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92B1 - 광확산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확산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92B1
KR101121892B1 KR1020060078080A KR20060078080A KR101121892B1 KR 101121892 B1 KR101121892 B1 KR 101121892B1 KR 1020060078080 A KR1020060078080 A KR 1020060078080A KR 20060078080 A KR20060078080 A KR 20060078080A KR 101121892 B1 KR101121892 B1 KR 10112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iffusion
diffusion plate
plate
zinc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553A (ko
Inventor
우마야하라 요시오
이와오 마사루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4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10~370㎚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매우 낮은 광확산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확산판을 제공한다. 산화아연 결정(zincite)을 결합재에 균질하게 분산시킴으로써, 310~370㎚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매우 낮고, 400㎚~780㎚의 가시광선의 확산성이 높은 광확산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확산판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광확산성 조성물{Light diffusing composition}
도 1은 냉음극선관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No.3의 230~800㎚에서의 전광선 투과율을 나타낸 차트이다.
본 발명은, 광확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하기 위한 광확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되는 확산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直下型)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되는 확산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은, CCFL(냉음극선관), 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상승 필름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확산판에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유기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PMMA 등의 유기재료를 이용한 확산판은, 열이나 흡습(吸濕)으로 인한 확산판의 변형, 자외선에 의한 확산판의 착색이 발생하므로, 문제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확산판이 변형되면 확산판과 액정의 간격이 변동되어, 휘도 불균일 의 원인이 되며, 확산판에 착색이 일어나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색도 불균일의 원인이 되므로, 문제가 되었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확산판과 램프의 간격을 작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부수하여, 확산판은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열량의 영향을 받기 쉽다. 따라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확산판의 내열성은 점차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리기판을 사용한 확산판이 제안된 바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4-12764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5-129346호
그러나, 내열성이 높고, 자외선으로 인한 착색이 없는 유리제 확산판을 사용한 경우라도, 자외선이 확산판을 투과하여,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상승 시트 등의 유기재료를 착색시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음극선관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면, UVa(313㎚), UVb(365㎚)라는 2종류의 자외선을 발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자외선이 확산판을 투과하면, 프리즘 시트 등의 유기재료가 착색되거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에 의한 확산판의 착색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310~370㎚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이 매우 낮은 광확산성 조 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확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을 거듭한 결과, 산화아연 결정(zincite)을 결합재에 균질하게 분산시킴으로써, 310~370㎚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매우 낮고, 400㎚~780㎚의 가시광선의 확산성이 높은 광확산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5~60체적%(6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의 산화아연 결정과, 40~95체적%(4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의 결합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상기 결합재가 무기계 결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상기 결합재가 무기계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상기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이 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성형판과 확산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확산층이 상기 광확산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310~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 선 투과율이 4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헤이즈율이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상기 성형판이 판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2장의 성형판 사이에, 상술한 확산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 한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 두 번째로, 본 발명의 확산판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산화아연 결정과 결합재를 함유하고 있다. 산화아연 결정은, 310~370㎚의 자외선을 차폐(흡수)함과 동시에, 400㎚~780㎚의 가시광선을 확산시키면서 투과시키는 것이다.
자외선 차폐성을 갖는 물질로서, 산화티타늄, 산화세륨 등이 있으나, 산화아연 결정은, 자외선 차폐성이 매우 우수하여, 365~370㎚의 자외선도 정확하게 차폐할 수 있다. 더욱이, 산화아연 결정은 높은 확산성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광확산성 조성물의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은, 5~60체적%(6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5~55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7~50체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9~45체적%,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5~45체적%이다. 산 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이 5체적%보다 적으면 310~370㎚의 자외선을 차폐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려워진다. 또,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이 60체적%이상이면,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아져, 결과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즉,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을 5~60체적%(6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로 함으로써,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했을 경우, 310~370㎚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은 10%이하로, 400~780㎚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은 40%이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팽창계수를 조정할 목적으로, 산화아연 결정의 일부를 산화알루미늄(커런덤), 산화규소(석영), 산화티타늄(아나타제), 산화마그네슘, 코디어라이트, 윌레마이트, 규산지르코늄(지르콘), 멀라이트, 산화지르코늄으로 치환해도 좋다. 그러나, 그 치환량은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의 60체적%미만으로 해야 한다. 60%이상을 치환하면 자외선을 차폐하는 효과가 감소하거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계면활성제, 증점제, 습윤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재는 산화아연 결정을 균질하게 분산시키는 동시에, 성형판과 확산층을 견고하게 접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확산성 조성물의 결합재의 함유량은, 40~95체적%(4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이며, 바람직하게는 45~95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50~93체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91체적%,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55~85체적%이다. 결합 재의 함유량이 95체적%보다 많으면, 상대적으로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이 적어져 310~370㎚의 자외선에 대한 차폐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결합재의 함유량이 40체적%이하이면, 산화아연 결정의 분산성이 부족해질 뿐만 아니라,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했을 때 확산층이 성형판으로부터 탈락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광확산성 조성물에 이용하는 결합재는, 무기계 결합재, 예컨대, 규산알칼리(예컨대,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규산리튬), 무기졸, 겔(예컨대, 규산콜로이드, 콜리이달 실리카, 교상 규산, 콜리이드상 알루미나, 베마이트(boehmite)의 졸, 에어로겔 등), 벤토나이트, 무기계유리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무기계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결합재는, 폴리비닐알콜, 아크릴수지 등의 유기계 결합재에 비해,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산화아연 결정의 응집도 쉽게 일어나지 않으므로, 안정된 자외선 차폐성 및 확산성을 얻을 수 있다.
