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310B1 -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310B1
KR101120310B1 KR1020090062520A KR20090062520A KR101120310B1 KR 101120310 B1 KR101120310 B1 KR 101120310B1 KR 1020090062520 A KR1020090062520 A KR 1020090062520A KR 20090062520 A KR20090062520 A KR 20090062520A KR 101120310 B1 KR101120310 B1 KR 10112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guide rail
wall
sliding device
runn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031A (ko
Inventor
명 규 박
Original Assignee
명 규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 규 박 filed Critical 명 규 박
Priority to KR102009006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31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벽체와 바닥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 위를 활주하는 러너블록체를 가구나 이동 벽체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구나 이동벽체를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한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실내의 바닥면과 벽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상에서 가구나 이동벽체, 거울 등이 이동될 수 있도록 런너블록체를 활주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부드럽게 가구 등이 재배치되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으며, 미려한 인테리어 및 고급스럽고 특징있는 실내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내 고정체, 가구, 벽체, 슬라이딩, 러너블록, 가이드레일.

Description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APPARATUS FOR SLIDING ROOM POSTING OBJECT}
본 발명은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실내의 벽체와 바닥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 위를 활주하는 러너블록체를 가구나 이동 벽체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구나 이동벽체를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한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장치는 내부에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가 장착되어, 특정 고정체에 대해 이동체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붙박이장 등의 도어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쉽게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게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구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작은 힘으로 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 향상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전체 실내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으므로 그 개선율이 미비하였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또는 일반 단독주택의 경우에, 특히 한국 등 지가가 높고, 건축을 위한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큰 나라의 경우에는 큰 면적의 저택을 건축 하여 사용할 수 없고, 또한 도심의 경우에는 지가가 더욱 높기 때문에 소형 주택이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자녀 등을 포함한 가족 구성원이 3명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수납공간이 많이 부족하였으며, 수납공간을 넓히기 위해 벽체에 고정되는 수납장 등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 벽체가 폐쇄되게 되므로 실내가 답답해보이고 집이 더욱 좁아보인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미관상 매우 조악해보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의 벽체와 바닥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 위를 활주하는 러너블록체를 가구나 이동 벽체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구나 이동벽체를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한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 비치된 가구와 이동 벽체를 포함한 실내 고정체에 있어서, 실내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실내 고정체의 하면이나 측면에 그 상면이 부착되고, 그 내부의 개구부가 상기 가이드레일과 밀착되어 실내 고정체를 가이드레일 상에서 활주하게 하는 런너블록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 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은 장방형의 각체로 구성된 레일몸체부와; 상기 레일몸체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런너블록체의 내부 양측면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과;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런너블록체를 지지하는 보조지지홈과; 상기 레일몸체부의 상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천공된 나사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런너블록체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양측면에 수직 결합된 측면몸체로 이루어져 내부가 개방된 레일결합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레일결합부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지지홈에 결합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상부몸체의 가장자리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리브와; 상기 레일결합부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결합되며, 자체 회전으로 인해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이 실내의 바닥면에 장착된 경우라면, 그 가이드레일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면 소정부에 이동공이 형성된 바닥패널이 실내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고정체와 런너블록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레일은 그 외표면에 마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강화스틸 트랙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 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레일결합부의 내측으로 완만하게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지지돌기보다 상기 레일결합부의 중앙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슬라이딩홈을 활주하도록 상기 측면몸체에 형성된 롤러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힌지축으로 결합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다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볼베어링이며, 상기 런너블록체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볼이 요입되며 구름운동을 통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볼 이동홈이 격벽을 기준으로 트랙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는 실내의 바닥면과 벽면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상에서 가구나 이동벽체, 거울 등이 이동될 수 있도록 런너블록체를 활주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부드럽게 가구 등이 재배치되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으며, 미려한 인테리어 및 고급스럽고 특징있는 실내를 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바닥과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는 실내의 벽체와 바닥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 위를 활주하는 러너블록체를 가구나 이동 벽체의 하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구나 이동벽체를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높이도록 한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는 가구나 이동벽체로 이루어진 실내 고정체를 부드럽게 실내 바닥이나 벽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활용면적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는 실내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실내 고정체의 하면이나 측면에 그 상면이 부착되고, 그 내부의 개구부(이하 레일결합부라 함: 38)가 상기 가이드레일(10)과 밀착되어 실내 고정체를 가이드레일(10) 상에서 활주하게 하는 런너블록체(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장방형의 각체로 구성된 레일몸체부(20)가 구 비되는 바, 그 레일몸체부(20)는 그 상면과 측면에 상기 런너블록체(30)가 접촉된 상태에서 활주하도록 하는 수단인 바, 상기 레일몸체부(20)는 그 양측면에 런너블록체(30)의 내부 양측면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레일몸체부(20)는 상기 슬라이딩홈(22)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런너블록체(3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홈(24)이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보조지지홈(24)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런너블록체(30)가 레일몸체부(20)에 결합될 때 보조적으로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결합홈이다.
