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163B1 -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163B1
KR101124163B1 KR1020090025044A KR20090025044A KR101124163B1 KR 101124163 B1 KR101124163 B1 KR 101124163B1 KR 1020090025044 A KR1020090025044 A KR 1020090025044A KR 20090025044 A KR20090025044 A KR 20090025044A KR 101124163 B1 KR101124163 B1 KR 101124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ssword
vehicle management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0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6825A (en
Inventor
임병재
임형준
Original Assignee
롬태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태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롬태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163B1/en
Publication of KR2010010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통신을 이용한 위치 인식 및 상기 위치 인식에 따라 차량의 도어 등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RF 소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특정 전화번호 또는 특정인을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아이콘들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recognition and the position recognition using RF communication. The method of managing a vehicle i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display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specific telephone number or a specific person when the RF device is out of the preset range;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assword corresponds to a preset password through input icons for password input; And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activating starting if the passwords match. Here,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the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the sound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차량, 비밀번호, RF 통신, 전화번호 Vehicle, password, RF communication, phone number

Description

위치 인식 기반 차량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Location-aware vehicle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 통신을 이용한 위치 인식을 기반으로 차량의 도어 개폐 등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based on location recognition using RF communication.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실내 환경에 대한 위치 인식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그 결과로서 차량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주차) 위치 인식 서비스들이 개발되었다. Recently, as the ubiquitous environment is established, the necessity of location awareness service for the indoor environment has emerged, and as a result, vehicle (parking) location awareness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it easy to locate a vehicle.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위치를 탐지하는 시스템, 적외선을 이용하여 위치를 탐지하는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정밀하게 위치 인식을 하기 위해서는, 위치 인식용 센서들이 실내 공간에 촘촘하게 설치되어야만 한다. For example, a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using ultrasonic waves and a system for detecting a position using infrared rays has been developed. Here, in order to precisely recognize the position, sensors for position recognition must be closely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상기 센서들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실내 설비들과는 별도로 설치되므로,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었고, 실내 공간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Since the sensors are generally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existing indoor facilities,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could be degraded and influenced the interior space design.

또한, 상기 센서의 배선 공사 등이 고가이어서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wiring work of the sensor is expensive, a lot of costs are required to build a system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을 감소시키고 실내 공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의 동작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while reducing costs and not affecting the interior space desig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관리 소자와 교신하는 터치 소자는 상기 차량 관리 소자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을 포함하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A password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icon for password input; And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touch of the input icon. Here,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the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the sound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RF 소자와 교신하는 차량 관리 소자는 RF 소자가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RF 소자 인식부; 디스플레이부;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특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관리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을 포함하는 비밀번호부; 및 상기 입력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이다. In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management element communicating with an RF element includes an RF element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whether the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A display unit; A display manager configured to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RF device is out of the preset range; A password unit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icon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touch of the input icon. Here,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the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the sound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은 RF 소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특정 전화번호 또는 특정인을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아이콘들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이다. A method of managing a vehicle in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display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specific telephone number or a specific person when the RF device is out of the preset range;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assword corresponds to a preset password through input icons for password input; And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activating starting if the passwords match. Here,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the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the sound of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 b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리 소자가 사용자가 소지한 RF 소자와 RF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에 따라 도어의 개폐 등과 같은 상기 차량의 동작을 관리하므로, 센서 등을 실내 공간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상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installed in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RF element carried by the user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such as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herefore, since the sensor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in the indoor space, the cost for installing the system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차량 관리 소자 및 터치 소자가 차량에만 설치되므로, 상기 차량 관리 시스템이 실내 공간 디자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and the touch element are installed only in the vehicle,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has little influence on the interior space design.

