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135B1 - 조립식 히트파이프 - Google Patents

조립식 히트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135B1
KR101121135B1 KR1020090060068A KR20090060068A KR101121135B1 KR 101121135 B1 KR101121135 B1 KR 101121135B1 KR 1020090060068 A KR1020090060068 A KR 1020090060068A KR 20090060068 A KR20090060068 A KR 20090060068A KR 101121135 B1 KR101121135 B1 KR 10112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pipe
stopper
male thread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54A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이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기 filed Critical 이홍기
Priority to KR102009006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1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83Means for filling or sealin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7/00Cleaning by vibration or pressure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히트파이프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이프(1), 하부 마개(2), 제 1 상부 마개(3), 제 1 밀봉 마개(4) 및 제 2 밀봉 마개(5)로 구성된 조립식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히트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의 세척 및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조립식 히트파이프 {FABRICATION HEAT PIPE}
본 발명은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히트파이프의 세척 및 건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히트파이프 제조과정은 파이프 내부를 특수 세척유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파이프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세척유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특별하게 고안된 고온의 건조기에서 오랜 시간 동안 고온으로 가열하여 파이프 내부를 건조한다.
이러한 제조공정으로 건조하면 파이프 내부에 분말형태의 불순물이 남게 된다.
이후, 파이프 내부에 남아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강력한 에어콤프레셔를 가동하여 높은 압력으로 불어내는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히트파이프 내부의 세척작업이 끝나게 된다.
이러한, 히트파이프를 제조하여 생산하고 있는 영세한 동종 업체는 세척 단계를 생략하거나 무시하거나, 원형 와이어 브러시를 이용하여 파이프 내부를 몇 차례 문지르는 것으로 파이프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 끝내고 있다.
때문에 완벽한 히트파이프를 제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히트파이프를 내부세척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는 이유는 히트파이프의 성능과 수명이 파이프 내부 세척에 의한 청결 상태에 따라 비례한다는 것을 동종업체에서는 이미 일반화된 상식이며 히트파이프에 관련된 여러 가지 연구문헌에서도 알 수 있다.
파이프 내부세척 공정을 완료한 후 파이프 한쪽 끝 부분을 알곤가스용접(스테인리스 파이프) 또는 줄임(동파이프)형태로 마감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은 열매체 주입구가 형성된 마개를 알곤용접으로 부착하거나 줄임형태로 만든다.
이러한 히트파이프 제조공정은 동업체마다 제조하여 생산하는 히트파이프의 재질을 크게 분류하면 스테인리스 파이프와 동파이프 두 종류가 있기 때문이다.
파이프 한쪽 단부마개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열매체 주입구를 통하여 메탄올, 프레온, 암모니아 또는 메탄올과 증류수를 혼합한 열매체를 적당량 주입하고 각 업체마다 자체적으로 특별하게 고안한 진공기에 열매체가 주입된 파이프를 삽입하고 진공기를 작동시켜 파이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파이프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열매체 주입구 부분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방법에 따라 밀봉처리하는 것으로 히트파이프 제조공정은 모두 끝나는 것이며, 이때 파이프 내부 진공작업 처리방 식에 따라 히트파이프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초래한다.
종래의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은 이처럼 여러 단계의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져 히트파이프를 제조하기 위하여 파이프세척기, 파이프건조기, 한쪽 끝 부분 압착기 또는 알곤가스용접기, 열매체주입기, 진공기, 밀봉처리기, 제품검수기 등 여러 가지의 제조 장치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제조설비 자금이 투입되는 요인이 발생하였다.
이러 인해 히트파이프 생산원가를 줄이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 업체에서 생산하고 있는 히트파이프 제조방법의 원리는 거의 흡사하다고 불 수 있지만 제조 장비 기계 구조와 설비에는 자체적으로 고안한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형상으로는 다르고 이로 인해 제조 장치에 따라 파이프 내부 진공상태에 따라 업체마다 생산하는 히트파이프의 성능이 다르다.
종래의 히트파이프를 주택 난방에 쉽게 접목시키지 못하는 것은 주택시공업체에서 자재 구매가격이 크게 부담되지 않고 기업 이윤도 높게 발생되는 엑셀(X.L) 파이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는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면 에너지가 절약된다는 사실을 건축업계에서 인정하면서도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주택 난방을 하려고 할 때 히트파이프 구매 가격이 높아 건축비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업이윤이 적게 발생되는 히트파이프를 기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미 에너지 관리 공단에서는 히트파이프(초전도열파이프)를 우수난방설비로 분류하여 시설자금도 지원해주고 있지만 과다한 초기시설투자비 때문에 주택 난방자재로써 활성화되지 못하고 구매수요가 늘어나지 않을 뿐 아니라 히트파이프 생산업체의 생산 활동이 부진하고 히트파이프 우수성을 알리는 홍보활동도 적극적이지 못하다.
