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627B1 -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627B1
KR101121627B1 KR1020090052094A KR20090052094A KR101121627B1 KR 101121627 B1 KR101121627 B1 KR 101121627B1 KR 1020090052094 A KR1020090052094 A KR 1020090052094A KR 20090052094 A KR20090052094 A KR 20090052094A KR 101121627 B1 KR101121627 B1 KR 10112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line
ink
cas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3513A (en
Inventor
신익수
Original Assignee
신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익수 filed Critical 신익수
Priority to KR102009005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627B1/en
Publication of KR2010013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30Bars, blocks, or strips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a pair of faces is fixed, although it may be preadjustable, e.g. end measure, feeler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에 금을 그을 수 있으며 동시에 대상물에서 필요한 치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대상물에 먹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실 형상으로 형성된 실줄부, 및 대상물에 표시된 선에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실줄부에 형성된 눈금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line having a scale for drawing gold on an object and at the same time knowing the required dimensions of the object, the fixing member formed to be fixed to the object, and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the ink to the object It includes; a string portion formed in a thread shape to display a line, and a scale portion formed in the string line portion to display the distance from the fixing member on the line displayed on the object.

먹통, 눈금, 먹줄, 치수, 먹물선, 눈금표지 Ink bottle, scale, ink line, dimensions, ink line, scale mark

Description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 이를 구비한 먹통{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상물에 금을 표시하기 위한 먹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금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대상물에서 필요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을 갖는 먹줄과 이를 구비한 먹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line for displaying gold on an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line having a scale for displaying gold on an object and at the same time measuring a required length on the object. .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마감재나 패널 등의 고정을 위해 고정위치의 선정이 필요할 때, 또는 마감재나 판재의 절단을 일직선으로 할 필요가 있을 때 식별이 용이하도록 선을 표시하는 도구로서 먹통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판금 작업이나, 제관 작업을 할 때도 부품의 고정위치를 선정할 경우나, 철판을 일직선으로 절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절단 기준선을 표시하는 도구로서 먹통이 사용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selection of the fixing position is necessary for fixing the finishing materials or panels at the construction site, or when the cutting of the finishing materials or the plate needs to be straight, the keg may be used as a tool for marking lines for easy identification. have. Alternatively, a keg may be used as a tool for indicating a cutting reference line when selecting a fixed position of a part even during sheet metal work or steelmaking, or when it is necessary to cut a steel plate in a straight line.

이와 같은 먹통은 대상물에 금을 긋기 위한 먹줄과, 먹줄을 감았다 풀 수 있는 권취드럼과, 먹줄에 묻힐 먹물을 저장하는 먹물통을 구비할 수 있다. Such a keg may be provided with an ink line for drawing gold on an object, a winding drum which can be wound and unwound, and a ink bottle for storing ink to be buried in the food line.

따라서, 사용자는 건축이나 판금 작업시 먹통에서 먹줄을 풀어 대상물에 고정구를 사용하여 먹줄의 일단을 고정하고, 먹줄을 치면 대상물에 먹줄로 형성된 금(이하, '먹물선'이라 한다)이 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먹물선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부착하거나 절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releases the line from the keg during construction or sheet metal work to fix an end of the line by using a fixture on the object, and when the line is hit, the gold formed as the line of the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ffle line') is drawn. Therefore, the user can attach or cut the object using this ink line.

그런데, 건축 작업이나 판금 작업 등을 할 경우, 예를 들면, 대상물을 절단할 경우나, 대상물에 특정한 부품을 설치할 경우에, 절단할 길이나 부품이 설치될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많다.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는 줄자와 같은 길이를 잴 수 있는 별도의 측정기구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측정기구를 별도로 휴대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By the way, when building work, sheet metal work, etc., for example, when cutting an object or installing a specific part in an objec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the length to cut and the position where a part is installed. In this case, until now the length was measured using a separate measuring instrument that can measure the same length as a tape measure. Thu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and use the measuring device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대상물에 선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대상물에서 필요한 부분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을 구비한 먹줄과 이를 구비한 먹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line having a scale and a feed container having the same so as to form a line on the object and at the same time measure the length of the required portion of the objec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에 먹줄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먹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실 형상으로 형성된 실줄부; 및 상기 대상물에 표시된 선에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실줄부에 형성된 눈금부;를 포함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feed the object, the fixing member formed to be fixed to the object; A thread line portion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formed in a thread shape to display a line with ink on the object; And a scale portion formed on the string portion to display the distance from the fixing member on a line marked on the object.

