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22B1 -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22B1
KR101123822B1 KR1020090084467A KR20090084467A KR101123822B1 KR 101123822 B1 KR101123822 B1 KR 101123822B1 KR 1020090084467 A KR1020090084467 A KR 1020090084467A KR 20090084467 A KR20090084467 A KR 20090084467A KR 101123822 B1 KR101123822 B1 KR 10112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hands
body portion
dimensional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705A (ko
Inventor
박호걸
양효숙
박하늘
박하종
박하준
Original Assignee
박호걸
양효숙
박하준
박하종
박하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걸, 양효숙, 박하준, 박하종, 박하늘 filed Critical 박호걸
Priority to KR102009008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22B1/ko
Priority to CN2010101150934A priority patent/CN102008826A/zh
Publication of KR2011002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을 구성하는 연결구 및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연결구는 조립식 입체모형의 구성 상 점에 대응하고, 연결부재는 선에 대응한다. 연결부재는 연결구들을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연결구에는 중앙에 천공이 형성되고, 천공으로부터 외주면에 이르는 절단홈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결합손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연결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결합손들 중 둘 이상이 겹쳐지도록 변형될 수 있고, 이 때 파이프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겹쳐진 결합손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입체모형, 조립식 모형

Description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FABRICATED SOLID MODEL AND CONNECTOR OF FABRICATED SOLID MODEL}
본 발명은 조립식 입체모형 및 그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입체모형을 구성하는 연결구와 파이프형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나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연결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연결구 및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입체모형은 어린이나 청소년의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공간에 대한 지각력을 증진시키는 데 큰 효과를 가지므로, 널리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조립식 입체모형의 제작을 통하여 학습자는 다양한 형태의 입체감을 가지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상상력과 창의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입체 공간에 대한 지각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입체모형은 단순히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하는 목적 외에, 이미 존재하는 건축물, 공작 기계, 또는 분자 구조 등 특수한 용도의 3차원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도 제작되며 이러한 용도의 입체모형을 제작함으로써 제작자는 3차원 형상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높이게 되고, 기 제작된 입체모형을 통하여 다른 이에게 이러한 3차원 형상에 대한 설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기존에 존재하는 3차원 형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 아니라 3차원 형상에 대한 설계 과정에서 예정된 3차원 형상을 미리 간단히 만들어 봄으로써 그 입체적 형상의 완성도 내지는 장단점을 미리 분석하며 원하는 대상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조립식 입체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형이라 함은 그림이나 어떤 물건을 복제한 것 또는 추상화된 어떤 개념 또는 형상을 대체하는 것을 말함인데, 모형 내에서는 원하는 대상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해서 가능한 한 단순화되고 이해하기 쉬운 구조체계를 선택하기 마련이다. 모형 내에서는 각 요소의 관계나 대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수식, 언어적 진술, 상징적 기호, 도표적 방법이 동원됨은 물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기, 기계적 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모형은 과학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추상화된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한 도구로서 이용되기도 한다. 인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의 이중 나선 구조 등은 매우 복잡한 추상적 개념이지만, 이를 분자 모형 등을 이용하여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구현 가능한 것이 그 예가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모형 내에서 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구와,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의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입체모형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하며, 이러한 입체모형 시스템을 이용자가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고안된 구성 요소, 즉, 연결구와 연결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 기술 분야에서, 하나의 종류의 연결구를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각도로 결합될 수 있는 조립식 입체모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구는 동일 종류로서 다수의 연결구를 동시에 보관하기에 매우 간편하며, 상기 연결구와 연결부재의 결합으로 매우 다양한 각도로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입체모형 구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입체적인 각도로 결합되는 입체모형을 제공함에 있어서, 그 사용 방법이 매우 직관적이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를 터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입체모형 및 그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모형은 연결구와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연결구는 몸통부(110, 210)와 결합손들(121 내지 127, 221 내지 226)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10, 210)의 중앙에 천공(111, 211)이 형성되고, 천공(111, 211)으로부터 외주면에 이르도록 몸통부(110, 210)를 관통하는 절단홈(112, 212)이 형성된다.
