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61B1 -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61B1
KR101124461B1 KR1020090068114A KR20090068114A KR101124461B1 KR 101124461 B1 KR101124461 B1 KR 101124461B1 KR 1020090068114 A KR1020090068114 A KR 1020090068114A KR 20090068114 A KR20090068114 A KR 20090068114A KR 101124461 B1 KR101124461 B1 KR 10112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temperature
fluid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5301A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주방산업
Publication of KR2010010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 가스를 이용한 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에 부착된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경우에, 진공 모터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본체 내부에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using nitrogen gas. When the door attached to the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which draws out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by using a vacuum motor and fills the nitrogen gas into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내부의 산소를 제거하고 질소를 충전함으로써, 본체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 등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oxygen in the main body and filling nitrogen, food and the like stored in the main body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온도 유지 장치, 질소, 진공 모터, 충전 시스템, 순환부 Thermostat, nitrogen, vacuum motor, charging system, circulation

Description

온도 유지 장치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에 부착된 도어가 열렸다 닫힐 때,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질소 가스를 충전하는 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for extracting air inside a main body and filling nitrogen gas using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when a door attached to the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통상적으로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온도 유지 장치는 식료품 등과 같이 특정 온도에서 보관이 요구되는 물품을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온도 유지 장치의 예로는 냉장고, 온장고 등이 있다.Typically,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s a device that keeps the temperature inside the body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ch a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s used to easily store an article requiring storage at a specific temperature such as foodstuff. Examples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nclude a refrigerator, a warmer, and the like.

종래의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에 부착된 도어를 열고 닫는 경우 외부 공기가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외부 공기는 본체 내부에서 머물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상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음식물인 경우,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음식물이 쉽게 상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온도 유지 장치에 음식물을 넣는 경우 진공 포장 또는 진공 용기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 본체 내부에 유입된 공기와 음식물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온도 유지 장치가 필요하다. In the conventional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when the door attached to the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The introduced outside air stays inside the main body, which may damage the goods stored therein. In particular, when the article stored inside is food, the food is easily damaged by reacting with oxygen in the introduced outside air. To prevent this, a vacuum packaging or a vacuum container may be used to put food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Therefo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re is a need for a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ntact of food and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또한 종래의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본체 내부에 직접적으로 냉기 또는 열기를 주입한다. 이러한 방식은 본체 내부에 보관된 물품의 변질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기를 직접 본체 내부에 주입하여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보관된 음식물이 마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온도 유지 방식과는 다른 방식의 온도 유지 장치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directly injects cold air or hot air into the body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side the body. This approach can lead to deterioration of the article stored inside the body. For example, when the heat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bod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the stored food dri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temperature holding apparatus of the system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emperature holding system is also increasing.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보관된 물품이 쉽게 상하지 않도록 하는 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n article stored in a main body from being easily damaged.

또한 본체 내부에 직접 냉기 또는 열기를 주입하지 않는 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provide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that does not directly inject cold air or heat into the body.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 도어,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어는 본체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은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경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질소를 충전한다.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은 질소 보관부, 연결 파이프, 진공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질소 보관소는 질소 가스를 보관한다. 연결 파이프는 질소 보관부와 본체를 연결한다. 진공 모터는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낸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파이프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부착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타임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oor,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The doo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Nitrogen gas filling system vents air inside the body and charges nitrogen when the door opens and closes.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may have a nitrogen reservoir, a connection pipe, a vacuum motor. Nitrogen storage stores nitrogen gas. The connecting pipe connects the nitrogen reservoir with the body. The vacuum motor draws air out of the body. In other embodiments, solenoid valves may be attached to the connecting pipes. The solenoid valve may be connected with a time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이 공기 압축기, 질소 발생기, 연결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압축기는 본체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킨다. 질소 발생기는 공기 압축기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질소를 걸러낸다. 연결 파이프는 질소 발생기와 본체를 연결한다. 질소 발생기에서 걸러진 질소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본체로 주입된다.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may include an air compressor, a nitrogen generator, and a connection pipe. The air compressor discharges air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he nitrogen generator filters nitrogen from the air exhausted by the air compressor. The connecting pipe connects the nitrogen generator and the main body. Nitrogen, filtered from the nitrogen generator, is injected into the body through a connecting pi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본체 순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에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도어 순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circulation part through which a fluid may mov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side surfaces of the body. The door circulation part may also be formed in the door to move the flui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도어가 돌출부를 구비하며, 본체는 도어의 돌출부와 접하는 부분에 탄성 지지되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돌출부에 의해 덮개가 열리고, 도어가 열리는 경우 탄성에 의해 덮개가 닫힌다.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the main body may include a cover elastically support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door. The cover is open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cover is closed by elasticity when the door is open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가 상부측면에 방향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는 본체 상부측면에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controller on an upper side surface thereof. The direction control unit may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가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트랩 배수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p drain for discharging water generated in the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는 본체 내부의 양 측벽에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body to mount the shelf.

