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가 매우 우수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udge in the storage tank is precipitated, and the sludge in the storage tank is scraped and discharged by scrapers, so that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by the precipitation method is very excelle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은,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가 침전과정 후 방류될 수 있도록 침전공간(10A)을 갖는 저류조(10)와, 오염수 내 비점오염원인 슬러지(2)를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0)(scraper)와,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와,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된 슬러지(2)가 저장되는 슬러지 저장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10 having a settling space (10A) so that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the non-point source can be discharged after the precipitation process, and in the contaminated water Guide part for guiding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and the scraper 20 install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so as to collect the sludge 2 which i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 30 and a sludge storage tank 40 in which the sludge 2 guided by the guide part 30 is stored.

즉, 기본적으로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서 오염수의 비점오염원인 슬러지(2)를 침전시켜서 슬러지(2)는 저류조(10)에 잔류시키고, 슬러지(2) 침전 후 정화수만을 방류하여, 비점오염원을 처리한다. That is, basically, the sludge 2, which is a non-point pollutant of contaminated water, is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the sludge 2 remains in the storage tank 10, and only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fter the sludge 2 is precipitated. To treat the non-point source.

따라서, 오염수를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담아두기만 하면 되므로, 대용량의 비점오염원을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불규칙하고 비특정한 비점오염원의 처리관리 및 그 유지,보수가 쉽다.Therefore, the contaminated water only needs to be contain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a large amount of nonpoint source can be economically treated, and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irregular and nonspecific nonpoint source is easy. .

이와 더불어, 스크레이퍼(20)에 의해 슬러지(2)를 한쪽으로 모은 후, 모아진 슬러지(2)를 슬러지 저장조(40)로 걸려낸다. In addition, after the sludge 2 is collected by the scraper 20 to one side, the collected sludge 2 is caught by the sludge storage tank 40.

따라서, 슬러지(2)를 어느정도 제거하고 침전공간(10A)에서 침전시킴으로써, 저류조(10)에서의 침전방식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by removing the sludge 2 to some extent and settling in the settling space 10A,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efficiency by the precipitation method in the storage tank 10 is very excellent.

구체적으로,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서의 침전량이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서, 침전시간, 즉 비점오염원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다. Specifically, as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is significan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ttling time, that is, non-point source treatment time.

또한 미세 슬러지(2) 또한 슬러지 저장조(40)로 가이드될 수 있고 침전량이 적기 때문에, 슬러지(2) 부유로 인한 침전율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ne sludge 2 may also be guided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small, the decrease in the precipitation rate due to the sludge 2 floating may be prevented.

또한 저류조(10)에 침전된 슬러지(2)가 스크레이퍼(20) 및 가이드부(30)에 의해 바로바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2)의 장시간 침전으로 인해 2차적인 오염원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udge 2 precipitated in the storage tank 10 can be immediately discharged by the scraper 20 and the guide portion 30, the secondary pollution source can be prevented due to the long-term precipitation of the sludge (2). have.

또한 침전된 슬러지(2)의 배출을 위해, 오염수의 유입 및 배수를 중단할 필요가 없고, 침전된 슬러지(2)의 배출 등에 따른 유지,보수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discharge of the precipitated sludge 2, it is not necessary to stop the inflow and drainage of the contaminated wa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time and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due to the discharge of the precipitated sludge (2).

또한, 슬러지(2)를 슬러지 저장조(40)에 저장할 수 있는바, 슬러지(2)의 외부 배출을 위해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을 청소 등 처리하는 것보다는 슬러지 저장조(40)를 처리하는 것이 크기 면에서 보다 유리한 바, 후처리 등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ludge (2) can be stor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the sludge storage tank (40) rather than cleaning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for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sludge (2). Since the treatment is more advantageous in siz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maintenance and repair, such as post-treatment, can be facilitated.

이하, 저류조(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orage tank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저류조(10) 및 슬러지 저장조(40)는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서 그 크기가 방대한 구조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현장타설보다는 다음과 같이 프리캐스트(precast)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are generally constructed in a structure having a large size for effective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by the precast method as follows rather than site casting. It may be desirable.

즉 프리캐스트 공법이란, 공장에서 미리 패널, 박스 등의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시공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저류조(10)를 시공하게 되면, 저류조(10)의 각 부재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됨으로써, 균등한 품질관리가 가능하여 하자 및 보수발생 빈도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점, 동절기 및 야간에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 별도의 양생 기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짧다는 점 등에서 전자의 현장타설공법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reca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factory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nel, a box, or the like beforehand and assembled in the field. Therefore, when the storage tank 10 is constructed by the precast method, each member of the storage tank 10 is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so that equal quality control is possible, and the frequency of defects and repairs is significantly lowered. The construction is possible even at night, and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uring period,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compared to the former on-site casting method has a very good advantage.

