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2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425B1
KR101122425B1 KR1020050006116A KR20050006116A KR101122425B1 KR 101122425 B1 KR101122425 B1 KR 101122425B1 KR 1020050006116 A KR1020050006116 A KR 1020050006116A KR 20050006116 A KR20050006116 A KR 20050006116A KR 101122425 B1 KR101122425 B1 KR 10112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list
location track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937A (ko
Inventor
윤승일
장용
김태원
장홍성
조인기
한재성
조성권
이재혁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2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호 착신 시의 시간을 단축하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휴면 모드로 천이할 시 모드 천이 직전에,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일 때 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시 전송한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위로 전달하는 기지국들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할 짧은 데이터가 발생할 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의 기지국들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 위치 추적, EV-DO, DOS, 휴면 상태, IEEE 802.16d/e,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 상태 천이.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OBILE TERMINAL 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추적 리스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1x EV-D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1x EV-Do 시스템에서 TML 리스트 생성 과정에 대한 처리 절차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TML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단말과 기지국이 주고받는 메시지들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에게 SDB 패킷을 전송할 시 과정 및 신호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x EV-DO 시스템에서 TML 리스트 갱신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천이할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
도 9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시 제어 흐름도,
도 10은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위치 추적 리스트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각 노드들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
도 11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데이터 전송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
도 12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이 본 발명에 따라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일 경우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 또는 유선 라인의 제약에서 벗어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이 이동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어 현재 매우 높은 보급률을 가지며, 전세계에 걸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계속적인 발전 을 거듭하여 현재 음성 서비스 및 간단한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은 물론이며, 비교적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크게 동기 방식과 비동기 방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비동기 방식은 유럽에서 주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3GPP 진영에서 활발히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어 표준화 막바지에 다다랐다. 또한 동기 방식은 북미에서 주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3GPP2 진영에서 표준화 작업이 거의 완료 단계에 이르렀다. 상기한 3GPP 진영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3GPP2 진영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모두 긍극적인 목적은 보다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제공되었던 음성 서비스에 대한 개발보다는 패킷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보다 고속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진 시스템들 중 가장 먼저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스템이 3GPP2 진영에서 개발된 1x EV-DO 시스템이다. 상기 1x EV-DO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음성 서비스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취약점으로 인하여 서비스의 제약이 발생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VoIP(Voice of IP) 서비스 또는 PTT(Push To Talk) 서비스 등과 같은 형태로 비교적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면 상기 1x EV-DO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 혹은 PTT 서비스를 통해 음성 호의 착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1x EV-DO 시스템 에서 VoIP 음성 서비스 혹은 PTT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말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구분된다. 먼저 발신 단말은 기지국으로 발호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하여야 한다. 상기 발신 단말이 발호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초대(INVITE)의 의미를 갖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SIP 메시지는 1x EV-DO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SIP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SIP 메시지를 상위 서버 예컨대, VoIP 서버 또는 PTT 서버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VoIP 서버 또는 PTT 서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SIP 메시지를 착신 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을 통해 착신 단말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이 응답하면 VoIP 서비스 또는 PTT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위해 휴대할 수 있는 전력 공급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원의 대표적인 예가 배터리이다. 단말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통신 시간이 크게 제약을 받게 된다.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을 수행할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등으로 구분하고,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단말의 모드를 여러 가지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모드들 중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특정 모드에서는 채널 검색 또는 그 밖의 다른 동작들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모드를 이하에서는 '휴면 모드(Idle Mode)'라 칭한다.
그러면 상기 1x EV-DO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oIP 또는 PTT 서비스의 호 착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더 살펴보기로 한다. 발신 단말이 발호하여 상기 서버가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으로 상기 SIP 메시지를 전달할 때, 착신 단말이 휴면 모드일 수도 있다. 만일 착신 단말이 휴면 모드라면,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해야 한다. 1x EV-DO 시스템은 이와 같이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RouteUpdateRequest)를 착신 단말이 최종적으로 위치한 기지국이 속한 서브넷(Subnet) 혹은 존 (Zone) 내에 존재하는 모든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기지국들은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상기 브로드캐스팅 이후에 특정 기지국에서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RouteUpdateRequest)에 대한 응답 메시지(RouteUpdateResponse)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RouteUpdateResponse)를 수신한 기지국이 관할하는 영역이 착신 단말의 위치로 설정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휴면 모드인 착신 단말의 위치가 확인되면, 1x EV-DO 시스템은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SIP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이 위치한 기지국 즉, 상기 응답 메시지(RouteUpdataResponse)를 수신한 기지국을 통해 착신 단말에게 상기 SIP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SIP 메시지는 데이터 오버 시그널링(DataOverSignaling : 이하 "DOS"라 칭함) 메시지에 실어 전달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면 모드인 단말에게 SIP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는 먼저 정확한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확인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스템은 단말이 위치한 최종 기지국이 속한 서브넷 혹은 존 내의 모든 기지국에게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통해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를 페이징(paging)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지연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한편, 상기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자원의 제한으로 인하여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시 매우 비싼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자원을 이용할 수 있어야만 통신 서비스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즉,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또는 대용량 데이터의 업 로드 및 다운 로드 시에 부과되는 금액이 매우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 중 하나인 전기 전자 공학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이하 "IEEE")의 802.16 표준화 그룹에서는 고정 단말에 대하여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으로 IEEE 802.16, 802.16a, 802.16b 표준을 하나로 통합한 802.16d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또한 단말에 이동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IEEE에서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802.16e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상기 IEEE 802.16d와 802.16e 표준은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던 음성 서비스를 위한 무선 기술 즉, 이동통신 시스템에 비하여, 데이터의 대역폭이 넓어 단시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든 사용자가 채널을 공유하여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IEEE 802.16d 표준은 고정 단말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단말의 이동성에 대한 고려가 되지 않았 다. 그리고 이동 단말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EEE 802.16e 표준은 상기 IEEE 802.16d 기반 위에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IEEE 802.16e 표준에서 현재까지 제안된 내용에서는 이동 단말에 대한 보안 기능을 포함하여 각종 서비스 기능이 부족한 상태이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IEEE 802.16e 시스템의 단말에도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IEEE 802.16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휴면 모드로 천이하도록 하고 있다. 데이터 서비스의 특성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IEEE 802.16e 시스템의 단말은 매우 빈번하게 휴면 모드로 천이하게 된다.
