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149B1 -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149B1
KR101122149B1 KR1020100053041A KR20100053041A KR101122149B1 KR 101122149 B1 KR101122149 B1 KR 101122149B1 KR 1020100053041 A KR1020100053041 A KR 1020100053041A KR 20100053041 A KR20100053041 A KR 20100053041A KR 101122149 B1 KR101122149 B1 KR 10112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eacon
service
providing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360A (ko
Inventor
진용옥
이옥근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진용옥
김경태
이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용옥, 김경태, 이옥근 filed Critical 진용옥
Priority to KR102010005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14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봉수거화 의식에서 다수개의 봉수대 중 점화된 어느 하나의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봉수대의 위치에 봉화 3차원 이미지를 투사하는 3차원 영상 발생장치; 상기 3차원 이미지에 의한 봉화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면, 문화행사의 하나인 봉수거화 의식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물리적 시간적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용이하게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상의 간접 참여자에게 실상과 같은 봉화의식 행사의 생생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참여자들이 직접 기원하는 메시지를 봉화의식으로 재현하고 이를 다시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양방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양질의 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수의 문화행사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on-line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cultural events participation}
본 발명은 문화행사 참여 또는 체험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상의 참여자에게 일방적 문화 컨테츠 제공이 아닌, 양방향으로 문화체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라인 문화재 행사 체험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편의보다는 기업의 관점에서 정보자료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이미지나 텍스트 위주로 구성되어 입체감이나 현실감이 없으며, 예를들어 띠배에 액을 띄워보내며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빌던 공동체신앙을 1970년부터 지역축제화 하여 개최, 마을 공동체신앙을 지역 축제화한 축제인 띠풀로 만들어진 띠배를 바다에 띄우는 행사와 같은 축제는 매년 행하여지나 그 해마다 각기 다른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한정된 자료 또는 이미자만 소개되어 지는 경우가 많았고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느끼게 하기에도 부족한 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보완하여 최근에는 웹상이나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의 문화행사 등의 내용을 담은 동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근본적으로 해당 문화재 행사에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직접 참여하기를 원하는 인터넷사용자(네티즌) 들로 하여금 대리만족을 주기에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위도 행사와 같은 기원이나 한해의 묵은 액을 띄워보내고 신년해의 소원을 비는 행사에 있어서는 무속적인 평온을 위해 대다수의 사람들은 현장에서 자신의 기원이나 소망 등을 같이 띄워 보낼 수 있도록 행사에 직접참여하기를 원하게 됨으로써,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문화행사를 거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설과 그 준비를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그 문화행사의 의식 안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 물리적 제약이 많았으며, 제반 준비시설의 설치비용 및 기술이 부족한 점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가상 체험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문화행사의 하나인 봉수거화 의식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물리적 시간적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용이하게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상의 간접 참여자에게 실상과 같은 봉화의식 행사의 생생한 영상을 제공하고, 온라인상의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양방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높은 양질의 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수의 문화행사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 문화 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봉수거화 의식에서 다수개의 봉수대 중 점화된 어느 하나의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봉수대의 위치에 봉화 3차원 이미지를 투사하는 3차원 영상 발생장치; 상기 3차원 이미지에 의한 봉화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웹상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영상 서비스에 부가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화 3차원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 코드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투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3차원 영상 발생장치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나온 빔을 기준빔과 주사빔으로 나누는 빔 분리기; 상기 주사빔을 피사체에 반사 또는 투과시키고, 상기 반사 또는 투과된 빔을 감광하는 투명한 감광판; 상기 기준빔을 확산시키고, 상기 감광판에 투사하여 간섭무늬를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간섭무늬가 