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12B1 -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12B1
KR101120512B1 KR1020090073753A KR20090073753A KR101120512B1 KR 101120512 B1 KR101120512 B1 KR 101120512B1 KR 1020090073753 A KR1020090073753 A KR 1020090073753A KR 20090073753 A KR20090073753 A KR 20090073753A KR 101120512 B1 KR101120512 B1 KR 101120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cb module
magnet
attachment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76A (ko
Inventor
방완주
최연석
주원호
Original Assignee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니콤티디 filed Critical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to KR102009007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5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17Anti-theft devices, e.g. tags or monitors, fixed to articles, e.g. clothes, and to be removed at the check-out of shop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부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전되거나 경고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PCB모듈, PCB모듈을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시키도록 양단부가 PCB모듈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부, 부착부의 일단을 PCB모듈에 고정시키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지부, 부착부의 타단을 PCB모듈에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되, 제1접지부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PCB모듈을 접속시키는 제2접지부, 및 PCB모듈과 제1접지부, 제2접지부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부착부의 양단부가 PCB모듈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지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정상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착부를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고, 종래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난, 방지, 장치, 자력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Self-sounding antitheft device with mgnet}
본 발명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난방지대상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착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부착부의 탈부착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가 용이하게 탈부착시키도록 하여 도난방지는 물론, 원가를 절감시키고, 관리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난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난방지장치는 비교적 고가의 물건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되어 정상적인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검색대(도난 방지장치 인식지역: 이하, '검색대'라 함.)를 통과하면 경보음이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것의 동작원리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경보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데, 전자기 유도현상이란 솔레노이드(코일) 내부에 자기장이 변하면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유통매장(마트), 도서관, 음반 등의 판매점에서 제품을 밖으로 나오려고 하면 검색대를 통과해야하는데 검색대에서는 코일이 감겨져 있어서 조그마한 자기장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다.
그래서 책이나, 물건에는 자기장 성질을 갖는 태그 형태의 도난방지장치를 붙여 자기장의 감지 성질을 없애지 않고 나가게 되면 전자기 유도현상을 일으켜 이것을 신호로 받아들여 검색대에서 경보가 발생된다.
한편, 최근 발달하고 있는 RFID 기술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사물의 정보 내용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기술이다.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태그ㆍ카드와 리더, 호스트 컴퓨터(혹은 응용)로 구성된다.
태그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기능과 메모리, 안테나(혹은 전원)로 구성되며, 태그의 메모리상의 IDㆍ정보를 무선주파수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한다.
태그 메모리상의 IDㆍ정보와 무선주파수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는 대상과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주어진 환경에 따라 RFID시스템의 다양한 응용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다양한 도난방지장치들은 제품에 부착된 태그가 단순히 감지기에 통과하면 경보벨을 울려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품에서 태그를 제거할 경우 도난에 전혀 대처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그와 감지기간에 송수신만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보안수준이 낮아 위험요소에 크게 노출되어 있으며, 모든 제품에 공용 태그가 적용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보안 수준을 달성할 수 없고 태그와 제품간에 매칭정보가 전혀 없어 보안수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자체적인 전원을 갖고 정상적인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단전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도난방지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도난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도난방지장치의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난방지장치(10)는 케이스(20)와 PCB모듈(30), 부착부(40), 제1접지부(50), 제2접지부(60) 및 버튼(7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부에 PCB모듈(30)를 수납하게 되며, PCB모듈(30)은 전원부,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PCB모듈(30)은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어 경고감지구역을 정상적인 해제절차 없이 통과할 경우 제어부가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켜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부(40)는 제1접지부(50)와 제2접지부(60)에 의해 PCB모듈(30)에 양단부가 탈부착되는 것으로, 일단(42)은 제1접지부(50)에 의해 PCB모듈(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44)은 도난방지대상물의 태그 등을 통과시킨 후, 제2접지부(60)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난방지장치를 제거할 경우, 버튼(70)을 눌러 제2접지부(60)를 해제함에 따라 부착부(40)의 타단을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 해제과정을 정상적인 구역에서 관리자가 하지 않을 경우, PCB모듈(30)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된다.
이는, PCB모듈(30)이 자체 전원부를 가지고 있고, 부착부(40)에 의해 제1접지부(50)와 제2접지부(6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강제적으로 단전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도난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2접지부(6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방된 접지판(62)이 구비되고, 이 접지판(62)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64)가 구비된다.