이때, 상기 눈금부는 상기 실줄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cale portion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line portion.

또한, 상기 눈금부는 상기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l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dhere to the ink.

또한, 상기 눈금부는 1 센치미터(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과, 10 센치미터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 및 1 미터(meter)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눈금, 제2눈금, 및 제3눈금은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ale unit may include a first scale representing a 1 cm interval, a second scale representing a 10 cm interval, and a third scale representing a 1 meter interval, wherein the first sca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ivisions and the third divisions have different shapes.

또한, 상기 제1눈금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눈금은 상기 제1눈금 의 지름보다 큰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눈금은 상기 제2눈금의 지름보다 큰 구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cale may have a spherical shape, the second scale may have a spherical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cale, and the third scale may have a spher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cale. .

또한, 상기 제1눈금은 한 개의 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눈금은 두 개의 구로 형성되며, 상기 제3눈금은 세 개의 구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cale may be formed of one sphere, the second scale may be formed of two spheres, and the third scale may be formed of three spher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있으며,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청구항 1항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인출구멍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먹줄이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인출될 때 상기 먹줄에 먹물을 묻히도록 형성된 먹물유닛;을 포함하는 먹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e is formed with the extraction hole; A wind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A feedline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and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can be pulled out of the case through the extraction hole; And a feeding unit installed in the case between the winding drum and the withdrawal hole, the ink feeding unit formed to bury the ink in the feeding line when the feeding line is withdrawn through the withdrawal hole. .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 이를 구비한 먹통에 의하면, 먹줄을 쳐서 형성한 먹물선에 일정 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눈금을 이용하여 대상물에서 길이를 알 필요가 있는 부분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k line provided with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ink bottle provided therewith, the scale is display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k line formed by striking the ink line, so that the user uses the scale in the object. You can easily see the length of the part that needs to know the lengt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 이를 사용한 먹통에 의하면, 사용자는 대상물에서 필요한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k bottle using the same,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measuring mechanism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equired portion of the object, the operation is conveni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 이를 구비한 먹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ood line provided with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mponent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etailed illustra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통(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먹통(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1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g 1 of FIG. 1, and FIG. 3 is a keg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통(1)은 케이스(10), 권취드럼(20), 먹물유닛(30), 및 먹줄(100)을 포함한다.1 and 2, the ke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 winding drum 20, an ink feeding unit 30, and an ink feeding line 100.

케이스(10)는 먹통(1)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권취드럼(20), 먹물유닛(30), 먹줄(100)이 설치된다. 케이스(10)에는 먹줄(100)을 인출할 수 있는 인출구멍(11)이 형성된다.Case 10 forms the outline of the keg (1), the winding drum 20, the ink feeding unit 30, the ink line 100 is installed therein. The case 10 has a withdrawal hole 11 through which the ink line 100 can be drawn out.

권취드럼(2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먹줄(100)을 감고 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먹줄(100)은 도 2와 같이 권취드럼(20)에 감겨 있으며, 먹줄(100)을 잡아당기면 권취드럼(20)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먹줄(100)이 케이스(10)의 인출구멍(11)을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권취드럼(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핸들(2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핸들(22)을 이용하여 권취드럼(20)을 제1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출된 먹줄(100)을 권취드럼(20)에 감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핸들(22)을 이 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먹줄(100)을 권취드럼(20)에 감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먹줄(100)을 자동으로 감도록 구성할 수 있다. 먹줄(100)을 자동으로 감는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inding drum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10 and is formed to wind and unwind the food line 100. That is, the ink line 10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20 as shown in FIG. 2, and when the ink line 100 is pulled, the winding drum 2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ink line 100 of the case 10 is rotated. It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through the withdrawal hole 11. In addition, the winding drum 20 is provided with a rotary handle 22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winding drum 2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rotation handle 22, the drawn ink line 100 may be wound on the winding drum 20. Here, the case in which the user manually wound the feed line 100 on the winding drum 20 by using the rotary handle 22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wind the feed line 100. The structure of automatically winding the ink line 100 may use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먹물유닛(30)은 먹줄(100)에 먹물을 묻히는 것으로서, 케이스(10) 내부에 권취드럼(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물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권취드럼(20)과 인출구멍(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먹물유닛(30)은 소정 양의 먹물을 저장하며, 먹줄(100)이 권취드럼(20)에서 풀리어 인출구멍(11)을 통해 인출될 때 먹줄(100)에 먹물을 묻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먹물을 저장하고, 먹줄(100)에 먹물을 묻힐 수 있는 먹물유닛(30)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ink unit 30 is to bury the ink on the food line 100, i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nding drum (20) inside the case (10).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 the ink feeding unit 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inding drum 20 and the extraction hole 11 in the case 10. The ink feeding unit 30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ink, and is formed so that the ink line 100 can be buried with the ink line 100 when the ink line 100 is withdrawn from the winding drum 20 through the pulley withdrawal hole 11. In this way, the ink feeding unit 30 that can store the ink and buried the ink on the ink line 100 may use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먹줄(100)은 대상물에 금을 긋고, 대상물에서 필요한 치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취드럼(20)에 감겨있으며 인출구멍(11)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와 같은 먹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줄부(101)와 눈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k line 100 draws gold on an object and is designed to measure a required dimension on the object. The ink line 10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20 and may be drawn out of the case 10 through the extraction hole 11.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line 10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tring line portion 101 and a scale portion 110, as shown in FIG.