또한,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저류조(10), 슬러지 저장조(40) 등이 시공됨 으로써, 저류조(10), 슬러지 저장조(40)의 용량에 대응하여 유동적으로 저류조(10)의 크기 및 형상 등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orage tank 10, the sludge storage tank 40, etc. are constructed by the precast method,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tank 10, etc., are flexibly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10, the sludge storage tank 40,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이때, 저류조(10) 및 슬러지 저장조(40)는 서로 거리를 두고 시공되어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저장조(40)가 저류조(10)의 외측에 연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이드부(30)의 구조 간소화 및 용량 최소화는 물론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 간소화, 제작 및 시공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but as shown, the sludge storage tank 4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0, the guide portion 30 It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inimizing the capacity, as well as simplify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ease of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따라서, 저류조(10) 및 슬러지 저장조(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어 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constructed by the precast structure 100 constructed by the precast method as shown.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제작 및 운송, 시공의 용이성, 구조적 안정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각 부재들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recast structure 100 may have various members in consideration of aspects such as fabrication and transportation, ease of construc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바람직한 일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양단부가 개구된 공동을 형성토록 상하로 조립되고, 각각 복수개가 공동의 개구방향(화살표 L)을 따라서 연접되게 설치되는 상,하부부재(110,120)와; 상,하부부재(110,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개구된 양단부를 각각 복개하는 한 쌍의 마감부재(130)와; 공동을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과 슬러지 저장조(40)의 저장공간(40A)으로 구획토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xample, as shown, the precast structure 100 is assembled up and down so as to form a cavity having both ends opened, and each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opening direction (arrow L) of the cavity. 110 and 120; A pair of finishing members 130 covering the open ends of the cavity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respectively;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40 is installed so as to partition the cavity into the storage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torage space 40A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부부재(1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는, 스크레이퍼(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24)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구동부(24)가 내장될 수 있는 파워 팩(powerpack)부재(160)가 형성될 수 있다. 파워팩부재(160)는 상부부재(110)와 일체로 제작되든,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든 무방하다.At least one of the upper members 110, a power pack member 160 in which the driving unit 24 may be built in order to install the driving unit 24 for driving the scraper 20. Can be formed. The power pack member 16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ember 110 or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상부부재(110) 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에는, 저류조(10)의 내부 점검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점검용 맨홀(100B)이 형성될 수 있다. 점검용 맨홀(100B)은 상부부재(110)와 일체로 제작되든,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되든 무방하다. At least one upper side of the upper member 110, at least one inspection manhole (100B) may be formed to facilitate the internal inspection of the storage tank (10). The inspection manhole 100B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ember 110 or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상,하부부재(110,120)는 특히 도 5,6의 'F1' 및 도 10,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고 정확한 조립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구조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될 수 있다. 즉 상,하부부재(110,120)는 서로 맞접되는 면(112,122)이 '凹'나 '凸', 웨이브 등의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are assembl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n uneven structure, as shown in particular, for easier, more robust and accurate assembly, as shown in FIGS. 5 and 6 'F1' and 10 and 11. Can be. That is,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may be formed with concave-convex surfaces such as '凹', '凸', waves, etc., in contact with each other.

물론, 상,하부부재(110,120)는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서,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나 접착제, 긴장재 등에 의해 서로 구속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Of course,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may be coupled to be constrain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an adhesive, a tension member, or the like, depending on circumstances.

복수개의 상부부재(110)들은 특히 도 4의 'E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고 정확한 조립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구조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조립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상부부재(110)는 서로 맞접되는 면이 '凸', 웨이브 등의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특히 도 4의 'E2', 도 7,8의 'E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하부부재(120)들 또한 요철구조에 의해 서로 조립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pper members 110 may be assembl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n uneven structure as shown, in particular for easier, more robust and accurate assembly, respectively, as shown in E1 and FIG. 11 of FIG. 4. . That is, the plurality of upper members 110 may be formed of the concave-convex surface, such as '凸', the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course, in particular, as shown in 'E2' of FIG. 4, 'E3' of FIG. 7,8, and FIG.

구획부재(140)는 슬러지 저장조(40)의 개수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140)는 저류조(10)에 대한 슬러지 저장조(40)의 위치, 구조 등에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형태는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Partition member 140 may be one or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number of sludge storage tank (40). In addition, the partition member 140 may take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panel form as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structure, etc.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with respect to the storage tank 10.

여기서, 구획부재(140)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스크레이퍼(20)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Here, the partition member 140 may be more preferably installed to cros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aper 20 for the following reasons.