히트파이프는 주식회사 대열에너지(상품명-Z파이프)에 의해서 1994년도부터 시중에 공급되기 시작하였고 히트파이프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해외(카자흐스탄)에도 수출한바 있지만 국내 파이프의 원자재비는 상승하고 환율은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을 계속할 수 없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의 제조 생산 원가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히트파이프의 제조 방법을 단순화시켜 히트파이프의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 따른 일 측면은 양측 종단 내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1 암나사산과 제 2 암나사산을 구 비한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일측 외부에 제 1 숫나사산을 구비하고, 제 1 암나사산과 제 1 숫나사산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로 구성된 하부 마개; 상기 파이프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외부에 제 2 숫나사산을 구비한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에 연장되고 제 1 체결부의 제 2 숫나사산과 제 2 숫나사산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에 고정되기 위한 제 2 고정부와, 타측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3 숫나사산을 구비하고 내부에 제 2 천공을 구비한 제 2 체결부와, 상기 제 1 체결부와 제 2 고정부의 내부에 제 1 천공이 형성되고 형성된 제 1 천공 내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제 3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상부 마개; 상기 제 1 상부 마개의 제 3 암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 4 숫나사산을 구비하고 타측에 제 4 숫나사산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돌리개가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홈을 구비한 제 1 밀봉 마개; 및 상기 제 1 상부 마개의 제 3 숫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4 암나사산을 구비한 뚜껑 형상의 제 2 밀봉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 따른 일 측면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장치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와 세척유를 담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본체; 히트파이프가 상기 본체에 기울어지게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받침과 상기 본체 하부 타측에 제 1 받침대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제 2 받침으로 구성된 파이프 받침부; 상기 본체 측면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본체 내부에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부; 상기 본체 측면에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고열 발생부; 및 상기 각 본체 내부에 담긴 세척유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관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관을 통해 본체 내부에 담긴 세척유를 이동시키는 세척오일 이동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히트파이프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의 세척 및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정 실시예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여러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커버되는 다수의 여러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특정 방법으로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속성들을 나타내거나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수적인 여러 신규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중 제 1 상부 마개의 전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중 제 1 상부 마개의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는 파이프(1), 하부 마개(2), 제 1 상부 마개(3), 제 1 밀봉 마개(4) 및 제 2 밀봉 마개(5)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1)는 양측 종단 내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1 암나사산(11)과 제 2 암나사산(12)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마개(2)는 파이프(1)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일측 외부에 제 1 숫나사산(21)을 구비하고, 제 1 암나사산(11)과 제 1 숫나사산(21)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1)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22)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마개(2)는 제 1 고정부(22)의 중앙에 상기 하부 마개(2)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돌리개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 체결홈(23)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상부 마개(3)는 파이프(1)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외부에 제 2 숫나사산(31-1)을 구비한 제 1 체결부(31)와, 상기 제 1 체결부(31)에 연장되고 제 1 체결부(31)의 제 2 숫나사산(31-1)과 제 2 숫나사산(31-1)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1)에 고정되기 위한 제 2 고정부(32)와, 타측에 나 사 결합이 가능한 제 3 숫나사산(33-1)을 구비하고 내부에 제 2 천공(36)을 구비한 제 2 체결부(33)와, 상기 제 1 체결부(31)와 제 2 고정부(32)의 내부에 제 1 천공(34)이 형성되고 형성된 제 1 천공(34) 내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제 3 암나사산(35)이 형성된다.
제 1 밀봉 마개(4)는 제 1 상부 마개(3)의 제 3 암나사산(35)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 4 숫나사산(41)을 구비하고 타측에 제 4 숫나사산(41)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돌리개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 체결홈(42)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 형상의 제 2 밀봉 마개(5)는 제 1 상부 마개(3)의 제 3 숫나사산(33-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4 암나사산(51)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 2 밀봉 마개(5)는 뚜껑 형상의 바깥둘레를 따라 널링(52)을 갖는다.