실줄부(101)는 먹물유닛(30)에 의해 먹물이 묻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고정부재(50)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50)는 대상물에 먹줄(10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곳과 같은 뽀족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줄부(101)는 대상물에 먹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상물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부재(50)를 고정하고 먹줄(100)을 케이스(10)에서 일정 길이 인출한 후, 먹줄(100)을 주면 대상물에 먹줄(100)의 실줄부(101)에 의해 선이 형성된다. 이하, 먹줄(100)에 의해 대상물에 형성된 선 또는 금을 먹물선(100a)이라 한다.The string part 101 is formed of a material to which ink may be buried by the ink feeding unit 30, and a fixing member 50 may be fixed to one end thereof. The fixing member 50 is for fixing one end of the food line 100 to the object, and may include a pointed portion such as an awl. The string part 101 may be formed in a thread shape so as to display a line with ink on an object. Therefore, after the user fixes the fixing member 50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object and withdraws the ink line 100 from the case 10 for a predetermined length, giving the ink line 100 to the object line of the ink line 100 to the object ( A line is formed by 101). Hereinafter, the line or gold formed on the object by the ink line 100 is called ink line 100a.

눈금부(110)는 대상물에 표시된 선 즉, 먹물선(100a)에 고정부재(50)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실줄부(10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눈금부(110)는 대상물에 먹물선(100a)을 형성하였을 때, 실줄부(101)와 구분될 수 있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눈금부(110)는 실줄부(10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눈금부(110)는 일반적인 자와 같이 일정한 간격(D0)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눈금(111,112,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눈금부(110)는 1 센치미터(cm) 간격 또는 1 인치(inch)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눈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눈금(111)의 간격(D0)은 1 cm 나 1 inch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눈금(111)의 간격(D0)은 2 cm(inch), 5 cm(inch) 등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The scale unit 110 may be formed in the string 101 to display the distance from the fixing member 50 on the line marked on the object, that is, the ink line 100a. When the scale unit 1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k line 100a is formed on the object, it may be form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tring line unit 101. Therefore, the scal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101,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dhere to the ink. Also, the scal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ales 111, 112, and 11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D0 as in a general ruler. For example, the scal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ales 111 formed at intervals of 1 cm or 1 inch. However, the distance D0 of the plurality of scales 111 is not limited to 1 cm or 1 inch. If necessary, the spacing D0 of the plurality of scales 111 may be variously determined, such as 2 cm (inch) and 5 cm (inch).

이하, 눈금부(110)가 1 cm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눈금(111)을 갖도록 형성된 먹줄(10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to the ink line 100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graduations 111 formed in the interval 110 cm 1 c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부(110)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눈금부(11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눈금(111)은 고정부재(50)로부터 1 cm 간격으로 실줄부(101)에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눈금부(110)를 이용하여 쉽게 치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1 cm, 10 cm, 1 m 또는 1 inch, 1 feet를 나타내는 눈금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cale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cales 111 forming the scale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tring portion 101 at intervals of 1 cm from the fixing member 50.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cale representing 1 cm, 10 cm, 1 m or 1 inch, 1 feet can b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easure the dimensions using the scale 110.