또, 상기 레일몸체부(20)는 그 상면에 각각 등간격으로 천공된 나사공(26)이 형성되는 바, 그 나사공(26)으로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통과시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실내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에 포함되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은 그 외표면에 마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강화스틸 트랙부(28)가 더 부착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강화스틸 트랙부(28)는 상기 레일몸체부(20)의 외표면에 도장되는 것처럼 밀착되게 구성되는 바, 상기 강화스틸 트랙부(28)를 통해 상기 레일몸체부(2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20과 보조지지홈(24)이 그대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상기 런너블록체(30)가 결합되어, 그 런너블록체(30)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면과 측면에 마찰되면서 활주하여도 상기 강화스틸 트랙부(28)의 내구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레일몸체부(20)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에 포함된 상기 런너블록체(30)는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상부몸체(36)와, 상부몸체(36)의 양측면에 수직 결합된 측면몸체(34)로 이루어져 내부가 개방된 레일결합부(38)로 이루어진 몸체(32)로 구성된다.
상기 런너블록체(30)의 외부적 특징은 직육각면체로 그 몸체(32)가 구성되어져 있고, 내부가 절개된 레일결합부(38)가 구성되어, 그 레일결합부(38)를 통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감싸도록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런너블록체(30)는 그 내부에 구성된 상기 레일결합부(38)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보조지지홈(24)에 결합되는 지지돌기(40)가 형성되는 바, 그 지지돌기(40)는 바람직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런너블록체(30)는 상기 상부몸체(36)의 가장자리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리브(42)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리브(42)에는 나사관통공(44)이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리브(42)에 형성된 나사관통공(44)을 통해 나사(미도시)를 관통시켜 상기 런너블록체(30)의 상부나 측부에 밀착된 가구 또는 이동벽체 등과 같은 실내 고정체에 고정되게 되면, 상기 런너블록체(30)의 실내 고정체에 대한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런너블록체(30)는 그 중앙 하부에 형성된 상기 레일결합부(38)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슬라이딩홈(22)에 결합되어 활주함으로써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슬라이딩부재(도 4, 6참조)가 구성되는 바, 그 슬라이딩부재는 자체 회전됨으로써 활주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를 설치할 때에는 실내 고정체(4) 즉, 실내에 배치된 가구 또는 이동벽체, 거울 등의 실내 고정체의 하중이나 배치 구조, 실내에 배치된 전체 실내 고정체의 총 면적과 해당 실내의 활용 면적을 전체적으로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를 실내의 바닥면에 피팅(Fitting)할 수도 있으며, 실내의 벽면에 피팅할 수도 있다.
