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023B1 -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023B1
KR101120023B1 KR1020050037483A KR20050037483A KR101120023B1 KR 101120023 B1 KR101120023 B1 KR 101120023B1 KR 1020050037483 A KR1020050037483 A KR 1020050037483A KR 20050037483 A KR20050037483 A KR 20050037483A KR 101120023 B1 KR101120023 B1 KR 10112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andle
handle portion
camera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5135A (en
Inventor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023B1/en
Publication of KR20060115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1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시에 카메라 등의 휴대용 촬영 장치를 손으로 움켜잡는 그립성이 우수한 동시에, 촬영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단순한 형상을 가진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상 광을 내부로 입사시키는 렌즈부가 전방에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적어도 본체와 나란한 제1위치 및 본체와의 결합되는 위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having a simple shape which is excellent in grip property for hand-held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at the time of shooting, and which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when not shoo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the lens unit for injecting the light on the subject inside; And a handle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handle being fixed at a second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based on at least a first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line of a position where the main body is coupled with the main body. Provided is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provided.

Description

휴대용 촬영 장치{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정면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ont side when the handl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is in a second position.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후면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id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top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도 5는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쪽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digital camera when the handle is in the first position.

도 6은 도 5의 디지털 카메라의 하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6 is a plan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5.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결합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카메라 110: 본체100: camera 110: main body

110L; 본체 일측면 112: 렌즈부110L; Main body one side 112: Lens unit

118: 액정 모니터 120: 힌지부118: liquid crystal monitor 120: hinge portion

121: 힌지축 홀 123: 힌지축121: hinge shaft hole 123: hinge shaft

130: 손잡이부 130B: 손잡이부 하면130: handle portion 130B: handle portion

130F: 손잡이부 전면 130H: 손잡이부 상면130F: Front of handle part 130H: Top of handle part

130R: 손잡이부 후면 130L: 손잡이부 대응면130R: Handle section back 130L: Handle section

130K: 손잡이부 외측단부 132: 셔터 버턴130K: Outer end of the handle 132: Shutter button

136: 힌지축 119: 힌지축 홈136: hinge shaft 119: hinge shaft groove

134: 모드 다이얼 140: 기능 버턴134: mode dial 140: function button

L: 수평 가상선L: horizontal virtual line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기 위하여 카메라를 손으로 쥐는 그립성 및 카메라를 촬영하지 않는 경우 보관성이 우수한 구조를 가진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having a structure that is excellent in storage grip when the camera does not capture the grip and grip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or video.

통상 카메라는 전방 중앙부에 렌즈부가 설치되고, 후면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카메라가 경박단소화 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카메라를 촬영 시에는 통상 한 손으로 카메라 일측을 움켜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피사체를 파악한 뒤에 검지 등을 사용하여 셔텨를 누르게 된다. In general, a camera is provided with a lens unit at the front center and a display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In recent years, cameras have become smaller and thinner. Therefore, when photographing a camera, one side of the camera is usually held with one hand, and the user grasps the subject while looking at the display and then presses the shutter using an index finger or the like.

그런데 일반적으로 카메라 촬영 시에는, 카메라의 흔들림이 없어야만 제대로 된 화상의 파일이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In general, however,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a file or picture of a proper image can be obtained only when there is no camera shake.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손잡이 형상의 그립부가 없는 경우에는 손으로 움켜잡기가 불편하고, 촬영시 흔들림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camera is rectangular and there is no grip part of the handle shape, it is inconvenient to grab it by hand, and shake occurs when shoot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카메라 몸체에 손잡는 부분을 약간 돌출 되도록 형성시켜서 손이 움켜잡는 형상과 비슷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쥐가 편하게 하였으며, 촬영시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by forming a hand portion on the camera body to protrude slightly so as to resemble a hand grabbing shape, the rat is comfortable with the hand and is inten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haking during shooting. .