게다가, 사용자가 소지한 RF 소자를 분실한 경우에도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loses the RF device, since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opened or activated by the password inpu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더욱이, 상기 차량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단순 숫자가 아닌 문자 및 캐릭터 등을 활용하여 설정되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비밀번호를 일정한 리듬을 이용하 여 기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비밀번호를 더 쉽게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password set in the vehicle is set using letters and characters, etc., rather than simple numbers, the user can store the password using a certain rhythm.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remember the passwor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소자 및 터치 소자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and the touch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시스템은 위치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차량(100)의 도어(door) 및 시동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 관리 소자(102), 터치 소자(104) 및 RF 소자(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ystem for managing doors and starting of the vehicle 100 based on location recognition, and includes a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a touch element 104, and the like. RF element 200 is included.

차량 관리 소자(102)는 예를 들어 차량(100)의 대쉬 보드(202) 위에 위치하며, RF 소자(200)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100)의 동작을 관리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운전자)가 RF 소자(200)를 소유한 채로 차량(100)에서 하차하여 상기 기설정 범위, 예를 들어 차량(100)으로부터 10m 범위 를 이탈한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차량(100) 내부의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electric control unit, ECU)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교신하여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가 RF 소자(200)를 소지한 채로 차량(100)으로 접근하여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ECU와 교신하여 상기 도어가 열리거나 시동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일률적이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is located on the dashboard 202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nd determines whether the RF element 200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to manage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 In detail, when the user (driver) gets off the vehicle 100 while possessing the RF element 200 and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or example, the 10m range from the vehicle 100,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 May communicate wit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side the vehicle 100 by wire or wirelessly to control the door to be lock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100 with the RF element 200 and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communicates with the ECU to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the door or activate the start. Of course, this operation is not uniform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described below.

또한, 차량 관리 소자(102)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어서, 차량 관리 소자(102)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삭제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displays the user's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RF element 200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Subsequently,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deletes the displayed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터치 소자(104)는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전면 유리창(110)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하며,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ouch element 104 is attached to the front window 110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nd detects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element 1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소자(104)에는 상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아이콘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에 따라 터치 소자(104)는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터치 신호를 차량 관리 소자(102)로 전송한다. 이어서,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터치 신호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기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리거나 시동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element 104 is provided with input icons for the user to enter a password.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 password by using the input icons, and according to the input, the touch element 104 transmits a touch signal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password to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Subsequently,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determine whether a password included in the touch signal and a predetermined password match each other, and control the door to be opened or start-up activated when the passwords match.

이러한 터치 소자(104)에 형성된 입력 아이콘들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외에도 기호, 문자 또는 캐릭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아이콘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비, 밥, 디, 오, #"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는 "비비디밥 비비디"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필요시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문자, 캐릭터 등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상기 비밀번호를 일정한 멜로디로서 기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숫자로된 비밀번호보다 더 외우기 쉽고 다른 목적으로 설정된 비밀번호와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숫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input icons formed on the touch device 104 in more detail, the input icons may be formed of symbols, letters, or characters in addition to numbers as shown in FIG. 2. For example, if the input icons are composed of "*, B, BB, D, O, #", as shown in FIG. A password can be entered using the input icons. If a password is set using a character, a character, or the like, the password can be stored as a certain melody. Therefore, the password may be easier to memorize than a numeric password and may not be confused with a password set for another purpose. Of course, the input icons may include numbers.

다른 예로,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 토끼 캐릭터, 닭 캐릭터, 발바닥 캐릭터, 오리 캐릭터,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들을 각기 문자로 인식하여, 즉 "*, 토, 닭, 발, 오, #"으로 인식하여 비밀번호를 예를 들어 "토발 토발 오토발" 등과 같이 일정한 멜로디 형식으로 기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input icons may include “*, rabbit character, chicken character, sole character, duck character, #”. In this case, the user recognizes the characters as characters, that is, recognizes "*, SAT, chicken, paw, OH, #" to store the password in a melody format, for example, "Torbal Tobal Autoval".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터치 소자(104) 제조시의 배열이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른 기호, 문자, 캐릭터 등의 배열로 전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을 원하는 아이콘들로 설정하여 자신이 기억하기 좋은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put icons may be maintained as they are when the touch device 104 is manufactured, or may be switched to an arrangement of other symbols, characters, and characters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e user may set a password that is easy to remember by setting the input icons as desired icons.