형성된 감광판에 상기 기준빔과 동일한 빔을 상기 감광판에 입사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다수개의 봉수대 중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봉수거화 하는 단계; (b)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통해 상기 점화된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봉화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촬영 이미지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중앙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화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부가정보를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중앙서버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영상 이미지와 함께 증강현실 서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 코드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봉수대 위치에 스위칭 투영시켜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메시지 코드는 5자리의 봉수코드를 2진화 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위해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클라이언트가 상기 봉화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봉화 메시지에 따라 상기 (c) 단계 이하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봉수거화 의식의 단계별로 역사적 의미 또는 스토리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수거화 의식의 단계별 진행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홀로포닉(holophonic) 음향으로 출력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입력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봉수대에 스위칭 투영된 봉화 홀로그램 이미지를 상기 입력된 순서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에 따른 봉화 홀로그램 이미지와 함께 상기 대응되는 메시지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면, 문화행사의 하나인 봉수거화 의식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물리적 시간적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용이하게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상의 간접 참여자에게 실상과 같은 봉화의식 행사의 생생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참여자들이 직접 기원하는 메시지를 봉화의식으로 재현하고 이를 다시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양방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양질의 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수의 문화행사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수거화 의식 참여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재현된 봉수거화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나타나는 프로그램 창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수거화 의식 참여 제공 시스템에 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봉수거화 의식에서 다수개의 봉수대 중 점화된 어느 하나의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봉수대의 위치에 봉화 3차원 이미지를 투사하는 3차원 영상 발생장치(10); 상기 3차원 이미지에 의한 봉화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서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봉수거화 의식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봉수대에 점화하는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 봉수는 횃불인 봉(烽)과 연기인 수(燧)로 급한 소식을 알리던 통신제도로 높은 산에 올라가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하였다. 우역제와 신식우편?전기통신이 창시되기 이전의 전근대국가에서 가장 중요하고 보편적인 통신방법이었다. 봉수제는 일반 국민들의 개인적 의사표시나 서신을 전달할 수는 없는 것이나 국가의 정치?군사적 전보기능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군사적 목적에서 설치된 봉수제의 기록은 고려 중기에 나타나지만 봉수를 이용한 신호는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가락국의 시조 수로왕이 봉화를 사용한 사실이 《삼국유사》에 전하고 《삼국사기》에는 백제 온조왕 10년 조의 봉현을 비롯하여 봉산(烽山)?봉산성(烽山城) 등의 기록이 있다.
기록상 한국 봉수제의 확실한 출발은 고려 중기이다. 1149년(의종 3)에 봉수의 거화수(炬火數)를 규정하고 봉수군에게 생활의 대책을 마련해 주었고 감독책임자까지 배치한 사실이 서북면병마사 조진약이 임금에게 올린 글에 나타난다.
이보다 약 20년 앞선 1123년(인종 1)에 송나라 사신 노윤적과 함께 고려에 왔던 서긍은 《고려도경》에서 봉수에 관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흑산도에서 왕성까지 봉수가 실시된 점과 사신의 도착도 중앙에 보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원나라의 침입과 그 지배를 받게 되자 고려시대의 봉수제는 무너지고 원군에 의한 그들의 봉수조직이 구성되었다. 원나라의 지배세력이 후퇴할 무렵 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지자 다시 고려의 봉수제가 편성, 강화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의 봉수제가 계승되다가 세종 때에 이르러 봉수제의 관계규식을 새로 정하고 연대(烟臺)를 새로 축조하고 봉수선로를 일제히 획정하였다. 1419년(세종 1) 아무런 일이 없을 때 1거(擧)로부터 적과 접전 때 5거에 이르는 거화법(擧火法)과 관계요원의 근무부실에 대한 과죄규정(科罪規定) 등을 정하였다. 1422년에는 각도의 봉수처에 연대를 높이 쌓고 그 위에 화기 등 병기를 비치하도록 하였고, 병조로 하여금 의정부 및 육조와 함께 봉수를 정하게 하였다.
한편 1444년에서 1445년에 걸쳐 논의된 봉수구폐책(烽燧救弊策)은 봉수의 시설?관장?요원 및 봉수요원에 대한 처벌?포상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봉수망을 유기적으로 정비한 일대 개혁이었다. 조선시대의 봉수제는 1447년(세종 29) 무렵에 확립되고 《경국대전》의 규정으로 확정되었다.
조선 초기에 전국적 봉수조직이 편성되었으나 실제 봉수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봉화군의 고역으로 인한 도산과 근무태만, 시설의 미비, 요원배치의 불충분, 봉수군에 대한 보급의 부족 그리고 자연조건의 장애로 후망이 불가능하거나 중도에 봉화가 끊어졌기 때문이다.