몸통부(110, 210)의 중앙에 형성된 천공(111, 211)은 몸통부(110, 210)의 변형 과정에서 자유도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응력을 분산하여 입체모형 구성 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합손들(121 내지 127, 221 내지 226)은 몸통부(110, 2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돌출된다. 결합손들(121 내지 127, 221 내지 226)은 반드시 동일한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으나, 크기 또는 형태가 유사하여 이들 중 둘 이상을 선택하여 겹쳐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몸통부(110, 2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택된 결합손들이 겹쳐지는 경우 적응적으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겹쳐진 결합손들은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는 서로 다른 연결구들을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의 일단은 제1 연결구의 결합손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연결구의 결합손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하나의 결합손이 결합될 수도 있고, 두 개의 결합손들이 겹쳐진 채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의하여 제공되는 조립식 입체모형은, 동일 종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동시에 보관이 간편하며, 결합 시에는 다양한 각도로 결합되어 입체감을 살리고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는, 보관 시에는 평면형의 구조를 갖추어 보관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나, 결합 시에는 다양한 각도로 변형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조립식 입체모형 세트는 그 구성 요소의 사용 방 법이 매우 직관적이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고 간편하게 그 사용 방법을 터득하게 하고, 다양한 입체모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평면도는 동일한 연결구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연결구의 각 부위에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고, 도 2에서는 설명에 필요한 부분을 재설정하여 새로운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다.
제1 실시예는 몸통부(110)의 외주면에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이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1 실시예의 연결구는 몸통부(110)와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10)의 중앙에 천공(111)이 형성되고, 천공(111)으로부터 몸통부(110)의 외주면에 이르도록 몸통부(110)를 관통하는 절단홈(112)이 형성된다.
몸통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천공(111)과 몸통부(110)를 관통하는 절단홈(112)은 몸통부(110)의 변형 과정에서 자유도를 부여한다. 몸통부(110)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도넛 형태)으로서, 외부의 힘에 의하여 변형되어 몸통부(110)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변형 후의 형상은 위쪽이 절단된 원추형을 취할 수 있다.
천공(111)은 몸통부(110)의 형상에 자유도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몸통부(110)의 변형 시 몸통부(11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입체모형 구성 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은 몸통부(1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돌출된다. 결합손들(121 내지 127)은 반드시 동일한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으나, 임의의 두 결합손이 선택되었을 때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형태 및 크기 상의 유사점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손(121)과 결합손(122)이 선택된 경우, 결합손(121) 및 결합손(122)은 형태 및 크기가 유사하여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1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택된 결합손들이 겹쳐지는 경우 적응적으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겹쳐진 결합손들은 파이프형 연결부재(300)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몸통부(110)는 종이, 두터운 종이, 금속 합금체, 플라스틱 등 석유고분자 화합물, 세라믹 등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그 탄성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적응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몸통부(110)는 상기 변형을 초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구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몸통부(11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도넛 형태)을 취할 수 있다. 이 때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도 몸통부(110)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몸통부(110) 및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이 약간의 두께를 가질 수가 있는데, 이 때는 몸통부(110) 및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몸통부(110) 및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의 두께는 최종 입체모형 구조체의 크기, 중량 및 필요 강도와 재질의 탄성 및 강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입체모형 구조체가 1 입방미터의 공간 내에 들어가는 통상의 입체모형의 경우 몸통부(110) 및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의 두께는 3 밀리미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입체모형 구조체가 사람의 평균적인 키를 초과하는 수 미터의 높이에 달하는 경우에는 이에 맞도록 몸통부(110) 및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의 두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의 연결구에서, 결합손(121)과 결합손(122)가 선택되어 겹쳐지도록 변형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3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호 겹쳐지는 결합손들은 절단홈(112)의 양측에 인접한 순서대로 선택된다. 제1 변형 예에서는 절단홈(112)의 양측에 인접한 결합손(121)과 결합손(122)가 선택되어 겹쳐진다.
