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157B1 - 전화기 - Google Patents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157B1
KR101120157B1 KR1020070125806A KR20070125806A KR101120157B1 KR 101120157 B1 KR101120157 B1 KR 101120157B1 KR 1020070125806 A KR1020070125806 A KR 1020070125806A KR 20070125806 A KR20070125806 A KR 20070125806A KR 101120157 B1 KR101120157 B1 KR 10112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adio broadcasting
broadcasting module
radio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983A (ko
Inventor
이치헌
봉성암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1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2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화기가 전화기본체에 대해 유선적으로 연결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본체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라디오방송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송수화기에 흐르는 신호와 라디오방송전파신호 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라디오 방송 수신 안테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송수화기가 전화기본체에 대해 유선적으로 연결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는 유선 가입자망 또는 무선 가입자망 내에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를 연결시키는 단말기를 말한다.
이러한 전화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도 여러 부가적인 기능을 탑재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그 예로서 전화기에 FM 수신용 안테나를 두는 경우이다.
그런데, 종래 전화기에 안테나를 탑재하는 경우, 단말기 내부에 외부 안테나와 연결시키는 이어잭 형태의 커넥터를 두고, 이를 안테나 단자로 사용하여 모노폴, 휩 또는 이어폰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FM 수신용 안테나를 구현하여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FM 수신을 위해 이어잭 커넥터에 안테나를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안테나를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FM 방송을 외장형 스피커로 청취할 시에도 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테나를 부착하여야 했다. 또한, FM 수신 성능 측정을 위해서 이어잭 커넥터를 활용하였으므로 내장형 안테나로 구현된 FM 수신기의 경우도 이어잭 커넥터를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FM 수신기를 구현함에 있어 이어잭 커넥터의 실장에 따른 회로 면적 소요 및 커넥터 및 안테나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송수화기가 유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화기에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안테나를 전화기의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요소를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전화기는 라디오방송 전파를 처리하는 라디오방송모듈이 구비된 전화기본체를 포함한다. 전화기본체에는 송수화기가 연결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선은 라디오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사용된다. 도전선도전선과 라디오방송모듈 사이에는 도전선에 수신된 라디오방송전파신호를 라디오방송모듈로 급전시키는 급전부가 구비된다.
전화기본체에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WLL)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모듈은 유선 가입자 회전망에 접속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케이블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헬리컬(helical) 형태로 꼬여진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화기가 사용됨으로써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연결 케이블의 도전선이 갖는 라디오방송전파의 수신성능이 받는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전화기본체에 연결 케이블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가 구비됨으로써 안 테나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안테나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의 필요성을 절감시킨다. 나아가, 안테나의 튜닝을 위한 별도의 커넥터를 둘 필요성도 절감된다.
커넥터 및 라디오방송모듈은 전화기본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급전부는 도전선의 실장 부위로부터 라디오방송모듈까지 동박으로 패터닝(pattern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급전부에는 도전선과 라디오방송모듈을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결 케이블은 송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도전선 및 수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도전선으로 구성되고, 급전부는 제1도전선들 및 제2도전선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전화기본체에는 라디오방송모듈로부터 연결되어 수신된 라디오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됨으로써 대음량으로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에 의하면 전화기본체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라디오방송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송수화기에 흐르는 신호와 라디오방송전파신호 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라디오 방송 수신 안테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연결 케이블을 안테나로 활용함에 따라,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하거나 안테나를 연결할 수단을 둘 필요가 없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화기(1)는 숫자를 키패드(11)가 구비된 전화기본체(10)와 전화기본체(10)에 유선적으로 연결되는 송수화기(20)를 구비하고 있다.
전화기본체(10)는 송수화기(20)를 내려놓을 수 있도록 송화부 안착홈(15) 및 수화부 안착홈(14)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화부 안착홈(14)에는 송수화기(20)를 들었을 때 전화를 걸거나 상대방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송수화기(20)에 의하여 연동되어 작동되는 스위치(16)가 구비된다.
전화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키패드(11)는 다이얼을 위한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키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여기에는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특수기능키가 부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전화기본체(10)의 일측에는 다이얼시 눌려진 번호, 상대방의 걸려온 전화번호 또는 각종 시스템의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는 엘시디(LCD), 복수의 엘이디(LED)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화기본체(10)의 일측에는 WLL(Wireless Local Loop)망에 무선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전화기본체(10)는 유선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선연결수단 또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기본체(10)와 송수화기(20)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을 갖는 연결 케이블(30)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연결 케이블(30)은 전화기본체(10)로부터 다양한 거리에서 통화 등을 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30)은 헬리컬 형태로 꼬여진 모양을 띠고 있다.
연결 케이블(30)은 일차적으로 전화기본체(10)와 송수화기(20)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후술하는 것처럼 무선 라디오방송전파를 수신하기 안테나로 사용된다.
안테나로 활용된 연결 케이블(30)에 의하여 수신된 라디오방송전파신호는 도 2의 라디오방송모듈(42)에 의하여 처리되어 전화기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7)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17)는 이외에도 통화음이나 벨소리 시스템 알림음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연결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는 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블록선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1)의 전화기본체(10)에는 회로기판(40)이 구비된다. 회로기판(40)에는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송수화기(20)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41)과 연결 케이블(30)에 의하여 수신된 라디오방송전파신호를 처리하는 라디오방송모듈(42)이 구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통신모듈(41)은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을 연결하는 가입자 회선을 유선 선로 대신 무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인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에 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통신모듈(41)은 망에 따라 통신 위성이나 고정용 마이크로파, 셀룰러 이동통신, 코드리스(cordless) 기술을 응용하는 시스템 등의 방법에 의하여 구현된 WLL망에 접속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30)의 끝단은 회로기판(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암커넥터(4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되어 있는 수커넥터(3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케이블(30)을 이루는 도전선은 송수화기(20)의 송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도전선(32) 및 수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도전선(33)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도전선(32,3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선(30a)은 라디오방송전파를 수신하는 용도로 설정될 수 있다.
회로기판(40)에는 수커넥터(31)가 암커넥터(43)에 연결될 때 연결 케이블(30)을 이루는 제1도전선들(32) 및 제2도전선들(33)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전선(30a)을 통하여 수신된 라디오방송전파를 급전시키기 위한 급전부(50)가 구비된다.
통신모듈(41)이 연결 케이블(30)을 통하여 송수화기(20)와 주고받는 신호는 가청 주파수인 20 ~ 20000 Hz이고, 라디오 방송대역 예를 들어 FM(Frequency Modulation)인 경우 80 ~ 110 MHz이므로 양 대역의 차이가 충분히 크게 되어, 같은 신호선인 도전선(30a)을 사용하더라도 도전선(30a)을 따라 흐르는 가청 주파수 신 호와 라디오방송전파신호는 상호 간섭을 받지 않고 전달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급전부(50)는 라디오방송수신 안테나로 사용되는 도전선(30a)의 실장 부위로부터 라디오방송모듈(42)까지 동박으로 패터닝(pattern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전부(50)에는 도전선(30a)과 라디오방송모듈(42)을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부(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연결 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케이블(30)은 길이를 조절(D1 또는 D2)할 수 있도록 헬리컬 형태로 꼬여 있다. 다만, 연결 케이블(30)의 총 길이는 예를 들어 FM 라디오방송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디오방송신호의 수신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결 케이블(30)의 길이 특성은 도 2와 같은 매칭부(60)에 의하여 매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연결 케이블과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는 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화기의 블록선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연결 케이블의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Claims (8)