봉수의 허설화는 법령의 해이와 더불어 더욱 극심해져서, 을묘왜변이나 이탕개의 난,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전혀 보고하지 않고, 거화하지 않음으로써 봉수는 허구화 되었다. 임진왜란 때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파발제가 등장하였으나 파발제는 관리들의 사적인 목적 추구에 이용되어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따라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봉수제는 점점 복구되었다.
숙종 이후부터는 무너진 봉대를 다시 쌓고, 봉수를 더 설치하기도 하였으며, 봉수군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포(收布)함으로써 봉수군의 경제적 처지를 향상시키는 정책을 펴기도 하였다. 한편 <봉수변통론>은 종래의 봉수제의 근본적 모순과 운영상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노력의 예이다. 이때 논의된 봉수변통론은 각자거화론(各自擧火論), 봉수의 이설과 가설, 마발의 배치, 화포설치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각자거화론은 봉수를 차례대로 올릴 수 없을 때에는 최초로 봉화를 올리는 봉수에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거화하자는 것이고, 봉수의 이설과 가설은 봉대 사이에 간봉(間烽)을 설치하자는 것이고, 마발의 배치는 기존의 파발을 이용하자는 것이고, 화포설치론은 연대에 화포를 설치하여 소리로 신호를 보내자는 것이다. 봉수제는 파발?역참제도와 병행되면서 치폐(置廢)를 거듭하다가 1894년(고종31)에 8로봉수는 현대적 전화통신체제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봉수는 우리 선조들의 통신방법으로, 봉수대에 거화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메시지를 원거리에 있는 지역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현대에는 전기 통신체제로 바뀌어 있지만, 문화의식 행사로 각 지자체에서 열리고 있다.
이러한 문화행사는 역사적으로 많은 의미가 담기고 많은 볼거리 또한 일반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컨텐츠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서 각 지자체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열고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나, 상술한 봉수거화의식을 보려면 직접 해당 장소로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봉수대 점화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재현하는 것도 시간적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 본 발명은 봉화의 재현을 3차원 영상장치로 재현하고, 이를 촬영하여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고, 특히 해당 참여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봉수거화 의식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문화체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자신의 직접적 체험을 온라인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와 IT 기술이 접목된 양질의 문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역사적인 사료에 따라 봉수거화 의식의 단계별 진행을 함에 있어서, 현장 참여자를 위해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점화를 하게 되면, 상기 점화된 봉화(7)를 피사체로 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9)가 형성된 것을 홀로그램 발생장치(10)를 통해 다른 봉수대(5)의 위치에 투영하게 된다.
그리고, 봉수대의 봉화 홀로그램 이미지(9)는 시스템의 카메라(20)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고, 촬영된 이미지는 온라인상의 클라이언트에게 문화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고, 다시 각 클라이언트(40)의 단말기에 상기 영상을 인터넷망(25)을 통해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3차원 영상장치(10)는 다양한 방법 또는 장치로 구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현실에서 3차원 입체영상을 시현 해내는 대표적인 방법이 홀로그램 발생장치(10)이다. 일반적인 3차원 영상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양안의 시차를 이용한 스테레오 3D 장치가 있고, 현실에 가상현실을 추가해 나타내는 증강현실 등의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문화의식 행사를 거행하고, 그 장소에 직접 참여하여 3차원 영상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이를 촬영하여 온라인상에서 문화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실제와 유사한 이미지를 시현해 낼 수 있는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해 낸다.