즉, 저류조(10)와 슬러지 저장조(40)가 스크레이퍼(20)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스크레이퍼(20)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의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서 직선 이동됨에 따라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 단순화 및 스크레이퍼(20)의 개수 최소화, 스크레이퍼(20)의 소형화 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저장조(4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집진챔버(50)와 근접되게 위치됨으로써 가이드부(30)의 구조간소화 및 용량 최소화 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aper 20. Therefore, as the scraper 20 is linear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ow L) of the precast structure 100, the path of the scraper 20 is simplified, the number of the scrapers 20 is minimized, and the size of the scraper 20 is reduced.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from the side. In addition, since the sludge storage tank 40 is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s described below, it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inimizing the capacity of the guide unit 30.

나아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을 각각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cast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50 for partitioning the precipi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respectively.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20) 및 후술할 집진챔버(50), 가이드부(30) 등이 저류조(10)의 크기, 구조 등에 따라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스크레이퍼(20)의 구동으로 인한 간섭에 의해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보다 많은 교반이 발생되어 슬러지(2)가 부유되기 쉬운 바, 스크레이퍼(20)에 의한 효과적인 슬러지(2) 집진을 위해 격벽부재(150)에 의해 침전공간(10A)이 구획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a plurality of scrapers 20, a dust collecting chamber 50, a guide part 30, and the like, which are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torage tank 10. More agitation is generated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due to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sludge 2 so that the sludge 2 is easily suspended.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precipitation space (10A) is partitioned by).

이때, 격벽부재(150)는 스크레이퍼(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와 나란히 설치되며, 격벽부재(15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스크레이퍼(20)가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member 150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craper 20, at least one scraper 20 is installed in each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150. It may be desirable.

또한 격벽부재(150)는 적은 수의 스크레이퍼(20)로 효율적으로 슬러지(2)를 긁어모을 수 있도록, 저류조(10)의 폭방향보다는 길이방향(화살표 L)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member 150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row L) rather tha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orage tank 10 so that the sludge 2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with a small number of scrapers 20. Can be.

격벽부재(150)는 상황에 따라서, 즉 일 예로써 저류조(10)의 입구부나 저류조(10)의 출구부가 하나만 형성된 경우에도, 오염수의 출입이 용이하기 위해, 오염수가 교통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5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member 150 may be at least one according to a situation, that is, even if only one inlet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or one outlet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is formed, for example, contaminated water may be communicated in order to facilitate access of the contaminated water. It may be formed to have an opening 152 of.

이와 같은 격벽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0) 및 하부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즉 격벽부재(150)는 상부부재(1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상측 격벽부(140A) 및, 하부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측 격벽부(140A)와 함께 격벽부재(150)를 이루는 하측 격벽부(14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Such a partition member 15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120 as shown. That is, the partition member 15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40A, and the lower member 120 is integrally manufactured to form the partition member 150 together with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40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partition wall portion 140B.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격벽부재(150)는 상부부재(110) 및 하부부재(120)와 별도로 제작되어,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 에폭시 등의 접착제 등에 의해 상부부재(110) 및 하부부재(120)와 조립될 수도 있다.Of cours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partition member 150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120,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by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anchor bolt, adhesive such as epoxy, etc.) 120 may be assembled.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0) 및 하부부재(110)의 구조가 저류조(10), 슬러지 저장조(40)에 구분없이 공용될 수 있도록, 격벽부재(150)는 슬러지 저장조(40)의 저장공간(40A)에도 설치될 수 있다.Here, as shown, the partition member 150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110 can be shared in the storage tank 10, the sludge storage tank 40 without division. It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40A.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각 부재들의 서로 간 구속 및 프리스트 레스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 증대를 위해, 긴장재(170)가 정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는 긴장재(170)의 정착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긴장재 정착홈(100A)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cast structure 100, the tension member 170 may be fixed in order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by restraining and prestressing each member. Here, the tension member fixing groove 100A may be formed in the precast structure 100 for ease of fixing the tension member 170.

이하, 스크레이퍼(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crap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스크레이퍼(20)는 부유된 슬러지(2)를 집진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지며, 상당량의 슬러지(2)가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의 바닥에 침전되는 바,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2)를 집진할 수 있도록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의 바닥을 긁으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scraper 20 is less efficient in collecting the suspended sludge 2, the amount of sludge 2 i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he settling space of the storage tank 10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move while scratching the bottom of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collect the sludge (2) precipitated on the bottom of (10A).

스크레이퍼(20)는 저류조(10)의 크기, 구조, 가이드부(30)의 개수, 위치 등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은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곡선경로, 직선 및 곡선의 혼합경로 등 다양한 경로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를 단순화하는 것이,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침전된 슬러지(2)를 빠짐없이 긁어모을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20)에 의한 슬러지(2)의 부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등의 측면에서, 스크레이퍼(20)가 직선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scraper 20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torage tank 10, the structure, the number, position, etc. of the storage tank 10, as shown, as well as to move along a straight path as shown It can be moved along various paths such as curved paths, straight lines and mixed paths of curves. However,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can minimize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and can scrape the sludge 2 deposit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without missing. In addition, in view of minimizing the floating of the sludge 2 by the scraper 20,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craper 20 to be moved along a straight path.