일 예로서, 1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111), 10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112), 1 m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113)의 구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눈금(111)은 실줄부(10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눈금(111)의 지름은 먹줄(100)로 대상물에 먹물선(100a)을 형성하였을 때, 도 5와 같이 제1눈금(111)에 의해 형성된 제1눈금표지(111a)를 실줄부(101)에 의해 형성된 직선부(101a)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눈금(112)은 제1눈금(111)과 동일한 지름의 구를 2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눈금(111)과 제2눈금(112) 사이의 간격(D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눈금(112)을 형성하는 구 중의 한 개의 구의 중심과 제1눈금(111)을 형성하는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3눈금(113)은 도 3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눈금(111)을 형성하는 구를 3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눈금(111)과 제3눈금(113) 사이의 간격(D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눈금(113)을 형성하는 3개의 구 중 중간의 구의 중심과 제1눈금(111)을 형성하는 구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number of spheres of the first scale 111 representing the 1 cm interval, the second scale 112 representing the 10 cm interval, and the third scale 113 representing the 1 m interval may be vari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A, the first scale 111 may be formed as a spher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part 101. At this time,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scale 111 is the ink line 100 to form the ink line 100a on the object,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cale cover 111a formed by the first scale 111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so that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straight part 101a formed by the file part 101. The second scale 112 may form two consecutive spheres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scale 111. At this time, the interval D1 between the first scale 111 and the second scale 112 is the center of one of the spheres forming the second scale 112 and the first scale 111 as shown in FI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spheres form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C, the third scale 113 may form three consecutive spheres forming the first scale 111. At this time, the interval D2 between the first division 111 and the third division 113 is the center of the three spheres forming the third division 113 and the first division as shown in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spheres forming the 111 can be determined.

한편, 눈금부(11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눈금(111,112,113)은 먹물이 묻는 재료로 형성하거나,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to third scales 111, 112, and 113 constituting the graduat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ink-infused,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k.

눈금부(110)를 먹물이 묻는 재료로 형성한 먹줄(100)을 사용하여 대상물에 먹줄을 치면, 대상물에 도 5와 같은 먹물선(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로 친 먹물선(100a)에는 직선부(101a) 와 제1눈금표지(111a), 제2눈금표지(112a), 및 제3눈금표지(113a)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먹물선(100a)에 형성된 제1눈금표지(111a), 제2눈금표지(112a), 및 제3눈금표지(113a)의 개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치수를 알 수 있다. 한편, 눈금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먹물이 묻는 재료로는 기존의 먹줄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Using the ink line 100 formed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scale 110 is made of ink, the ink line 100a as shown in FIG. 5 may be formed on the object. Referring to FIG. 5, the ink line 100a of 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portion 101a, a first scale cover 111a, a second scale cover 112a, and a second line. The three scale cover 113a is clearly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may know the required dimensions by using the number of the first scale cover 111a, the second scale cover 112a, and the third scale cover 113a formed on the ink line 100a. On the other hand, as a material for the ink to form the graduation unit 110 may be used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for forming a conventional ink line.