본 발명은 온도 유지 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경우 본체 내부에 질소 가스를 충전함으로써 본체에 보관된 물품이 쉽게 상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s opened and closed, the article stored in the main body is not easily damaged by filling nitrogen gas into the main body.

또한 본체 내부에 직접 냉기 또는 열기를 주입하지 않음으로써 본체에 보관됨 음식물이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not injecting cold or hot air directly into the body, the food stored in 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본 발명에서 온도 유지 장치는 냉장고, 온장고 등과 같이 내부의 온도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for maintaining an internal temperatur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ch as a refrigerator or a heating cabin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100)는 본체(110), 도어(120),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130)을 포함한다. 도어(120)는 본체(110)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용자는 도어(120)를 열어서 본체(110) 내부에 물품(예를 들어, 음식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door 120, and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130. The door 12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be opened and closed. The user may open or close the door 120 to put or take out an article (eg, food) into the main body 110.

본체(110) 내부에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놓을 수 있는 선반(111)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10)는 온도 조절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12)는 일반적으로 도어(120)의 반대쪽에 위치한다. 온도 유지 장치(100)가 냉장고인 경우에는 온도 조절부(112)에는 증발기가 실장될 수 있고, 온도 유지 장치(100)가 온장고인 경우에는 온도 조절부(112)에는 히터가 실장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12)에 의해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는 본체(110)의 내부로 분출되어 온도 유지 장치(1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The shelf 111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o stably place the articl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112. The temperature controller 112 is generally located opposite the door 120. Whe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is a refrigerator, an evaporator may be moun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12, and a heater may be moun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12 whe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is a warmer. Air cooled or he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112 is blown into the body 110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130)은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질소를 본체(110) 내부로 충전한다.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130)은 진공 모터(140), 질소 보관부(150)를 구비한다. 진공 모터(140)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공기를 빼낸다. 진공 모터(140)는 흡입 파이프(141)를 통해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파이프(141)는 솔레노이드 밸브(142)를 구비할 수 있다. 질소 보관부(150)는 본체(110) 내부로 충전하기 위한 질소를 보관한다. 질소 보관부(150)는 연결 파이프(151)를 통해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질소 보관부(150)에 보관된 질소는 연결 파이프(151)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이동한다. 연결 파이프(151)는 솔레노이드 밸브(152)를 구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52)는 타임 스위치(160)와 연결될 수 있다. 타임 스위치(160)는 솔레노이드 밸브(152)의 작동 시간을 조절한다.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130 extracts air in the main body 110 and fills nitrogen into the main body 110.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130 includes a vacuum motor 140 and a nitrogen storage unit 150. The vacuum motor 140 extracts air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vacuum moto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suction pipe 141. The suction pipe 141 may have a solenoid valve 142. The nitrogen storage unit 150 stores nitrogen for filling into the main body 110. The nitrogen storage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51. Nitrogen stored in the nitrogen storage unit 150 moves into the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51. The connection pipe 151 may have a solenoid valve 152. The solenoid valve 152 may be connected to the time switch 160. The time switch 160 adjusts the operation time of the solenoid valve 152.