이와 같은 스크레이퍼(20)는 흔들림 방지를 위해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스크레이퍼(20)는 유압식은 물론, 공압식, 기계식 등 상황에 따라 서 다양한 동력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uch a scraper 20 is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22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prevent shaking. At this time, the scraper 20 can be driven by a variety of power sour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hydraulic, pneumatic, mechanical, of course.

이하, 가이드부(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guide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가이드부(30)는 자유낙하 등 무동력에 의해 오염수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효율성을 위해 동력에 의해 오염수를 압송토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The guide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contaminated water by non-power, such as free fall, but may be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pump contaminated water by power for efficiency.

즉, 가이드부(30)는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과 여과부(30)를 연결하는 가이드부재(34) 및, 가이드부재(34)를 따라서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 내 오염수를 여과부(30)로 펌핑하는 펌프(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part 30 includes a guide member 34 connecting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filtration part 30, and a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along the guide member 34. ) May include a pump 32 for pumping the contaminated water into the filtration unit 30.

가이드부재(34)는 상황에 따라서, 파이프, 호스, 분배관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Guide member 3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pipes, hoses, distribution pip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가이드부재(34) 및 펌프(32)는, 저류조(10)의 크기나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지는 슬러지(2)의 위치, 여과조(32)의 구조 등에 따라서 하나 또는 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펌프(32)에 둘 이상의 가이드부재(34)가 결합되거나, 하나의 가이드부재(34)에 둘 이상의 펌프(32)가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4 and the pump 32 may be configured in one or two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torage tank 10, the position of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tank 32, and the like. . In addition, two or more guide members 34 may be coupled to one pump 32, or two or more pumps 32 may be coupled to one guide member 34.

이하, 슬러지 저장조(4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ludge storage tank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슬러지 저장조(40)는 어디에 설치되든 무방하나, 다만 후술할 집진챔버(50)와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이드부(30)가 슬러지(2)를 최단의 이동경로로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간소화, 용량 최소화 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할 수 있다.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installed anywhere, bu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close to the dust chamb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cause the guide portion 30 can guide the sludge 2 in the shortest movement path,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implification and capacity minimization.

슬러지 저장조(40)는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되는 슬러지(2)가 유입될 수 있도록, 슬러지 유입홀(46)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ludge inflow hole 46 may be form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so that the sludge 2 guided by the guide part 30 may flow therein.

이 슬러지 유입홀(46)은 슬러지 저장조(40)와 가이드부(30)의 유기적 관계 등에 따라 그 위치 및 구조, 개수 등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다만, 슬러지 유입홀(46)은 가이드부(30)에 의한 가이드 용이, 슬러지(2)나 오염수, 정화수 등의 역류방지 등을 위해,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The sludge inflow hole 46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positions, structur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ludge storage tank 40 and the guide portion 30. However, the sludge inflow hole 46 is more preferably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for easy guide by the guide part 30 and prevention of backflow of sludge 2, contaminated water, purified water and the like. You can do it.

나아가, 슬러지 유입홀(46)에는 오버플로우, 역류방지 등을 위해, 원웨이 밸브 등의 개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udge inlet hole 46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such as a one-way valve for overflow, backflow prevention, and the like.

슬러지 저장조(40)는 상측부에는 슬러지 저장조(40)에서 슬러지(2)가 침전된 정화수가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홀(4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The sludge storage tank 40 has an overflow hole 44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purified water in which the sludge 2 is precipitat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can overflow into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At least one may be formed.

즉, 가이드부(40)에 의해 슬러지(2) 뿐만 아니라, 약간의 오염수도 함께 슬러지 저장조(40)로 가이드되는데, 슬러지 저장조(40)에서의 슬러지(2) 침전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는 오버플로우 홀(44)에 의해 다시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으로 보내질 수 있다.That is, the guide portion 40 guides not only the sludge 2 but also some contaminated water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The purified water purified by the sludge 2 settling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overflows. The hole 44 may be sent back to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따라서, 오염수가 저류조(10)는 물론 슬러지 저장조(40)에서도 침전방식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바, 비점오염원의 처리효과가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treat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as well as the storage tank 10, the treatment effect of the non-point source can be very excellent.

특히 슬러지 저장조(40)의 정화수가 오버플로우 방식에 의해, 무동력으로 간소하고 용이하게 저류조(10)로 재유입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urified water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10 simply and easily with no power by an overflow method.

또한, 슬러지 저장조(40)를 오염수 저장까지 고려하여 용량을 키우지 않아도 되므로 슬러지 저장조(40)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udge storage tank 40 may be miniaturized since the sludge storage tank 40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contaminated water storage.