또한 현재 802.16e 표준에 기반한 광대역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액티브 상태에서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를 지원한다. 이동 단말에 의한 핸드 오버가 발생되면 단말은 기지국 재접속이나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호 설정 절차가 재 수행되면, 액티브 모드인 단말과 시스템은 상호간 최종 합의된 세션 정보를 다시 생성해야 한다. 또한 아이들 모드의 이동 단말 혹은 시스템은 상호간 전달할 패킷이 발생하면 기지국 재접속 절차를 통해 액티브 모드로 천이하여야 하며, 이동 단말과 시스템간은 정상적인 재접속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즉, 핸드 오버나 위치 등록을 위해, 아니면 전송할 패킷이 발생한 경우 단말을 액티브 모드로 천이하도록 하기 위해 재접속 절차를 통해 매번 최종 세션 정보를 새로 생성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면 모드의 단말이 핸드오버나, 위치 등록을 위해 또는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을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도록 하기 위해 재접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 메시지를 송/수신하므로 시스템의 부하가 증가하며 채널 자원이 낭비되고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6e 시스템에서는 아이들 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아이들 모드를 유지하면서 간단한 메시지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즉,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은 위와 같이 핸드오버나, 위치 등록을 위해 또는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는 경우 적은 양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짧은 데이터 버스트(Short Data Burst : 이하 "SDB"라 함)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한 과정을 기지국에서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단말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이 최종적으로 서빙 받던 기지국과 그 외의 기지국들을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기지국들은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자신의 셀 내에서 방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네트워크 재접속 절차나 단순히 위치 등록을 위해 레인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으로 상술한 SDB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동 단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다른 기지국들을 통해서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만일 서빙 기지국과 특정 기지국의 선정이 잘못되는 경우에는 페이지 광고 메시지의 전달에 대한 응답을 받기 위해 기지국들을 재선정하여야 하므로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호 착신 시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휴면 모드로 천이할 시 모드 천이 직전에,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일 때 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를 전송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시 전송한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위로 전달하는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할 짧은 데이터가 발생할 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지국들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 장치로서,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할 시 모드 천이 직전에,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 및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벗어날 시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에 따라 위치 추적 리스트를 갱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저장하는 영역을 가진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메시지의 가공하고,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역가공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가공 데이터를 무선 채널로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직전에,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로부터 이동성을 고려하여 상기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일 때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인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로 상기 전송할 데이터를 짧은 버스트 데이터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서버로부터 짧은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시 자신의 영역에서 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 동작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휴면 모드 또는 활성 모드는 각각 휴면 상태 또는 활성 상태 또는 그 밖의 다른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어의 통일을 위해 휴면 모드와 활성 모드를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면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천이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리스트를 가진다. 상기한 위치 추적 리스트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에서 생성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는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동 단말 또는 기지국이 공통으로 가질 수 있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만 유지되거나 또는 이동 단말이 활성상태로 천이하는 경우에 위치 추적 리스트는 삭제된다. 그리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 또는 메시지가 발생될 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존재하는 기지국들로만 전달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이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를 시스템으로 알리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위치 추적 리스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추적 리스트는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로 진입하기 직전에 생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추적 리스트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추적 리스트 생성 과정 및 단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추적 리스트의 신뢰도 설정 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이동 단말(100)을 하나만 도시하였다. 상기 이동 단말(100)이 위치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을 제1기지국(BS #1)(110)이라 하며, 그 주변의 기지국들(BS #2, ... BS #7)을 제2기지국(120) 내지 제7기지국(170)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지국(110)의 주변에 위치하지 않는 임의의 기지국(BS # xx)(20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위치 추적 리스트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기지국이다. 따라서 상기 임의의 기지국(200)은 반드시 도 1에 도시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더라도 무방하며, 도 1에서는 단지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특정한 시스템으로 가정하지 않았다. 즉, 패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도 1의 각 기지국들은 종래 기술에서 살핀 1x EV-DO 시스템의 경우 각각 ANTS가 될 수도 있고, ANTS와 ANC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IEEE 802.16e 시스템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가 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서버(18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휴면 상태로 천이하는 이동 단말(100)의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180)는 휴면 상태의 이동 단말(100)이 위치 추적 리스트의 기지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미리 저장하고 있는 위치 추적 리스트의 신뢰도를 낮추거나 또는 위치 추적 리스트를 재설정하거나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 시스템에서의 실시 예에 맞춰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내부 기능 블록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부(212)는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사양에 맞춰 전송할 데이터를 무선 대역의 신호로 상승 변환하거나 또는 air 상의 소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역 하강 변환한다. 상기 무선부(212)에서 대역 상승 변환된 신호는 안테나(ANT)를 통해 air 상의 소정 채널을 통해 송신되며, 상기 무선부(212)에서 대역 하강 변환된 신호는 기저대역 신호로서 데이터 처리부(213)로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213)는 무선부(2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방식에 맞춰 복조 및 복호한다. 예를 들어 1x EV-DO 시스템의 이동 단말이라면, 1x EV-DO 표준 규약에 맞춰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가 이루어지며, IEEE 802.16e 시스템의 이 동 단말이라면, IEEE 802.16e 방식에 맞춰 수신된 신호의 복조 및 복호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복조 및 복호가 이루어진 신호는 음성 신호로 출력되는 경우에 스피커(SPK)로 출력되며, 제어 신호 또는 제어부(211)로 출력될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21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213)는 상기 제어부(211)로부터 송신할 신호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부호화 및 변조하여 상기 무선부(212)로 출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데이터 처리부(213)는 VoIP 방식 또는 PTT 서비스 또는 그 밖의 다른 형태로 음성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경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부호화 및 변조하여 무선부(212)로 출력한다.