이때, 접지판(62)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탄성을 갖고 외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접지편(62a)이 형성되며, 이 접지편(62a)은 버튼(70)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부착부(40)의 타단을 제2접지부(60)에 의해 고정시킬 경우, 부착부(40)의 타단(44)이 한 쌍의 접지편(62a)을 좌우로 벌려 끼워지되, 탄성부재(64)를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되면, 부착부(40)의 타단 외주에 형성된 고정홈에 한 쌍의 접지편(62a)의 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부착부(40)의 타단이 제2접지부(60)에 고정되어 PCB모듈(30)을 작동시키게 되고, 부착부(40)의 타단을 분리할 경우, 버튼(70)을 하측으로 눌러 한 쌍의 접지편(62a)을 좌우로 벌려 접지편(62a)의 단부를 부착부(40)의 타단 고정홈 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부착부(40)의 고정홈에서 접지편(62a)의 단부를 이탈시키면, 탄성부재(64)가 부착부(40)의 타단(44)을 상측으로 밀어 용이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물론, 이 과정은 정상적인 해제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PCB모듈(30)의 고유 ID를 해제했을 경우, 경고음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제2접지부(60)의 구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많아 비용이 많으며, 제작상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해제 시, 버튼(70)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부착부(40)의 타단(44)이 분리되지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분리할 경우, 부품들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태그의 끈 형상의 부착부를 갖는 도난방지장치를 구비하여 도난방지대상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 전원부와 스피커를 갖는 PCB모듈을 구비하여 부착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PCB모듈이 정상적인 해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전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자력을 갖는 제2접지부를 구비하여 해제과정 시, 일정 힘을 가하여 부착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새로운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 시에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력을 갖는 제2접지부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도난방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부와 스피커가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전되거나 경고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PCB모듈, 상기 PCB모듈을 도난방지대 상물에 부착시키도록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일단을 상기 PCB모듈에 고정시키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지부,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상기 PCB모듈에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되, 상기 제1접지부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PCB모듈을 접속시키는 제2접지부, 및 상기 PCB모듈과 제1접지부, 제2접지부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의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지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설치턱, 상기 설치턱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PCB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착부의 타단이 접지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설치턱은 적층된 자석과 접지판의 외측을 감싸되, 상기 부착부의 타단이 탈부착되는 상기 접지판의 상면 일부만 개방된다.
또한, 상기 자석은 설치턱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자석과 접지판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절연재질의 분리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분리할 경우, 상기 분리키를 이용하여 자석을 접지판에서 분리함에 따라 상기 접지판의 자력을 감소시켜 부착부의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제2접지부는, 자력을 갖는 자석, 및 상기 자석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PCB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의 타단이 접지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자석은 접지판의 내부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과 접지판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절연재질의 분리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분리할 경우, 상기 분리키를 이용하여 자석을 접지판에서 분리함에 따라 상기 접지판의 자력을 감소시켜 부착부의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제2접지부의 자력은 0.01 ~ 0.2 T(테슬라)이다.
또한, 상기 제2접지부와 인접한 케이스의 접지공의 내측면에 접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접지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부착부의 타단 외측면에는 접지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에 의하면, 부착부에 의해 도난방지대상물에 손상 없이 부착시킬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부착부를 단전시키거나 경고감지지역을 통과할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를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으며, 종래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에 분리키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분리키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100)는 케이스(110)와 PCB모듈(120), 부착부(130), 제1접지부(140) 및 제2접지부(150)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PCB모듈(120)과 제1접지부(140), 제2접지부(150)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부착부(130)의 양단부가 PCB모듈(12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지공(112, 114)이 각각 형성된다.
PCB모듈(120)은 고유ID를 갖고,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전되거나 경고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켜 도난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PCB모듈(120)은 기판(122)과 전원부(124), 스피커(126) 및 제어 부(128)로 구성되며, 기판(122)에 전원부(124), 스피커(126) 및 제어부(128)가 설치된다.
전원부(124)는 자체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128)는 고유ID를 설정하여 무선주파수(RF)에 의해 인터페이스하며, 정상적인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강제적으로 단전되거나 경보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스피커(126)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는, 전원부(124)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제어부(128)가 작동될 수 있으며, 이 전원은 스피커(126)도 작동시켜 경고음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다.
부착부(130)는 PCB모듈(120)을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시키도록 양단부가 PCB모듈(120)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것으로, 일단(132)과 타단(134)이 PCB모듈(120)에 각각 연결된다.