무기계 유리로서는,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SiO2-B2O3계, ZnO-B2O3계, SiO2-ZnO계, SiO2-CaO계의 무기계 유리를 이용하면, 상술한 이점을 최대한으로 누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광확산성 조성물의 산화아연 결정은, 평균 입자직경을 1~4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200㎚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아연 결정으로서, 평균 입자직경이 1~30㎚(바람직하게는, 1~10㎚)인 나노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이 1㎚보다도 작으면 자외선 차폐효과가 감소 하여,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했을 때, 310~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0%이상으로 되는 동시에,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을 확산시키는 효과가 감소하여, 헤이즈율이 80%이하로 되어 버린다. 또한,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이 400㎚보다도 크면, 자외선을 차폐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즉,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을 1~400㎚ 사이로 조정함으로써,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했을 때, 가시광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을 40%이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헤이즈율이 80%이상인 확산성이 양호한 확산판을 얻을 수 있다.
확산판은, 성형판과 확산층을 구비하고 있으며, 확산층에 의해 광확산기능, 자외선 차폐기능 등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확산판은, 확산층으로서 상술한 광확산성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양호한 자외선 차폐성 및 확산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확산판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 기능, 전자장 흡수 기능, 대전 방지 기능, 휘도 상승 기능 등을 가지는 박막, 시트, 필름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성형판에 확산층을 형성하여, 확산판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광확산성 재료의 결합재로서, 유기계 결합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유기계 결합재와 산화아연 결정을 용매 중에 균질하게 분산시킨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스핀 코팅, 스크린 인쇄, 딥 코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판에 균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후, 용매가 휘발하는 온도에서 성형판을 건조시킴으로써 확산판을 얻을 수 있다.
광확산성 재료의 결합재로서, 무기계 결합재, 예를 들면 무기계 분말유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우선, 무기계 유리와 산화아연 결정이 균질하게 분산된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스핀 코팅, 스크린 인쇄, 딥 코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판에 균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다. 이후, 분말유리의 연화점 내지 유동점 부근의 온도에서 베이킹(baking)함으로써 확산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확산층의 두께는, 1~20μ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의 두께가 1μm보다 작으면 양호한 광확산성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확산층의 두께가 20μm보다 크면,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아져, 결과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에서, 확산판은 310~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10~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0%보다 크면, 확산판을 투과한 자외선에 의해 프리즘 시트 등의 다른 유기재료가 착색되고,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란, JIS K7105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확산판은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40%미만이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란, JIS K7105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확산판은 헤이즈율이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율이 80%미만이면, 높은 확산성을 가지는 확산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헤이즈율」이란, JIS K7105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확산판에 이용하는 성형판은,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유리는, 유기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판에 비해 내열성이 높고, 유리 전이점 이하의 온도에서 열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립 공정에서 확산판의 열변형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확산판과 액정의 간격이 변동하는 일이 없고, 휘도 불균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판유리는, 유기재료의 성형판에 비해 흡습성도 없기 때문에, 확산판의 변형이 생기기가 더욱 어렵다.
특히, 판유리로서, 무알칼리 유리, 고왜곡점 유리, 저알칼리 유리, 창문판 유리 등이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 사이즈를 대형화 및 고휘도화하기 위해서는, 램프가 많이 필요하며, 이에 부수하여, 램프로부터 생기는 발열량이 커진다. 또한, 확산판이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확산판의 휘어짐이나 열변형이 생기기 쉬워, 화면의 품위(品位)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확산판은, 높은 내열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면 그 효과를 정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박형화됨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확산판과 램프의 간격을 작게 할 필요가 있어, 확산판의 내열성은 점점 더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확산판은, 높은 내열 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면 그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확산판은 2장의 성형판 사이에 상술한 확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확산층이 2장의 판유리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층이 벗겨지거나 손상되어 투과율이 변동되는 일이 없다.
( 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샘플No.1~6)를, 표 2는 비교예(샘플No.7~8)를 나타내고 있다.
결합재로서 사용하는 무기계 유리는, 이하와 같은 조성의 유리를 사용하였다. SiO2-B2O3계 유리는, 중량%로 SiO2 65%, B2O3 20%, Li2O 15%의 조성을 갖는 유리분말을 이용하였다. B2O3-ZnO계 유리는, 중량%로 B2O3 45%, ZnO 35%, SiO2 20%의 조성을 갖는 유리분말을 이용하였다. SiO2-CaO계 유리는, 중량%로 SiO2 60%, CaO 25%, Na2O 15%의 조성을 갖는 유리분말을 이용하였다. ZnO-SiO2계 유리는, 중량%로 ZnO 60%, SiO2 30%, Na2O 10%의 조성을 갖는 유리분말을 이용하였다.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은, 주사형(走査型) 전자현미경(×50000배)에 의해 구하였다.
성형판에 사용하는 판유리로서, 무알칼리 유리는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OA-10(500㎚투과율=92%)을, 고왜곡점 유리는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PP-8C(500㎚투과율=90%)를, 저알칼리 유리는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에서 제조한 BLC(500㎚투과율=92%)를 사용하였다.
1 2 3 4 5 6