실내의 바닥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를 피팅한 경우는 도 3a에 도시되어져 있고, 실내의 벽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b)를 피팅한 경우는 도 3b를 통해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를 바닥면에 설치하거나, 벽면에 설치하거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설명 편의상 각기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함을 미리 밝힌다.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벼운 실내 고정체(4)의 경우에는 실내의 벽면(16)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b)를 피팅하는 것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지 않으므로 편리할 것이며, 상대적으로 하중이 큰 실내 고정체인 경우라면 실내의 바닥면에 피팅하는 것이 하중 분산과 지지에 유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가 실내의 바닥면(14)에 피팅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면 소정부에 이동공(8)이 형성된 바닥패널(6)이 실내 바닥면(14)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공(8)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고정체(4)와 런너블록체(3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15)이 더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 고정체(4)를 소망하는 위치로 밀어내게 되면, 그 실내고정체(4)의 하부나 측부에 장착된 런너블록체(30)는 가이드레일(10)의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가이드레일(10)을 활주하여 부드럽게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실내 고정체(4)가 이동하게 되므로, 실내 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를 설치한 경우에 기존의 가구를 고정시킨 경우보다 25%의 면적 활용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부재로서 롤러타입을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에 포함된 런너블록체(30)는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슬라이딩 부재에 따라 각기 다른 30a와 30b의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에 포함된 슬라이딩 부재는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슬라이딩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슬라이딩 부재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에서는 크게 두가지 슬라이딩 부재를 예시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의 슬라이딩 부재는 롤러(48)이고, 다른 하나의 슬라이딩 부재는 볼베어링(62)이다.
먼저, 도 4, 5를 통해 롤러(48)가 슬라이딩 부재로 채용되어 상기 런너블록체(30a)의 내부에 장착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런너블록체(30a)는 그 내부에 구성된 레일결합부(38)와 가이드레일(10)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 결합부(38)의 내부 즉, 상기 측면몸체(34)의 내측벽에 내부방향으로 노출된 롤러(48)가 다수개 구성되어져 있는 바, 마땅히 상기 측면몸체(34)의 양 내측벽에 상기 롤러(48)가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고, 어느 한 측면몸체(34)의 내측벽에 다수개의 롤러(48)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측면몸체(34)의 내측벽에는 상기 롤러(4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롤러수용부(46)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롤러수용부(46)에 롤러(48)가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축(5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런너블록체(30a)의 레일결합부(38)를 구성하는 내측벽에는 지지돌기(40)가 완만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바, 바람직하게 상기 롤러(48)는 그 지지돌기(40)보다 상기 레일결합부(38)의 중앙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구성되어져 실내 고정체(4)의 하중을 더 많이 받도록 한다. 그로인해, 상기 롤러(48)가 실내 고정체(4)의 하중을 더 많이 받으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을 활주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40)는 일부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으로 사용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부재로서 볼베어링 타입을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도 6의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6, 7, 8을 통해 볼베어링(62)이 슬라이딩 부재로 채용되어 상기 런너블록체(30b)의 내부에 장착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런너블록체(30b)는 그 내부에 구성된 레일결합부(38)와 가이드레일(10)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 결합부(38)의 내부 즉, 상기 측면몸체(34)의 내측벽에 노출된 볼베어링(62)이 구성되어져 있는 바, 마땅히 상기 측면몸체(34)의 양 내측벽에 상기 볼베어링(62)이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 볼베어링(62)은 다수의 볼(Ball)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런너블록체(30b)는 그 내부에 다수개의 볼이 요입되며 구름운동을 통해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볼 이동홈(60)이 격벽(66)을 기준으로 트랙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런너블록체(30b)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활주할 때에는 상기 볼이동홈(60)에 수용된 다수개의 볼이 염주와 같이 자체 회전하면서도 다른 위치로 지속적으로 구름운동되어 이동된다. 그로인해, 상기 볼베어링(62)은 상기 런너블록체(30b)와 가이드레일(10)간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런너블록체(30b)의 내부에 구성된 상기 볼이동홈(60)은 상기 볼베어링(62)을 수용함에 있어서, 그 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단에 각각 이탈방지턱(64)이 구성되어져 있고, 그로인해 상기 볼이동홈(60)의 측벽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으며, 볼의 노출면적은 비노출 면적보다 더 작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고정된 실내 고정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내(70)의 바닥면(14)과 벽면(16)에 각각 가이드레일(10)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레일(10)상을 활주할 수 있게 런너블록체(30)를 설치하고, 그 런너블록체(30)와 실내 고정체(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실내 고정체(4)를 소망하는 위치로 밀어내게 되면, 그 실내고정체(4)의 하부나 측부에 장착된 런너블록체(30)는 가이드레일(10)의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가이드레일(10)을 활주하여 부드럽게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실내 고정체(4)가 이동하게 되므로, 실내 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2a,2b)를 설치한 경우에 기존의 가구를 고정시킨 경우보다 25%의 면적 활용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되는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바닥과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부재로서 롤러타입을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포함된 러너블록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부재로서 볼베어링 타입을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도 6의 요부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가 고정된 실내 고정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이드레일, 20:레일몸체부,
22:슬라이딩홈, 24:보조지지홈,
28:강화스틸트랙부, 30:런너블록체,
38:레일결합부, 40:지지돌기,
48:롤러, 62:볼베어링.