RF 소자(200)는 차량 관리 소자(102)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고유 인식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 인식 번호는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된다. 예를 들어, 차량 관리 소자(102)가 구입시부터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번호를 미리 등록하고 있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고유 인식 번호를 직접 등록하거나, 주변에 있는 RF 장치 탐색 및 등록 과정을 통하여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The RF device 200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and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Her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For example,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register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 element 200 in advance from the time of purchase, or the user directly register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r searches for and registers the RF device in the vicinity.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F element 200 can be registered through the.

이렇게 RF 소자(200)가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차량 관리 소자(102)는 RF 통신을 통하여 RF 소자(200)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 통신으로는 RF 태그 방식, zigbee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RF 소자(200)는 스마트 카드 또는 동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RF 소자(200)가 동글로 구현되면 RF 소자(200)가 휴대폰의 악세사리로서 장착될 수도 있다. Since the RF device 200 is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may recognize the RF device 200 through RF communication. Here, various methods such as an RF tag method and a zigbee method may be used as the RF communication, and the RF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card or a dongle. If the RF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dongle, the RF device 200 may be mounted as an accessory of the mobile phone.

요컨대,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 관리 소자(102), 터치 소자(104) 및 RF 소자(200)를 이용하여 차량(100)의 도어 개폐, 시동 활성화 등을 관리하고, 전화번호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In short,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nag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100, starting activation, etc. using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the touch element 104, and the RF element 200, and a user such as a telephone number. Display the information.

이하,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차량 관리 소자(102)를 조작하여 비밀번호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S300). Referring to FIG. 3, the user operates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to select a password input mode (S300).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정 비밀번호를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한다(S302). Subsequently, the user inputs a desired password using a button method or a touch method and registers a specific passwor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S302).

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차량 관리 소자(102)를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비밀번호를 등록하였으나, 상기 사용자가 RF 소자(200)를 통하여 차량 관리 소자(102)에 비밀 번호를 등록시킬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user directly registers the password by controlling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but the user may register the passwor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through the RF element 200.

계속하여, 추가 등록자가 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04).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registrant (S304).

추가 등록자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차량 관리 소자(102)를 직접 제어하여 또는 RF 소자(200)를 통하여 추가 등록자의 이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한다(S306 및 S302).If there is an additional registrant, the user directly controls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or sets the additional registrant's name and password via the RF element 200 (S306 and S302).

즉, 차량 관리 소자(102)에는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가족 구성원들이 등록될 것이다. That is, at least one user may be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and generally family members will be registered.

위에서는, 상기 등록자들이 서로 다른 비밀번호들을 등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등록자들은 모두 동일한 비밀번호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밀번호를 한번만 입력하고 다른 등록자들에 대하여는 이름만 등록하면 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gistrants register different passwords, but the registrants may register the same password. In this case, the user only needs to enter the password once and register only the name for the other registrants.

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사용자에 대한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정보도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차량 관리 소자(102)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 또는 차량 관리 소자(102)가 주변의 RF 소자(200)를 탐색하여 등록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정보가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bove, the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F device 200 for the user may also be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In detail, a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inpu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 device 200 possessed by the user to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or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searches for the surrounding RF device 200. The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F device 200 may be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through a registration method.

복수의 등록자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등록자들이 각기 별개의 RF 소자들 을 소유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RF 소자들의 고유 인식 정보들을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한다. 이 경우, 특정 RF 소자가 차량(100)으로부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상기 RF 소자를 소지한 등록자의 전화번호가 차량 관리 소자(10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그러나, 복수의 등록자들 및 RF 소자들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RF 소자가 차량(100)으로부터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RF 소자의 소유자와 관계없이 특정 등록자의 전화번호만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이 각기 RF 소자들을 소유하여 차량의 도어 및 시동 등을 제어하지만 차량 관리 소자(102)에는 항상 아버지의 전화번호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strants, the registrants may own separate RF elements and thus 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F element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RF element is out of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100,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gistrant who carries the RF element will be displayed throug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However,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strants and RF elements, only the telephone number of a specific registrant may be displayed regardless of the owner of the RF element when the RF element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 family member may own the RF elements to control the door and start of the vehicle, but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be controlled so that only the father's telephone number is always displayed.