눈금부(110)를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한 먹줄(100)을 사용하여 대상물에 먹줄을 치면, 대상물에 도 6과 같은 먹물선(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로 친 먹물선(100a)에는 직선부(101a)와 제1눈금표지(111b), 제2눈금표지(112b), 및 제3눈금표지(113b)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이때, 눈금부(110)의 재료에 따라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의 눈금표지(111b, 112b, 113b)가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직선부(101a)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눈금표지(111b), 제2눈금표지(112b), 제3눈금표지(113b)를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먹물선(100a)에 있는 제1눈금표지(111b), 제2눈금표지(112b), 제3눈금표지(113b)의 개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치수를 알 수 있다. 눈금부(11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는 스테인레스,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과 같은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Using the ink line 100 formed with the material that does not adhere to the scale part 110, the ink line 100a as shown in FIG. 6 may be formed on the object. Referring to FIG. 6, the ink line 100a of 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ight portion 101a, a first scale cover 111b, a second scale cover 112b, and a second line. The three scale cover 113b is clearly displayed.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cale unit 110, the circular scale marks 111b, 112b, and 113b as shown in FIG. 6 may not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first mark cover 111b, the second mark cover 112b, and the third mark cover 113b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ight portions 101a. The required dimensions can be known using the number of the first scale cover 111b, the second scale cover 112b, and the third scale cover 113b. As the ink-free material that may be used to form the scale 110, a plastic such as stainless steel or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may be used.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의 제1눈금(121), 제2눈금(122) 및 제3눈금(123)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7A to 7C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irst scale 121, a second scale 122, and a third scale 123 of 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1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121)은 실줄부(101)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눈금(121) 의 지름은 먹줄(100)로 대상물에 먹물선(100a)을 형성하였을 때, 제1눈금(121)에 의해 형성된 제1눈금표지(121a)가 실줄부(101)에 의해 형성된 직선부(101a)와 구별될 수 있는 크기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눈금(122)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눈금(121)을 형성하는 원통과 동일한 지름의 원통을 일정 간격으로 2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눈금(121)과 제2눈금(122) 사이의 간격은 먹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눈금(121)의 중심과 제2눈금(122)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3눈금(123)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눈금(121)을 형성하는 원통을 일정 간격으로 3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눈금(121)과 제3눈금(123) 사이의 간격은 먹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눈금(121)의 중심과 제3눈금(123)의 중심 사이의 거리로 정할 수 있다. 7A to 7C, the first division 121 having a 1 cm spac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part 101. In this case,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scale 121 is the ink line 100 and the ink line 100a is formed on the object, the first scale mark 121a formed by the first scale 121 is the string portion 101.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ize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straight portion 101a formed by the. As shown in FIG. 7B, the second scale 122 may form two consecutive cylinders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cylinder forming the first scale 121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ale 121 and the second scale 122 may be determ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scale 121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cale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k line 100. hav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the third scale 123 may continuously form three cylinders that form the first scale 121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cas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cale 121 and the third scale 123 may be determ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scale 121 and the center of the third scale 1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k line 100. have.

이때, 눈금부(11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눈금(121, 122, 123)은 먹물이 묻는 재료로 형성하거나,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scales 121, 122, and 123 constituting the graduation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ink-infused,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k.

눈금부(110)를 먹물이 묻는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형성된 먹물선(100a)의 눈금표지(121a, 122a, 123a)는 직선부(101a)보다 지름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When the scale portion 110 is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the ink is buried, the scale marks 121a, 122a, and 123a of the ink line 100a formed on the object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traight portion 101a.

눈금부(110)를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도 8과 같은 형태의 먹물선(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직선부(101a)가 끊어진 부분이 눈금을 나타낸다. 끊어진 부분에 작은 직사각형(101b)이 없는 곳은 1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121)에 의해 형성된 제1눈금표지(121a)이고, 끊어진 부분에 작은 직사각형(101b)이 한 개 있는 곳은 10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122)에 의 해 형성된 제2눈금표지(122a)이고, 끊어진 부분에 작은 직사각형(101b)이 두 개 있는 곳은 1 m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123)에 의해 형성된 제3눈금표지(123a)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먹물선(100a)에 있는 제1눈금표지(121a), 제2눈금표지(122a), 및 제3눈금표지(123a)의 개수를 이용하여 필요한 치수를 알 수 있다. When the scale 11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have ink, ink ink line 100a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8 may be formed on the object. In Fig. 8, the portion where the straight portion 101a is broken indicates a scale. The place where there is no small rectangle 101b in the broken part is the 1st graduation mark 121a formed by the 1st scale 121 which shows 1 cm space | interval, and the place where one small rectangle 101b is in the broken part is 10 The second scale mark 122a formed by the second scale 122 indicating the cm spacing, and where the small rectangle 101b is located at the broken portion, the third scale 123 showing the 1 m spacing. The third scale mark 123a is formed. Accordingly, the user may know the required dimensions by using the number of the first mark cover 121a, the second mark cover 122a, and the third mark cover 123a in the ink line 100a.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을 나타내는 부분 도면이다.9 is a partial view showing 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1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131), 10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132), 1 m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133)은 모두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눈금(132)을 이루는 구는 제1눈금(131)을 이루는 구에 비해 지름이 크다. 또한, 제3눈금(133)을 이루는 구는 제2눈금(132)을 이루는 구에 비해 큰 지름을 갖는다. 이때, 제1눈금(131), 제2눈금(132), 제3눈금(133)의 지름의 비는 사용자가 대상물에 먹물선을 형성하였을 때, 제1눈금(131), 제2눈금(132), 제3눈금(133)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scale 131 representing the 1 cm interval, the second scale 132 representing the 10 cm interval, and the third scale 133 representing the 1 m interval are all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The sphere constituting the second scale 132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phere constituting the first scale 131. In addition, the sphere constituting the third scale 133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phere constituting the second scale 132.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diameters of the first scale 131, the second scale 132, and the third scale 133 is the first scale 131 and the second scale 132 when the user forms a ink line on the object. ),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portion formed by the third scale 133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줄(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 다양한 형태의 눈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대상물에 형성된 먹물선에서 제1눈금, 제2눈금, 제3눈금을 식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먹줄에 눈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은 실줄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구로 형성하고, 10 cm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은 제1눈금을 형성하는 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구로 형성하고, 1m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은 제1눈금을 형성하는 구를 2개 또는 3개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ink l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ypes of scal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user may form a scale on the ink line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user can identify the first scale, the second scale, and the third scale on the ink line formed on the object. For example, the first division indicating 1 cm spacing is formed by a spher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line portion, and the second division indicating 10 cm intervals is formed by a spher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here forming the first division, and is 1 m. The third scale indicating the interval can be formed in succession of two or three spheres forming the first scal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먹줄(200)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 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k lin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먹줄(200)은 소경부(201)와 대경부(202)를 포함한다. 소경부(201)와 대경부(20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L1,L2)를 가지며, 서로 번갈아가며 연속되어 형성된다. 소경부(201)와 대경부(202)의 길이(L1,L2)는 단위 길이, 예를 들면, 1 cm 또는 1 inch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소경부(201)와 대경부(202)의 길이(L1,L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소경부(201)와 대경부(202)의 길이는 2 cm(inch), 5 cm(inch), 10 cm(inch) 등 다양하게 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nk lin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201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202.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 have the same length (L1, L2), as shown in Figure 10, are formed in succession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he lengths L1 and L2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 may be formed in a unit length, for example, 1 cm or 1 inch. However, the lengths L1 and L2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 are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lengths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 and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 may be variously determined, such as 2 cm (inch), 5 cm (inch), and 10 cm (inch).