온도 유지 장치(100)는 센서 등과 같은 감지 수단을 이용해 도어(1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120)가 열렸다 닫히면, 외부의 공기가 본체(11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진공 모터(140)는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를 본체(110)의 내부로부터 빼낸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공 모터(140)와 본체(110)를 연결하는 흡입 파이프(141)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42)를 타임 스위치(160)에 연결하여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서 빠져 나간 공기의 양만큼 질소 보관 부(150)에 보관된 질소가 본체(110)의 내부에 채워진다. 본체(110) 내부로 채워지는 질소의 양은 연결 파이프(151)의 솔레노이드 밸브(152)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타임 스위치(160)는 솔레노이드 밸브(152)와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솔레노이드 밸브(152)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도 유지 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42, 152)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may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20 using a sensing means such as a sensor. When the door 120 is opened and closed, external air enters the main body 110. The vacuum motor 140 extracts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on time may be adjusted by connecting the solenoid valve 142 provided on the suction pipe 141 connecting the vacuum motor 140 and the main body 110 to the time switch 160. Nitrogen stored in the nitrogen storage unit 150 is filled in the body 110 by the amount of air that escapes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10. The amount of nitrogen filled into the body 110 may be adjusted through the solenoid valve 152 of the connection pipe 151. The time switch 160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152 to adjust the open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 152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s 142 and 152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100.

본체(110) 내부로 충전된 질소 가스는 본체(110) 내부에 보관된 음식물 등이 산소와 접촉하여 반응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음식물 등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질소를 주입하지 않는 경우 본체(110) 내부에서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본체(110) 내부의 온도 편차가 커지게 된다. 본체(110) 내부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 질소 가스가 본체(110) 내부의 대류 현상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본체(110)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된다. Nitrogen gas charged into the main body 110 prevents food and the like stored in the main body 110 from contacting with oxygen. Therefore, food and the like can be kept fresh for a long time. In addition, when air is extracted from the main body 110 and no nitrogen is injected, convection does not occur in the main body 110,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within the main body 110. When nitrogen gas is inject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nitrogen gas naturally induces convection in the main body 110, thereby mak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10 uniform.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200)는 본체(210), 도어(220),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230)은 공기 압축기(240), 질소 발생기(250)를 구비한다. 공기 압축기(240)는 본체(210)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킨다. 공기 압축기(240)는 흡입 파이프(241)를 통해 본체(21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 파이프(241)는 솔레노이드 밸브(242)를 구비할 수 있다. 질소 발생기(250)는 공기 압축기(240)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질소를 걸러낸다. 걸러진 질소는 연결 파이프(251)를 통해 본체(210) 내부로 주입된다. 연결 파이프(251)는 솔레노이드 밸브(252)를 구 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242, 252)는 타임 스위치(260)와 연결될 수 있다. 타임 스위치(260)는 솔레노이드 밸브(242, 252)의 작동 시간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도 유지 장치(200)의 제어부에서 공기 압축기(240)와 질소 발생기(25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10, a door 220, and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230 includes an air compressor 240 and a nitrogen generator 250. The air compressor 240 discharges air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air compresso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suction pipe 241. Suction pipe 241 may include solenoid valve 242. The nitrogen generator 250 filters nitrogen from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compressor 240. The filtered nitrogen is injected into the body 2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51. The connection pipe 251 may be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252. The solenoid valves 242 and 252 may be connected to the time switch 260. The time switch 260 adjusts the operating time of the solenoid valves 242 and 252.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rating time of the air compressor 240 and the nitrogen generator 250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20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300)는 본체(310), 도어(320),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330)은 본체(3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310)는 내부에 파이프(313)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313)의 내부에는 유체로 채워져 있다. 파이프(313)는 히트 파이프일 수 있다. 히트 파이프는 열기 또는 냉기를 효율적으로 전도하는 파이프로, 알루미늄, 강철, 구리 파이프 따위의 안쪽에 유리 섬유나 망상(網狀)의 동선(銅線) 따위 심재(心材)를 붙이고, 프레온, 암모니아 따위의 열매체를 채운 후 공기를 뺀 파이프이다. 파이프(313)는 파이프(313) 내부에서 유체가 잘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313)는 본체(310)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과 가까운 곳에 위치시키기 위해 선반(311)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10, a door 320, and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3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330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body 3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in body 310 may have a pipe 313 therein. The inside of the pipe 313 is filled with a fluid. Pipe 313 may be a heat pipe. Heat pipe is a pipe that efficiently conducts hot or cold air, and attaches core material such as fiberglass or reticulated copper wire inside aluminum, steel, and copper pipes, and freon and ammonia. After filling the heating medium, the pipe is deflated. The pipe 313 may be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so that the fluid circulates well inside the pipe 313. The pipe 313 may be installed below the shelf 311 to be located close to the article stored in the body 310.