제어부(211)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휴면 모드로 진입할 시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 및 수신 저장의 제어를 수행하며, 저장된 위치 추적 리스트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의 생성 및 기지국으로의 보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위치 추적 리스트의 유효 시간 정보가 존재할 시 타이머(215)를 설정하고, 타이머(215)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타임 아웃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 추적 리스트의 삭제 또는 재설정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그 밖에 다른 제어 과정 등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신호 흐름도 및 제어 흐름도에서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메모리(214)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 및 제어부(211)에서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별도로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216)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특정 동작을 요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키 매트릭 구조 이외에 터치 패드 형태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 또는 다른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을 통해 이동 단말에 사용자의 요구 신호를 상기 제어부(211)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지막으로 표시부(217)는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이동 단말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며, 데이터 통신 등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부(217)는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판넬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1x EV-D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1x EV-D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의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제어는 상기 도 1의 서버(18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1x EV-DO 시스템의 경우 서버(18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 시스템 또는 단말의 위치를 저장하는 HLR 또는 VLR 또는 그에 대응하는 특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략적인 설명에서 살핀 바와 같이 휴면 상태로 천이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100)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태 천이 직전에 위치 추적 리스트(Tracing MS Location List : 이하 "TML 리스트"라 함)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되는 것은 휴면 모드로 천이할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한 후에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TML 리스트는 해당 단말의 최종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들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들을 포함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서 TML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동 단말에서 이를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휴면 모드로 천이할 이동 단말이 선정한 기지국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만일 휴면 모드로 천이할 단말이 TML 리스트를 생성할 시 상기 이동 단말은 휴면 모드로 천이할 당시 이웃 기지국들의 수신감도 즉, 수신 신호의 세기(RSSI)에 의거하여 TML 리스트에 포함될 이웃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웃 기지국들의 수신감도에 따라 이웃 기지국들을 선택하는 이유는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기지국들을 기준으로 TML 리스트를 만들고자 함이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상기 도 1의 이동 단말(100)은 제1기지국(110)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100)에 인접한 기지국들은 제2기지국(120), 제3기지국(130), 제4기지국(140) 및 제5기지국(150)이 된다. 즉, 도 1에서 휴면 상태로 천이할 이동 단말(100)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기지국들이 TML 리스트에 포함될 기지국들이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상기 제1기지국(110)의 인접한 모든 기지국(120, ... 170)이 아닌 이동 단말(100)에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들(120, ... 150)만이 상기 TML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동 단말이 TML 리스트를 생성할 시 상기 TML 리스트에 포함될 기지국의 선정 기준으로 이동 단말의 이동 경로에 따라 기지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할 이동 단말의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 의해 설정된 이동 경로가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그 이동 경로에 의거하여 TML 리스트에 포함될 이웃 기지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방법들 중 휴면 모드로 천이할 이동 단말이 선정한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하면, 휴면 모드로 천이할 이동 단말이 최종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여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로 생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TML 리스트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도 핸드오프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이웃 기지국들만을 선정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TML 리스트와 비교하여 그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둘째로 TML 리스트의 크기 줄임으로써 TML 리스트에 해당하는 기지국들만 휴면 모드의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채널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TML 리스트는 서버(180)로 전달된다. 따라서 서버(180)는 300단계에서 상기 TML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TML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한 이후에 서버(180)는 302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추적 리스트에 의거하여 휴면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 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이 이동할 시에 위치를 등록 메시지가 수신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검 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이 TML 리스트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보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고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이 TML 리스트의 기지국들에서 벗어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 이동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서버(180)는 304단계에서 상기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에게 전송할 짧은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에게 전송할 짧은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서버(180)는 3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서버(180)는 306단계로 진행하면 TML 리스트에 의거하여 전달할 메시지를 SDB 메시지로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DOS 메시지에 실어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즉 종래에는 서버에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게 보낼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모든 기지국들 또는 특정한 기지국들을 통해 상기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그런 후에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했다. 하지만 도 1에 예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의 전송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180)는 306단계 또는 304단계에서 308단계로 진행하면 휴면 모드의 단말이 TML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이 TML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의 감지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서버(18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이 보고한 정보에 근거하여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만일 기지국에서 TML 리스트를 생성한 경우라면, 서버(180)는 312단계에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게 상기 TML 리스트를 전달하도록 한다. 그러나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를 생성하여 전송한 경우라면 상기 312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하면 일반적으로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은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를 요청하기 때문에 상기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 요청을 받은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TML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에서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반면에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 314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활성 모드로 천이하는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이 활성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는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또는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로 휴면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천이해야만 수신할 수 있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등이 된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활성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서버(18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TML 리스트를 삭제한다. 그러나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활성 모드로 천이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80)는 302단계로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 이외에도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TML 리스트를 삭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가 만료되더라도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과 특정한 협의에 의하여 타이머 값을 새로이 갱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여기서는 더 이상 살피지 않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1x EV-Do 시스템에서 TML 리스트 생성 과정에 대한 처리 절차도이다. 상기 TML 리스트 생성 과정은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위해 최종 서빙 기지국 및 단말간에 이루어지는 연결 닫기(closing connection) 절차에서 발생한다.
도 4a는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100)의 최종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TML 리스트(이하 "제1TML 리스트"라 함) 생성 과정에 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내고, 도 4b는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100)이 선정한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TML 리스트(이하 "제2TML 리스트"라 칭함) 생성 과정에 대한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은 400단계에서 액티브 상태이다. 즉,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은 활성 모드에 있다. 제1기지국(110)은 이와 같이 활성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100)을 휴면 모드로 천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402단계와 같이 연결 닫기 및 TML 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이때, 제1기지국(110)은 앞에서 상술한 제1TML 리스트를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1TML 리스트는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에 포함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서 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상기 402단계에서 제1기지국(110)이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달하는 메시지는 커넥션-클로즈(ConnectionClose) 메시지가 된다.