또한, 슬러지 저장조(40) 내 슬러지(2)의 외부배출시 슬러지(2)만을 처리하면 되므로, 처리량이 적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sludge 2 needs to be treated at the time of external discharge of the sludge 2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the throughput may be reduced, and thus the cost may be reduced.

나아가, 오버플로우 홀(44)에는 역류방지 등을 위해, 원웨이 밸브 등의 개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flow hole 44 may b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such as a one-way valve for preventing the back flow.

슬러지 저장조(40)는 슬러지 저장조(40)에 모아진 슬러지(2)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부(4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42 may be form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to facilitate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sludge 2 collected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이 배출부(42)는 슬러지(2)의 외부배출방식 등에 따라서 슬러지 저장조(40)에 대하여 위치, 구조 등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 저장조(40) 내 슬러지가 외부 펌프장치에 의해 외부 배출될 수 있도록,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에 맨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42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positions, structures, etc. with respect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according to the external discharge method of the sludge (2). As an example, the sludge in the sludge reservoir 40 may be implemented as a manhole structure on the upper side of the sludge reservoir 40 so that the sludge in the sludge reservoir 40 can be discharged outside by the external pump device.

한편,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슬러지(2)가 모아지고, 가이드부(30), 보다 정확하는 가이드부재(34)와 연결된 집진챔버(50)가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he sludge 2 is collected by the scraper 2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connected with the guide part 30 and the more accurate guide member 34 is constituted. Can be.

즉, 슬러지(2)가 집진챔버(50)라는 한정된 공간에 집진될 수 있다.That is, the sludge 2 may be collected in a limited space called the dust collection chamber 50.

따라서, 가이드부(30)의 펌프(32)는 집진챔버(50) 내 슬러지(2)만을 펌핑하면 되므로 소용량으로도 충분히 슬러지(2)를 펌핑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에 의해 집진챔버(50)에 모아진 슬러지(2)가 신속하게 슬러지 저장조(40)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의 펌프(32)의 동작으로 인해 집진챔버(50) 내에 교반이 발생되더라도 슬러지(2)가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으로 부유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ump 32 of the guide part 30 only needs to pump the sludge 2 in the dust collection chamber 50, the sludge 2 can be sufficiently pumped even with a small capacity. In addition, the sludge 2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by the guide part 30 may be quickly guided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In addition, even if agitation occurs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ump 32 of the guide part 30, the sludge 2 may be prevented from floating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집진챔버(5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30)의 펌프(32)에 의한 슬러지(2) 가이드는 개방된 공간에서보다는 폐쇄된 공간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집진챔버(50)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가 유입됨과 아울러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구부(52)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Such a dust collecting chamber 50 may take various structures. However, the sludge 2 guide by the pump 32 of the guide portion 30 is more effective in the closed space than in the open space. Therefor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52 through which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is introduced and can be covered by the scraper 20.

집진챔버(50)는 어디에 설치되든 무방하다. 다만, 저류조(10)의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스크레이퍼(20)의 이동 경로 단순화, 저류조(10) 내 오염수와의 간섭 방지 등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may be installed anywher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one edge of the storage tank 10 in terms of simplify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and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contaminated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나아가, 집진챔버(50)는 저류조(10)의 입구부와 출구부 중 입구부 측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Furthermore, it is more advantageous that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tank 10.

즉, 저류조(10)의 입구부를 통해 오염수가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유입되면, 중력에 의해 오염수 내 슬러지(2) 중 상당량이 저류조(10)의 입구부와 저류조(10)의 출구부 중 저류조(10)의 입구부 측에 침전된다. That is, when the contaminated water flows into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10,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sludge 2 in the contaminated water by gravity is inlet and the storage tank 10 of the storage tank 10. Is precipit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storage tank (10) of the outlet portion of.

또한, 스크레이퍼(20)에 의한 슬러지(2)의 집진과정에서 스크레이퍼(20)에 의한 오염수 교반 등에 의해 슬러지(2)가 부유하면 그 부유된 슬러지(2)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가이드부(30)로 모으기 쉽지 않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2)를 저류조(10)의 입구측에서 바로 모아줌으로써 슬러지(2)의 부유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슬러지(2)의 집진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서 슬러지(2)가 한번에 집진될 수 있는 바,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서의 침 전효율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ludge 2 floats due to contaminated water agitation by the scraper 20 or the like during the dust collection process of the sludge 2 by the scraper 20, the suspended sludge 2 is guided by the scraper 20. It is not easy to collect as 30. However, by collecting the sludge 2 directly at the inlet side of the storage tank 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oating of the sludge 2 can be suppressed to the maximum,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ludge 2 can be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sludge 2 can be collected at a time, the sedimentation efficiency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can be very excellent.