광확산성
조성물
(체적%)
산화아연 결정 25 20 15 25 45 30

결합재
75
SiO2-B2O3계 유리
70
B2O3-ZnO계 유리
80
SiO2-CaO계 유리
65
ZnO-SiO2계 유리
55
폴리비닐알콜
70
아크릴수지
산화
티타늄
- 10 - 5 - -
산화
알루미늄
- - 5 5 - -
산화아연 결정
평균입자직경
(㎚)

10

10

350

150

10

150
기판 유리 무알칼리 고왜곡점 저알칼리 창문판 무알칼리 고왜곡점
접착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있음 없음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
310-370㎚

6

5

3

4

2

3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
400-780㎚

60

60

50

55

65

55
헤이즈율(%) 95 98 96 99 92 90
7 8



광확산성
조성물
(체적%)
산화아연 결정 62 4

결합재
38
B2O3-ZnO계 유리
96
SiO2-CaO계 유리
산화
티타늄
- -
산화
알루미늄
- -
산화아연 결정
평균입자직경
(㎚)

10

150
기판 유리 고왜곡점 저알칼리
접착 없음 있음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
310-370㎚

1

14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
400-780㎚

35

70
헤이즈율(%) 99 70
우선,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결합재나 산화아연 결정 및 기타 산화물을 칭량하여 혼합하고, 용제를 첨가하여 페이스트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페이스트를 표에 나타낸 각종 성형판 상에 스크린 인쇄하고, 120℃에서 건조하였다. 결합재에 무기계 유리를 사용한 것은 성형판을 570℃로 소성하여, 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확산층의 두께는, 10μm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접착이 「있음」에 해당하는 샘플은, 확산층을 형성한 성형판과 동일한 종류의 성형판에 아크릴수지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확산층이 사이에 들어가도록 접착하여, 120℃에서 건조하였다.
얻어진 샘플에 대해, 자외선,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율을 JIS K7105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평균 입자직경이 10~350㎚인 산화아연 결정을 15~45체적% 함유하는 실시예 No.1~6의 확산판은,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6%이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50%이상, 헤이즈율이 90%이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는 확산판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No.3의 230~800㎚에서의 전광선 투과율로부터 알 수 있듯이, 365~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3%인 데 대해, 400~405㎚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은 50%로서, 380㎚부근에서의 차트의 상승이 가팔랐다.
한편, 비교예 No.7의 확산판은,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이 62체적%로 많기 때문에,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35%로 낮았다. 비교예 No.8의 확산판은, 산화아연 결정의 함유량이 4체적%로 적기 때문에,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4%로 높고, 헤이즈율이 70%로 낮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확산판의 확산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도 최적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평균 입자직경이 1㎚~400㎚인 산화아연 결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과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의 균형을 적당히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확산판의 헤이즈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광확산성 조성물은, 확산판 뿐만아 니라, 확산성을 얻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재료(형광등, 디스플레이 기판 등)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확산판은 310~370㎚의 자외선을 차폐하기 때문에, 프리즘 시트나 기타 유기부재를 열화(劣化)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확산판은, 성형판에 판유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내열성이 높으며, 휘도의 불균일이 없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2장의 판유리 사이에 확산층을 개재시키면, 확산층의 내마모성이나 접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확산판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확산판에 최적이며, 액정 디스플레이의 냉음극관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빛 중, 자외선을 차폐함과 동시에 가시광선을 확산시키면서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5~60체적%(6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의 산화아연 결정과, 40~95체적%(40체적%는 포함하지 않음)의 무기계 유리로 이루어진 결합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조성물로서, 상기 무기계 유리가 SiO2-B2O3계 유리, ZnO-B2O3계 유리, SiO2-ZnO계 유리, SiO2-CaO계 유리 중 어느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유리가 분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산화아연 결정의 평균 입자직경이 1~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확산성 조성물.
  5. 성형판과 확산층을 구비하는 확산판이며, 확산층이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광확산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6. 제 5항에 있어서, 310~370㎚에서의 자외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7. 제 5항에 있어서, 400~780㎚에서의 가시광선의 평균 전광선 투과율이 4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8. 제 5항에 있어서, 헤이즈율이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9. 제 5항에 있어서, 성형판이 판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10. 제 5항에 있어서, 2장의 성형판 사이에 확산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11. 제 5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12. 제 5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용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판.
KR1020060078080A 2005-09-09 2006-08-18 광확산성 조성물 KR10112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1616 2005-09-09
JPJP-P-2005-00261616 2005-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553A KR20070029553A (ko) 2007-03-14
KR101121892B1 true KR101121892B1 (ko) 2012-03-19