홀로그램 발생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나온 빔을 기준빔과 주사빔으로 나누는 빔 분리기; 상기 주사빔을 피사체에 반사 또는 투과시키고, 상기 반사 또는 투과된 빔을 감광하는 투명한 감광판; 상기 기준빔을 확산시키고, 상기 감광판에 투사하여 간섭무늬를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간섭무늬가 형성된 감광판에 상기 기준빔과 동일한 빔을 상기 감광판에 입사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도시하지 않음)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 광원에서 나온 간섭성 빛을 빔스플리터(beam splitter)에 의해 둘로 나누어 그 중 한 광선 주사빔으로하여 피사체에 비추면 피사체 표면에서 난반사된 빛이 홀로그래피 감광재료에 도달한다. 나머지 다른 한 광선을 기준빔으로하여 렌즈로 확산시켜 직접 홀로그래피 감광재료 전면에 비추게 하는데 이렇게 되면 홀로그래피 감광재료 또는 감광판에 두 광선이 서로 간섭현상을 일으켜 1㎜당 500 ~ l,500개 정도의 매우 섬세하고 복잡한 간섭무늬를 만들게 되고, 이 간섭무늬를 기록한 사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든 홀로그램에 기준빔과 같은 광선을 쬐면 간섭무늬가 회절격자의 역할을 해서 기준빔이 입사한 방향과 다른 위치에서 빛이 회절되는데, 이 같은 회절광이 모이게 되면 마치 처음 물체에서 반사해서 생긴 빛과 같이 된다. 따라서 홀로그램에서 처음의 물체광이 재생되고, 재생된 파면(波面) 안에서 들여다보면 물체가 보이기는 하나 마치 물체가 저 안쪽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상기 홀로그램 발생장치(10)는 이미 봉화의 이미지가 감광된 필름 또는 감광판이 내장되어 있어서, 내부의 레이저 광원으로 원래의 기준광을 다시한번 투사시키게 되면, 상기 홀로그램 발생장치와 일정거리에 있는 위치에 3차원 홀로그램 영상이 시현 되게 된다. 위치의 조정은 발생장치와 봉수대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고, 내부 광학계의 조절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조절하여 봉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3차원 홀로그램 이미지(9)를 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홀로그램 발생장치(10)를 통하여 봉수대(5)에 홀로그램 3차원 이미지(9)를 시현하면, 이를 카메라(30)를 통하여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다시 중앙서버(20)로 보내어지고, 중앙서버(20)에서 인터넷망(25)을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40)에게 제공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홀로그램 발생장치(10)에 의해 봉수대에 투사되는 상기 봉화 3차원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 코드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투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봉수는 역사적으로 특정 메시지를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리는 전달수단으로 사용하여 왔다는 점과, 봉수거화의 숫자에 따라 각각 메시지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코드화 하고, 2진화 하여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상에서 간접 참여하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메시지를 홀로그램 발생장치(10)를 통하여 스위칭 투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온라인상의 클라이언트가 문화행사 참여 서버에서 원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소원이나 특정인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면, 이를 2진화 하여 봉수코드(점화된 봉수대 숫자)로 전환 시키고, 다시 홀로그램장치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봉수대에 봉화 홀로그램 이미지(9)를 스위칭 투영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정보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 및 부가정보를 부가하여 웹상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영상 서비스에 부가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합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가빈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영한 실제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와 더불어 상기 중앙서버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상기 거화된 봉화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할 수도 있고,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여 거화하는 봉졸의 나타낼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엄숙하고 지루해 질 수 있는 문화행사의 장면을 보다 재미있고 다양하게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수의 참여자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터를 더 구비하여 봉수대 외벽에 봉수거화 의식과 관련된 영상을 투영하여 보다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파사드란 ‘건물 외벽의 경관용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첨단 IT기술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외벽에 설치해 다양한 형태의 정적 또는 동적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수 있는 IT 기술이다.
도 1에 예시한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터는 영상을 외부에 투사하는 영상획득장치 및 프로젝터 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에 투영할 수 있도록 위치 맵핑 및 변환(positioning mapping and converter)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은 위치 맵핑 및 변환장치를 통하여 봉수대 외벽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하고, 상기 맵핑된 봉수대 외벽에 미리 획득된 다양한 영상을 투영시킴으로써, 다양한 정보 영상 또는 외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접 참여하는 온라인상의 클라이언트(40)에게 더욱 흥미롭고 의미 있는 문화행사라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더욱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현장에서 봉수거화 의식을 직접 체험하고 관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 참여하지 못한 다수에게 온라인을 통해 생생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종래에 문화의식 행사를 방송으로 인터넷상에서 전달한다는 점은 유사하나,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어 문화행사 참여 싸이트에 인증되어 상기 행사를 단말기를 통해 관람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를 봉화로 재현시킨다는 점에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점이 큰 차이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의식 행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각 음향은 보다 현장감과 실감을 위해 홀로포닉 음향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포닉 녹음 시스템은 유고스컬리가 만든 것으로, 기본적으로 더미헤드(링고)를 사용해서 녹음하는 타입의 시스템이다. 현장 참여자나 온라인상의 참여자에게 입체감과 현장감을 더욱 높여 음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재현된 봉수거화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수거화 의식은 먼저 이번에 재현되는 봉수의식은 오장 2명과 봉수군 4명이 봉수대 주변에서 수위를 하면서, 정오에 연기로 1거(평상시의 거화 숫자), 초저녁에 '횃불'의 형태로 재현하는데, 바람으로 인한 화재의 우려가 있으므로 과학적 방법을 활용한 연기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신 당시의 전통방식에 사용했던 재료들을 비치하여 역사교육 자료로 활용토록 하고 있다.