온도 조절부(312)의 내부는 유체로 채워져 있다. 유체는 공기 또는 오일이 될 수 있다. 유체는 온도 조절부(312) 내부에서 순환한다. 온도 조절부(312) 내부에서 유체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팬(314)이 설치될 수 있다. 팬(314)의 위치는 유 체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곳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조절부(312) 내부에 가이드부(315)를 설치하여, 유체의 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315)는 유체의 이동 경로에 따라 여러 곳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312)는 유체를 배출하거나 주입할 수 있는 밸브(316)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316)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밸브(316)는 온도 조절부(312)를 청소하거나 수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312)의 외부는 단열부(317)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단열부(317)는 온도 조절부(312)가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단열부(317)를 설치하면 온도 유지 장치(30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interior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312 is filled with a fluid. The fluid can be air or oil. The fluid circulates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ler 312. The fan 314 may be installed to smoothly circulate the flui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312. The location of the fan 314 is preferably where the fluid can be circulated smoothly. In addition, the guide part 3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part 312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the fluid. The guide part 315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various places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fluid. The temperature controller 312 may include a valve 316 for discharging or injecting the fluid. The valve 316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f necessary. The valve 316 may be used when cleaning or repairing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12. The out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12 may be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part 317. The heat insulation part 317 blocks the temperature control part 312 from exchanging heat with the outside. Therefore, installing the heat insulating part 317 can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300.

