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50B1 -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50B1
KR101124650B1 KR1020090121603A KR20090121603A KR101124650B1 KR 101124650 B1 KR101124650 B1 KR 101124650B1 KR 1020090121603 A KR1020090121603 A KR 1020090121603A KR 20090121603 A KR20090121603 A KR 20090121603A KR 101124650 B1 KR101124650 B1 KR 10112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icrophone
noise level
sound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4853A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벨
Priority to KR102009012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50B1/en
Publication of KR2011006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후 방치되어 행방을 알 수 없는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호출하는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콘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호출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음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호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device for calling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is unknown after use, the body is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the microphone is installed on the body to detect external noise; And a calling unit installed on the body to confirm its position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to operate the calling unit when the noise level is higher than a preset noise level.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 마이크로폰, 소음도, 데시벨, db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ing, microphone, noise level, decibels, db

Description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Remote control position confirmation call device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본 발명은 사용 후 방치되어 행방을 알 수 없는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호출하는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device for calling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that is left unused after use.

최근에는 경제발달과 더불어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각각의 가정은 물론 업소 등에서도 TV, 각종 영상 및 오디오 기기, 그리고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해주는 공기 청정기나 공기 정화장치 등의 전자기기를 구비하여 생활하는 것이 보통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people has been improved, and TVs, various video and audio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air purifiers that make the indoor environment comfortable at homes and businesses are provided. It is common to live.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는 온오프 조작 및 간단한 설정 등을 모두 무선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즉, 상기 전자기기는 원거리 제어가 가능한 리모콘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직접 전자기기에 붙어서 조작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상기 리모콘만을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자기기에 직접 붙어 있는 조작패널보다 리모콘에 설치된 조작패널에 훨씬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Such electronic devices are manufactured to enable remote control of both on and off operations and simple settings.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capable of remote control, the user is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it is common to operate only the remote control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in recent years, it can be seen that a much wider range of functions are included in an operation panel installed on a remote controller than an operation panel directly attached to an electronic device.

이러한 리모콘은 가정이나 업소 등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됨으로써, 그 사용빈도가 증가되고, 사용 후 제자리에 두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해당 전자기기의 리모콘을 찾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Since the remote control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such as homes and businesses, the frequency of use thereof is increased, and a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 is not left in place frequently is used, and unnecessary time is spent searching for the remote control of the electronic device.

더욱이, 전자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리모콘은 점점 소형화되고, 어린아이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곳에 놓아두는 등 리모콘을 쉽게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을 찾을 수 없어 리모콘에 의해 수행되는 여러 기능들을 실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리모콘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Moreover,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remote controller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and children often do not find the remote controller easily. Accordingly, the user cannot find the remote control, so that various functions performed by the remote control can not be realiz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new remote control must be purchased.

이러한 리모콘의 분실을 방지하고,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 및 호출하기 위해 적외선 통신 방식과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전파식별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적외선 통신 방식의 경우 적외선의 직진성에 의해 장애물이 있을 시 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통신 거리가 짧아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 및 호출하는데 매우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전파식별에 의한 무선 통신 방식은 양방향 통신에 의한 리모콘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전자기기 및 리모콘 양자 모두 송수신기를 구비해야 하고, 매우 고가이며,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remote control, and to check and call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an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Bluetooth, ZigBee or radio wave identification have been u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re is an obstacle due to the straightness of the infrared light, it does not pa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very unsuitable for checking and call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Bluetooth, ZigBee or radio wave identifica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positioning of the remote control by two-way communication, but both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must have a transceiver, which is very expensive, and the size of the produc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저가 소형이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 및 호출할 수 있는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device that can be confirmed and call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small and simple, easy and convenient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remote control. There is.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는, 리모콘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호출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음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호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the microphone is installed on the body to detect external noise, and installed on the body to confirm their position outside The main unit includes a caller and a controller that measures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by the microphone and operates the caller when the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noise level.

또한, 상기 호출부는, 외부로 알림음을 발생하는 소리발생수단,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수단 또는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발생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to the outside, light emitt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r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vibr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가 80db이상인 경우에 상기 호출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call unit when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is more than 80db.

또한,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된 고리 형상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 결부와 상기 리모콘을 연결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b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mote controller.

또한,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호출부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call.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ttery holder which is installed to be pulled in and out to the inside of the body, the battery is mounted to supply the pow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는, 사용자의 외침, 즉 큰 소리로 '리모콘' 등을 소리쳐 부름에 따라 마이크로폰에서 소음도를 감지하여 호출부에서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시켜줌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작동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noise level in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user's call, that is, loudly calling the 'remote control', thereby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calling unit. It is simple and convenient to operate.