도 11은 도 10의 먹줄(200)로 대상물에 형성한 먹물선(200a)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먹물선(200a)은 대경부(202)에 대응되는 높이가 높은 직사각형(202a)과 소경부(201)에 대응되는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201a)이 번갈아가며 연속된 직선부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먹물선(200a)에 표시된 대경부(202a) 또는 소경부(201a)의 개수를 세면 간편하게 필요한 치수를 알 수 있다.FIG. 11 illustrates a ink line 200a formed on an object by the ink line 200 of FIG. 10. Referring to FIG. 11, the ink line 200a is a continuous straight portion alternately having a high rectangle 202a corresponding to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 and a low rectangle 201a corresponding 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 Is done.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required dimensions by counting the numb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02a or the small diameter portion 201a displayed on the ink line 200a.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simple components that can be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Substitutions, additions, deletions, and alterations of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먹통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먹통의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g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을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food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1눈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4a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scale of the scale portion of the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2눈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4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cond scale of the scale portion of the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3눈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4c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hird division of the scale portion of the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먹물이 묻는 눈금부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로 형성한 먹물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5 is an enlarged view of a ink line formed of a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cale portion in which ink is buried;

도 6은 먹물이 묻지 않는 눈금부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로 형성한 먹물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6 is an enlarged view of a ink line formed of a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cale portion that does not have ink;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1눈금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 7A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scale of a scale of a blac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2눈금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 7B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cale of the scale of the black line having the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의 눈금부의 제3눈금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7c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scale of the scale portion of the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로 형성한 먹물선의 일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8 is an enlarged view of an example of a ink line formed of a in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Figure 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눈금을 구비한 먹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ack line having a sca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눈금을 구비한 먹줄로 형성한 먹물선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ink line formed by a ink line having a scale of FIG. 10. FIG.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먹통 10; 케이스One; Eaten 10; case

11; 인출구멍 20; 권취드럼11; Lead-out hole 20; Winding drum

22; 회전핸들 30; 먹물유닛22; Rotary handle 30; Ink unit

50; 고정부재 100,200; 먹줄50; Fixing member 100,200; Eat

100a, 200a; 먹물선 101; 실줄부100a, 200a; Ink boat 101; String

101a, 201a; 직선부 110; 눈금부101a, 201a; Straight portion 110; Graduation

111,112,113,121,122,123,131,132,133; 눈금111,112,113,121,122,123,131,132,133; Graduation