도 2에서는 연결구의 겹쳐질 영역이 도시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131)은 결합손(121)과 몸통부(11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영역(132)은 결합손(122)과 몸통부(110)의 또 다른 일부 영역을 포함한다.
연결구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영역(131)과 제2 영역(132)은 겹쳐지며, 이 과정에서 몸통부(110)는 변형되어 동일 평면을 벗어나고 상부가 절단된 원 추형을 취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변형 예의 변형 후의 상태가 도시된다. 몸통부(110)는 변형되어 일부 영역이 상호 겹쳐지므로 절단홈(112)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결합손(121)과 결합손(122)이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이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파이프형 연결부재(300)가 서로 겹쳐진 결합손(121)과 결합손(122)에 결합되었다.
도 3에서는 파이프형 연결부재(300)의 일부만이 도시되었다. 설명의 편의 상 본 명세서의 도면은 일부 구성 요소가 다소 과장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00)의 길이는 결합손들(121 내지 127)의 길이보다 짧지 않으며, 연결구와 다른 연결구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제1 변형 예의 변형 상태에서는 결합손들(121 내지 127)이 동일 평면을 벗어나 아래로 늘어뜨려진 6발 형상을 취한다. 몸통부(110)는 변형되어 상단이 잘려진 원추형을 취하므로, 몸통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된 결합손들(121 내지 127)은 아래로 늘어뜨려진 6발 형상을 취하게 된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단홈(112)의 일측에 인접한 결합손(121)과 그에 인접한 결합손(127)이 선택되고, 절단홈(112)의 타측에 인접한 결합손(122)과 그에 인접한 결합손(123)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선택되는 결합손은 절단홈(112)의 양측에 인접한 순서대로 선택된다.
선택된 결합손들은 연결구의 형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로 겹쳐진다. 결합 손(122)은 결합손(127)과 겹쳐지고, 결합손(121)은 결합손(123)과 겹쳐진다. 도 4에서는 결합손(122)과 결합손(123)이 각각 상측으로 위치하고, 결합손(127)과 결합손(121)이 각각 하측으로 위치하는 변형 예가 도시된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10)는 겹쳐진 결합손(122), 결합손(127)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하고, 파이프형 연결부재(320)는 겹쳐진 결합손(123), 결합손(121)과 결합하여 이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몸통부(110)는 변형되어 상단이 절단된 원추형을 취하며, 연결구는 몸통부(1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손들(121 내지 127)이 아래로 늘어뜨려진 5발 연결구의 형상을 취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몸통부(110)는 탄성을 가지므로 탄성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구되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제1 변형 예 및 제2 변형 예에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가 겹쳐진 결합손들의 외측에 결합된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는 서로 다른 연결구들을 연결시키는 부재이다.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의 일단은 제1 연결구의 결합손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연결구의 결합손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파이프형 연결부재(300, 310, 320)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하나의 결합손이 결합될 수도 있고, 두 개의 결합손들이 겹쳐진 채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이 도시되었다.
2개의 결합손(121, 122)이 겹쳐지는 경우 6발 형태의 연결구로 변형될 수 있으며(제1 변형 예), 4개의 결합손(121, 122, 123, 127)이 선택되어 겹쳐지는 경우 5발 형태의 연결구로 변형될 수 있다(제2 변형 예).