이때 커넥션-클로즈 메시지에는 위치 추적 기능을 인에이블(enable) 시킴으로써 이동 단말(10)에게 TML 리스트를 생성하여야 함을 알리는 정보와,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알리는 정보는 이동 단말(10)의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1TML 리스트를 생성할 것인지, 상기 이웃 기지국 중에서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이웃 기지국만을 이동 단말(10)이 선정하고, 그 선정된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2TML 리스트를 생성할 것인지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4a는 제1TML 리스트 생성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알리는 정보도 제1TML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기지국(110)이 이를 이동 단말(100)에게 직접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이동 단말(100)이 상기 제1기지국(110)의 인접한 기지국들의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1TML 리스트 생성 조건에서 인접한 리스트 정보를 그대로 상기 제1TML 리스트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션-클로즈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404단계에서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즉 이동 단말(100)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TML 리스트의 생성 성공 여부를 제1기지국(110)에게 알 린다. 이때 이동 단말(100)이 제1TML 리스트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하지 않고 제1TML 리스트의 생성 성공 여부만을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100) 및 상기 제1기지국(110)은 현재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때 전달되는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는 커넥션-클로즈(ConnectionClose) 메시지와 그 데이터 값을 달리 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메시지들의 구조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TML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단말과 기지국이 주고받는 메시지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커넥션-클로즈(ConnectionClose)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커넥션-클로즈 메시지는 제1TML 리스트 생성 여부를 알리는 3비트의 제1필드(CloseReason)(501)와, 상기 제1TML 리스트에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NeighborList)에 등록된 기지국들을 모두 포함할지를 알리는 1비트의 제2필드(TML ind. field)(5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션-클로즈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필드(501)에는 제1TML 리스트를 생성하여야 함을 알리기 위한 값 예를 들어 '110'을 기록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필드(502)에는 제1TML 리스트에 최종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리스트 메시지(NeighborList)에 등록된 기지국들을 모두 포함할지를 알리는 정보, 예컨대, 제1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알리는 정보를 기록하여 전달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기지국(110)이 제1TML 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필드(502)에 '0'값을 기록하고, 제2TML 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필드(502)에 '1'값을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커넥션-클로즈 메시지가 이동 단말(100)로부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필드(501)에는 제1기지국의 제1TML 리스트 생성 요청을 승인한다는 의미로 제1기지국(110)으로부터 전달된 값과 동일한 값 즉, 앞의 예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110'을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필드(502)에는 제1기지국(110)의 요청에 대한 제1TML 리스트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값과 동일한 값 즉, 제1기지국(110)에서 '0'을 전송한 경우 '0'을 제1기지국(110)에서 '1'을 전송한 경우 '1'을 기록하여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4b는 휴면 모드로 천이 시 제2TML 리스트의 생성을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b에 도시한 400단계의 액티브 상태는 도 4a에서 설명한 액티브 상태와 동일한 상태이다. 즉,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은 활성 모드에 있다. 제1기지국(110)은 이와 같이 활성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100)을 휴면 모드로 천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410단계와 같이 연결 닫기 및 TML 리스트의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100)은 제1기지국(110)으로부터 연결 닫기 및 TML 리스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412단계에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새성하여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410단계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션-클로즈(ConnectionClose) 메시지이다. 상기 커넥션-클로즈 메시지는 앞에서 설명한 도 5a와 같다. 다만 상기 도 4b에서 전송되는 커넥션-클로즈 메시지가 상기 도 4a에서 전송된 커넥션-클로즈 메시지와 다른 것은 제2TML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TML 리스트 생성조건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션-클로즈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412단계에서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즉 이동 단말(100)은 상기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TML 리스트의 생성 성공 여부를 제기지국(110)에게 알린다. 그런 후 이동 단말(100)은 414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100)이 결정한 제2TML 리스트를 상기 제1기지국(110)에게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제2TML 리스트는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지국들을 모아 만든 경우이거나, 이동 단말의 이동 경로 등을 예상하여 생성한 리스트가 된다. 또한 상기 제2TML 리스트는 도 5b에 예시한 바와 같은 경로 변경 요청 메시지(RouteUpdateRequest)에 포함시켜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밖에 다른 메시지를 새롭게 정의하여 생성할 수도 있고, 다른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b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중요한 점은 이동 단말(100)이 특정 조건에 따라 휴면 모드 시에 아이들 핸드오프를 수행할 대상 기지국의 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전달된 제2TML 리스트는 이동 단말 및 휴면 모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서버(180) 등에서 저장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414단계에서 전달되는 경로 변경 요청(RouteUpdateRequest) 메시지에 대하여 도 5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에서 생성된 제2TML 리스트를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경로 변경 요청(RouteUpdateRequest) 메시지는 제2TML 리스트 생성 결과(TML Initiation result)를 전달하기 위한 2비트의 제3필드(TML init.RST)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본 발명에서 일 예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한 메시지와 다른 형태의 메시지를 새롭게 정의하거나 또는 또 다른 메시지에서 사용되지 않는 필드들을 이용하거나 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b의 실시 예에서 중요한 점은 이동 단말(100) 자신이 직접 TML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는 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에게 SDB 패킷을 전송할 시 과정 및 신호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에게 SDB 패킷을 전송할 경우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6에서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 및 제2기지국(120)은 상술한 도 1의 예와 같은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제1TML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나 제2TML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모두 제1기지국(110) 및 제2기지국(120)은 이동 단말(100)의 TML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이다. 상기 도 6에서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2개의 기지국만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이상의 기지국이 TML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기지국만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은 600단계에서 휴면 모드인 상태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인 경우에 상기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100)로 전달할 메시지가 발생되면, 서버(180)는 602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의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중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위치 추적 기능이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 중인 경우 상기 서버(180)는 604단계 내지 606단계에서 호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TML 리스트에 존재하는 제1기지국(110)과 제2기지국(120)으로 전달한다. 상기 위치 추적 기능은 모든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TML 리스트의 유효 시간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그 이후에 TML 리스트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일 때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에 대하여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최초 휴면 모드 진입 시에 휴면 모드에 대한 TML 리스트를 생성하지 못하는 이동 단말인 경우에도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휴면 모드 시에 TML 리스트를 생성하였으나, TML 리스트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 대하여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 대하여 위치 추적 기능이 수행되므로 상기 서버(180)는 604단계 내지 606단계와 같이 호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DOS 메시지가 된다. 이때, 상기 DOS 메시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SDB 메시지를 포함한 패킷 데이터가 된다. 또한 상기 DOS 메시지에는 단말의 주소인 단방향 액세스 단말 식별자(Unicast Access Terminal Identifier : 이하 "UATI"라 함) 값을 포함된다. 또한 상기 DOS 메시지에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이 포함되며, 그 IP 패킷은 기본적으로 암호화(Encryption)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는 원래 수신할 단말 외의 악의적인 목적의 단말들이 전송된 정보를 취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면 상기 제1기지국(110) 및 제2기지국(120)은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608단계 및 610단계에서 자신의 영역에서 DOS 메시지를 방송한다. 이를 통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에게 DOS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만일 기지국들(110, 120)이 상기 이동 단말(100)에게 수신 여부 확인을 요청한 경우 이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응답 메시지를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이 자신이 속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DOS 수신 확인 메시지(DataOverSignalingAck : 이하, "DOS ACK."라 함)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응답 요구가 포함된 DOS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00)은 612단계로 진행하여 DOS Ack.