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760B1 -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 Google Patents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760B1
KR101123760B1 KR1020100083364A KR20100083364A KR101123760B1 KR 101123760 B1 KR101123760 B1 KR 101123760B1 KR 1020100083364 A KR1020100083364 A KR 1020100083364A KR 20100083364 A KR20100083364 A KR 20100083364A KR 101123760 B1 KR101123760 B1 KR 10112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bed
caregiver
roller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9841A (en
Inventor
고철웅
전경진
김수택
조덕연
조상환
곽영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8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760B1/en
Publication of KR2012001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61G7/07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for the head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61G7/1048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having auxiliary driv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간호인을 눕힌 상태에서 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샤워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피간호인이 눕도록 형성되며 배수를 위해 소정각도 기울어진 베드부와,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롤러 및 간호인이 미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러에 구동력을 더해주도록 구비되는 롤러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드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의 두부를 지지하며 피간호인의 신체 특성에 대응되도록 각도 또는 돌출량이 가변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베드부의 양측에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이 베드부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롤러 구동부가 구비되므로 간호인이 힘들이지 않고 샤워 캐리어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난간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어 피간호인을 베드부로 옮길 때 피간호인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피간호인의 등을 세척할 때 일측 난간부는 세워져 있어 피간호인을 지지할 수 있으며 타측 난간부는 눕혀질 수 있어 간호인의 세척작업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er carrier that enables the caregiver to lie in a lying state, wherein the caregiver is formed to lie down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ainage, and a roller and a caregiver rolling with respect to the ground push the direction A roller driving unit is provided to add a driving force to the roller rotated to a frame,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bed unit is provided to support the bed unit so as to be movable, and supports the head of a nursing care patient lying on the bed unit. The headrest and the bed of which the angle or the protrusion amount are variab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d so as to be independently lying or standing on each other to prevent the caregivers lying on the bed from falling out of the bed. It includes a railing part, and the roller driving part is provided so that nursing Phosphorus can transport shower carriers effortlessly, and the handrails can be laid down or set up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prevent the fall of the caregivers when they are transferred to the bed, and one side handrails when washing the backs of the caregivers. The department is erected to support the caregiver and the other handrail can be laid down,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Description

고령친화형 샤워 캐리어{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본 발명은 노약자나 환자 등의 피간호인을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샤워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피간호인의 안락감은 물론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샤워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wer carrier used to clean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and the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wer carrier that can improve the comfort of the caregiver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노약자나 중환자 및 신체 일부에 장애가 있는 환자 (이하, '피간호인'으로 칭함) 등 자력으로 목욕이 불가능한 경우 주변의 간병인이 피간호인의 신체를 세정하고 있다.Caregivers around the caregiver are cleaning the caregiver's body when the elderly cannot take a bath on their own, such as the elderly, the seriously ill, and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uardian').

또한, 근래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세정할 수 없는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caregivers that cannot be cleaned by themselv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so the work of caregivers is increasing, and various device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aregivers and caregivers are introduced. It is becoming.

그 중 샤워캐리어는 세정할 피 간호인을 베드에 눕힌채로 이동 및 세정이 가능케 하는 장비이다.Among them, the shower carrier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movement and cleaning with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종래의 샤워캐리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과 베드부(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Conventional shower carrier 10 may be composed of a frame 12 and the bed portion 11, as shown in FIG.

상기 베드부(11)는 피간호인이 눕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며 상기 프레임(12)은 상기 베드부(1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bed 11 is a portion provided to be laid by the caregiver and the frame 12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bed 11 to be movable.

또한, 상기 베드부(11)의 양측에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난간부(14)가 구비되며, 피간호인이 베드부에 올라오거나 내리는 것이 편하도록 상기 베드부(11)의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bed portion 11 is provided with a handrail portion 14 to prevent the fall of the patient, so that the height of the bed portion 11 is adjusted so that the caregiver is easy to rise or fall on the bed portion. Is don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워 캐리어(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ower carrier 10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피간호인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없거나 있어도 각도가 조절되지 않아 피간호인의 개인 체형에 최적화되도록 조절할 수 없어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이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으며, 피간호인의 머리부분을 세정할 때에는 머리 부분을 높게 들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그 각도가 조절되지 않아 간호인이 직접 머리부분을 들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First, even though there is no headrest to support the head of the caregiver, the angle is not adjusted so that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may feel uncomfortable and the head of the caregiv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you need to lift the head high, in the past, the angle was not adjusted, the caregiver had to lift the head directly.