  1. 라디오방송 전파를 처리하는 라디오방송모듈이 구비된 전화기본체;
    상기 전화기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수화기;
    상기 전화기본체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선이 구비된 연결 케이블; 및
    상기 도전선과 라디오방송모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선에 수신된 라디오방송전파신호를 상기 라디오방송모듈로 급전시키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본체에 무선 가입자 회선(Wireless Local Loop;WLL)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헬리컬(helical) 형태로 꼬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본체에 상기 연결 케이블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라디오방송모듈은 상기 전화기본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도전선의 실장 부위로부터 상기 라디오방송모듈까지 동박으로 패터닝(patterning)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에는 상기 도전선과 라디오방송모듈을 매칭시키기 위한 매칭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송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도전선 및 수화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도전선들 및 제2도전선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본체에 상기 라디오방송모듈로부터 연결되어 수신된 라디오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KR1020070125806A 2007-12-05 2007-12-05 전화기 KR10112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06A KR101120157B1 (ko) 2007-12-05 2007-12-05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06A KR101120157B1 (ko) 2007-12-05 2007-12-05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83A KR20090058983A (ko) 2009-06-10
KR101120157B1 true KR101120157B1 (ko) 2012-02-22

Family

ID=4098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806A KR101120157B1 (ko) 2007-12-05 2007-12-05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329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턴시그널 램프 겸용 테일 램프
KR19990007517A (ko) * 1998-08-28 1999-01-25 윤광원 오디오 청취형 전화기
KR19990026009A (ko) * 1997-09-20 1999-04-06 전주범 오디오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신호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329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턴시그널 램프 겸용 테일 램프
KR19990026009A (ko) * 1997-09-20 1999-04-06 전주범 오디오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신호 송/수신장치
KR19990007517A (ko) * 1998-08-28 1999-01-25 윤광원 오디오 청취형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83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401B2 (en) Antenna device
US7671818B2 (en) Antenna device with integrated connection cable, and radio apparatus
KR20090016481A (ko) 다중 대역 안테나 장치
CN106876874B (zh) 电路板结构及终端
KR101736770B1 (ko) 이어후크에 안테나를 구비하는 블루투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155607B2 (en) Antenna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CN103262567A (zh) 多线天线移动通信装置
CN103262428B (zh) 用于移动通信装置的伸缩天线
KR100842576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93797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200990596Y (zh) 具备无线信号接收的耳机
US9843095B2 (en) Antenna element and antenna device
KR101120157B1 (ko) 전화기
CN101877619A (zh) 兼具调频与多媒体广播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EP2608498B1 (en) Method for using handle rope of fixed wireless telephone as frequency modulation (fm) antenna and fixed wireless telephone
KR10128660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US20040119650A1 (en) Auxiliary antenna for wireless handset
CN101026385A (zh) 移动通讯装置
KR101435492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N215581251U (zh) 一种耳筒网天线和通话设备
KR101984567B1 (ko) 안테나 장치
KR100871728B1 (ko) Dmb 수신용 휴대 단말기
CN109037911B (zh) 一种天线装置及移动终端
KR101365670B1 (ko) Dmb 수신용 휴대 단말기
WO2012081610A1 (ja) 無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