한편, 상기 사용자가 RF 소자(200)를 소지하며 돌아다니므로, RF 소자(200)가 분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터치 소자(104)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차량(100)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된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구매처에 직접 방문하여 또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RF 소자를 재발급받고 재발급된 RF 소자의 고유 인식 번호를 재등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ser is carried around with the RF device 20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F device 200 is lost. In this case, the user may input a password to the touch element 104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100 and delete the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RF element 200 registered to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Subsequently, the user may visit the place of purchase directly or reissue the RF device through the homepage and re-registe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reissued RF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소자(200)의 고유 인식 정보, 예를 들어 고유 인식 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한 고유 인식 정보를 인터넷 등을 통하여 등록하면, 동일한 고유 인식 번호의 부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 인식 번호는 터치 소자(104)의 입력 아이콘들과 유사하게 문자, 기호, 숫자, 캐릭터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설정된 고유 인식 정보를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directly set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 element 200, for example,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 this case, when the se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through the Internet, the sam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may be set to letters, symbols, numbers, characters, and the like, similar to the input icons of the touch element 104. Subsequently, the user may register and use the set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RF 소자(200)에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고유 인식 정보들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유 인식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별로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RF 소자(200)에서 사용자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드가 존재하면, 하나의 RF 소자(200)를 복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고유 인식 정보들이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아버지가 출근할 때 아버지 모드를 선택하면 차량 관리 소자(102)가 RF 소자(200)를 인식하여 차량(100)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아버지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주말에, 어머니가 장보기 위하여 외출하는 경우 상기 어머니가 어머니 모드를 선택하면 차량 관리 소자(102)는 RF 소자(200)를 인식하여 차량(100)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어머니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어머니가 아버지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아들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관리 소자(102)는 선택된 모드들과 상관없이 아버지의 전화번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may be set in one RF device 200. Of course, the uniqu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for each user.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mode for individually selecting users in the RF device 200, a plurality of users may use one RF device 200. For example, if the father mode is selected when the father goes to work whil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mily members is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recognizes the RF device 200. The door of the vehicle 100 may be opened or the father's telephone number may be displayed. On the weekend, when the mother goes out for shopping, when the mother selects the mother mod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recognizes the RF element 200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100 or display the mother's telephone number. Can be. Of course, the mother may select and use the father mode or the son mode. In additi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display only the father's phone number regardless of the selected mod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한다(S400).Referring to FIG. 4, the user gets off from the vehicle 100 (S400).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RF 소자(200)가 차량(100) 또는 차량 관리 소자(102)로부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02).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F element 200 owned by the user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100 or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S402).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의 도어가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S404). 이 경우, 차량(100)의 시동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 도 있고 꺼진 상태일 수도 있다. If the RF device 200 does not deviate from the preset range, the door of the vehicle 100 is kept open (S404). In this case, the starting of the vehicle 100 may be activated or may be turned off.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차량(100)의 도어가 잠기고 시동이 켜져 있으면 꺼진다(S406).When the RF element 200 is out of the preset range, the door of the vehicle 100 is locked and turned off when the start is turned on (S406).

계속하여, 차량 관리 소자(102)에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표시된다(408).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예를 들어, 회사 명칭)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하자마자 즉시 표시될 수도 있고 상기 이탈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 예를 들어 8초 후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관리 소자(102)에 한명의 전화번호(또는 인식 정보)가 아닌 복수의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인식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차량 관리 소자(102)에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인식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the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is displayed (408). Here, the telephone number 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company name)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as soon as the RF element 200 leaves the preset range and, for example, 8 seconds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departure point. It may be displayed lat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users' phone numbers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instead of one phone number (or recognition information). Of course,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이어서,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41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F device 200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range (S410).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지 않은 경우 단계 S408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If the RF device 200 does not enter the preset range, step S408 is continuously performed.