둘째, 피간호인이 베드부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부(14)가 구비되는데, 상기 난간부(14)는 피간호인이 베드부(11)에 올라타거나 내릴 때의 편의를 위해 동시에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난간부(14)는 피간호인의 등 부분을 세정하고자 피간호인이 몸을 돌릴 때 환자가 베드부(11)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환자를 지지하는 역할도 하는데, 상기 난간부(14)가 동시에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피간호인이 몸을 지지하도록 난간부(14)가 세워져 있을 경우 간호인이 피간호인을 세정하기 불편하며, 간호인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난간부(14)를 눕히는 경우 피간호인이 몸을 지지할수 없어 피간호인의 등 부위를 세척하고자 몸을 뒤집었을 때 피간호인의 안전이 문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econd, a guardrail 14 is provided to prevent the caregiver from falling from the bed part. The handrail part 14 is laid down at the same time for convenience when the caregiver gets on or off the bed part 11. It is common to be able to build or erect. 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portion 14 also serves to support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does not fall out of the bed portion 11 when the caregiver turns to clean the back portion of the caregiver, the handrail portion 14 at the same time When the handrail part 14 is erected to support the body by being laid down or standing up, the caregiver is inconvenient to clean the caregiver, and when the handrail part 14 is laid down to relieve the caregiver's inconvenience, the caregiver's body If you turn your body upside down to clean the back of the caregiver, the safety of the caregiver may occur.

셋째, 피간호인이 베드부(11)에 올라오거나 내릴 때의 편의성을 위해 베드부(11)를 승강시킬 때 승강속도가 부드럽게 변하지 못하고 도 8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급변하여 베드부(11)에 급격한 가속도 및 감속도가 가해지는 바 베드부(11)에 누운 환자에게 불안감 및 충격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 lifting speed does not change smoothly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8 when the caregiver lifts and lowers the bed portion 11 for convenience when the bed portion 11 is raised or lowered on the bed portion 11. There was a problem of giving anxiety and shock to the patient lying on the bar bed 11 to which the sudd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were applied.

넷째, 간호인이 피간호인이 탑승한 샤워캐리어(10)를 밀어 이동해야 하므로 간호인의 체력적으로 힘든 문제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egiver physically difficult because the caregiver needs to push the shower carrier 10 boarded by the caregi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간호인의 체형에 맞도록 헤드레스트의 각도 및 돌출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난간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하강시 승강속도의 변화가 보다 부드러우며, 간호인이 밀 때 힘이 덜 들어갈 수 있는 샤워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headrest to fit the body of the caregiver, the handrail is provided to be able to lie down or st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cending and descending It is a challenge to provide a shower carrier that is smoother in speed change and less energetic when the caregiver pushe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간호인이 눕도록 형성된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의 두부를 지지하면서, 피간호인의 신체특성에 대응되도록 각도 또는 돌출량이 가변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베드부의 양측에 각각 선택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이 베드부의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샤워 캐리어가 제공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d is formed so that the caregivers lie down and the frame supporting the bed to be movable, while supporting the head of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A headrest having a variable angle or protrus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caregiver, and a handrail which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bed part, and prevents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part from falling out of the bed part. A shower carrier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의 각도 또는 돌출량을 조절하는 헤드레스트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headrest driving unit may adjust the angle or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headrest.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베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선택적으로 신축하는 엑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에 결합되어 엑츄에이터의 신장에 따라 밀어지거나 당겨지는 암 및 일단은 상기 베드부 하측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의 상기 힌지부와 이격된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암의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암이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일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암에 의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각도 및 돌출량을 조절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eadrest drive unit, an actuator that is selectively stretched and hinged to rotatably couple the headrest to the bed portion, the arm coupled to the actuator is pushed or pull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actuator and one end of the lower bed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the other end is hinged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inge portion of the headrest, the end of the arm is hingedly coupl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ne end. And a portion to which the arm is couple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ne end and may include a bracket for adjusting the angle and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headrest while rotating about the one end by the arm.

상기 베드부는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e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to smoothly drain the washing water.

상기 프레임에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며,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더해주도록 구비되는 롤러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for roll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roller driving unit is provided to add a driving force by rotating the roll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rse pushes the frame.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롤러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롤러에 고정되는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치합되며,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에 구동력을 더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ller driving unit includes a sprocket fixed to the roller and a sprocket fixed to the roller to have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roller, and includes a motor adding a driving force to the roller so that the roller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a nurse pushes the frame. Can be.

그리고, 상기 난간부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난간, 상기 제1난간이 구비된 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part includes a first handrail provided to be selectively erected on one side of the bed part, and a second handrail provided to be selectively erect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first handrail is provided. The first railing and the second railing may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회전되면서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ailing and the second railing may be provided to be lying down or standing while being rotated.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상기 베드부의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베드부의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선택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erected while being er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d portion or sliding upward and downward to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portion.