본 명세서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더 나아가 6개의 결합손들(121, 122, 123, 124, 126, 127)이 선택되어 겹쳐지는 경우 4발 형태의 연결구로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결합손(121)은 결합손(124)와 겹쳐지고, 결합손(127)은 결합손(123)과 겹쳐지고, 결합손(126)은 결합손(122)과 겹쳐진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연결구의 각 부위가 참조 번호와 함께 도시된다. 연결구는 몸통부(210)와, 몸통부(2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6개의 결합손들(221 내지 226)을 포함한다. 몸통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도넛 형태)을 취한다. 몸통부(210)의 중앙에는 변형 시 응력을 분산하는 천공(211)이 형성되고, 천공(211)으로부터 몸통부(210)의 외주면에 이르도록 몸통부(210)를 관통하는 절단홈(212)이 형성된다.
천공(211)과 절단홈(212)은 몸통부(210)의 변형 시 자유도를 높이는 구성이며, 천공(211)은 몸통부(210)의 변형 시 몸통부(21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는 효과가 있다.
몸통부(2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탄성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구된다.
연결구의 원래의 형태는, 몸통부(210) 및 6개의 결합손들(221 내지 226)이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외력에 의하여 몸통부(210)가 변형되면 몸통부(210)는 상기 동일 평면을 벗어나고, 6개의 결합손 들(221 내지 226)도 상기 동일 평면을 벗어난다.
제2 실시예의 연결구는 6개의 결합손들(221 내지 226)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변형 예에 따라 5발 입체 연결구, 4발 입체 연결구, 3발 입체 연결구로 변형될 수 있다.
5발 입체 연결구로 변형하기 위해서, 연결구에 외력을 가하여 절단홈(212)의 양측에 인접한 결합손(221)과 결합손(222)이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겹쳐지는 영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 및 제2 영역(232)이며, 결합손(221)과 결합손(222)뿐만 아니라, 몸통부(210)의 일부 영역도 함께 겹쳐진다.
4발 입체 연결구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에 외력을 가하여 결합손(222)이 결합손(226)과 겹쳐지고, 결합손(221)이 결합손(223)과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3발 입체 연결구는 결합손(222)이 결합손(225)와 겹쳐지고, 결합손(223)이 결합손(226)과 겹쳐지고, 결합손(224)이 결합손(221)과 겹쳐짐으로써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결합손들(221 내지 226) 각각의 끝단에 결합을 위한 결합홈(241 내지 246)이 형성된 형태를 취한다.
제3 실시예의 구성 중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몸통부(210), 천공(211), 절단홈(212)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결합손들(221 내지 226)에 대한 설명도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설명 부분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결합홈(241 내지 246)의 구성이 강조되어 도시되었으나,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유사한 정도의 크기로 결합홈(241 내지 246)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손(221)과 결합손(222)이 겹쳐지도록 변형되는 경우, 결합손(221)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241)과, 결합손(222)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242)이 겹쳐질 때까지 몸통부(210)가 변형될 수 있다. 결합손(221)과 결합손(222)이 겹쳐지면 연결구는 5발 연결구로 변형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서로 겹쳐진 결합홈(241)과 결합홈(242)에 결합되어 결합손(221)과 결합손(222)이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며, 이로 인하여 몸통부(210)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이 때는 연결부재가 반드시 파이프형일 필요는 없으며, 연결부재의 일단은 서로 겹쳐진 결합홈(241)과 결합홈(242)에 결합되고 연결부재의 타단은 다른 제2 연결구의 결합손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의 형상의 일 예로는 납작하며 좁고 길게 형성된 편형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음은 해당 분야의 종사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7개의 결합손들(121 내지 127),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6개의 결합손들(221 내지 226)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결합손들의 수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해당 분야의 종사자에 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연결구 111, 211: 천공
112, 212: 절단홈
121 ~ 127, 221 ~ 226: 결합손
241 ~ 246: 결합홈
300, 310, 320: 파이프형 연결부재

Claims (5)

  1. 중앙에 응력을 분산하는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으로부터 외주면을 관통하는 절단홈이 형성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면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이웃한 둘 이상이 겹쳐지면서 겹쳐진 부위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결합손들
    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손들이 겹쳐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이 겹쳐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몸통부 및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이 동일 평면 상에 놓이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 중 상기 둘 이상이 겹쳐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몸통부는 변형되어 상기 동일 평면을 벗어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도 상기 동일 평면을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3. 중앙에 응력을 분산하는 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절단홈이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기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결합손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 중 둘 이상이 겹쳐지도록 변형되는 연결구; 및
    상기 겹쳐진 둘 이상의 결합손들과 결합하여 상기 몸통부의 형상을 상기 변형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구를 제2 연결구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모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파이프 형상을 취하고, 상기 겹쳐진 둘 이상의 결합손들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몸통부의 형상을 상기 변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모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손들 각각의 끝단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겹쳐진 둘 이상의 결합손들의 상기 결합홈 또한 겹쳐져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겹쳐진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몸통부의 형상을 상기 변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모형.