반면에,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도어가 열리고 시동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전화번호 등이 삭제된다. 물론, 상기 전화 번호 등은 삭제되지 않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F device 200 enters the preset range,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controls the door to be opened and the starting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are deleted. Of course, the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may not be dele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에서 전화번호가 삭제되는 대신 상기 사용자가 자신 의 차량을 알아볼 수 있도록 특정 무늬(물결 무늬)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관리 소자(102)는 하나 이상의 LED를 사용하여 전화번호 및 무늬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리 소자(102)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차량(100)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헤드라이트를 깜박이거나 LED를 깜박이도록 차량(100)의 ECU를 제어하고, 특정 소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a specific pattern (wave) may be us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his vehicle instead of deleting the telephone number from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be displayed to move left and right. Her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display a telephone number and a pattern using one or more LEDs. In additio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may blink the headlights or the LEDs so that the user may easily find the vehicle 100 when the RF device 200 enters the preset range. You can also control the ECU and generate specific sound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등에 주차 관리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차량(100)의 위치가 RF 소자(2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is installed in a parking lot or the lik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0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RF element 20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관리 소자(102)에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표시된다(S500).Referring to FIG. 5, a user's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S500).

이어서, RF 소자(200)가 차량(100)으로부터 기설정 범위 내에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02).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F element 200 has entered the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100 (S502).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 단계 S500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If the RF device 200 does not enter within the preset range, step S500 is continuously performed.

반면에,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사용자가 진입하였음을 소리 및 깜박거림 등으로 표시한다(S504).On the other hand, when the RF device 200 enters within the preset range,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indicates that the user has entered by sound and flickering (S504).

계속하여, 상기 사용자가 터치 소자(104)의 입력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6).In operation S5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touched at least one of the input icons of the touch element 104.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터치 소자(104)의 입력 아이콘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관리 소자(102)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508).When the user does not touch the input icon of the touch element 104 while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intain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S508). .

반면에,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터치 소자(104)의 입력 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시동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전화번호를 삭제한다(S5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input icon of the touch element 104 while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release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starts the vehicle. Activate or delete the phone number (S510).

요컨대,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방법은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였다고 하여 차량(100)의 동작을 즉시 제어하지는 않고 상기 사용자가 터치 소자(104)를 터치한 경우에만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관리를 한다. In short, the vehicle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immedia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because the RF element 200 has entered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element 104. Management such as activating or starting the engin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RF 소자(200)를 소지한 채로 움직이므로 RF 소자(200)가 분실될 수 있다(S600).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RF 소자(200)를 분실하였으므로 RF 소자(200) 없이 차량(100)의 도어를 오픈하고자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6, since the user moves while holding the RF device 200, the RF device 200 may be lost (S600). In this case, since the user has lost the RF device 200, the user would like to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100 without the RF device 200.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터치 소자(104)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2).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s a password using the touch element 104 (S602).

상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았거나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다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S604).If the user does not enter a password or the input password is different from the preset password,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S604).

반면에,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한다(S606). 이 경우, 차량 관리 소자(102)에 표시되었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리 소자(102)는 상기 도어를 오픈하면서 동시에 차량(100)의 시동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set password,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controls to open the door (S606). In this case, the 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be deleted. In additio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activate the start of the vehicle 100 while opening the doo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102)는 제어부(700), 무선통신부(702), RF 소자 인식부(704), 차량 관리부(706), 비밀번호부(708), 저장부(710), 표시 관리부(712), 디스플레이부(714) 및 사운드 출력부(71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7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2, an RF element recognition unit 704, a vehicle management unit 706, a password unit 708, and a storage unit ( 710, a display manager 712, a display 714, and a sound output unit 716.

무선통신부(702)는 터치 소자(104) 및 RF 소자(200)와 무선 통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2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touch element 104 and the RF element 200.

RF 소자 인식부(704)는 RF 소자(200)와 무선통신부(702) 사이의 교신을 기반으로 RF 소자(200)의 위치 인식하며, 즉 RF 소자(200)가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The RF element recognition unit 704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F element 200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RF element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2, that is, whether the RF element 200 has entered the preset range. Judge.