상기 난간부는,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을 상호 독립적으로 눕히거나 세우는 난간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part may further include a handrail driver that lays down or stands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난간 구동부는, 상기 제1난간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2난간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축, 선택적으로 소정각도 정역회전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에 전달하거나 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동시에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shaft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handrail, a second rotating shaft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handrail, a motor selectively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Or it may be made to include a clutch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rotary shaft or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rotary shaft and the second rotary shaft.

상기 난간 구동부는 상기 제1난간 및 제2난간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렉, 상기 제1난간 및 제2난간에 형성된 렉에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난간 또는 제2난간을 상호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driving unit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and the rack formed i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handrail or the second handrail are mutually reversed. It can be made by including a motor to lift up and down independently.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드부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while elevating the bed.

그리고,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드부가 승강되는 속도가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vating driver may control the speed at which the bed is elevated to change linearly.

본 발명의 샤워 캐리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how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피간호인의 체형에 맞도록 헤드레스트의 각도 및 돌출량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피간호인의 안락감이 향상되며 간호인이 피간호인의 머리 부분을 굳이 손으로 머리부분을 받치고 있을 필요 없이 헤드레스트의 각도 및 돌출량을 조절함으로써 머리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어 간호인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angle of the headrest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adjusted to fit the body of the caregiver, so the comfort of the caregiver is improved, and the caregiver's head does not have to support the head of the caregiver with his hands. An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lift the head portion can be improved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둘째, 난간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피간호인의 등 부분을 세정하고자 몸을 돌릴 때 피간호인이 몸을 돌리는 측의 난간부는 피간호인이 난간부를 잡고 지지하도록 세워지고, 반대측 난간부는 간호인이 피간호인의 등 부위를 세정하기 편하도록 눕혀지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간호인의 세정의 편의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handrails can be laid down or ere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handrail on the side where the caregiver turns when the body turns to clean the back part of the caregiver is erected to support the caregiver by holding the handrail. The handrail portion is laid so that the caregiver is easy to clean the back part of the caregiver, so that the safety of the patient can be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s cleaning can be improved.

셋째, 승하강시 승강속도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변화되므로 승강시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에게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피간호인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보다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Third, since the change in the lift speed is changed linearly during the ascent, the impact is not applied to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during the ascent, the caregiver can feel more comfortable without feeling anxious.

넷째, 프레임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 롤러 구동부에 의해 간호인이 미는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간호인이 밀 때 힘이 덜 들어갈 수 있어 간호인의 체력소모가 경감되어 편의성이 한층 향상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roller supporting the frame to be movable is driv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regiver pushes by the roller driving unit, less force can be entered when the caregiver pushes, so that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caregiver can be reduced and the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샤워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둥이 두개 구비된 형태의 샤워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샤워 캐리어의 헤드레스트가 세워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샤워 캐리어의 헤드레스트가 아래로 젖혀진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의 롤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롤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도 2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제1난간과 제2난간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제1난간과 제2난간을 구동하는 난간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샤워 캐리어에 피간호인이 등을 돌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상하로 슬라이딩하는 난간부가 적용된 샤워 캐리어를 도시한 정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제1난간 및 제2난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hower carrier;
2 is a side view showing a show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hower carrier of the form provided with two pillar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headrest of the shower carrier of FIG. 2 in an upright position;
5 is an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rest of the shower carrier of FIG. 2 is folded dow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oller of FIG.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roller of FIG. 2; FIG.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speed of lifting by the lifting driving unit of FIG. 2;
FIG.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front of FIG. 2, in which a first handrail and a second handrail are erected or laid down; FIG.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railing driving unit driving a first railing and a second railing of FIG. 7;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regiver is turned on the shower carrier of FIG. 9;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hower carrier to which a handrail slid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vating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first railing and the second railing of FIG. 12.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캐리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부(110)와 프레임(120), 헤드레스트(130) 및 난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hower carr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d part 110, a frame 120, a headrest 130, and a handrail part 140.

상기 베드부(110)는 노약자나 중환자 및 신체 일부에 장애가 있어 자력으로 목욕이 불가능한 사람(이하, '피간호인'으로 칭함)이 누울 수 있도록 대략 평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The bed 110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so that the elderly or intensive care and people with a disability and unable to take a bath by magnetic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urse').