한편, 집진챔버(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류조(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경우, 가이드부(30)와 스크레이퍼(20)의 간섭 회피 등을 위해, 그 상면에 가이드부(30)와 연결되는 홀(5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torage tank 10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guide unit 30 and the scraper 20,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connected to the guide unit 30. At least one hole 54 may be formed.

이와 아울러, 도 1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20)와 집진챔버(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용 홀(20A)이 형성되고, 가이드부(30)에 의해 집진챔버(50) 내 슬러지(2)가 압송될 때 교반용 홀(20A)을 개방하는 개폐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tirring hole 20A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craper 2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nd the guide portion 30 When the sludge 2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push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for opening the stirring hole 20A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집진챔버(50)의 개구부(52)가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복개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0)에 의해 집진챔버(50) 내 슬러지(2)가 압송될 때, 교반용 홀(20A)이 개방되면, 가이드부(30)에 의한 압송력에 의해 교반용 홀(20A)을 통해 집진챔버(50)의 내부를 향하는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ludge 2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pressurized by the guide part 3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52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covered by the scraper 20, the stirring hole ( When 20A) is opened, a flow toward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stirring hole 20A by the pressure feeding force by the guide unit 30.

따라서, 상기의 유동이 집진챔버(50)의 내부에 교반을 일으키며, 이와 같은 교반에 의해 집진챔버(50) 내 구석구석의 슬러지(2)도 가이드부(30)의 압송력의 영향력 하에 놓이게 된다.Therefore, the flow causes agitation inside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nd the sludge 2 in every corner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s also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art 30 by this agitation. .

이 결과, 집진챔버(50)의 내부에서 가이드부(30)의 압송력에 의해 슬러지(2)가 잘 압송되지 못하는 데드 존(dead zone)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에 의한 슬러지 압송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a dead zone in which the sludge 2 cannot be easily conveyed by the pressure of the guide part 30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can be prevented, and the guide part 30 can be prevented. The sludge pumping efficiency can be maximized.

여기서, 교반용 홀(20A)은 스크레이퍼(20)와 집진챔버(0) 모두 형성될 수 있 으나, 집진챔버(50) 보다는 스크레이퍼(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 간소화 및 가이드부(30)와의 간섭 회피 등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Here, the stirring hole 20A may be formed of both the scraper 20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0, but is formed by the scraper 20 rather tha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nd has a simplified structure and the guide portion 30. It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interference avoidance and the like.

이때, 교반용 홀(20A)은 스크레이퍼(20), 집진챔버(50), 가이드부(30)의 구조 등에 따라서, 그 개수나, 크기, 형상 등이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size, shape, etc. of the stirring hole 20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craper 20,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nd the guide part 30.

개폐부(60)는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한 동력방식, 수동조작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무동력 연동방식, 즉 가이드부(30)의 압송력에 의해 교반용 홀(20A)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Opening and closing part 6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ower method, a manual operation method by the power of a motor, such as, particularly shown by the non-powered interlocking method, that is, a stirring hole 20A by the pressure of the guide unit 30 It is more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open

즉, 개폐부(60)는 교반용 홀(20A)을 복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개패널(62)과, 가이드부(30)의 압송력에 의해 복개패널(62)이 집진챔버(50) 측으로 회동되면서 교반용 홀(20A)이 개방될 수 있도록 스크레이퍼(20)에 설치되어 복개패널(62)이 교반용 홀(20A)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게 하는 힌지 축(64)과, 복개패널(62)이 집진챔버(50) 반대쪽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rotates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by the cover panel 62 formed to cover the stirring hole 20A, and the cover panel 62 by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art 30. The hinge shaft 64 and the cover panel 62 are installed in the scraper 20 so that the stirring hole 20A can be opened so that the cover panel 62 can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stirring hole 20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66 to limit the rota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ust chamber (50).

따라서,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20)가 슬러지(2)를 집진챔버(50)를 향해 긁어모을 때에는, 슬러지(2)에 의해 집진챔버(50) 반대쪽으로 복개패널(62)에 외부 힘이 작용하며, 이때 복개패널(62)이 스토퍼(66)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복개패널(62)에 의해 교반용 홀(20A)이 복개된 상태, 즉 교반용 홀(20A)이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Therefore, when the scraper 20 scrapes the sludge 2 towar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2, the cover panel 62 is opposite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by the sludge 2.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lid, and at this time, the opening panel 62 is constrained by the stopper 66, so that the stirring hole 20A is closed by the opening panel 62, that is, the stirring hole 20A is closed. The state is maintained.