Claims (9)

  1. 실내에 비치된 가구와 이동 벽체를 포함한 실내 고정체에 있어서,
    실내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실내 고정체의 하면이나 측면에 그 상면이 부착되고, 그 내부의 개구부가 상기 가이드레일과 밀착되어 실내 고정체를 가이드레일 상에서 활주하게 하는 런너블록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이 실내의 바닥면에 장착된 경우라면, 그 가이드레일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면 소정부에 이동공이 형성된 바닥패널이 실내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공을 통과하여 상기 실내고정체와 런너블록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그 외표면에 마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강화스틸 트랙부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62520A 2009-07-09 2009-07-09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KR10112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20A KR101120310B1 (ko) 2009-07-09 2009-07-09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20A KR101120310B1 (ko) 2009-07-09 2009-07-09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31A KR20110005031A (ko) 2011-01-17
KR101120310B1 true KR101120310B1 (ko) 2012-03-07

Family

ID=4361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20A KR101120310B1 (ko) 2009-07-09 2009-07-09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44B1 (ko) 2016-08-31 2018-07-03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926A (en) * 2011-10-25 2013-05-01 Barati Chantal Palepou-Foxley A garment for a baby or child
CH715860A1 (de) * 2019-02-15 2020-08-31 Halter Ag Modulares Möbelsystem.
KR102177082B1 (ko) * 2020-02-27 2020-11-10 홍창석 자동 슬라이드형 가변 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89Y1 (ko) * 2003-07-25 2003-12-24 최명순 리니어 모션 가이드
KR100631185B1 (ko) 2006-03-31 2006-10-04 주식회사 세광 도로 안전 시설물
KR100679680B1 (ko) 2006-06-02 2007-02-06 (주)선텍리니어 리니어 가이드
KR100891321B1 (ko) * 2007-06-22 2009-03-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리니어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89Y1 (ko) * 2003-07-25 2003-12-24 최명순 리니어 모션 가이드
KR100631185B1 (ko) 2006-03-31 2006-10-04 주식회사 세광 도로 안전 시설물
KR100679680B1 (ko) 2006-06-02 2007-02-06 (주)선텍리니어 리니어 가이드
KR100891321B1 (ko) * 2007-06-22 2009-03-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리니어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44B1 (ko) 2016-08-31 2018-07-03 현대로템 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31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1103C (en) Pivotable shelving system
KR101120310B1 (ko) 실내 고정체 슬라이딩 장치
US20090272707A1 (en) Pocket door system
TW201900072A (zh) 用於引導門扇的引導系統
US20200348075A1 (en) Refrigerator, refrigerator door and rotatable storage rack
KR101551173B1 (ko) 슬라이딩 및 스윙식 기능성 방 도어
RU2680425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KR101262162B1 (ko)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US20120256527A1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sliding door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101567032B1 (ko) 수납 포켓을 구비한 수납장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KR101208476B1 (ko) 가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100991225B1 (ko) 건축물의 가변벽체 구조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764252B1 (ko) 폴딩도어의 가이드프레임 은폐 구조
KR101757594B1 (ko)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CN215776577U (zh) 立柜及应用该立柜的房车
JP2009019466A (ja) フラット引戸装置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200474158Y1 (ko) 책상기능을 가지는 이동가구
JP7172390B2 (ja) ケンドン式建具の外れ止め具およびケンドン式建具
JP7404431B2 (ja) 間仕切り及び室内システム
KR102321455B1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CN113545614A (zh) 立柜及应用该立柜的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