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신이 포함된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상기 도 6의 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100)이 제2기지국(120)에 포함된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에 수행되었던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 전송 과정이 생략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1x EV-DO 시스템에서 TML 리스트 갱신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1x EV-DO 시스템에서 TML 리스트 갱신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아이들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경우 그에 따른 TML 리스트 갱신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 제1기지국(110)은 이동 단말(100)이 휴면 모드임을 알고 있는 기지국이다. 즉,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은 휴면 모드를 수행하는 중이다. 그러나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에 없는 기지국 즉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100)은 이를 검출하여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해야만 계속해서 휴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7은 아이들 핸드오프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700단계에서 제1기지국(110)과 이동 단말(100)간은 휴면 모드를 수행하는 중이다. 이러한 휴면 모드 중인 이동 단말(100)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 또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다른 특정 신호 등을 검출하여 기지국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이 위치한 기지국이 상기 TML 리스트에 존재하는 기지국인가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결과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에서 벗어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100)은 계속하여 휴면 모드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도 7에 도시한 702단계와 같이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에서 벗어남을 감지한 경우 이동 단말(100)은 704단계에서 위치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TML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위치 변경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위치 등록 과정에서 전달되는 메시지의 형태를 빌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TML 리스트 변경을 위해 별도의 메시지 형식을 빌어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100)은 자신이 포함된 네트워크 서브넷이 바뀌는 경우나 이동 단말(100)이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여 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묵시적으로 네트워크에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의 이동을 알리면서 자신이 TML에서 벗어남을 알릴 수 있다. 이와 달리 새로운 메시지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100)은 자신이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을 벗어남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100)은 자신이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을 벗어남을 인지하고, 기존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새로운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결정하여 이를 상기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새로운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은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 설정된 임의의 기지국(200) 및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여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의 이웃 기지국들 중 상기 이동 단말(100)이 선정한 이웃 기지국만을 포함할 것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위치 변경 통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TML 리스트를 관리하는 서버(180)로 전달한다.
상기 위치 변경 통보 메시지를 수신한 서버(180)는 708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의 위치 추적 기능을 확인한다. 이러한 위치 추적 기능의 확인 과정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이 현재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인지를 검사하고,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인 경우에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동 단말인지 또는 계속적으로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동 단말인지 등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100)이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이고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계속적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서버(180)는 710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변경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상기 위치 변경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712단계에서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게 위치 변경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 L2 계층 응답(L2 ACK.)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TML 리스트의 생성 조건은 상기 704단계에서 설명한 위치 변경 메시지에 이동 단말(100)이 설정한 메시지를 이용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위치 추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위치 확인 메시지 대신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에 이를 거부함을 나타내기 위한 값을 저장하여 전송함으로써 위치 추적 기능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참조부호 A는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이 단말이 생성한 TML 리스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714단계에서 TML 정보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TML 정보 변경 요청 메시지는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100)이 결정한 TML 리스트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이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동 단말(100)은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TML 리스트를 생성하였으나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선별된 이웃 기지국을 포함하는 TML 리스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는 714단계와 같이 TML 정보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716단계에서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이전에 생성한 것과 다른 TML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이동 단말(100)은 7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16단계에서 새로이 생성된 TML 리스트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새로이 생성된 TML 리스트를 상기 서버(18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100)은 계속적으로 휴면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180)는 새로운 TML 리스트를 수신함으로써 휴면 모드인 이동 단말(10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TML 리스트를 이용하여 휴면 단말의 위 치를 추적하고자 할 때 TML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Life Timer)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라이프 타이머를 설정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은 경우에 TML 리스트의 갱신을 위함이다. 여기서 갱신이란, TML 리스트의 정보 변경 또는 유지 또는 삭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갱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해당 이동 단말이 도중에 새로운 TML 리스트를 갖는 경우 또는 휴면 모드에서 액티브로 천이하는 동작 또는 TML 리스트 삭제를 요청 받은 경우에 등의 이유로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및 라이프 타이머가 만료되어 이동 단말과 기지국이 자동적으로 TML 리스트를 각자가 알아서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TML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 값은 기지국이 이동 단말에게 값을 내려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중 IEEE 802.16e 표준에 따른 액티브 상태의 단말이 휴면 모드(Idle Mode)로 천이 시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도 본 발명의 서두에 설명한 기본적인 과정은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은 도 1의 이동 단말(100)로 가정하며, 제1기지국(BS #1) 또한 상기 도 1의 제1기지국(110)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서버(180) 또한 상기 도 1의 구성도와 같은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노드들은 상기 도 1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천이할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로 천이할 경우 각 노드들의 동작과 각 노드간 신호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이동 단말(100)과 제1기지국(110)간 액티브 상태 즉, 활성 상태이거나 또는 휴면 모드인 상태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할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휴면 모드 천이 결정은 주체에 따라 신호 흐름이 달라진다. 따라서 여기서 이에 대하여 먼저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만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자신이 휴면 모드로 천이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상기 이동 단말(100)의 최종 서빙 기지국인 제1기지국(110)이 이동 단말(100)을 휴면 모드로 천이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먼저 이동 단말(100)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8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이 먼저 휴면 모드로 천이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도 8의 신호 흐름도가 시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휴면 모드로 진입할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기지국(110)은 810단계에서 자신의 영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100)에 대하여 휴면 모드로 천이할 필요가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주체가 되는 경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와 다른 경우로 이동 단말(100)이 주체가 되는 경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100)이 자체적으로 휴면 모드로 천이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2가지 경우 중 어느 한 경우가 상기 도 8의 810단계에서 디레지스트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디레지스트레이션이 필요한 경우 제1기지국(110)은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820단계에서 이를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3784438-pat00001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에 1비트를 추가로 부가하여 최종 서빙 기지국의 모든 인접한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로 생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의 이동 경로를 알 수 있는 경우나 그 밖의 다른 경우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비트 길이를 2 이상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들을 충족할 수 있다.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의 모든 인접한 기지국을 TML 리스트로 생성하도록 할 때, 즉, TML indicator 값을 '1'로 설정한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은 최종 서빙 기지국이 방송하는 이웃 기지국 광고 메시지(MOB_NBR-ADV)에 포함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TML 리스트를 생성할 때, 최종 서빙 기지국인 제1기지국(110)에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로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1기지국(110)과 특별한 메시지를 주고받을 필요는 없다.