반면,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 및 도 13의 'G'에 지시된 바,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20)가 집진챔버(50)의 개구부(52)를 복개하고 있는 상태에서, 집진챔버(50)의 내부에 가이드부(30)의 압송력이 형성되면, 가이드부(30)의 압송력에 의해 복개패널(62)이 힌지 축(64)을 중심으로 교반용 홀(20A)로부터 집진챔버(50) 측으로 회동됨으로써, 교반용 홀(20A)이 개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solid lines in FIG. 12 and indicated by 'G' in FIG. 13, and as shown in FIG. 14, the scraper 20 covers the opening 52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In the state, when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ortion 30 i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0, the abdominal panel 62 is a stirring hole around the hinge axis 64 by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ortion 30. By rotating from 20A to the dust collection chamber 50 side, the stirring hole 20A can be opened.

물론, 가이드부(30)의 압송력이 해제되면,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개패널(62)이 복귀되어 복개패널(62)에 의해 교반용 홀(20A)이 다시 닫힌 상태가 된다.Of course, when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unit 30 is releas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3, the opening panel 62 is returned and the stirring hole 20A is closed again by the opening panel 62. do.

이때, 복개패널(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힌지축(64)과 결속됨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간부, 하단부, 좌,우측부 등 힌지축(64)에 의해 회동되면서 교반용 홀(20A)을 개폐할 수 있다면 어디든 힌지축(64)과 결속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 panel 62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64, such as the middle portion, the lower por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end is bound to the hinge shaft 64, as shown, the stirring hole ( 20A) can be engaged with the hinge shaft 64 wherever it can be opened and closed.

한편, 개폐부(6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30)의 압송력이 형성되지 않을 때 복개패널(62)이 교반용 홀(20A)를 닫는 방향으로 복개패널(62)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0)의 압송력이 형성되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교반용 홀(20A)의 닫힘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가이드부(30)의 압송력 형성 후 해제시 탄성부재에 의해 복개패널(62)이 보다 신속히 복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60 is not show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guide portion 30 is not formed, the opening panel 62 may support the opening panel 62 by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irring hole 20A is closed.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That is, when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ortion 30 is not formed, the closed state of the stirring hole 20A may be more firmly maintain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released when the pressure force of the guide portion 30 is released. By this, the cover panel 62 can be returned more quickly.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1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도 2는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3은 비점오염원 처리 모식도.3 is a schematic view of non-point source treatment.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6은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7은 도 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도 8은 도 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도 9는 일부 측면도.9 is a partial side view.

도 10은 도 5의 'F1' 확대도.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F1' of FIG. 5.

도 11은 저류조의 일부 사시도.1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tank.

도 12 이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12 and below relates to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비점오염원 처리 모식도.12 is a schematic view of non-point source treatment.

도 13은 도 12의 확대부 단면도.1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도 14는 도 8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주요부 평단면도.FIG. 1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a principal part plan view.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슬러지 10; 저류조2; Sludge 10; Reservoir

20; 스크레이퍼 30; 가이드부20; Scraper 30; Guide part

32; 펌프 40; 슬러지 저장조32; Pump 40; Sludge reservoir

50; 집진챔버 60; 개폐부50; Dust chamber 60; draw

Claims (17)