파이프(313)는 일단이 온도 조절부(312)에 채워진 유체와 접한다. 파이프(313)가 온도 조절부(312)에 채워진 유체와 접하므로, 파이프(313)는 유체의 냉기 또는 온기를 본체(310) 내부에 전달한다. Pipe 313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fluid fill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12. Since the pipe 313 is in contact with the fluid fill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12, the pipe 313 delivers the cold or warm air of the fluid to the body 31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400)의 파이프(413)는 온도 조절부(412)와 접하는 일단에 구멍이 형성된다. 이 구멍을 통해 온도 조절부(412)에 수용된 유체가 파이프(413)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413)의 내부에 파이프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온도 조절부(412)에 수용된 유체가 파이프(413)의 내부에서 잘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12)에 수용된 유체가 파이프(413) 내부로 순환하면서 본체(410)의 내부 에 냉기 또는 열기를 전달하므로, 온도 유지 장치(400)의 효율이 좋아진다. As shown in FIG. 4, the pipe 413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r 412. Through this hole, the fluid contain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412 may move into the pipe 413. In another embodiment, the pipe guide par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ipe 413 to allow the fluid contain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part 412 to circulate well in the pipe 413. Since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12 circulates inside the pipe 413 and transmits cool air or heat to the inside of the body 410, the efficiency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400 is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500)는 본체(510), 도어(520),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5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510)의 전면에 도어(520)가 부착되고 후면에 온도 조절부(512)가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5,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10, a door 520, and a nitrogen gas filling system 530. In this embodiment, the door 52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ody 510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512 is located on the back,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체(510)는 측면에 본체 순환부(51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순환부(518)는 본체(510)의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온도 조절부(512)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는 본체 순환부(518)를 통해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510)의 내부에 냉기 또는 열기를 잘 전달할 수 있다. 팬(514)은 온도 조절부(512) 내부의 유체가 본체 순환부(518)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조절부(512) 뿐만 아니라 본체 순환부(518)의 외부도 단열부(517)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단열부(517)를 통해 온도 유지 장치(50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main body 510 may have a main body circulation part 518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main body circulation part 51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510 or may be formed on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The fluid fill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512 may circulate through the body circulation 518.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cool air or hea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10 well. The fan 514 may allow the flui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ler 512 to be smoothly circulated to the body circulation 518. In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512 but als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irculation unit 518 may be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unit 517.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500 may be increased through the heat insulating part 517.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 순환부(518)는 도어(520)와 접하는 부분에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멍을 통해 도어(520)가 열릴 때 본체 순환부(518)를 순환하던 유체가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이는 에어 커튼 역할을 하게 되고, 따라서 도어(520)가 열리는 경우에도 외부와 열 차단이 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circulation part 518 may have a hole formed in contact with the door 520. Through this opening, the fluid circulating in the body circulation 518 may come out when the door 520 is opened. This serves as an air curtain, and thus may be thermally blocked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door 520 is opened.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510) 내부에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파 이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파이프를 이용해 본체(510)의 내부에 냉기 또는 열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pipe as shown in FIG. 2 or 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510. By using a pipe, the cool air or heat may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1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것으로 온도 유지 장치의 덮개가 작동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and illustrates a principle of a cover of the temperature holding apparatu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600)는 도어(620)에 도어 순환부(621)가 형성된다. 도어 순환부(621)를 통해 온도 조절부(612)에 수용된 유체가 순환할 수 있다. 도어(620)는 본체(610)의 본체 순환부(618)와 접하는 위치에 돌출부(622)가 형성된다. 돌출부(622)는 도어 순환부(621)에 유체가 출입하는 입구가 된다. 도어(620)는 도어 단열부(6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 단열부(623)는 도어 순환부(621)의 외부를 감싸면서 도어 순환부(621)의 냉기 또는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shown in FIG. 6,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circulation part 621 is formed in the door 620. 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612 may circulate through the door circulation unit 621. The door 620 has a protrusion 622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circulation part 618 of the body 610. The protrusion 622 is an inlet through which fluid enters and exits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The door 620 may include a door insulation 623. The door insulation part 623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and prevents cold air or heat from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본체 순환부(618)는 도어(620)와 접하는 부분에 덮개(619a)를 구비한다. 덮개(619a)는 스프링(619b) 등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어(620)에 형성된 돌출부(622)는 덮개(619a)를 밀어서 열 수 있다. 덮개(619a)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main body circulation part 618 includes a cover 619a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oor 620. The lid 619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619b or the like. The protrusion 622 formed on the door 620 may be opened by pushing the cover 619a.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619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어(620)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19a)는 본체 순환부(618)를 막도록 스프링(619b)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도어(620)가 닫히는 경우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20)에 형성된 돌출부(622)가 덮개(619a)를 밀게 된다. 덮개(619a)는 일단 만이 본체 순환부(618) 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듯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본체 순환부(618)를 순환하는 유체가 도어(620)의 도어 순환부(621)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620)가 다시 열리면, 덮개(619a)는 스프링(619b)의 탄성에 의해 다시 닫히게 되고, 본체 순환부(618)에 수용된 유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619a)가 스프링(619b)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스프링 이외의 다른 탄성 부재로 지지될 수도 있다. When the door 620 is open, as shown in FIG. 7A, the cover 619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619b to block the main body circulation 618. When the door 620 is closed, as shown in FIG. 7B, the protrusion 622 formed on the door 620 pushes the cover 619a. Since only one end of the cover 619a is fixed to the main body circulation part 618, the cover 619a is opened to rotate about the fixed end. Therefore, the fluid circulating in the main body circulation part 618 may flow into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of the door 620. When the door 620 is opened again, the cover 619a is closed agai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19b, and the fluid contained in the main body circulation 618 does not flow out.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619a is described as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619b, but may be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other than the spring.