또한, 호출부가 소리발생수단, 발광수단 및 진동발생수단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호출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리모콘의 위치 확인이 용이하며, 연결부 및 밴드를 통해 리모콘에 탈부착이 쉽고, 전자기기 및 리모콘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 unit is composed of a sound generating means, a light emitting means and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can provide a variety of calling methods to the user, easy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connection and the band, electronic devices and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remote control.

더욱이,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의 임의적인 소음으로부터 호출부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 홀더를 통해 배터리를 간편하게 장착 및 교환할 수 있다.Moreover, the on / off switch allows the user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calling section from external random noise, and the battery holder can be easily mounted and exchang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position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홀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position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battery holder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마이크로폰(200), 호출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연결부(500), 밴드(600), 온오프 스위치(700) 및 배터리 홀더(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출부(300)는 소리발생수단(310), 발광수단(320) 및 진동발생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홀더(800)에는 배터리(850)가 안착된다.1 to 4,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0, a microphone 200, a calling unit 300, a control unit 400, the connection unit 500 , The band 600 may further include an on / off switch 700 and a battery holder 800. The call part 300 may include a sound generating means 310, a light emitting means 320, and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330, and a battery 850 is seated in the battery holder 800.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RC)에 설치되고, 후술할 각종 구성요소가 내장되는 프레임이다. 몸체(10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어낼 수 있도록 하고, 도면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특정의 형상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4, the body 100 is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RC, and is a fram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embedded. The body 100 is made of synthetic resin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and has a cylindrical shape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마이크로폰(2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한다. 마이크로폰(200)은 음향을 이와 본질적으로 같은 파형 특성을 가지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구로써,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예 컨대 사용자가 리모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큰 소리로 '리모콘'이라고 소리쳐 부른 경우의 소음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는 증폭기(미도시) 등을 통해 증폭되어 후술할 제어부(40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폰(200)은 기계진동-전기신호 변환 방식에 따라서 탄소립형, 결정형, 가동코일형, 진동박형, 축전기형 및 반도체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어떠한 마이크로폰(200)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가장 일반적이고, 저가에 초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축전기형 마이크로폰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microphone 200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to detect external noise. The microphone 200 is a mechanism for converting sound into an electric signal having essentially the same waveform characteristics. The noise gener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shouts 'remote'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t detects the noise of the cas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In this case,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200 is amplified by an amplifier (not show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later. The microphone 200 may be classified into a carbon lip type, a crystalline type, a movable coil type, a vibration thin type, a capacitor type, and a semiconductor type according to a mechanical vibration-electric signal conversion method, but any microphone 200 may be used, but the most general type may be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capacitor type microphone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t low cost.

호출부(3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로 알림음을 발생하는 소리발생수단(310),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수단(320) 또는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발생수단(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리발생수단(310)은 스피커나 부저와 같이 미리 저장된 신호음이나 음악 등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소리를 통해 현재 몸체(1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줄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320)은 가구 밑과 같이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시각을 통해 몸체(100)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저가 소형이며, 장수명을 가진 LED, 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수단(330)은 소형의 진동체를 이용하여 몸체(100)를 진동시킴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리나 떨림 등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1 to 3, as shown in Figures 1 to 3, is installed on the body 100 to confirm their position to the outside, specifically, sound generating means 310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to the outside ), At least one of light emitting means 320 for irradiating light to outside or vibration generating means 330 for causing vibration. The sound generating means 31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pre-stored signal sound or music, such as a speaker or a buzzer, it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dy 100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The light emitting means 320 is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through the user's vision by irradiating light in a dark place or at night, such as under the furniture, but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of light source, but it is inexpensive and compact, It is preferable to use an LED having a long life, that is, a light emitting diode. The vibration generating means 330 vibrates the body 100 by using a small vibrating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sound or vibration caused by the vibration.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감 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음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호출부(300)를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는 현재 리모콘(RC)의 위치를 확인할 길이 없어 큰 소리로 '리모콘' 등을 외쳐 소음을 발생시키고, 리모콘(RC)에 설치된 몸체(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현재 리모콘(RC)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때, 몸체(100)에 설치된 마이크로폰(2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외부 소음을 감지하고, 제어부(400)는 상기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외부 소음이 미리 설정된 소음도 이상인 경우라고 판단된 경우 호출부(300)를 작동시켜 현재 몸체(100)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는 증폭기를 거쳐 증폭된 후 제어부(400)에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전기 신호는 설정된 소음도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의 값을 말한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400 measures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200 to operate the caller 300 when the nois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noise level. That is, the user does not have a way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current remote control (RC), the sound of the 'remote control' such as a loud sound to generate noise, and check the position of the body 100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 (RC) of the current remote control (RC) The location is known. At this time, the external noise generated by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200 installed in the body 100, and the controller 400 receive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200 and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noise is more than a preset noise level. In this case, the call unit 300 is operat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current body 100. Here,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00 is amplified through an amplifier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where the electrical signal refers to the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noise level.