한편, 제 1 밀봉 마개(4)의 제 2 체결 홈(42)과 하부 마개(2)의 제 1 체결 홈(23)은, 십자, 일자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나사 결합 시, 밀봉 제를 첨가하여 체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이프(1)의 제 1 암나사산(11)과 하부 마개(2)의 제 1 숫나사산(21)을 제 1 고정부(22)가 파이프(1)에 고정될 때까지 나사 조립한다. 이때, 하부 마개(2)의 제 1 체결홈(23)에 하부 마개(2)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돌리개를 통해 나사 조립한다.
이어서, 파이프(1)의 제 2 암나사산(12)과 제 1 상부 마개(3)의 제 1 체결 부(31)에 형성된 제 2 숫나사산(31-1)을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체결부(31)는 제 2 고정부(32)까지 체결한다.
한편, 나사 결합 시 암나사산과 숫나사산 사이에 소량의 밀봉제(협기성 금속 접착 밀봉제)를 바른 후 나사 결합을 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가 하부 마개(2)와 제 1 상부 마개(3)가 체결된 상태에서 제 1 상부 마개(3)의 제 1 천공(34)을 통해 열매체를 주입한다. 여기서, 열매체는 일반적으로 아세톤과 증류수를 50:50으로 섞어 제조한다.
이때, 주입하고자 하는 열매체의 용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히트파이프(100)의 체적의 5%이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에 열매체를 주입한 후 제 1 상부 마개(3)가 위쪽을 향하게 하여 밀봉작업대에 기대어 세운다.
섭씨 90도 이상의 온수통에 히트파이프(100)의 아래쪽을 담근다.
그러면 파이프(1) 내부에 주입된 열매체 성분 중 아세톤이 빠른 속도록 기화되어 상부 마개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천공(34)을 통해 파이프(1) 내부의 공기와 함께 분출된다.
이렇게 제 1 천공(34)을 통해 분출을 시작하여 파이프(1)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면 액체 상태의 증류수가 분출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파이프(1) 내부의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이다.
즉, 온도계(도면 부호 미기재)를 통해 파이프의 표면 온도가 83.5도가 되었 을 때 제 1 상부 마개(3)에 형성된 제 1 천공(34) 내부의 제 3 암나사산(35)과 제 4 숫나사산(41)을 구비한 제 1 밀봉 마개(4)를 나사 결합한다. 즉, 제 1 밀봉 마개(4)에 형성된 제 2 체결홈(42)에 나사돌리개를 고정한 후 나사 결합을 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 마개(3)에 형성된 제 3 숫나사산(33-1)과 뚜껑 형상의 제 2 밀봉 마개(5)의 제 4 암나사산(51)을 나사 결합시킨다. 이때, 제 2 밀봉 마개(5)는 뚜껑 형상의 바깥둘레를 따라 널링(52)이 파여 있기 때문에 손으로도 쉽게 조일 수 있다.
한편, 제 1 밀봉 마개(4)의 제 2 체결홈(42)과 하부 마개(2)의 제 1 체결홈(23)은, 십자, 일자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나사 결합 시, 밀봉제를 첨가하여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의 사시도로서,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는 본체(200), 파이프 받침부(300), 진동부(400), 고열 발생부(500) 및 이동펌프(600)로 구성된다.
본체(200)는 히트파이프(100)와 세척유(101)를 담는다. 이러한 본체(200)는 히트파이프(100)를 세척하고 건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건조실로 나눠지며, 특수 칸막이를 통해 세척/건조실과 세척/건조실이 구분된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척/건조실(210)과 제 2 세척/건조실(220)만으로 구성하나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체(200)의 상부에는 본체를 여/닫을 수 있는 개/폐식 문(201)과 도어 손잡이(202)를 가지며, 세척유 교체용 밸브(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받침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100)가 본체(200)에 기울어지게 놓여 질 수 있도록 본체(200) 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받침(310)과 본체(200) 하부 타측에 제 1 받침(310)대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제 2 받침(320)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 측면에 장착되어 초음파를 본체(200) 내부에 제공한다.
고열 발생부(5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 측면에 장착되어 본체(200) 내부에 열을 제공한다.