본 실시예에서 온도 조절부(612)에 채워진 유체는 공기 또는 오일이 될 수 있으나, 오일은 덮개(619a)가 열리는 경우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공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팬(614)은 유체가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온도 조절부(612)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유체는 본체(610)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 순환부(618)를 지나, 돌출부(622)를 통해 도어(620)의 도어 순환부(621)로 유입된다. 도어 순환부(621)로 유입된 유체는 하부로 내려가 본체(610)의 하부에 형성된 본체 순환부(618)로 유입된다. 온도 조절부(612)에 수용된 유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610)의 주변을 순환하면서 본체(610)의 내부 온도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 fill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612 may be air or oil, but the oil may be air because the cover 619a may be flow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619a is opened. The fan 614 allows the fluid to circulate smoothly. The fluid cooled or he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ler 612 passes through the body circulation part 618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610 and enters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of the door 620 through the protrusion part 622. . The fluid flowing into the door circulation part 621 is lowered and flows into the body circulation part 618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610. The fluid contained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612 circulates around the main body 610 in this manner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610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610)의 내부에 선반(611)만이 구비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610) 내부에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파이프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610) 내부에 설치된 파이프는 히트 파이프 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shelf 611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610, but in another embodiment, a pipe as shown in FIG. 2 or 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610. The pip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610 may be a heat pip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에서 유체가 순환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at the fluid circulates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조절부(712)에서 냉각 또는 가열된 유체는 본체(710)의 상부측면으로 올라온다. 유체의 순환을 위해 팬이 사용될 수 있다. 본체(710)의 상부측면으로 올라온 유체는 상부측면에 형성된 본체 순환부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유체는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본체 순환부와 도어(720)에 형성된 도어 순환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 양 측면의 본체 순환부와 도어 순환부를 통해 이동한 유체는 본체의 하부측면에 형성된 본체 순환부로 유입된다. 본체 하부측면의 본체 순환부로 유입된 유체는 다시 온도 조절부(712)로 유입된다. 유체는 이러한 방식으로 본체(710)의 가장자리를 순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710)의 내부로 직접 냉기 또는 열기가 주입되지 않으므로 본체(710)에 보관된 물품(특히,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8, the fluid cooled or heat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712 rises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710. Fans may be used for circulation of the fluid. The fluid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710 moves along the main body circula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fluid is moved to the main body circula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door circulation formed in the door 720. Fluid moved through the main body circulations and the door circulation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flows into the main body circula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circula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flows back in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712. The fluid will circulate through the edge of the body 710 in this manner. In this way, since cold or hot air is not directly injected into the body 710, articles (particularly, food) stored in the body 710 are not easily deteriorated.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가 온도 유지 장치(700)의 상부측면에서 하부측면으로 순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체가 다른 방향으로 순환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 circulat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700, but in other embodiments, the fluid may circulate in different direction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에서 본체와 파이프의 측벽 중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and the pipe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측벽(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측벽) 또는 파이프의 측벽은 주름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주름 부분에는 온도 조절부에 채워진 유체 또는 파이프에 채워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측벽을 주름진 형태로 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에서 방열 면적이 넓어지므로, 유체의 냉기 또는 온기가 본체의 내부로 더욱 잘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유지 장치의 효율이 좋아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내부 측벽 또는 파이프의 측벽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방열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즉 유체가 접촉할 수 있 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요철 형상 또는 주름진 측벽으로 만들 수 있다. As shown in FIG. 9A, the side wall of the body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ide wall) or the side wall of the pipe may be corrugated. In the corrugated portion, the fluid filled in the temperature controller or the fluid filled in the pipe may move. When the side wall has a corrugated shape, since the heat dissipation area is widened in a limited space, the cool or warm air of the fluid can be better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temperature holding device is improv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B, the heat dissipation area can be increased by making the inn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or the side wall of the pipe into an uneven shape. That is, it can be made of irregular shape or corrugated sidewalls wherever fluid can come into contac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부측면에는 방향 조절부(810)가 위치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810)는 본체 상부측면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한다. 본체의 상부측면을 흐르는 유체는 팬, 증발기 또는 히터의 위치 등에 따라 본체의 상부측면을 균일하게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 유지 장치 내부에서 온도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810)는 본체의 상부측면을 흐르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여 온도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direction controller 810 may be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direction controller 810 adjusts a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may not uniformly flow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n,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This can lead to temperature imbalances inside the temperature holding device. The direction controller 810 may prevent the temperature imbalance from occurring by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본 실시예에서 방향 조절부(810)는 바(810, bar)가 될 수 있다. 바(810)는 중심이 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810)으로 고정되고, 체결수단(81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바(810)의 위치는 도 10의 (a) 또는 (b)와 같이 조절하여, 유체가 특정한 방향으로 많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본체 내부에는 바(8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controller 810 may be a bar 810. Bar 810 is fixed to the fastening means 810, such as a pin, the center, it is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fastening means 810.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r 810 as shown in (a) or (b) of FIG. 10 to allow the fluid to flow a lot in a specific direction. Inside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adjustment projection for rotating the bar 810.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을 이용해 바(81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온도 유지 장치에 온도 감지 센서를 부착하고,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바(810)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에 의해 온도 유지 장치 내부에서 온도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도 유지 장치에 구비된 방향 조절부(810)가 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bar 810 may be rotated using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The bar 810 may be adjusted by attaching a temperature sensor to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Such adjustment can prevent the temperature imbalance from occurring inside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the direction controller 810 included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bar shap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랩 배수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a trap d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900)는 트랩 배수구(9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온도 유지 장치(900)는 사용 중에 내부에 결로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맺힐 수 있다. 이러한 물은 온도 유지 장치(900)의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물의 배출을 위해서 트랩 배수구(910)를 이용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p drain 910.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900 may condense water droplets due to condensation therein during use. This water shoul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900. A trap drain 910 is used to discharge water.