상기 베드부(110)는 세정시 살수되는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소정각도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경사되는 각도는 상기 베드부(110)에 누운 피간호인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진다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3~5도 내외의 소정각도로 경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d 11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water to be sprinkled during washing is smoothly drained. At this time, the inclined angle is preferably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f about 3 to 5 degrees so that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110 does not feel inclined to any one side.

또한, 상기 베드부(110)에는 피간호인이 안락감을 느끼도록 유연하고 푹신한 재질의 매트리스(미도시)가 얹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bed 110 may be a mattress (not shown) of a flexible and fluffy material so that the caregiver feels comfortable.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130)는 상기 베드부(11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베드부(110)에 누운 피간호인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130)는 그 각도 및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데, 헤드레스트 구동부(132)가 상기 헤드레스트(130)의 각도 및 돌출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rest 1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ed part 110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head of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part 110. At this time, the headrest 130 is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the headrest drive unit 132 may be made to adjust the angle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headrest (130).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부(1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7)와 엑츄에이터(131)와 암(133) 및 브라켓(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the headrest driving unit 132 may include a hinge part 137, an actuator 131, an arm 133, and a bracket 135.

상기 힌지부(137)는 상기 헤드레스트(130)의 일측을 상기 베드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The hinge part 137 is provided to rotatably couple one side of the headrest 130 to the bed part 110.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31)는 상기 베드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간호인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신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131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bed unit 110 and may be selectively stretched and manipulated by a caregiver.

그리고, 상기 암(133)은 상기 엑츄에이터(131)에 결합되고 소정길이 상기 헤드레스트(130)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신장에 따라 밀어지거나 당겨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 133 is coupled to the actuator 131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headrest 130 to be pushed or pull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actuator 131.

또한, 상기 브라켓(135)은 일단은 상기 베드부(110) 하측의 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130)의 상기 힌지부(137)와 이격된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암(133)의 끝단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35)의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암(133)이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일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암(133)이 밀어지거나 당겨질 때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130)의 각도 및 돌출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bracket 1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20 below the bed part 110, and the other end is hing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inge part 137 of the headrest 130. The end of the arm 133 is hing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35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ne end, and a portion to which the arm 133 is coupled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one end so that the one end is pushed or pulled when the arm 133 is pushed or pulled. 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headrest 130 while rotating to the center.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엑츄에이터(131)가 신장되어 상기 암(133)이 상기 브라켓(135)을 밀게 되면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세워지면서 돌출되며, 상기 엑츄에이터(131)가 수축되어 상기 암(133)이 상기 브라켓(135)을 당기게 되면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하측으로 젖혀지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actuator 131 is extended and the arm 133 pushes the bracket 135, the headrest 130 is raised and protrudes, and the actuator ( When the arm 133 is contracted and the arm 133 pulls the bracket 135, the headrest 130 is flipped downward.

간호인이 필요에 따라 피간호인의 머리를 상측으로 세우고자 할 때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0)를 돌출시키며, 피간호인의 머리를 젖히고자 할 경우엔 상기 헤드레스트(130)를 하측으로 젖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신장량을 조절하여 헤드레스트(130)가 돌출되는 양 및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피간호인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The caregiver protrudes the headrest 130 when needed to raise the head of the caregiver to the upper side, and when the caregiver wants to flip the head of the caregiver, the headrest 130 may be flipped downward.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amount of extension of the actuator 131, the amount of headrest 130 protrudes and the angle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to fit the body of the caregiver.

즉, 평상시의 피간호인이 누워있을 때는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상측으로 틸팅(tilting)되어 피간호인이 불편하지 않도록 머리를 받치도록 하며 샤워시 세척수가 코나 입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두발의 세정시에는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하측으로 틸팅(tilting)되어 두발세정시 세척수가 코나 입으로 흐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usual caregiver is lying, the headrest 130 is tilted upwards to support the head so that the caregiver is not uncomfortable, and the washing water may not flow into the nose or mouth when showering. When washing the hair, the headrest 130 may be tilted downward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nose or mouth when washing the hair.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헤드레스트 구동부(132)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헤드레스트 구동부(132)없이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수동방식으로 구동될 경우 딸깍거리면서 그 각도가 단속적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여 그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headrest 130 is automatically driven by the headrest driver 132, but it may be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rated without a separate headrest driver 132. When the headrest 130 is driven in a manual manner, the angle may be intermittently fixed while clicking, and the angle may be selectively adjusted.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30)는 반드시 피간호인의 머리를 지지할 필요는 없다. 만약에 피간호인이 상기 베드부(110)에 반대로 눕는다던가 또는 상기 베드부(110)의 머리측 단부와 다리측 단부에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각각 구비될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130)는 피간호인의 다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돌출될 경우 상기 다리 부분을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헤드레스트(130)가 아래로 젖혀질 경우 상기 다리 부분이 수평한 상태에서 지지면과 이격될 수 있어 발을 세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rest 130 does not necessarily support the head of the caregiver. If the caregiver lies on the bed 110 or the headrest 130 is provided at the head end and the leg end of the bed 110, respectively, the headrest 130 is It is provided to support the leg portion of the caregiver can lift the leg portion when the headrest 130 protrudes, and when the headrest 130 is folded down, the leg portion is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cotton, which can be useful for cleaning feet.