비점오염원에 의해 오염된 오염수가 침전 후 방류될 수 있도록 침전공간(10A)을 갖는 저류조(10);A storage tank 10 having a settling space 10A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by the nonpoint source can be discharged after precipitation; 상기 오염수 내 비점오염원인 슬러지(2)를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에 설치된 스크레이퍼(20)(scraper);A scraper (20) installed in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scrape the sludge (2) which i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the contaminated water;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A guide part (30) for guiding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상기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된 슬러지(2)가 저장되는 슬러지 저장조(40);를 포함하며, And a sludge storage tank 40 in which the sludge 2 guided by the guide part 30 is stored. 상기 저류조(1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상기 슬러지(2)가 모아지고, 상기 가이드부(30)와 연결된 집진챔버(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storage tank (1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udge (2) is collected by the scraper (20),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chamber (50)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3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상기 저류조(10)의 외측에 연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sludge storage tank 4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부에 상기 가이드부(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40) 내 슬러지(2)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부(42)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sludge storage tank 4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ischarge portion (42) is formed for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sludge in the sludge storage tank (4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러지 저장조(40)의 상측부에는 상기 슬러지(2)가 침전된 정화수가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으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홀(4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At least one overflow hole 4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ludge storage tank 40 so that the purified water in which the sludge 2 is precipitated may overflow into the settling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 내 오염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로 펌핑하는 펌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guide part 3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mp (32) for pump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to the sludge storage tank (4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집진챔버(50)는 상기 저류조(10)의 입구부와 출구부 중 입구부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dust chamber 5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torage tank (10).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집진챔버(5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2)가 유입되고, 상기 스크레이퍼(2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dust chamber (5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udge (2) collected by the scraper (20) is introduced, has an opening that can be covered by the scraper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및 청구항 8,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8, 9, 상기 저류조(10) 및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는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by the precast structure 100 is constructed by a precast method.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The precast structure 100, 양단부가 개구된 공동을 형성토록 상하로 조립되고, 각각 복수개가 상기 공동의 개구방향을 따라서 연접되게 설치되는 상,하부부재(110,120);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which are assembled up and down to form a cavity having both ends opened, and a plurality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avity; 상기 상,하부부재(110,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의 개구된 양단부를 각각 복개하는 한 쌍의 마감부재(130);A pair of finishing members 130 covering the open ends of the cavity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0 and 120, respectively; 상기 공동을 상기 저류조(10)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40)로 구획토록 설치되 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140);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40) installed to partition the cavity into the storage tank (10) and the sludge storage tank (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omprising a.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상부부재(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는 파워팩(powerpack)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At least one of the upper member (110),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pack (powerpack)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ve unit for driving the scraper (20).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프리캐스트 구조물(100)은 상기 저류조(10)의 침전공간(10A)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precast structure (100)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artition member (150) for partitioning the sedimentation space (10A) of the storage tank (10).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격벽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partition member 150 ha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opening (152).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격벽부재(150)는 상기 상부부재(110)와 일체로 제작되는 상측 격벽부(150A) 및, 상기 하부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상측 격벽부(150A)와 함 께 상기 격벽부재(150)를 이루는 하측 격벽부(1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partition member 150 is formed with the upper partition wall part 150A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member 110 and the lower member 120 with the upper partition wall part 150A and the partition wall member.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partition wall portion 150B constituting (150).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격벽부재(15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상기 스크레이퍼(20)가 적어도 하나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craper 20 is installed in each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150). 청구항 13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구획부재(14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The partition member 140 is installed to cros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craper 20, 상기 격벽부재(150)는 상기 스크레이퍼(20)의 이동경로와 나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The partition member 150 is a non-point source treatmen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scraper (20).
KR1020090048998A 2009-06-03 2009-06-03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124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98A KR101124689B1 (en) 2009-06-03 2009-06-03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98A KR101124689B1 (en) 2009-06-03 2009-06-03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54A KR20100130354A (en) 2010-12-13
KR101124689B1 true KR101124689B1 (en) 2012-03-19

Family

ID=435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998A KR101124689B1 (en) 2009-06-03 2009-06-03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8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160A (en) * 1998-04-14 1999-11-05 조성현 Sewage Pipe Sludge Removal Device
KR20000017967A (en) * 1999-12-31 2000-04-06 박병무 Cuvert And Production Method Therof
JP2004169400A (en) * 2002-11-20 2004-06-17 Suibisha:Kk Removing method for muddy sediment in drain channel and device therefor
KR100535379B1 (en) 2005-04-12 2005-12-09 주식회사 조은환경 Decanter and several sequencing batch reactor using the decan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160A (en) * 1998-04-14 1999-11-05 조성현 Sewage Pipe Sludge Removal Device
KR20000017967A (en) * 1999-12-31 2000-04-06 박병무 Cuvert And Production Method Therof
JP2004169400A (en) * 2002-11-20 2004-06-17 Suibisha:Kk Removing method for muddy sediment in drain channel and device therefor
KR100535379B1 (en) 2005-04-12 2005-12-09 주식회사 조은환경 Decanter and several sequencing batch reactor using the dec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54A (en)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power
KR100897258B1 (en) Draining unit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rainwater
KR20070098971A (en) Sh purication appratus for road
KR20110109589A (en) Nonpoint pollution decrease system using sump for rainwater
KR100812334B1 (en) Rainwater Drain Control System of Manhole having multi-structure
KR101167963B1 (en) Oil and sludge separating apparatus for floating, depositing, and filtering oils and sludges included in first rain-water by gravitation
KR101189252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608043B1 (en) The aequipmenr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KR101080256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028035B1 (en) System of sewage treatment plant
KR101124689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1574480B1 (en) Environment-friendly water quality control system that removes pollutants and contaminants from rainwater or river water flowing into rivers and purifies them with clean water
KR100824268B1 (en) Apparatus for drainage
KR100614766B1 (en) Road drainage with first flush treatment ability
KR102029164B1 (en) Device for separating initial rainwater
KR101154026B1 (en) Rain water reducing equipment using road-drainway
KR101092245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KR101227150B1 (en) Drain apparatus for bridge and exchange method of filter part therewith
KR101556183B1 (en)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KR200436505Y1 (en) Water gathering apparatus for bridge
KR100425380B1 (en) A waste water disposal plant
KR102347977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KR102544151B1 (en) Box type filter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the same
KR200357071Y1 (en) Road drainage with first flush treatment ability
KR102526698B1 (en) Pannel assembly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