트랩 배수구(910)는 일반적으로 S자 형상이다. S자 형상의 일부분에는 항상 물이 고여 있다. 고여 있는 물에 의해 온도 유지 장치(900)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온도 유지 장치(9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의 배출이 온도 유지 장치(900)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온도 유지 장치(900)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The trap drain 910 is generally S-shaped. Part of the S shape always contains water.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900 by the standing water, external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900. Therefore, the discharge of water does not aff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900. Through this, energy consumption of the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900 may be reduc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 측벽에 홈이 형성된 온도 유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in body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hav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wal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0)는 내부의 양 측벽에 홈(101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010)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양 측벽에 형성된 홈(1010)에는 선반을 거치할 수 있다. 각각의 홈(1010)의 간격은 선반의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선반에는 홈에 끼울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2, grooves 1010 may b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body 1100. A plurality of grooves 1010 may be formed. Shelves may be mounted in the grooves 1010 formed on both sidewalls. The spacing of each groove 1010 depends on the spacing of the shelves. The shelf may be formed with protrusions that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s.

사용자는 도어(1200)를 열고, 선반에 형성된 돌기를 홈(1010)에 끼워 선반을 본체(110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선반이 본체(1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1100) 내부에 고정된 선반이 필요 없는 경우, 선반에 형성된 돌기를 홈(1010)에서 이탈시켜 선반을 본체(1100)로부터 빼낼 수 있다. The user may open the door 1200 and insert a protrusion formed in the shelf into the groove 1010 to fix the shelf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0. A plurality of shelves may be fixed inside the body 1100. When the shelf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0 is not necessary,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shelf may be removed from the groove 1010 to remove the shelf from the main body 1100.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것으로 온도 유지 장치의 덮개가 작동하는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and illustrates a principle in which a cover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operate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에서 유체가 순환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8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at the fluid circulates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유지 장치에서 본체와 파이프의 측벽 중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9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and the pipe in the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랩 배수구를 나타내는 도면.11 shows a trap drai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 측벽에 홈이 형성된 온도 유지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temperature maintaining apparatus in which grooves are formed in both sidewa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가 격벽으로 구획되어 타측 내부에 유체가 채워져 있는 온도 조절부가 형성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part which is open at one surface and is partitioned with a partition and filled with fluid inside the other side,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 그리고A door attached to an open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상기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경우 상기 본체 일측 내부의 공기를 빼내고 질소를 충전하는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Nitrogen gas charging system for releasing air and filling nitrogen inside one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을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온도 조절부와 연결된 본체 순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본체 순환부와 연결된 도어 순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조절부의 유체는 상기 본체 순환부와 상기 도어 순환부로 순환하는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main body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door is formed with a door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circulation unit, the fluid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is the main body circulation unit and the door Circulated to the circulation 온도 유지 장치.Temperature ho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은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위한 진공 모터와,A vacuum motor for extracting air inside the main body, 질소 가스를 보관하는 질소 보관부와,A nitrogen storage unit for storing nitrogen gas, 상기 질소 보관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nitrogen storage part and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질소 가스 충전 시스템은 The nitrogen gas filling system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압축기와,An air compressor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공기 압축기로 배출된 공기로부터 질소를 걸러내는 질소 발생기와,A nitrogen generator for filtering nitrogen from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compressor; 상기 질소 발생기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And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nitrogen generator and the main bod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연결 파이프에 부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And a solenoid valv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ipe.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타임 스위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And the solenoid valve is connected to a time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음식물이 놓이는 선반을 지지할 수 있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It is disposed inside one side of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pipe for supporting a shelf on which food is placed, 상기 파이프는 그 내부가 상기 온도 조절부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온도 조절부의 유체가 상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와 열교환하는 온도 유지 장치.The inside of the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that the fluid of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pipe to exchange heat with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내부 측벽은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주름진 부분으로 상기 온도 조절부의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The inn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the fluid of the temperature control portion can move to the corrugated portion of the side wall 온도 유지 장치.Temperature hol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The door has a protrusion,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의 돌출부와 접하는 부분에 탄성 지지되는 덮개를 구비하고,The main body has a cover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door,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덮개가 열리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경우 상기 덮개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The cover is opened by the protrusio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cover is closed when the door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상부측면에 유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on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트랩 배수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trap drain for discharging water generat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내부의 양 측벽에 선반을 거치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유지 장치. The main body is a temperature maint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h side walls of the inside can be mounted.
KR1020090068114A 2009-03-16 2009-07-24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KR1011244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328 2009-03-16
KR20090022328 200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01A KR20100105301A (en) 2010-09-29
KR101124461B1 true KR101124461B1 (en) 2012-03-15