진행순서는 남산 봉수대 주변을 순찰하는 봉수대 순라행렬, 봉수대를 지키는 수위의식, 오원의 명에 따라 봉수군이 봉수를 올리는 봉수의식, 봉수대를 지키는 수위의식 순으로 재현된다.
이와 같이 오장과 봉종이 1거(하나의 봉수대에 점화)를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1거된 봉화를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봉화의 모습은 홀로그램 필름으로 형성하고, 상기 홀로그램 필름이 홀로그램 발생장치(10)에 내장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투사하게 되면, 나머지 봉수대(5)에서 홀로그램 이미지로 봉화 이미지(9)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봉수 거화된 영상을 카메라(30)로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온라인상의 클라이언트(40)에게 영상과 함께 문화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홀로그램 이미지는 레이저광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어서, 낮에 재현하는 것보다 밤에 주변 배경이 어두운 경우에 더욱 선명하고 실감나게 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봉수거화의 메시지는 전통적으로, 1거는 평화, 2거는 기미, 3건 출현을 4거는 월경 및 5거는 전쟁을 나타낸다.(거는 봉수대에 점화하는 숫자를 나타냄)
이러한 전통적인 봉수거화의 5자리 코드는 단순함 메시지만을 전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봉수거화의 5자리 코드를 봉수코드로 하여 2진화 하고, 2진코드를 이용하여 다시 문자코드로 변환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봉수거화의 스위칭 점화에 의한 봉화 이미지로 구현하기 위해, 홀로그램 이미지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점화 및 점멸을 스위칭 투사를 통해 나타내어 코드화된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은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다수개의 봉수대 중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봉수거화 하는 단계(S100); (b)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통해 상기 점화된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형성하는 단계(S110); (d) 상기 봉화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20); (e) 상기 촬영 이미지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30); 및 (f) 상기 중앙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화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상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계별로 봉사거화 의식의 진행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봉수의 예비행사를 계속적으로 진행하며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은 중앙서버를 거쳐 인터넷망을 통해 인증된 각각의 클라이어트에게 제공되게 된다.
예비행사가 끝나면, 오장과 봉졸이 제1거를 진행하게 된다. 1거는 싸리를 통해 불을 짚이는 방법도 가능하다. 주변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다는 점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계 또는 전자적인 연기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거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다. 즉, 5개의 봉수대 중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l직접 점화하고(S100), 2거 부터는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통하여, 봉수대(5)의 위치에 투영함으로써 봉화 이미지(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봉화 이미지 및 문화의식 행사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이미지는 중앙서버로 전송되고, 중앙서버(20)에서 인터넷망(25)을 통하여 각 클라이어언트(40)에게 전송 서비스를 하게 된다. 여기서 직접 점화된 봉화는 점멸시켜 홀로그램 이미지(9)로 대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봉수대의 각 위치에 봉졸들의 캐릭터를 상기 촬영 이미지에 부가하여 봉졸들이 거화하는 것처럼 현실에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추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이것은 현실에서 공간적 시간적 물리적인 제약들을 상당부분 해소하고 보다 다양한 서비스와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봉수대의 외벽에는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봉수거화 의식의 역사적 스토리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미디어 파사드란 ‘건물 외벽의 경관용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첨단 IT기술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외벽에 설치해 다양한 형태의 정적 또는 동적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수 있는 IT 기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재래식 봉수거화 의식과 IT 서비스를 접목시켜 직접 점화시키는 불편함과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고,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에서도 간접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화의 점화와 점멸을 수행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물리적 또는 기술적으로 용이하지 않지만, 홀로그램 등과 같은 3차원 영상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봉수대의 위치에 구현해 냄으로써, 더욱더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다양한 봉화 메시지 표현을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라인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클라이어트가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클라이언트 인증하는 단계(S200); 상기 인증된 클라이어트가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상기 중앙서버의 웹 사이트에 입력하는 단계(S210); 상기 중앙서버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봉수 코드로 변환하고 홀로그램 발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220); 상기 전송된 메시지 코드를 통해 홀로그램 방생장치에서 스위칭 코드로 인식하여 홀로그램 영상을 스위칭 투영하는 단계(S230); 카메라에서 상기 투영된 홀로그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240);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영상과 이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메시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 영상을 통한 봉수거화 의식 및 봉화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클라이어트가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하고, 이를 현장에서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통해 투영시켜 다시 이를 영상과 메시지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에서 제공하는 문화행사의 방송은 행사를 거행하는 장면만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은 행사장의 시스템의 구성을 통해 고객 또는 클라이어트가 원하는 기원 메시지를 현장에서 응답하여 구현하고, 이를 다시 온라인을 통해 다시 클라이어트에게 메시지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온라인상의 문화체험 서비스와 차별화 된다.