상기 설정된 소음도의 기준은 데시벨(db) 단위로 변환한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10db는 보통의 숨소리, 20db는 나뭇잎 부딪치는 소리, 30db는 속삭이는 소리, 40db는 도서관 및 조용한 주택에서 나는 소리, 50db는 수업중인 교실, 조용한 승용차에서 나는 소리, 60db은 일상적인 대화의 소리, 70db은 시끄러운 사무실, 교통이 혼잡한 도로, 전화벨 소리, 80db은 지하철 내부나 전자오락실 또는 크게 독창하는 소리, 90db은 영화관이나 공사장에서 나는 소리, 100db은 노래방이나 록콘서트장의 소리, 110db은 자동차의 경적소리, 120db은 비행기의 엔진소리, 160db은 귓전에서 쏜 총소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The set noise level may be expressed as a value converted in decibels (db). That is, 10db is the sound of normal breath, 20db is the sound of leaves bumping, 30db is whispering, 40db is the sound of a library and quiet house, 50db is the classroom classroom, quiet car sounds, 60db is the sound of everyday conversation, 70db is the loud office, busy traffic, telephone ringing, 80db is the sound inside the subway, an electronic room, or a loud original, 90db is the sound of a movie theater or construction site, 100db is the sound of a karaoke or rock concert hall, and 110db is the horn of a car. Sound, 120db can be divided into the engine sound of the plane, 160db can be divided into gunshots from the ear.

상기 제어부(400)의 미리 설정된 소음도는 70db 이상 90db 이하가 바람직할 것이지만, 낮은 소음도에서의 임의적인 호출부(300)의 작동 및 너무 높은 소음도로 인한 호출부(300)의 미작동을 근거로 80db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어부(400)는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소음도가 db단위로 80db이상인 경우에 호출부(300)를 작동시켜 현재 몸체(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모콘(RC)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에 주파수 분석기 등과 같이 별도의 데시벨 측정기가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폰(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신호에 근거한 데시벨의 단위에 해당하는 전기 신호 값을 통해 해당 데시벨에 일치하는 전기 신호 값을 설정해 놓는 것이다.Preferably, the preset noise level of the controller 4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70db and less than or equal to 90db, but 80db is based on the random operation of the caller 300 at a low noise level and the non-operation of the caller 300 due to the too high noise level. This would be most desirable. That is, the controller 400 may check the position of the current body 100 by operating the caller 300 when the noise level generated by the user is 80 db or more in db units, and thus track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RC. You can do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decibel meter, such as a frequency analyzer,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ecibels through the electrical sign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unit of decibels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00. Setting the value.

상기 몸체(100)와 리모콘(RC) 간의 별도의 연결 설치를 통해 용이한 탈부착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00) 및 밴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부(500)는 상기 몸체(100)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밴드(600)는 상기 연결부(500)와 상기 리모콘(RC)을 연결한다. 이러한 밴드(600) 및 연결부(500)는 휴대폰 및 휴대폰줄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열쇠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art 500 and the band 600 may be further included as shown in FIG. 4 so as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rough the separate connection installation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RC. That is, the connection part 500 is formed to protrude in a ring shape on the body 100, the band 600 connects the connection part 500 and the remote control (RC). The band 600 and the connection part 5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mobile phone and a cell phone strap, or may b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key ring.

온오프 스위치(7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상기 호출부(300)를 온오프시킨다. 즉, 온오프 스위치(700)를 통해 사용자는 호출부(300)를 온오프시킬 수 있고, 현재 사용자의 품에 리모콘(RC)이 있는 경우에 임의적인 호출을 방지할 수 있다.On-off switch 700 as shown in Figures 1 to 3, to turn off the call unit 3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at is, the user may turn on and off the call unit 300 through the on / off switch 700, and may prevent an arbitrary call when the remote controller RC is present in the user's arms.