차량 관리부(706)는 예를 들어 ECU와 교신하여 차량(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 관리부(706)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상기 도어를 잠그도록 제어하며,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상기 도어의 오픈없이 헤드라이트의 깜박거림 등과 같은 차량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vehicle manager 706 communicates with the ECU, for example,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the vehicle manager 706 controls the door to be locked when the RF device 200 is out of the preset range, and opens the door when the RF device 200 enters the preset range. Vehicle display operation such as flickering of a headlight or the like without the opening of the door.

비밀번호부(708)는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등 상기 비밀번호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The password unit 708 performs a series of operations related to the password, such as setting a password.

저장부(71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로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710 stores various data, and in particular, stores user information and a password set for each user.

표시 관리부(712)는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가 디스플레이부(7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표시 관리부(712)는 특정 무늬 등이 디스플레이부(7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부(714)가 깜박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isplay manager 712 controls the display unit 714 to display the user's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RF device 200 is out of the preset range. In addition, the display manager 712 may control a specific pattern or the lik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714 or the display 714 to blink.

디스플레이부(714)는 상기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 또는 상기 무늬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깜박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714)는 발광 소자(LED)로 구현되거나, 액정 표시 소자(LCD),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PDP) 또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 등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714 may display or blink the phone numbe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pattern. The display unit 714 may be implemented as a light emitting device (LED), or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lat panel display device (PDP), o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LED).

사운드 출력부(716)는 특정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RF 소자(200)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빠아앙" 등과 같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차량 관리 소자(102)는 사운드 출력부(716)를 통하지 않고 상기 ECU와 교신하여 차량(100)의 경적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714)가 물결 무늬 등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때 사운드 출력부(716)는 상기 물결 무늬에 맞춰서 특정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716 is an element that outputs a specific sound. For example, when the RF element 200 enters the preset range, the sound output unit 716 may output a sound such as “paaang”. Of course,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may communicate with the ECU without using the sound output unit 716 to use the horn of the vehicle 100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unit 714 dynamically displays a wave pattern, the sound output unit 716 may output a specific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wave pattern.

제어부(700)는 차량 관리 소자(102)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 소자(104)는 제어부(800), 무선통신부(802), 비밀번호 입력부(804), 터치 감지부(806) 및 신호부(808)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touch element 104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80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802, a password input unit 804, a touch detector 806, and a signal unit 808.

무선통신부(802)는 차량 관리 소자(102)와 무선 통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802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비밀번호 입력부(804)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아이콘들을 제공하는 등 비밀번호 입력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password input unit 804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related to password input, such as providing input icons for the user to input a password.

터치 감지부(806)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The touch detector 806 detects a touch of the user.

신호부(808)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터치 신호를 차량 관리 소자(102)로 전송한다. The signal unit 808 generates a touch signal having information on a password input through a user's touch,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ouch signal to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제어부(800)는 터치 소자(104)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ler 80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touch element 104.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관리 소자(102)와 터치 소자(104)가 서로 다른 부재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였던 제 1 실시예의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와 달리,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9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소자(104)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터치부(904)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900)에 터치 소자가 내장된 형태로 구현된다. Unlike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and the touch element 104 were independently present as different members,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9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uched as shown in FIG. The touch unit 904 performs the same role as the device 104. That is,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9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touch device is embedded.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900)는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인식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902) 및 터치부(904)를 포함한다. 물론, 차량 관리 소자(900)는 사운드 출력부 등 제 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9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902 and a touch unit 904 for displaying user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or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urse,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900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such as a sound output unit.