한편, 상기 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1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에 하나의 기둥(121)이 지지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롤러(125)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ame 120, as shown in Figure 2, a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bed portion 110, has a form in which one pillar 121 is supported in the center, for movement to the lower side A plurality of rollers 125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롤러(1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진행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롤러(125)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부(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roller 125 is rotatably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ame 120 can be changed, and the roller driver 127 driving the roller 125 is provided. I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롤러 구동부(127)는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120)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125)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더해주도록 구비된다.The roller driver 127 is provided to add a driving force by rotating the roller 12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rse pushes the frame 120.

상기와 같은 롤러 구동부(127)는 모터(미도시)등이 상기 롤러(125)의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인휠타입(in-wheel type)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roller driving unit 127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n in-wheel type in which a motor (not shown) is integrally provided inside the roller 125.

또는, 상기 롤러 구동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켓(126)과 모터(128)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26)은 상기 롤러(125)의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 회전축을 가지도록 상기 롤러(125)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128)는 구동축이 상기 스프라켓(126)에 치합되어 상기 스프라켓(126)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125)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 때에서 상기 모터(128)는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120)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125)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더하도록 구비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간병인이 피레임을 미는 지의 여부와 그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roller driving unit may be formed of a sprocket 126 and a motor 128, as shown in FIG. The sprocket 126 is fixed to the roller 125 to have the same central rotation axi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roller 125, the motor 128 is a drive shaft is meshed with the sprocket 126, the sprocket 126 By rotating the roller 125 can be driven. Of course, at this time, the motor 128 is provided to add a driving force by rotating the roller 12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rse pushes the frame 120.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caregiver pushes a frame and its direction.

한편, 상기 프레임(120)의 중앙에는 상기 베드부(110)를 높이조절 되도록 승강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둥(121)이 구비되며, 상기 기둥(121)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동부(123)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er of the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pillar 121 for supporting the lifting to the height to adjust the bed 110, the lifting drive unit 123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illar 121 is provided. Can be.

상기 승강 구동부(123)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져, 신축에 따라 상기 베드부(110)를 승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승강 구동부(123)는 베드부(110)의 승강속도가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빨라졌다가 점진적으로 느려지는 사인(sin)파형과 같은 패턴을 이루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속도가 선형적으로 변하게 되면 변속 및 가속에 따른 가속도가 최소화 되어 피간호인이 느끼는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속도는 도 8의 이중쇄선으로 그려진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되다가 일정속도가 유지되며 다시 일정한 가속도로 감속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ifting drive unit 123 is composed of an actuator consisting of a cylinder and a piston, and is made to raise and lower the bed unit 110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t this time, the elevating drive unit 123 linearly forms a pattern such as a sin waveform in which the elevating speed of the bed unit 110 gradually increases as shown by a solid line in FIG. It can be made to chang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scending speed changes linearly, the acceleration due to the shift and acceleration may be minimized, and the anxiety felt by the caregiver may be solved. Alternatively, the elevating speed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s shown by the double chain line of FIG. 8 to be accelerated at a constant acceleration, and then maintained at a constant speed and decelerated again at a constant acceleration.

또한,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에는 간호인이 샤워 캐리어(100)를 조작할 수 있는 페달(129)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120)의 다른 부분에도 샤워 캐리어(100)를 조작할 수 있는 버튼등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조작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pedal 129 that allows the caregiver to operate the shower carrier 100. Of course, other parts of the frame 12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for operating the shower carrier 100, it may be made to be operated by a separate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 (not show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기둥(122)으로 상기 베드부(1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개의 기둥(122)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둥(122)에는 전술한 승강 구동부(12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둥(122)이 두개 이격되어 구비되면 상기 베드부(110) 및 베드부(110)에 누운 피간호인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구동부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베드부(110)의 경사 또한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fram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bed part 110 by two pillars 122. The pillars 122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each of the pillars 122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lifting driver 123, respectively. Thus, when the pillar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bed 110 and the nursing caregiver lying on the bed 110 may be more stably supported. The inclination of the bed 110 may also be adjusted.