이것은, 문화행사를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상당한 흥미를 유도하고, 더욱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문화행사를 치르는 각종 단체 또는 지자체에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대가로 일정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나타나는 프로그램 창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봉수거화 의식 참여마당이라는 웹싸이트(100)를 통해 봉수거화 행사를 촬영장면(120)을 제공하는데, 제공되는 화면은, 홀로그램을 통해 투영되어 나타난 봉화의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촬영 영상 옆에는 메시지 창(130)을 두어 등록된 참여자의 이름(또는 별명)과 함께 입력된 메시지가 표시되고, 여러 명의 메시지가 일정한 시간을 두어 표시되고, 각 메시지에 따라 봉수대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봉화 영상이 숫자가 변화되면서 메시지를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에 창(140)을 두어 봉수거화 의식의 역사적인 의미를 설명하거나,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는 기본적인 봉수 코드(예 1거: 평화, 2거: 기미, 3거: 출현, 4거: 월경, 5거: 전쟁)의 의미를 설명하고, 봉수대의 봉화의 숫자에 따른 메시지를 설명하는 창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클라이언트가 입체적으로 문화행사를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웹 싸이트에 제공되는 음향은 현장에서 홀로포닉(holophonic) 음향으로 녹음된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더욱더 생생하게 현장감을 높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온라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게 되면, 문화행사의 하나인 봉수거화 의식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봉화의 점화에 따르는 물리적 시간적 기술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용이하게 현장 참여자 및 온라인상의 간접 참여자에게 실상과 같은 봉화의식 행사의 생생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참여자들이 직접 기원하는 메시지를 봉화의식으로 재현하고 이를 다시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양방향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높은 양질의 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욱 많은 수의 문화행사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 문화행사 참여자의 기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서비스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9: 홀로그램 이미지, 7: 봉화, 5: 봉수대, 10: 홀로그램 발생장치,
20: 중앙서버, 30: 카메라, 40: 클라이언트

Claims (13)

  1.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봉수거화 의식에서 다수개의 봉수대 중 점화된 어느 하나의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봉수대의 위치에 봉화 3차원 이미지를 투사하는 3차원 영상 발생장치;
    상기 3차원 이미지에 의한 봉화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봉수거화 의식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라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수신장치 및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위치정보 서버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상기 위치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정보를 부가하여 웹상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영상 서비스와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화 3차원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 코드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투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발생장치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에서 나온 빔을 기준빔과 주사빔으로 나누는 빔 분리기;
    상기 주사빔을 피사체에 반사 또는 투과시키고, 상기 반사 또는 투과된 빔을 감광하는 투명한 감광판; 및
    상기 기준빔을 확산시키고, 상기 감광판에 투사하여 간섭무늬를 형성하는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간섭무늬가 형성된 감광판에 상기 기준빔과 동일한 빔을 상기 감광판에 입사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대 외벽에 상기 봉수거화 의식의 역사적 의미를 담은 영상을 투영하는 미디어 파사드 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체험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a) 홀로그램 발생장치를 통해 다수개의 봉수대 중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봉수거화된 봉화를 피사체로 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적어도 어느 하나의 봉수대에 형성하는 단계;