다른 방법으로 TML indicator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경우는 제1기지국이 이동 단말(100)에서 직접 TML 리스트에 포함될 기지국을 선정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신호의 수신감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신호의 수신 감도를 이용한다면,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100)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기지국들(120, 130, 140, 150)만이 TML 리스트에 포함되므로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이 자신의 이동 경로와 그에 대한 기지국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이를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동 단말(100)이 자신이 설정한 TML 리스트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밖의 다른 이점들은 앞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이동 단말(100)은 이와 같은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830단계에서 디레지스트레이션 처리 루틴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100)의 구성이 상술한 도 2의 이동 단말 구성을 예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211)는 데이터 처리부(213)로부터 수신된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획득한다. 그런 후 이동 단말(100)은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TML 지시(TML indicator) 값에 따라 TML 리스트를 생성한다. 즉, 서빙 기지국인 제1기지국(110)이 자신의 인접한 모든 기지국을 TML 리스트로 생성하도록 지시한 경우 제어부(211)는 이를 TML 리스트로 생성한 후 메모리(214)에 저장한다.
반면에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TML 지시 값이 이동 단말에서 생성하도록 결정된 경우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 또는 파일럿 신호의 세기 등을 고려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또는 이동 경로 등을 고려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TML 리스트를 생성하는 경우에도 제어부(211)는 이를 메모리(214)에 저장한다. 그런 후 상기 저장된 TML 리스트를 최종 서빙 기지국인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하기 위해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에 상기 저장된 TML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TML 리스트의 포함 여부 및 TML 리스트에 포함되는 기지국 값들의 형식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하기 <표 2a> 및 하기 <표 2b>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3784438-pat00002
Figure 112005003784438-pat00003
상기 <표 2a> 및 상기 <표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에 상기 <표 2a>의 필드는 반드시 포함된다. 상기 <표 2a>의 필드에서는 TML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알리는 값이며, 만일 TML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표 2b>의 필드가 추가된다. 상기 <표 2b>의 필드는 최종 서빙 기지국의 ID와 각 인접 기지국들의 ID 등이 TML 리스트로 포함된다. 상기 TML 리스트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앞에서 상술한 820단계의 메시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즉, 제1기지국(110)이 이동 단말(100)에서 TML 리스트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도록 한 경우라면 인접한 기지국들의 수신감도 또는 신호의 수신 세기 또는 이동 경로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 기지국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기지국(110)이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에 포함하도록 지시한 경우라면 생성된 TML 리스트를 굳이 제1기지국으로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표 2a>의 필드를 '0'의 값을 가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211)는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에 상기 <표 2a>만 또는 <표 2a> 및 <표 2b>의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이후에 데이터 처리부(213)를 제어하여 전송할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한 후 무선부(212)에서 상승 변환하고, 840단계에서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상기 840단계에서 전송되는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통해 TML 리스트 생성의 성공 여부를 제1기지국(110)으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기지국(110)은 850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의 수신 및 처리 과정은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에 상기 <표 2a>와 같은 필드를 검사하여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로 생성한 기지국들의 아이디가 포함되어 전송되었는가를 검사하고, 만일 TML 리스트로 생성한 기지국들의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TML 리스트를 추출한다. 그러나 만일 TML 리스트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820단계에서 제1기지국(110)이 자신의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에 포함하도록 한 경우이거나 또는 이동 단말이 위치 추적을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추적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능이 없 는 이동 단말에 대하여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850단계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직접 TML 리스트를 생성하였거나 또는 제1기지국(110)이 이동 단말(100)로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지시한 경우에 TML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기지국(110)에서 추출된 TML 리스트는 860단계에서 서버(180)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서버(180)는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전달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동 단말의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도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의 이동 단말의 구성도와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치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시 제어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은 900단계에서 활성 모드를 수행하는 중이다. 이와 같이 활성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제어부(211)는 데이터 처리부(213)에서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910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디레지스트레이션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9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15단계로 지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다시 900단계의 활성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910단계의 검사결과 디레지스트레이션 메시지를 수신하여 9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11)는 TML 리스트의 생성 요구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 기 912단계의 검사는 이동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TML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표 1>에서 TML indicator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검사 결과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이 요구된 경우 91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22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먼저 91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914단계로 진행하면,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검사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수신 신호의 세기 또는 수신감도를 이용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11)는 생성된 TML 리스트를 메모리(214)에 저장한 후 9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저장된 TML 리스트를 포함하여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상기 <표 2a> 및 <표 2b>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이후에 제어부(211)는 9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된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자신의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211)는 920단계의 위치 추적 휴면 모드로 천이한다.
이와 달리 상기 912단계의 검사결과 이동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명령되지 않은 경우 9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22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211)는 TML 리스트에 대한 지시 값 즉, TML indicator 값을 포함하고 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922단계의 검사결과 TML indicator 값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상술한 <표 1>을 예로서 살펴보면 TML indicator 값이 '0'인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11)는 92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930단계의 휴면 모 드로 천이한다. 이와 같은 휴면 모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고 있는 휴면 모드와 동일한 모드이다. 즉, 930단계를 두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922단계 및 930단계는 불필요한 단계가 된다.