배터리 홀더(8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인입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50)가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850)는 실질적으로 제어부(400)에 연결되고, 제어부(400)를 통해 마이 크로폰(200) 및 호출부(3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배터리(850)는 온오프 스위치(700)와 연동되어 작동하며, 온오프 스위치(700)를 온 또는 오프 작동을 통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진다. 배터리 홀더(800)의 몸체(100)에 대한 인입 및 인출의 용이성으로 배터리(850)의 장착 및 교체가 편리해진다.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holder 800 is installed to be pulled in and out of the body 100, and a battery 850 for supplying power is mounted therein. The battery 850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microphone 200 and the caller 300 through the controller 400. The battery 850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on / off switch 700, and the power is supplied and cut off through the on / off switch 700. Ease of insertion and withdrawal into the body 100 of the battery holder 800 facilitates mounting and replacement of the battery 850.

한편, 본 발명의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는 가장 일반적이고 적용이 쉬운 리모콘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휴대용품이나 휴대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 휴대용 PDA는 물론이고 열쇠꾸러미 등에도 결합되어 해당 휴대용품이나 휴대기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 및 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most common and easy to apply remote control, it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or portable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ortable PDA, as well as a key package can be combined to check and call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device or portable devic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홀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battery holder in the embodiment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remote control positioning cal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몸체100: body

200 : 마이크로폰200: microphone

300 : 호출부 310 : 소리발생수단300: caller 310: sound generating means

320 : 발광수단 330 : 진동발생수단320: light emitting means 330: vibration generating means

400 : 제어부400: control unit

500 : 연결부500: connection

600 : 밴드600: band

700 : 온오프 스위치700: on-off switch

800 : 배터리 홀더 850 : 배터리800: battery holder 850: battery

RC : 리모콘RC: Remote Control

Claims (6)

리모콘에 설치되는 몸체와,Body to be installed on the remote control,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과,A microphone installed in the body to sense external noise;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외부에 자신의 위치를 확인시켜주도록 외부로 알림음을 발생하는 소리발생수단,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수단 또는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발생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호출부와,Call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having at least any one of a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to the outside to confirm its position to the outside, a light emitting means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r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vibration Wow,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호출부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와,An on-off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caller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를 측정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된 외부 소음의 소음도가 80db이상인 경우에 상기 호출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to operate the calling unit when the noise level of the external noise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is 80 db or more;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 및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홀더와,A battery holder installed to be pulled into and out of the body, and to which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is seated; 상기 몸체에 돌출 형성된 고리 형상의 연결부와,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상기 연결부와 상기 리모콘을 연결하는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리모콘 위치 확인 호출장치.Remote control position confirmation call device comprising a band connecting the connection unit and the remote contr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21603A 2009-12-09 2009-12-09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KR101124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03A KR101124650B1 (en) 2009-12-09 2009-12-09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603A KR101124650B1 (en) 2009-12-09 2009-12-09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53A KR20110064853A (en) 2011-06-15
KR101124650B1 true KR101124650B1 (en) 2012-03-19

Family

ID=4439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603A KR101124650B1 (en) 2009-12-09 2009-12-09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5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15Y1 (en) * 2002-12-09 2003-03-26 엄재풍 A equipment for location confi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215Y1 (en) * 2002-12-09 2003-03-26 엄재풍 A equipment for location confi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53A (en)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1765B2 (en) Volume adjusting system and method
US20140254829A1 (en) Multifunctional led device and multifunctional led wireless conference system
US11622182B2 (en) Wireless sound-emitting device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sound-emitting device
CN106535032B (en) Wall type embedded sound box system
CN1013044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adaption adjusting mobile terminal acoustic environment
US7742069B2 (en)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US5511132A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ir-borne and solid-born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KR101124650B1 (en) Apparatus for tracing position of remote-controller
CN1842970A (en) Remote control for an audio signal playback system
CN101772213A (en) Method for realizing automatic adjustment of ringtones
JP2011041112A (en) Radio loudspeaker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KR102511435B1 (en) A announcement broadcast output control circuit for apartment
CN105782785A (en) Intelligent lamp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function and speech control function
KR101224174B1 (en) a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bone conduction
CN206251282U (en) A kind of studio broadcast intercom
CN103873715A (en) Multifunctional telephone monitoring alarm equipment
KR100374654B1 (en) Vocal massage transmissive ear-microphone for a portable phone
CN204481951U (en) There is the projector of ANTENN AUDIO emission function
JPH02218291A (en) Wireless remote controller
CZ2019818A3 (en) Warning end element with automatic acoustic power control
CZ35042U1 (en) Electronic warning terminal with automatic acoustic power control
KR200403949Y1 (en) Speaker within Hearing aid compatible to have Flexible-Printed Circuit Board Type Coil
CN202269003U (en) Switchover control device, earphone device with reminding function, and earphone reminding system
KR20010103838A (en) Handsfree with earphones controlled by an electrical signal
JPH08251257A (en) Portable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