세척오일 이동펌프(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 또는 제 2 세척/건조실(220) 내부에 담긴 세척유(10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관(610)을 구비하며, 이동관(610)을 통해 본체(200) 내부에 담긴 세척유(101)를 다른 본체(20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본체(200)는 밑면에 방진 고무(700)가 설치되어 진동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세척 및 건조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진동부(400), 고열 발생부(500) 및 이동 펌프(600)와 연결되어, 히트파이프(100)를 본체(200)에 넣어놓고 세척유(101)를 히트파이프(100)가 모두 잠기도록 넣은 후 진동부(400)를 동작시켜 초음파를 일정 시간 본체(200) 내부에 제공하여 히트파이프(100) 속을 세척한 후 세척오일 이동펌프(600)를 작동시켜 본체(200) 내부에 담겨있는 세척유(101)를 다른 본체(200)로 이동시키고 이후 고열 발생부(500)를 통해 히트파이프(100)만 남은 본체(200)의 실내 온도를 높여 세척이 완료된 히트파이프(100)를 건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과 제 2 세척/건조실(220)에 히트파이프(100)를 각각 쌓아 놓는다. 그러면 히트파이프(100)는 파이프 받침부(300)의 제 1 받침(310)과 제 2 받침(320)에 의해 기울어지게 놓여진다.
이후,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에만 세척유(101)를 넣는다. 이때, 세척유(101)는 히트파이프(100)가 다 잠기도록 한다.
이어서, 본체(200)의 측면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부(400)를 통해 초음파 또는 진동을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 내에 제공한다.
그러면,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에 놓인 히트파이프(100)는 진동 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또는 진동에 의해 미세한 떨림 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히트파이프(100) 내부에 존재하는 불순물들은 기울어진 히트파이프를 따라 제 1 세척/건조실(210)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일정 시간 동안 상기의 작업을 거친 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오일 이동펌프(600)를 통해 본체(200)의 제 1 세척/건조실(210)에 있는 세척유(101)를 제 2 세척/건조실(220)로 옮기게 된다.
제 1 세척/건조실(210)의 세척유(101)가 제 2 세척/건조실(220)로 다 옮겨진 후, 고열 발생부(500)를 통해 제 1 세척/건조실(210) 내부에 열을 제공하여, 제 1 세척/건조실(210)에서 내부가 세척된 히트파이프(100)를 건조한다.
만약, 제 1 세척/건조실(210)에 있는 히트파이프(100)가 세척과 건조가 다 끝났을 경우 꺼내고 세척되지 않은 히트파이프(100)를 넣을 수도 있다.
한편, 본체(200)의 제 2 세척/건조실(220)로 세척유(101)가 이동하게 되면, 제 2 세척/건조실(220)에 놓인 히트파이프(100)를 세척하게 된다. 이는 제 1 세척/건조실(210)에서 수행하였던 세척 및 건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본체(200)의 밑면에는 방진 고무(700)가 설치되어 진동을 차단할 수도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강기기, 가전기기, 정보통신, 기계장치, 대체에너지 기술 접목, 환경 개선, 및 특수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의 분해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중 제 1 상부 마개의 전면도.
도 2c는 도 2a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중 제 1 상부 마개의 후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중 제 1 상부 마개와 하부 마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히트파이프의 시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서 파이프 받침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9a 및 9b는 도 6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서 파이프 받침부의 제 1 받침과 제 2 받침을 나타내기 위한 다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 히트파이프가 담겨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파이프 세척 및 건조 장치에서 제 1 세 척/건조실과 제 2 세척/건조실을 통해 번갈아 가며 히트파이프를 세척 및 건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11 : 제 1 암나사산
12 : 제 2 암나사산 2 : 하부 마개
21 : 숫나사산 22 : 제 1 고정부
23 : 제 1 체결홈 3 : 제 1 상부 마개
31 : 제 1 체결부 31-1 : 제 2 숫나사산
32 : 제 2 고정부 33 : 제 2 체결부
34 : 제 1 천공 35 : 제 3 암나사산
36 : 제 2 천공 4 : 제 1 밀봉 마개
41 : 제 4 숫나사산 42 : 제 2 체결홈
5 : 제 2 밀봉 마개 51 : 제 4 암나사산
52 : 널링 100 : 히트파이프
200 : 본체 300 : 파이프 받침부
400 : 진동부 500 : 고열 발생부
600 : 이동펌프

Claims (8)

  1. 양측 종단 내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1 암나사산(11)과 제 2 암나사산(12)을 구비한 파이프(1);
    상기 파이프(1)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일측 외부에 제 1 숫나사산(21)을 구비하고, 제 1 암나사산(11)과 제 1 숫나사산(21)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1)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22)로 구성된 하부 마개(2);