상기 922단계에서 924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211)는 TML 리스트를 메모리(214)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TML 리스트의 값은 상술한 예들 중 최종 서빙 기지국의 모든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의 모든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는 최종 서빙 기지국이 방송하는 이웃 기지국 광고 메시지(MOB_NBR-ADV)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은 최종 서빙 기지국이 방송하는 이웃 기지국 광고 메시지(MOB_NBR-ADV)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메모리(214)에서 상기 이웃 기지국 광고 메시지(MOB_NBR-ADV)의 정보를 독취하여 TML 리스트로 생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TML 리스트를 생성한 이후에 제어부(211)는 상기 <표 2a>만을 포함하도록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런 제어부(211)는 918단계로 진행하여 디레지스트레이션 요청 메시지를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TML 리스트 생성에 성공하였음을 알린다. 그리고 제어부(211)는 위치 추적 휴면 모드로 천이하게 된다.
도 10은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위치 추적 리스트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각 노드들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 광대역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위치 추적 리스트의 영역을 벗어나는 경 우 각 노드들의 동작 및 신호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100)은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 내에서만 아이들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과 관련해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즉, 기본적으로 TML 리스트의 유지 및 모니터링은 이동 단말(100)이 휴면 모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만 한정된다. 이러한 이동 단말(100)은 이동하면서 1000단계에서와 같이 임의의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또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일럿 또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면 1010단계로 진행하여 TML 리스트를 벗어났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TML 리스트를 벗어났는가를 검사하는 과정은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 ID와 현재 수신된 신호의 기지국 ID가 서로 다른가를 검사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100)이 TML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기지국으로 아이들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엔 먼저 이동 단말(100)이 기존에 정의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브넷이 바뀌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100)이 위치 등록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위치 등록 과정은 묵시적으로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의 이동을 알리면서, TML 리스트를 벗어남을 알리는 동작이 포함된다. 만일 이동 단말(100)이 아이들 핸드 오버 이후에 기지국 재접속이나 위치 등록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1010단계와 같이 임의의 기지국(200)이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TML 리스트를 벗어난 경우 이동 단말(100)은 1020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런 후 1020단계에서 이를 상기 임의의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즉, 상기 임의의 기지국(200)은 새로운 서빙 기지국이 되는 것이다.
상기 TML 리스트를 벗어나서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되는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를 예로 도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3784438-pat00004
상기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TML change 필드 값을 '0' 또는 '1'의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도 10에서와 같이 TML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서빙 기지국을 포착한 경우에 TML change 필드 값은 '1'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1020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이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상기 <표 3>의 TML change 필드 값이 '1'로 설정되어 전달된다.
그러면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수신된 위치 변경 요청 메시지를 위치 변경 통보 메시지로 구성하여 서버(18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80)는 1040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100)의 위치 추적 기능을 확인한다.
상기 서버(18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추적 기능을 확인은 상기 이동 단말(100)에 계속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할 것인지 즉,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하여 계속하여 위치 추적을 할 것인지 또는 TML 리스트를 삭제하고 위치 추적을 중단할 것인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 추적 기능을 확인한 이후 서버(180)는 위치 추적을 계속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 값을 포함하여 위치 변경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 1050단계에서 이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1060단계에서 TML 리스트를 활성 상태로 둘 것인지 또는 비활성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를 검사한 값을 포함하는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를 예로서 도시하면 하기 <표 4>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3784438-pat00005
이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100)은 상기 <표 4>와 메시지를 수신하여 TML indicator 값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TML 리스트를 새롭게 생성하거나 또는 TML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다. 만일 TML indicator 값이 '0'을 지시하는 경우 이동 단말(100)은 TML 리스트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휴면 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TML indicator 값이 '1'을 지시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100)은 새로운 TML 리스트를 생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위치 추적 리스트를 벗어나서 TML 리스트를 새롭게 생성하는 경우에는 최초 휴면 모드로 진입할 때와 달리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에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1070단계에서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200)은 1080단계에서 상기 서버(180)로 자신의 기지국 ID와 자신의 인접한 기지국 ID를 포함한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서버(180)는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가지고 이동 단말(100)의 위치 추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TML 리스트가 생성되면 TML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Life Timer)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라이프 타이머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이동 단말(100)이 도중에 새로운 TML 리스트를 갖거나, 휴면 모드에서 액티브나 수면 모드로 천이하는 동작 혹은 TML 리스트 삭제를 요청 받은 경우에 등의 이유로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TML 리스트가 생성될 때 설정되는 라이프 타이머의 시간이 만료되면, 이동 단말과 기지국이 자동적으로 TML 리스트를 삭제하도록 구성한다. 신규 TML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 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이동 단말에게 값을 내려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데이터 전송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로 데이터 전송 시 각 노드의 동작 및 신호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10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이다.
서버(180)는 1100단계에서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1102단계로 진행하여 휴면 모드의 이동 단말(100)이 위치 추적 상태에 있는가를 검사한다. 본 발명에서는 TML 리스트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서 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상기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서버(180)에 TML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버(180)는 상기 이동 단말(100)이 위치 추적 상태에 존재하는 경우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로 전달할 호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도 11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이웃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를 이용하여 TML 리스트를 생성한 경우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상기 도 1의 기지국들 중 제1기지국(110)과 제2기지국(120)과 제3기지국(130)과 제4기지국(140) 및 제5기지국(150)들만이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이다. 상기 서버(180)는 호출 요청 메시지(SDB-IND, Short Data Burst Indication)를 생성한 이후에 상기 TML 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110, 120, ... , 150)로 1110a 단계 내지 1110e 단계를 통해 각 기지국들(110, 120, ... , 150)로 호출 요청 메시지(SDB-IND, Short Data Burst Indication)를 전달한다.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MAC Address를 포함하며,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에 SDB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상기 1110a 내지 1110e 단계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 전체가 1110단계를 이룬다.