차량 관리 소자(900)의 구체적인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102)와 터치 소자(10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다만, 차량 관리 소자(900)는 터치 소자(104)의 역할도 수행해야 하므로,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9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102 and the touch element 104 of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However, since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900 also needs to perform the role of the touch device 104,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90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차량 관리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관리 소자(900)는 제어부(1000), 모드부(1002), 터치 감지부(1004), 설정부(1006), RF 소자 인식부(1008), 차량 관리부(1010), 비밀번호부(1012), 저장부(1014), 표시 관리부(1016), 디스플레이부(1018) 및 사운드 출력부(10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000, a mode unit 1002, a touch sensing unit 1004, a setting unit 1006, an RF element recognition unit 1008, and a vehicle management unit. 1010, a password unit 1012, a storage unit 1014, a display management unit 1016, a display unit 1018, and a sound output unit 1020.

모드부(1002)는 각종 모드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18)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드부(1002)가 비밀번호 변경 모드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상기 비밀번호 변경 모드를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다른 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The mode unit 1002 provides various modes, for example, provides a mode that a user can select through the display unit 1018. For example, if the mode unit 1002 provides a password change mode, the user can change the password to another number by selecting the password change mode.

터치 감지부(1004)는 터치부(904)로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The touch detector 1004 detects a user's touch on the touch unit 904.

설정부(1006)는 비밀번호 설정 등과 같은 각종 기능들을 설정한다. The setting unit 1006 sets various functions such as setting a password.

RF 소자 인식부(1008)는 RF 소자의 위치를 RF 통신을 통하여 인식하며, 즉 상기 RF 소자가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The RF element recognition unit 1008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F element through RF communication, that is, recognizes whether the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차량 관리부(1010)는 도어를 오픈하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차량 관 리를 ECU와 교신하여 제어한다. The vehicle manager 1010 communicates with the ECU to control vehicle management such as opening a door or activating a start.

비밀번호부(1012)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아이콘들을 제공하는 등 비밀번호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The password unit 1012 controls operations related to passwords such as providing input icons for password input.

저장부(1014)는 각종 데이터, 특히 비밀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014 stores various data, particularly information about a password.

표시 관리부(1016)는 디스플레이부(1018)를 통하여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The display management unit 1016 display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through the display unit 1018.

디스플레이부(1018)는 표시 관리부(1016)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도 9의 정보 표시부(902)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18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manager 1016 and may b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902 of FIG. 9.

사운드 출력부(1020)는 특정 사운드를 출력시킨다. The sound output unit 1020 outputs a specific sound.

제어부(1000)는 차량 관리 소자(9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00 gener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900.