Family

ID=3810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080A KR101121892B1 (ko) 2005-09-09 2006-08-18 광확산성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1892B1 (ko)
TW (1) TWI415816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947A (ja) * 1994-12-13 2003-02-26 Nippon Shokubai Co Ltd 酸化亜鉛系微粒子、および、その用途
JP2004127643A (ja) * 2002-10-01 2004-04-22 Sumitomo Rubber Ind Ltd 直下型バックライ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4604D0 (en) * 1993-07-14 1993-08-25 Dow Deutschland Inc Light diffuser composition
JP3554369B2 (ja) * 1994-08-19 2004-08-18 株式会社日本触媒 酸化亜鉛−ポリマー複合体微粒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US6579606B1 (en) * 1995-08-30 2003-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 light reflection sheet for liquid cryst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947A (ja) * 1994-12-13 2003-02-26 Nippon Shokubai Co Ltd 酸化亜鉛系微粒子、および、その用途
JP2004127643A (ja) * 2002-10-01 2004-04-22 Sumitomo Rubber Ind Ltd 直下型バックラ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5816B (zh) 2013-11-21
KR20070029553A (ko) 2007-03-14
TW200714565A (en)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9970B2 (ja) 低反射膜を有する物品
CN108388050B (zh) 一种量子点膜导光组件的制备方法及其对应的背光模组
JP2856754B2 (ja) 紫外線抑制発光源、紫外線抑制発光源用塗布剤、及び紫外線抑制発光源の製造方法
EP1279705A4 (en) OXIDE COMPOSITE PARTICL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FLUORESC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OLOR FILTE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COLOR DISPLAY "
JPWO200302635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透明性基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11994650B2 (en) Antiglare film-attached substr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gital signage
KR102216397B1 (ko) 색변환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862814B2 (ja) 量子ドットシート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及び該バックライト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WO2017130868A1 (ja) 光拡散板
JPWO2014162893A1 (ja) 光変換部材、その製造方法、照明光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56876A (ja) 反射膜形成用塗布液と反射膜及び反射膜付き基材並びに面光源
JP2006258896A (ja) 低反射膜およびこれを備えた低反射膜付き透明基材
JP2007102195A (ja) 光拡散性組成物
KR101121892B1 (ko) 광확산성 조성물
CN108359308A (zh) 一种散热油墨及玻璃导光板印刷散热油墨的方法
KR20100128604A (ko)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5016170B (zh) 量子点和有机纳米荧光体的复合片及包括其的显示装置
JP2007277018A (ja) 着色膜付きガラス板及び着色膜付き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06162846A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拡散板
CN208689199U (zh) 一种微晶粉导光板组件
JP6164120B2 (ja) 反射防止膜付き基材および物品
WO2014042129A1 (ja) 低反射膜を有する物品
JP2020042137A (ja) 光学フィルム、光学バリアフィルム、及び波長変換フィルム
WO2022054943A1 (ja) Led素子用基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398916B1 (ko) 이미지 형성용 코팅액 조성물 및 이미지 형성용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