한편, 상기 난간부(140)는 상기 베드부(110)의 양측에 각각 높여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110)에 누운 피간호인이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140 is provided to be raised or built on both sides of the bed portion 110, respectively, is provided to prevent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portion 110 to fall to the outside.

상기 난간부(1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난간(141)과 이와 대향된 편에 구비된 제2난간(142) 및 난간 구동부(1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9 and 10, the handrail 140 includes a first handrail 14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d 110 and a second handrail 142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The railing driving unit 149 may be included.

상기 제1난간(141)과 제2난간(142)은 상기 베드부(110) 또는 프레임(120)에 회전하면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샤워 캐리어(100)에서 상기 제1난간(141)과 제2난간(142)은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141 and the second handrail 142 are provided to be lying on or erected while rotating on the bed part 110 or the frame 120. At this time, the first handrail 141 and the second handrail 142 in the shower carri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be lying down or stand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난간 구동부(149)는 상기 제1난간(141)과 제2난간(142)을 상호 독립적으로 눕히거나 세우도록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The handrail driving unit 149 is a component provided to lay or stand the first handrail 141 and the second handrail 14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상기 난간 구동부(149)는 상기 베드부(110)나 또는 프레임(120)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난간(14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축(143)과, 상기 제2난간(142)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축(144) 및 간호인의 조작에 따라 소정각도 정역회전되는 모터(145)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145)의 회전력을 제1회전축(143) 또는 제2회전축(144)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회전축(143) 및 제2회전축(144)에 동시에 전달하는 클러치(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driving unit 149 may be installed on the bed unit 110 or the frame 120, and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first rotating shaft 143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handrail 141. ), The second rotating shaft 144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handrail 142 and the motor 145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regive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45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t may be made to include a clutch 147 for transmitting to the first rotary shaft 143 or the second rotary shaft 144 or to the first rotary shaft 143 and the second rotary shaft 144 at the same time.

즉, 상기 모터(145)는 그 구동축(146)이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147)는 상기 모터(145)의 구동축(146)이 상기 제1회전축(143) 또는 제2회전축(144)에 치합되거나 제1회전축(143) 및 제2회전축(144) 모두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터(145)의 구동축(146)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전후진되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motor 145 is provided with the drive shaft 146 to be forward and backward, the clutch 147 is the drive shaft 146 of the motor 145 is the first rotary shaft 143 or the second rotary shaft It may be made of a solenoid or the like to be forward or backward to be engaged with the 144 or the drive shaft 146 of the motor 145 to be engaged with both the first rotary shaft 143 and the second rotary shaft 144.

또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회전축(143)과 제2회전축(144) 각각에 별도의 모터(미도시)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separate motor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43 and 144, respectively.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난간(141)과 제2난간(142)이 상호 독립적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피간호인의 등 부분을 세정하고자 몸을 돌릴 때 피간호인이 몸을 돌리는 측의 난간(141)은 피간호인이 잡고 지지하도록 세워지고, 반대측 난간(142)은 간호인이 피간호인의 등 부위를 세정하기 편하도록 눕혀지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간호인의 세정의 편의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since the first handrail 141 and the second handrail 142 are provided to be laid or stan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first handrail 141 and the second handrail 142 may be prevented when turning to clean the back of the caregiver. The handrail 141 on the side where the caregiver turns the body is erected to be held by the caregiver, and the opposite handrail 142 is laid down so that the caregiver can easily wash the back of the caregiver,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patient as well as the caregiver's safety. Convenience of cleaning can also be improved.

한편, 상기 난간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되면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방식 이외에도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선택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erected while sliding up and down, in addition to the erect or lying down while rotating as described above.

도 12는 상기한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난간부가 구비된 샤워 캐리어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hower carrier provided with a handrail sliding up and down.

상기 난간부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난간(151)과 상기 제1난간(151)이 구비된 측의 대향된 편에 구비되는 제2난간(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andrail part may include a first handrail 1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d part and a second handrail 152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where the first handrail 151 is provided.

상기 제1난간(151)과 제2난간(152)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에는 상기 베드부(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세워지게 되어 피간호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하측으로 슬라이딩 될 때에는 상기 베드부(110)의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어 피간호인을 탑승시키는 작업 및 세정작업에 불편이 없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are provid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That is, when sliding upward, it is built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bed unit 110 to prevent the fall of the caregiver, and when sliding to the lower side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110 to board the caregiver It can be don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e work and clean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1난간(151)과 제2난간(152)을 독립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시키는 난간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간 구동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과 모터(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handrail driving unit for sliding up and down independently of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13, the handrail driving unit may include a rack and a motor 153.