    (c)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봉화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촬영 이미지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른 증강현실 정보를 부가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중앙서버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촬영 이미지와 함께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미리 정해진 메시지 코드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봉수대 위치에 스위칭 투영시켜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코드는 5자리의 봉수코드를 2진화 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위해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클라이언트가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에 따라 상기 (b) 단계 이하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거화 의식의 단계별로 역사적 의미 또는 스토리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공되는 영상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봉수거화 참여 서비스 제공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53041A 2010-06-04 2010-06-04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12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41A KR101122149B1 (ko) 2010-06-04 2010-06-04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41A KR101122149B1 (ko) 2010-06-04 2010-06-04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60A KR20110133360A (ko) 2011-12-12
KR101122149B1 true KR101122149B1 (ko) 2012-03-16

Family

ID=4550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41A KR101122149B1 (ko) 2010-06-04 2010-06-04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12B1 (ko) * 2013-09-25 2015-01-29 (주)미광 미디어파샤드 제어장치
KR20230084885A (ko) * 2021-12-06 2023-06-13 윤정환 역사해석용 태양광 아크릴 패널 및 아크릴 패널의 그래픽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201B2 (en) * 2013-01-22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xed reality filte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669A (ko) * 2001-08-29 2003-03-07 서주원 인터넷 기반 가상 지역 문화 체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04929A (ko) * 2002-07-06 2004-01-16 서주원 오프라인을 겸한 실시간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들불 축제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669A (ko) * 2001-08-29 2003-03-07 서주원 인터넷 기반 가상 지역 문화 체험 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04929A (ko) * 2002-07-06 2004-01-16 서주원 오프라인을 겸한 실시간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들불 축제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012B1 (ko) * 2013-09-25 2015-01-29 (주)미광 미디어파샤드 제어장치
KR20230084885A (ko) * 2021-12-06 2023-06-13 윤정환 역사해석용 태양광 아크릴 패널 및 아크릴 패널의 그래픽 출력 방법
KR102638241B1 (ko) 2021-12-06 2024-02-19 윤정환 역사해석용 태양광 아크릴 패널 및 아크릴 패널의 그래픽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60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berg The Robot in the Garden: Telerobotics and Telepistemology in the Age of the Internet
Burns Television: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formative years
CN106383576A (zh) Vr环境中显示体验者身体局部的方法及系统
Cubitt Everybody knows this is nowhere: Data visualization and ecocriticism
CN105809739A (zh) 基于云技术的景区实时全息虚拟现实系统
KR101122149B1 (ko) 온라인 문화행사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stić Slums on screen: world cinema and the planet of slums
Jacobson In the Studio: Visual creation and its material environments
McCarthy et al. Virtual reality for maritime archaeology in 2.5 D: a virtual dive on a flute wreck of 1659 in Iceland
Antlej et al. Real-world data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Interpreting excavations
Koh The Place-ness of the DMZ: The rise of DMZ tourism and the real DMZ project
Anderson et al. States of Entanglement: Data in the Irish Landscape
Wozniak Stakeholders' visual representations of climate change
Mendes et al. Appropriating video surveillance for art and environmental awareness: Experiences from ARTiVIS
Costa Social and cinematic landscape in Neighbouring Sounds
Westin et al. Augmenting the Stone: Rock Art and Augmented Reality in a Nordic Climate
Kluge Debate on the Documentary Film: Conversation with Klaus Eder, 1980
Devine Grey area: the interpretive nature of heritage visualisation
Young Telepresence: Joan Jonas and the Emergence of Performance and Video Art in the 1970s
Young Beyond the Screen: Joan Jonas’s Television by Other Means
Yang Virtual Reality and Historic Preservation
Zivkovic Joan Jonas’s Ecological Portraits: Echo and Narcissus
KR101150869B1 (ko) 쇠북 및 우주등대 온라인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Moorman Radio Remediated: Sissako's Life on Earth and Sembène's Moolaadé
Smith Stopmotion photowalk animation for spatial immersion in a remote cultural heritage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