이 연결은 제1접지부(140)와 제2접지부(150)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1접지부(140)는 부착부(130)의 일단(132)을 PCB모듈(120)에 고정시키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일 실시 예로, 제1접지부(140)는 부착부(130)의 일단(132)을 PCB모듈(120)에 나사결합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제1접지부(140)는 부착부(130)의 일단(132)이 PCB모듈(1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정상적인 해제절차 시, 부착부(130)의 타단(134)이 분리되더라도 일단(132)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부(130)가 분실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접지부(150)는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PCB모듈(120)에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접지부(150)는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PCB모듈(1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1접지부(140)와 함께 부착부(130)를 PCB모듈(1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제1접지부(140)와 제2접지부(150)에 의해 부착부(130)의 연결은 PCB모듈(120)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연결이 정상적인 해제절차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2접지부(150)는 설치턱(152)과 자석(154) 및 접지판(156)으로 구성되며, 설치턱(152)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자석(154)은 설치턱(152)에 설치되고, 접지판(156)은 자석(154)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PCB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부착부(130)의 타단(134)과 접지되어 PCB모듈(120)을 작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PCB모듈(120)에 연결된 접지판(156)과 부착부(130)의 타단(134)은 자석(154)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설치턱(152)은 적층된 자석(154)과 접지판(156)의 외측을 감싸되, 부착부(130)의 타단(134)이 탈부착되는 접지판(156)의 상면 일부만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자석(154)이 설치턱(15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 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54)은 설치턱(152)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자석(154)과 접지판(156) 사이에 끼울 수 있는 분리키(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분리키(160)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분리할 경우, 분리키(160)를 자석(154)과 접지판(156) 사이에 끼워 자석(154)과 접지판(156)을 분리함에 따라 접지판(156)의 자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접지판(156)에 전달되는 자력을 감소시키면, 부착부(130)의 단부(134)를 결합시키던 자력이 감소되어 부착부(130)의 단부(134)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접지부(15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54')과 접지판(156')으로 구성된다.
접지판(156')은 자석(154')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PCB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부착부(130)의 타단(134)이 접지된다.
이 접지판(156')과 부착부(130)의 타단(134)의 결합력은 자석(154')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했을 경우, 부착부(130)의 타단(134)이 접지판(156')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순한 구조를 갖는 제2접지부(150')는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어 그 활용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54')은 접지판(156')의 내부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자석(154')과 접지판(156') 사이에 끼울 수 있는 분리키(160')가 더 구비된다.
이 분리키(160')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분리할 경우, 분리키(160')를 자석(154')과 접지판(156') 사이에 끼워 자석(154')과 접지판(156')을 분리함에 따라 접지판(156')의 자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접지판(156')에 전달되는 자력을 감소시키면,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결합시키던 자력이 감소되어 부착부(130)의 타단(134)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접지부(150, 150')의 자석(154, 154')이 갖는 자력은 0.01 ~ 0.2 T(테슬라)로, 너무 쉽게 부착부(130)의 타단(134)이 분리되거나 너무 많은 힘이 소요될 경우, 관리자의 피로도가 발생됨에 따라 피로도를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접지부(150, 150')와 인접한 케이스(110)의 접지공(114)의 내측면에 접지돌기(116)가 형성되고, 이 접지돌기(116)에 대응되도록 부착부(130)의 타단(134) 외측면에는 접지홈(136)이 더 구비된다.