KR1020090084467A 2009-09-08 2009-09-08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KR10112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67A KR101123822B1 (ko) 2009-09-08 2009-09-08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CN2010101150934A CN102008826A (zh) 2009-09-08 2010-02-11 组合式立体模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67A KR101123822B1 (ko) 2009-09-08 2009-09-08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05A KR20110026705A (ko) 2011-03-16
KR101123822B1 true KR101123822B1 (ko) 2012-03-16

Family

ID=4383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67A KR101123822B1 (ko) 2009-09-08 2009-09-08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3822B1 (ko)
CN (1) CN102008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30Y1 (ko) * 2014-08-01 2014-12-30 허예령 조립식 입체 모형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03B1 (ko) * 2011-11-25 2013-09-03 최상권 꺽임홈을 갖는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조립식 입체모형
US9636601B2 (en) 2014-08-29 2017-05-02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and set
USD833542S1 (en) 2017-08-21 2018-11-13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USD828457S1 (en) 2017-08-21 2018-09-11 Spin Master Ltd. Construction toy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499Y1 (ko) 2004-12-13 2005-03-18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373A (ko) * 1998-09-21 2000-04-15 박진영 스폰지 라켓 완구
DE20201495U1 (de) * 2002-01-31 2002-10-02 I M Internat Co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Produktteile, die befestigt und gelöst werden können, so daß das Produkt jederzeit zerlegt und wieder zusammengesetzt werden kann
CN201220125Y (zh) * 2008-07-04 2009-04-15 孙栋 玩具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499Y1 (ko) 2004-12-13 2005-03-18 박호걸 조립식 입체모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30Y1 (ko) * 2014-08-01 2014-12-30 허예령 조립식 입체 모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8826A (zh) 2011-04-13
KR20110026705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822B1 (ko) 조립식 입체모형 및 조립식 입체모형의 연결구
US20170340981A1 (en) Construction toy with interlocking elements
EP2583730A1 (en) Splicing toy
JP3205533U (ja) 組み立て玩具
JP2019524317A (ja) 玩具組立要素
KR20100087087A (ko) 조립 완구
US4090322A (en) Geometric amusement set
KR101896144B1 (ko) 조립식 완구블럭
KR20080108178A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CN103958015A (zh) 含有联结块的建造构件和建造玩具
EP2436429A1 (en) Three-dimensional plastic rhombic unit of construction toy
US20170368448A1 (en) Card connector
KR200487018Y1 (ko) 조립식 입체교구
KR200441034Y1 (ko) 조립 블럭
KR200475730Y1 (ko) 조립식 입체 모형 구조물
CN105311843A (zh) 连接积木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1690984B1 (ko)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Roelofs The Elevation of Coxeter's Infinite Regular Polyhedron 444444
KR20200113732A (ko) 조립식 학습교구
KR200379499Y1 (ko) 조립식 입체모형
RU2682353C1 (ru) Конструктор и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тора
KR20140096502A (ko) 조립식 입체모형의 절단면이 형성된 연결구
JP6630382B2 (ja) 立体形成具
KR101303303B1 (ko) 꺽임홈을 갖는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용 조립식 입체모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