그러면 각 기지국들(110, 120, ... , 150)은 상기 호출 요청 메시지를 수신 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Ack Requried, Short Data Burst)를 자신의 영역에서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응답을 요구하는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IP 패킷은 기본적으로 암호화(Encryption)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IP 패킷을 암호화하는 이유는 원래 수신할 이동 단말 이외의 다른 이동 단말이 악의적인 목적의 전송된 정보를 취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상기 도 11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상기 제1기지국(110)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2기지국(120) 내지 제5기지국(150)이 방송한 응답을 요구하는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100)로 수신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100)의 최종 서빙 기지국인 제1기지국(110)이 전송한 응답을 요구하는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만 전달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100)은 제1기지국(110)으로부터 응답을 요구하는 짧은 버스트 데이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1130단계에서 짧은 버스트 확인 메시지(Processing Ok!)를 생성하여 상기 제1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도 11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기지국(110)은 수신된 짧은 버스트 확인 메시지를 상기 서버(18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위치 추적 리스트 외의 다른 기지국들에 대하여 페이지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옵션 사항으로 지원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 사항을 두는 이유는 IP 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뿐 아니라 이전에 설명한 1x EV-DO 시스템 및 본 발 명의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들 및 무선 광대역 시스템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이 본 발명에 따라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일 경우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이 본 발명에 따라 위치 추적 휴면 모드일 경우 제어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 단말(100)의 제어부(211)는 920단계에서 위치 추적 휴면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11)는 1200단계로 진행하여 TML 리스트의 영역에서 벗어나는가를 검사한다. 즉, TML 리스트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이 아닌 다른 기지국의 영역으로 이동이 검출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검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 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TML 리스트에서 벗어났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상기 1200단계의 검사결과 위치 추적 리스트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 1212단계로 진행하여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211)는 전술한 도 11에서와 같은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211)는 암호화된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해독하고, 상기 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한다. 또한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가 응답을 요구하는 경우 제어부(211)는 짧은 데이터 버스트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데이터 처리부(213)로 출력한다. 그런 후 제어부(211)는 데이터 처리부(213)를 제어하여 짧은 데이터 버스트 확인 메시지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소정의 채널을 통해 자신의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1200단계의 검사결과 위치 추적 리스트에 존재하는 기지국들의 영역에서 벗어나는 경우 즉, 상기 도 1의 굵은 화살표와 같이 이동 단말(100)이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기지국들 또는 이동 단말(100)이 수신된 신호의 수신감도 등에 따라 설정한 기지국들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1202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는 앞의 <표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송한 이후에 제어부(211)는 1204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1)는 1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1206단계의 검사결과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12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계속하여 대기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는 전술한 <표 4>와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 4>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11)는 1208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필드 값을 이용하여 TML 리스트 갱신이 필요한가를 검사한다. 즉,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TML indicator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TML indicator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1)는 1210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추적 리스트를 갱신한다. 즉,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과 그에 인접한 모든 기지국들을 TML 리스트로 갱신한다. 즉, 최초 TML 리스트를 생성할 때와 조건이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12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TML indicator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1)는 930단계로 진행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추적을 수행하지 않는 일반적인 휴면 모드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이동 단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서 호 착신 시의 시간을 단축하며,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직전에,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정보인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따라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이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한 영역의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에게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발생되면, 상기 패킷 데이터를 데이터 오브 시그널링 메시지에 실어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지국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해야 함을 알리는 정보 및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최종 서빙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될 기지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될 기지국 정보는 상기 단말의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모든 이웃 기지국들 중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될 확률이 설정 값보다 높은 이웃 기지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될 확률이 설정 값보다 높은 이웃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서 수신감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이웃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최종 서빙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최종 서빙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단말간에 송/수신되는 위치변경요청메시지(RouteUpdateRequest)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이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서빙 기지국의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에게 위치 변경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이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리스트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게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이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서빙 기지국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 구성 요소가 해당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적 기능을 취소할 것인지 또는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의거하여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이 상기 위치 변경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확인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위치 변경 메시지에 포함된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여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에 따라 해당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생성한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상기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에게 위치 변경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이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하였음을 알리는 필드와, 상기 새로운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 조건을 결정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변경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를 설정하는 과정은;
    최종 서빙 기지국 또는 새로운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의 라이프 타이머를 설정한 후 상기 단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16.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직전에,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전송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휴면 모드로 진입시 전송한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여 상위로 전달하는 최종 서빙 기지국과,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전송할 짧은 데이터가 발생될 시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지국들을 통해 상기 단말로 짧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 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
  17.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직전에, 위치 추적 리스트의 생성 및 전송을 제어하며,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 이외의 영역으로 이동할 시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변경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갱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저장하는 영역을 가진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가공하고,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역가공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가공 데이터를 무선 채널로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대역 하강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휴면 모드로 천이하기 직전에, 상기 단말의 위치로부터 이동성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이 휴면 모드일 때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리스트를 생성하여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서버가 상기 최종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휴면 모드인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될 시 상기 전송할 데이터를 짧은 버스트 데이터로 구성하여 상기 위치 추적 리스트에 포함된 대상 기지국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기지국들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짧은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시 자신의 영역에서 이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면 모드인 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KR1020050006116A 2004-09-10 2005-01-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122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757 2004-09-10
KR20040072757 2004-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37A KR20060023937A (ko) 2006-03-15
KR101122425B1 true KR101122425B1 (ko) 2012-03-09

Family

ID=3713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16A KR101122425B1 (ko) 2004-09-10 2005-01-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7653A (en) 2008-02-04 2009-08-26 Nec Corp User communications device which maintains and provides idle state cell/tracking area history
KR101384824B1 (ko) * 2010-12-07 2014-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629B1 (ko) 1996-02-16 2004-07-22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이동무선단말기의위치를결정하는방법및장치
KR100558516B1 (ko) 2004-06-11 2006-03-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KR100617118B1 (ko) 2004-08-20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629B1 (ko) 1996-02-16 2004-07-22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이동무선단말기의위치를결정하는방법및장치
KR100558516B1 (ko) 2004-06-11 2006-03-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KR100617118B1 (ko) 2004-08-20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37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461B2 (en) Sleep-state for mobile terminal and service initiation for mobile terminals in sleep-state
CN107211297B (zh) 一种由远端无线发射/接收单元执行的用于选择中继节点的方法及无线发射/接收单元
KR10169071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600265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058797A1 (zh)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移动终端
EP28091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1224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890B1 (ko) 유휴 모드의 단말을 고려한 mbs 전송 방법
WO2018069381A1 (en) Downlink data notification
US20230389128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KR101275341B1 (ko) 이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방법 및 그 시스템
FI20215829A1 (en) Improved forwarding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