Claims (7)

대상물에 먹줄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It is used to feed the object, 상기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ormed to be fixed to the object;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대상물에 먹물로 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실 형상으로 형성된 실줄부; 및A thread line portion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and formed in a thread shape to display a line with ink on the object; And 상기 대상물에 표시된 선에 상기 고정부재로부터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실줄부에 형성된 눈금부;를 포함하며,And a scale formed on the line to display the distance from the fixing member on a line marked on the object. 상기 눈금부는 1 센치미터(cm) 간격을 나타내는 제1눈금과, 10 센치미터 간격을 나타내는 제2눈금, 및 1 미터(meter) 간격을 나타내는 제3눈금을 포함하며,The scale includes a first scale representing a 1 cm interval, a second scale representing a 10 cm interval, and a third scale representing a 1 meter interval, 상기 제1눈금, 제2눈금, 및 제3눈금은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The first scale, the second scale, and the third scale has a gri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눈금부는 상기 실줄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The scale line is provided with a sca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ring li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눈금부는 상기 먹물이 묻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The scale unit is provided with a sca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mat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눈금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눈금은 상기 제1눈금의 지름보다 큰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눈금은 상기 제2눈금의 지름보다 큰 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The first scale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e second scale is formed in a sphere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scale, the third sca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pher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cale Equipped wit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눈금은 한 개의 구로 형성되며, 상기 제2눈금은 두 개의 구로 형성되며, 상기 제3눈금은 세 개의 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금을 구비한 먹줄.The first scale is formed of one sphere, the second scale is formed of two spheres, and the third scale is formed with three spheres. 인출구멍이 형성된 케이스;A case in which a drawing hole is formed;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권취드럼;A wind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se; 상기 권취드럼에 감겨있으며,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기 청구항 1항 내지 3항, 5항,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눈금을 구비한 먹줄; 및A feedline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and having a sca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and 6 which can be drawn out of the case through the extraction hole; And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권취드럼과 상기 인출구멍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먹줄이 상기 인출구멍을 통해 인출될 때 상기 먹줄에 먹물을 묻히도록 형성된 먹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통.And a feeding unit installed in the case between the winding drum and the withdrawal hole, the ink feeding unit configured to bury the ink in the feeding line when the feeding line is withdrawn through the withdrawing hole.
KR1020090052094A 2009-06-12 2009-06-12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KR101121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94A KR101121627B1 (en) 2009-06-12 2009-06-12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94A KR101121627B1 (en) 2009-06-12 2009-06-12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13A KR20100133513A (en) 2010-12-22
KR101121627B1 true KR101121627B1 (en) 2012-03-09

Family

ID=4350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94A KR101121627B1 (en) 2009-06-12 2009-06-12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62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861A (en) 2000-01-20 2001-07-24 Kikuo Mimukai Marking rule and cutting tool sup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861A (en) 2000-01-20 2001-07-24 Kikuo Mimukai Marking rule and cutting tool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13A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411B2 (en) Cylindrical ruler
US7174656B1 (en) Tape measure system
EP2056065B1 (en) Spirit level with sliding measurement system
US6345448B1 (en) Combination protractor/chalk line device
KR200442056Y1 (en) A multipurpose drawing plate
KR102036509B1 (en) Rebound Hardness Position Mark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US9746301B2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marker
KR101400801B1 (en) Multifunctional tool for measuring
KR100964405B1 (en) Measuring tape for draw
US5067249A (en) Map scaling instrument
KR101121627B1 (en) Inking line having scale mark and Inkpad case having the same
US20020113162A1 (en) Indicator for dispensing rolled goods
US8732973B2 (en) Measurement device
US9823055B2 (en) Measuring devices with integrated measurement conversions from fraction-inches to decimal-inches and vice versa
US20050247789A1 (en) Locating and tracing tool
US7055261B2 (en) Versatile measurement device for three dimensions
US4669905A (en) Marking apparatus
KR20100034510A (en) Inking liner having function of tape measure
JP2006322805A (en) Water-depth measuring instrument
CN206126489U (en) Print roller of placing of coiled material
JP2017020920A (en) scale
KR200216510Y1 (en) level ruler equipped with protractor a turning weight
KR200359414Y1 (en) Measuring tape with finger guard
CN203293177U (en) Gravity-orientation multi-angle cartridge-free measuring and marking device
CN209927022U (en) Feeler gauge and measu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