이는, 제2접지부(150, 150')의 결합력을 보조하기 위함으로, 자석(154, 154')의 자력이 감소되더라도 부착부(130)의 단부(134)가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도난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도난방지장치의 접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에 분리키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분리키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의 제2접지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난 방지장치 110 : 케이스
120 : PCB모듈 122 : 기판
124 : 전원부 126 : 스피커
128 : 제어부 130 : 부착부
140 : 제1접지부 150, 150' : 제2접지부
152 : 설치턱 154, 154' : 자석
156, 156' : 접지판 160, 160' : 분리키

Claims (8)

  1. 전원부(124)와 스피커(126)가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전되거나 경고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PCB모듈(120);
    상기 PCB모듈을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시키도록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부(130);
    상기 부착부의 일단을 상기 PCB모듈에 고정시키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지부(140);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상기 PCB모듈에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되, 상기 제1접지부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PCB모듈을 접속시키는 제2접지부(150); 및
    상기 PCB모듈과 제1접지부, 제2접지부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의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지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지부(150)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설치턱(152);
    상기 설치턱에 설치되는 자석(154); 및
    상기 자석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PCB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부착부의 타단이 접지되는 접지판(1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턱(152)은 적층된 자석(154)과 접지판(156)의 외측을 감싸되, 상기 부착부(130)의 타단이 탈부착되는 상기 접지판의 상면 일부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설치턱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상기 자석과 접지판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절연재질의 분리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분리할 경우, 상기 분리키를 이용하여 자석을 접지판에서 분리함에 따라 상기 접지판의 자력을 감소시켜 부착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5. 전원부(124)와 스피커(126)가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해제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전되거나 경고감지구역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시키는 PCB모듈(120);
    상기 PCB모듈을 도난방지대상물에 부착시키도록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부착부(130);
    상기 부착부의 일단을 상기 PCB모듈에 고정시키되,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접지부(140);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상기 PCB모듈에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키되, 상기 제1접지부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PCB모듈을 접속시키는 제2접지부(150'); 및
    상기 PCB모듈과 제1접지부, 제2접지부가 설치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의 양단부가 상기 PCB모듈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접지공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지부(150')는,
    자력을 갖는 자석(154'); 및
    상기 자석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PCB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의 타단이 접지되는 접지판(1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접지판의 내부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자석과 접지판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절연재질의 분리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의 타단을 분리할 경우, 상기 분리키를 이용하여 자석을 접지판에서 분리함에 따라 상기 접지판의 자력을 감소시켜 부착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부의 자력은 0.01 ~ 0.2 T(테슬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부와 인접한 케이스의 접지공의 내측면에 접지돌기가 형성되고, 이 접지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부착부의 타단 외측면에는 접지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KR1020090073753A 2009-08-11 2009-08-11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KR10112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53A KR101120512B1 (ko) 2009-08-11 2009-08-11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53A KR101120512B1 (ko) 2009-08-11 2009-08-11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76A KR20110016176A (ko) 2011-02-17
KR101120512B1 true KR101120512B1 (ko) 2012-02-29

Family

ID=4377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53A KR101120512B1 (ko) 2009-08-11 2009-08-11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8369A1 (ko) * 2018-02-28 2019-09-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KR102175301B1 (ko) 2018-02-28 2020-11-06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물품 위치 추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859A (ja) * 1996-04-02 1997-10-14 Secom Co Ltd 盗難監視装置および警報タグ解除装置
JPH10105841A (ja) * 1996-09-27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盗難防止装置及びシステム
JPH11353562A (ja) 1998-06-04 1999-12-24 Mitsubishi Materials Corp 盗難防止用タグ
EP1970510A1 (en) 2007-03-13 2008-09-17 MW Security AB Securit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859A (ja) * 1996-04-02 1997-10-14 Secom Co Ltd 盗難監視装置および警報タグ解除装置
JPH10105841A (ja) * 1996-09-27 1998-04-24 Sanyo Electric Co Ltd 盗難防止装置及びシステム
JPH11353562A (ja) 1998-06-04 1999-12-24 Mitsubishi Materials Corp 盗難防止用タグ
EP1970510A1 (en) 2007-03-13 2008-09-17 MW Security AB Secur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7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9867B2 (en) RFID tags with EAS deactivation ability
US9342775B2 (en) Dual mode chip hav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capability
CN103124989B (zh) 具有集成eas和能量收获磁性元件的安全标签
US8955756B2 (en) Security system tag having combined clamp and antenna
AU20142488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cation of security tag detachment
JP5795856B2 (ja) Eas及びrfid組み合わせタグのためのrfidアンテナを有する取り外しシステム及び方法
US8624739B2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 including low-cost EAS tag
US20220139178A1 (en) Alarming Product Security Device
US20130135104A1 (en) Radio-frequency transponder comprising a tamper loop functionality
WO2008045570A3 (en) Multi-mode ta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1513856A5 (ko)
WO2006112914A3 (en) Core antenna for eas and rfid applications
WO2007145907A3 (en) Rfid-based security systems and methods
EP2810261A1 (en) Technology enhancement clip for hard tags
KR10112051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자명식 도난 방지장치
KR101627277B1 (ko) 고자장 자기 분리기 상에 필드 프로파일의 최적화
CN101236681A (zh) 一种商品防盗装置系统和商品防盗装置的防盗方法
CN103003853A (zh) 用于使用可逆粘合剂设置安全标签的系统及方法
KR101064212B1 (ko) 능동형 도난방지 시스템
CN103295051A (zh) 电子标签夹持装置
CN201274073Y (zh) 一种商品防盗装置、解码器和防盗系统
CN217731255U (zh) 基于射频标签的物流控制装置
CA2792063C (en) Security system tag having combined clamp and antenna
CN207799733U (zh) 一种防盗式电子标签
US20070046437A1 (en) Electronic Transmission Device for Activation of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