    상기 파이프(1)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외부에 제 2 숫나사산(31-1)을 구비한 제 1 체결부(31)와, 상기 제 1 체결부(31)에 연장되고 제 1 체결부(31)의 제 2 숫나사산(31-1)과 제 2 숫나사산(31-1)이 나사 결합된 후 상기 파이프(1)에 고정되기 위한 제 2 고정부(32)와, 타측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3 숫나사산(33-1)을 구비하고 내부에 제 2 천공(36)을 구비한 제 2 체결부(33)와, 상기 제 1 체결부(31)와 제 2 고정부(32)의 내부에 제 1 천공(34)이 형성되고 형성된 제 1 천공(34) 내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제 3 암나사산(35)이 형성된 제 1 상부 마개(3);
    상기 제 1 상부 마개(3)의 제 3 암나사산(35)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 4 숫나사산(41)을 구비하고 타측에 제 4 숫나사산(41)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돌리개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 체결홈(42)을 구비한 제 1 밀봉 마개(4); 및
    상기 제 1 상부 마개(3)의 제 3 숫나사산(33-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제 4 암나사산(51)을 구비한 뚜껑 형상의 제 2 밀봉 마개(5)를 포함하는 히트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2)는,
    상기 제 1 고정부(22)의 중앙에 상기 하부 마개(2)를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돌리개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 체결홈(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봉 마개(4)의 제 2 체결홈(42)과 하부 마개(2)의 제 1 체결홈(23)은,
    십자, 일자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밀봉 마개(5)는,
    캡 형상의 바깥둘레를 따라 널링(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나사 결합 시, 밀봉제를 첨가하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파이프.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60068A 2009-07-02 2009-07-02 조립식 히트파이프 KR10112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68A KR101121135B1 (ko) 2009-07-02 2009-07-02 조립식 히트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68A KR101121135B1 (ko) 2009-07-02 2009-07-02 조립식 히트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54A KR20110002554A (ko) 2011-01-10
KR101121135B1 true KR101121135B1 (ko) 2012-03-19

Family

ID=4361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068A KR101121135B1 (ko) 2009-07-02 2009-07-02 조립식 히트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0561B (zh) * 2011-11-01 2014-12-24 昆山巨仲电子有限公司 热管式太阳能集热器
KR102153929B1 (ko) * 2020-06-12 2020-09-09 주식회사 레딕스 Led 조명장치용 u자형 방열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CN113242680A (zh) * 2021-05-28 2021-08-10 惠州汉旭五金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散热效果的液冷散热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070Y1 (ko) 2000-10-31 2001-03-15 김평동 히트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한 히트파이프 헤드
KR200380721Y1 (ko) 2004-11-18 2005-04-07 이건종 히트파이프 결합구조체
KR20090004784U (ko) * 2007-11-15 2009-05-20 김부동 히트파이프 헤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070Y1 (ko) 2000-10-31 2001-03-15 김평동 히트파이프의 결합이 용이한 히트파이프 헤드
KR200380721Y1 (ko) 2004-11-18 2005-04-07 이건종 히트파이프 결합구조체
KR20090004784U (ko) * 2007-11-15 2009-05-20 김부동 히트파이프 헤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54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135B1 (ko) 조립식 히트파이프
WO2006126810A3 (en) Steam generator of drum washing machine
WO2006097901A3 (en) A washer/dryer
JP6489721B2 (ja) スチームモップ用スチーム加熱装置および方法
NO20071114L (no) Varmevekslertank med innretninger for a resirkulere rensepartikler
CN2717548Y (zh) 真空超声波清洗干燥装置
CN206659774U (zh) 一种带臭氧发生装置的台嵌式洗碗机
CN103611701A (zh) 带有在线电导控制的组合式超声波清洗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043383A (zh) 一种基于量子能量的流体处理装置
CN104959254A (zh) 一种喷涂线
CN203437366U (zh) 机械零部件清洗装置
KR20070052468A (ko) 가열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증기 발생 장치 및 가전제품
CN208050491U (zh) 一种机械零部件的清洗烘干装置
CN210365258U (zh) 一种化工用储蓄罐
KR20020087227A (ko)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및 히트파이프
CN209235797U (zh) 气泡水机
WO2013093183A1 (en) Ultrasonic cleaner for a heat exchanger
CN211328385U (zh) 一种新型的花生油过滤装置
CN102266157A (zh) 便携式多功能眼镜盒
CN102284441A (zh) 塑料件蒸气清洗系统及清洗方法
US20080066782A1 (en) Turbulent Flow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940386U (zh) 热交换器和采用其的环保型工业零件清洗机
CN203392934U (zh) 一种多功能电磁除垢器
JP3195085U (ja) 超臨界流体洗浄装置
CN209006062U (zh) 一种快速连接的注胶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