Family

ID=4300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14A KR101124461B1 (en) 2009-03-16 2009-07-24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117A (en) * 2018-11-30 2020-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ood Storag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562B1 (en) * 2016-10-07 2017-04-05 이흥용 The showcase for a cak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500B1 (en) * 1994-12-20 1997-05-09 정대원 Vacuum cooling chamber device of a refrigerator
KR100290719B1 (en) * 1998-04-07 2001-06-01 김홍기 The Vaccum Refrigerator
KR100672476B1 (en) * 2005-04-26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500B1 (en) * 1994-12-20 1997-05-09 정대원 Vacuum cooling chamber device of a refrigerator
KR100290719B1 (en) * 1998-04-07 2001-06-01 김홍기 The Vaccum Refrigerator
KR100672476B1 (en) * 2005-04-26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117A (en) * 2018-11-30 2020-06-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ood Storage Apparatus
KR102156995B1 (en) * 2018-11-30 2020-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ood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01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0663B2 (en) Cabinet refrigeration system
KR102241307B1 (en) Defrost device, refrigerator having th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426450A2 (en) Direct cool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29018A (en) Refrigerator
KR20120007500A (en) Refrigerator air duct
KR101771721B1 (en) Refrigerator and its defrost control method
KR20110021128A (en) A refrigerator
KR101124461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emperature
JP2010025530A (en) Refrigerator
US10180275B2 (en) Ice making duct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JP4799288B2 (en) refrigerator
JP2012042140A (en) Refrigerator
ES2961108T3 (en) Method to defrost a freezer cabinet
JP4762799B2 (en) refrigerator
KR20130008990A (en) Defrost device of refrigerator
KR100701954B1 (en) Thawing room unit and quick freezing room unit of refrigerator having vibrator apparatus
KR100200895B1 (en) A refrigerator
KR100688880B1 (en) Sensor mount structure of evaporator pipe for drawer type kimchi refrigerator
KR100432215B1 (en) Refrigerator for cabbage and radish pickle
JP3615387B2 (en) Cold storage freezer
JP3983565B2 (en) Refrigerator
KR100412103B1 (en) Refrigerator for cabbage and radish pickle
KR102447436B1 (en) Refrigerator
KR20060069671A (en) Evaporator pipe structure for anti-frost of drawer type kimchi refrigerator
JP2005172302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