상기 랙은 상기 제1난간(151) 및 제2난간(152)의 상기 베드부(110)를 바라보는 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53)는 구동축이 상기 랙에 치합되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난간(151) 및 제2난간(152)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터는 상기 제1난간(151)에 형성된 랙 및 제2난간(152)에 형성된 랙에 각각 치합되도록 상기 제1난간(151)과 베드부(110)사이 및 제2난간(152)과 베드부(11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난간(151)과 제2난간(152)을 상호 독립적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ck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facing the bed portion 110 of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In addition, the motor 153 may be configured to slide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driving the shaft to the rack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t this time, the motor between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bed 110 and the second handrail 15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ack formed on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rack formed on the second handrail 152, respectively. ) And the bed 110 may be provided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제1난간(151) 및 제2난간(152)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호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세워지게 됨으로써, 피간호인의 등 부분을 세척하고자 몸을 돌릴 때 피간호인이 세워져 있는 난간을 잡고 지지할 수 있고, 반대편은 하측으로 내려서 간호인이 세정작업하는데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handrail 151 and the second handrail 152 are selectively ere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turn the body to wash the back of the caregiver, the handrail on which the caregiver is erected. It can be held and supported, and the other side can be lowere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caregivers.

또한, 피간호인이 상기 샤워캐리어에 올라타거나 내릴 때 일반 침대에 보다 가깝게 붙을 수 있어 이동거리가 짧으므로 피간호인을 옮기는 간호인의 노력이 줄어들을 수 있고, 피간호인이 침대와 샤워 캐리어 사이로 떨어질 위험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regiver gets on or off the shower carrier, the caregiver can be attached more closely to the general bed, so that the caregiver's effort to move the caregiver can be reduced, and the caregiver falls between the bed and the shower carrier. This has a decreasing eff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샤워 캐리어 110: 베드부
120: 프레임 121: 기둥
123: 승강 구동부 125: 롤러
127: 롤러 구동부 129: 페달
130: 헤드레스트 131: 엑츄에이터
132: 헤드레스트 구동부 133: 암
135: 브라켓 137: 힌지부
140: 난간부 141: 제1난간
142: 제2난간 143: 제1회전축
144: 제2회전축 145: 모터
146: 구동축 147: 클러치
149: 난간 구동부
100: shower carrier 110: bed portion
120: frame 121: pillar
123: lifting drive unit 125: roller
127: roller drive unit 129: pedal
130: headrest 131: actuator
132: headrest drive unit 133: arm
135: bracket 137: hinge portion
140: handrail 141: first handrail
142: second railing 143: first rotating shaft
144: second axis of rotation 145: motor
146: drive shaft 147: clutch
149: handrail drive

Claims (14)