위의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관리 소자가 대쉬 보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차량 관리 소자는 룸미러 뒷면, 네비게이션 뒷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 vehicle management system,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on the dash board, but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rear of the room mirror and the rear of the navig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소자 및 터치 소자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hicle management device and a tou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등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차량 관리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관리 소자와 교신하는 터치 소자에 있어서, A touch element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management element in a vehicle management system, 상기 차량 관리 소자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을 포함하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A password in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icon for password input; And 상기 입력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touch of the input icon,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소자.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wherein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a sound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Touch ele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소자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소자. The touch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touch device is attached to a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RF 소자와 교신하는 차량 관리 소자에 있어서,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RF element in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RF 소자가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RF 소자 인식부; An RF device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whether the RF device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디스플레이부; A display unit;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특정 사용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 관리부;A display manager configured to display specific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RF device is out of the preset range;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을 포함하는 비밀번호부; 및A password unit including at least one input icon for inputting a password; And 상기 입력 아이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touch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touch of the input icon,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소자.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wherein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a sound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Vehicle management ele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소자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차량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When the RF device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further comprises a vehicle management unit for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to activate the start, 상기 비밀번호부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관리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소자. The password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input icons match a preset password, and if the passwords match, the vehicle manager opens the door of the vehicle or activates the vehicle. Management elem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 범위를 이탈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LED를 사용하여 특정인의 전화번호 또는 상기 특정인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LED를 이용하여 특정 무늬를 움직이도록 구현하거나 상기 LED를 깜박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소자.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phone number of a specific person or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specific person by using at least one LED when the RF element is out of the preset range, and the RF element is When the vehi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o implement a specific pattern to move the LED or flicker management of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소자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되고, 상기 차량 관리 소자는 차량의 내부 소자들과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소자. 8.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is attached to a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management device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internal elements of the vehicle.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managing a vehicle in a vehicle management system, RF 소자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the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a preset range from the vehicle;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잠그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특정 전화번호 또는 특정인을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Lock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display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a specific telephone number or a specific person when the RF device is out of the preset range;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입력 아이콘들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password corresponds to a preset password through input icons for password input; And 상기 비밀번호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If the passwords match,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activating starting, 상기 입력 아이콘들은 문자들, 기호들, 캐릭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며,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의 음을 조합함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음은 상기 캐릭터에 해당하는 문자의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방법. The input icons have at least one of characters, symbols, and characters, wherein the password is set by combining sounds of the input icons, and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a sound of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Vehicle management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vehicle management method,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를 오픈시키거나 시동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전화번호 또는 상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방법. And opening the door of the vehicle or activating the starting of the RF element when the RF element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nd deleting the telephone number 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는 상기 입력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터치 소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방법.The vehicle management method of claim 11, wherein a touch element including the input icons is attached to a front window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vehicle management method, 복수의 사용자들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registering a plurality of users,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한명의 전화번호 또는 인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방법. And displaying the phone number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registered users when the RF element is out of the preset rang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RF 소자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 기 RF 소자의 소유자로 등록된 사용자에 관계없이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 중 특정인의 전화번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방법.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when the RF device deviates from the preset range, only the telephone number of a specific person among the registered users is displayed regardless of the user registered as the owner of the RF device. Way.
KR1020090025044A 2009-03-24 2009-03-24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KR101124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044A KR101124163B1 (en) 2009-03-24 2009-03-24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044A KR101124163B1 (en) 2009-03-24 2009-03-24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25A KR20100106825A (en) 2010-10-04
KR101124163B1 true KR101124163B1 (en) 2012-03-27

Family

ID=4312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044A KR101124163B1 (en) 2009-03-24 2009-03-24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1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99A (en) * 2003-09-05 2005-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displaying a character for vehicles
KR200408671Y1 (en) 2005-12-01 2006-02-13 양성모 Car remote controller receiver having function of displaying phone number
KR200429902Y1 (en) * 2006-07-31 2006-10-30 조봉규 Positioning System using RFID
KR200433949Y1 (en) * 2006-09-30 2006-12-14 주식회사 동양경보전자 Digital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99A (en) * 2003-09-05 2005-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displaying a character for vehicles
KR200408671Y1 (en) 2005-12-01 2006-02-13 양성모 Car remote controller receiver having function of displaying phone number
KR200429902Y1 (en) * 2006-07-31 2006-10-30 조봉규 Positioning System using RFID
KR200433949Y1 (en) * 2006-09-30 2006-12-14 주식회사 동양경보전자 Digital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825A (en) 201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938B2 (en) Wireless trainable transceiver device with integrated interface and GPS modules
EP3132433B1 (en) Trainable transceiver system
US20060220806A1 (en) Remote feedback for vehicle key fob functions
KR100889442B1 (en)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2881878A2 (en) Vehicle control by means of gestural input on external or internal surface
KR20180100182A (en) A method for interactively presenting content on an exterior surface of a vehicle
CN11043158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characteristics
CN104249669A (en) Customizable steering wheel controls
CN10393093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r view mirror displays
US9120437B2 (en) Vehicle component control
CN101255776A (en) Electronic key system and portable unit
CN102729926A (en) Vehicle control device
WO2018039977A1 (en) Fingerprint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to personal function profile for vehicle
US1054082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1542502B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24163B1 (en) System for managing a vehicle based on location detection
US20200361497A1 (en) Identifi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use with a delivery service
US10629010B2 (e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transmitter operation
KR20170025207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pattern and method thereof
WO20100417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vehicle and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026402A1 (en) On-vehicle information device and linking method with mobile terminal
KR102270367B1 (en) Automotive convenience apparatus using touch panel
KR101983665B1 (en) Automatic authentication control apparatus of smart key interlocking touch panel and method thereof
JP2021091274A (en) Window display system and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JP69776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