피간호인이 눕도록 형성된 베드부;
상기 베드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의 두부를 지지하면서, 피간호인의 신체특성에 대응되도록 각도 또는 돌출량이 가변되는 헤드레스트;
상기 베드부의 양측에 각각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드부에 누운 피간호인이 베드부의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난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샤워 캐리어.
Bed portion formed to be laid by the caregiver;
A frame for movably supporting the bed part;
A headrest that supports an head of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and whose angle or protrusion amount vari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Handrail parts provided to be laid on each side of the bed portion or standing up to prevent the caregiver lying on the bed portion to fall to the outside of the bed portion;
Shower carri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각도 또는 돌출량을 조절하는 헤드레스트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Shower hea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headrest drive for adjusting the angle or protrusion amount of the headre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베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신축하는 엑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에 결합되어 엑츄에이터의 신축에 따라 밀어지거나 당겨지는 암;
일단은 상기 베드부 하측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레스트의 상기 힌지부와 이격된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암의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암이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일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암에 의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각도 및 돌출량을 조절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drest drive unit,
A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ing the headrest to a bed portion;
Telescopic actuators;
An arm coupled to the actuator to be pushed or pulled along the stretch of the actuator;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below the bed portion, the other end is hinged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inge portion of the headrest, the end of the arm is hinged coupl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other end A bracket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ne end, and a portion at which the arm is coupled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ne end to adjust an angle and a protrusion amount of the headrest while rotating about the one end by the arm;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bed part is a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moothly dra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지면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며,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더해주도록 구비되는 롤러 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roller for roll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shower carrier further comprises a roller driving unit provided to add a driving force by rotating the roll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urse pushes the fram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롤러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상기 롤러에 고정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과 치합되며, 간호인이 상기 프레임을 미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가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에 구동력을 더하는 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5,
The roller drive unit,
A sprocket fixed to the roller to have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roller;
A motor engaged with the sprocket and adding a driving force to the roller such that the roller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a nurse pushes the frame;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는,
상기 베드부의 일측에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난간;
상기 제1난간이 구비된 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눕혀지거나 세워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난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rail part,
A first handrail provided to be laid or erected on one side of the bed part;
A second handrail provided to be laid or standing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first handrail is provided;
, ≪ / RTI >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is a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회전되면서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is a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it is lying down or stan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은, 상기 베드부의 상측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베드부의 하측으로 내려가도록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세워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the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stand on the upper side of the bed portion or to slide up and down to descen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portion.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는,
상기 제1난간과 제2난간을 상호 독립적으로 눕히거나 세우는 난간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The handrail part,
The shower carrier further comprises a railing driving unit for laying down or stand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구동부는,
상기 제1난간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2난간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회전축;
소정각도 정역회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에 전달하거나 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에 동시에 전달하는 클러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0,
The handrail drive unit,
A first rotating shaft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handrail;
A second rotating shaft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handrail;
A motor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 clutch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first or second rotary shaft or simultaneously to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s;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구동부는,
상기 제1난간 및 제2난간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렉;
상기 제1난간 및 제2난간에 형성된 렉에 각각 치합되도록 구비되어 정역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난간 또는 제2난간을 상호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0,
The handrail drive unit,
A rack formed up and down in the first railing and the second railing;
A motor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racks formed in the first railing and the second railing, respectively, to move the first railing or the second rail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드부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베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lift driv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d while lifting the b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베드부가 승강되는 속도가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3,
The lift drive unit is a shower carr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peed at which the bed is elevated to change linearly.
KR1020100083364A 2010-08-27 2010-08-27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KR101123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64A KR101123760B1 (en) 2010-08-27 2010-08-27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64A KR101123760B1 (en) 2010-08-27 2010-08-27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41A KR20120019841A (en) 2012-03-07
KR101123760B1 true KR101123760B1 (en) 2012-03-16

Family

ID=4612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64A KR101123760B1 (en) 2010-08-27 2010-08-27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7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9597A (en) * 2015-03-20 2015-07-01 高慧芳 Cleaning nursing sickbed
KR102647727B1 (en) * 2021-09-10 2024-03-1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ickroom bed transfer apparatus using in-wheel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456A (en) 1999-03-30 2000-10-10 Kimura Giken:Kk Bed system
KR100517816B1 (en) 2005-06-15 2005-09-29 유지영 Shower trolley for patient
KR20100085440A (en) * 2009-01-20 2010-07-29 오찬우 Bathing device for patient
KR100993938B1 (en) 2008-05-15 2010-11-12 승근배 A movable bathtub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456A (en) 1999-03-30 2000-10-10 Kimura Giken:Kk Bed system
KR100517816B1 (en) 2005-06-15 2005-09-29 유지영 Shower trolley for patient
KR100993938B1 (en) 2008-05-15 2010-11-12 승근배 A movable bathtub apparatus
KR20100085440A (en) * 2009-01-20 2010-07-29 오찬우 Bathing device for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41A (en)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0712B (en) Apparatus for turning over and transferring patient
KR100659910B1 (en) Medical bed with exercise means
CN205795942U (en) A kind of bed chair integrated nursing care bed
CN102824254A (en) Auxiliary nursing moving and taking device
JP2008514243A (en) Home care system
US20100071129A1 (en) Bed,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are-needing person from the bed
KR20200068846A (en) Electric wheelchair with multiple mode type changes
JP6755477B2 (en) Bed device
KR102123610B1 (en) Electric hospital beds for patient
US20130007957A1 (en) Movable lift device including overturn preventing system
KR101123760B1 (en) Senior Friendly Shower Carrier
CN203234935U (en) Multi-functional nursing bed
KR20130139470A (en) Powered wheel rider having multi-functions
JP2010172630A (en) Transfer apparatus utilizing motor-driven bed for invalid and bedridden old people
JP5164095B2 (en) Mobility support device
KR20190052370A (en) wheelchair with bed and bathtub function
JP4903000B2 (en) Stand-up support device
JP3338044B1 (en) Comb bed device and comb bed system
KR101403524B1 (en) Also be used as bath in bedroom
CN106955207A (en) Shifting machine for handicapped person
JP6989935B2 (en) Transfer device
JP4247341B2 (en) Rotation transfer type automatic assistance device
JP2002065760A (en) Caring bed device
JP2006212112A (en) Bed for care
JP4050786B2 (en) Bed removal device for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