그러나 이 경우에는, 카메라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카메라가 떨어지거나 하여서 충격을 받은 경우, 상기 돌출된 부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게 되어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카메라의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카메라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도 단순한 형상을 가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카메라가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서, 케이스나 가방 등에 수납 시에 불편하게 된다.In this case, however, a part of the camera has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Therefore, when the camera falls or is impacted, stress concentration may occur 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us may be easily damaged. In addition, the overall shape of the camera does not become rectangular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amera. Therefore, the case for accommodating it should not have a simple shape. In addition, the camera occupies a large volume, which is inconvenient when storing the case or bag.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 시에 카메라를 손으로 움켜잡는 그립성이 우수한 동시에, 촬영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며, 단순한 형상을 가진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has excellent grip property when the camera is held by the hand while taking a picture, and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when the picture is not taken. It aim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장치는: 피사체상 광을 내부로 입사시키는 렌즈부가 전방에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적어도 상기 본체와 나란한 제1위치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되는 위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소정의 각 도를 가지는 제2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lens unit for injecting light onto a subject is formed in front; An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fixed at a second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based on at least a first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line of a position at which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이 경우, 상기 본체의 일측면은, 그 후측 모서리에서부터 전방 모서리까지 점점 본체 중심에 가까워지는 사선 형상이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본체 일측면과 대응되는 대응면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동일한 유격을 가지는 사선 형상이며,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손잡이부는, 상하가 뒤집어지도록 회전하여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main body has an oblique shape gradual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rom its rear edge to the front edge,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andle portion has the same clearance as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branch has an oblique shape, and the handle portion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s preferably rotated so as to be upside down and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전면의 수평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후면의 수평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ront surface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ear surface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수평 가상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힌지축은 중공 형상으로서, 상기 힌지축 내부 공간을 따라서, 본체와 및 손잡이부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케이블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may be hinged to the main body having a hinge axis that can rotate about a horizontal virtual line, in this case the hinge axis is hollow,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hinge axis,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on cable for transmitting a signal is arranged between the parts.

한편, 상기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상면에 셔터 버턴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utter butt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버턴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side of the handle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al buttons.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단부는 라운딩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end of the handle portion is preferably a round shape.

상기 휴대용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rtable imaging device is a digital camera.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휴대용 촬영 장치로 디지털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최근에 그 사이즈, 특히 전후의 두께가 슬림화 되어서 작음으로써, 손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쥐기가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는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는 구조가 특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 필름 카메라나 캠코드 등의 촬영을 담당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digital camera is shown as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As the digital camera has recently become smaller in size, especially in the thickness before and after, it is not easy to hold the digital camera by hand. Therefore, digital cameras are particularly required to be structured to be easily held by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is in charge of photographing a general film camera or a cam co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정면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후면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있을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쪽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디지털 카메라의 하부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ide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ure 1 is in a second position, Figure 3 is a digital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camera, FIG. 4 is a plan view from the top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ide of the digital camera when the handle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FIG. Is a plan view from the bottom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장치의 하나인 카메라(100)는 본체(110)와, 손잡이부(13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amera 100, which is one of the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handle 130.

본체(110)의 앞쪽에는 렌즈부(112)가 배치된다. 이 렌즈부(112)는 전방의 피사체상 광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유입된 피사체상 광은 CCD 등의 촬상소자에 의하여 광전 변환된 후에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의하여 디지털화 되고, CPU의 제어에 따라서 기록미디어에 기록되거나, 재생 수단에 의하여 재생된다.The lens unit 11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The lens unit 112 serves to inject the light on the front subject into the interior. The light on the subject thus introduced is photoelectrically converted by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CD and then digitized by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under control of a CPU, or reproduced by a reproducing means.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110)의 앞쪽에는 플래시(113), 셀프-타이머 램프 (114), 및 뷰파인더(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셀프-타이머 램프(114)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턴(132)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In addition, a flash 113, a self-timer lamp 114, a viewfinder 11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Here, the self-timer lamp 114 operates for a 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hutter button 132 is pressed to the time when the shutter operates in the self-timer mo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뒤쪽에는 액정 모니터(118)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도시되지 않으나 전원 버턴,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liquid crystal monitor 118 may be disposed behind the main body 110. In addition, a power button, an auto-focus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도 1로 되돌아와서, 손잡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상기 본체(110)와 나란한 제1위치 또는 본체와 일정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를 가질 수 있다. 1, the handle 13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the handle 130 may have a thickn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have a first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110 or a second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110.

이 경우, 손잡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와 본체의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수평 가상선(L)을 회전축으로 하여서, 손잡이부를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andle 1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rotating the handle 130. That is, as shown in FIG. 1, by using the horizontal virtual line L includ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main body as the rotation axis, the handle portion may be inverted up and down to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즉, 상기 본체의 일측면(110L)은, 그 후측 모서리에서부터 전방 모서리까지 점점 본체 중심에 가까워지는 사선 형상이고, 상기 손잡이부(130)의 상기 본체 일측면(110L)과 대응되는 대응면(130L; 도 7 참조)이,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동일한 유격을 가지는 사선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손잡이부가 상하가 뒤집어지도록 회전하여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one side surface 110L of the main body has an oblique shape gradual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ody from the rear edge to the front edge thereof, and corresponds to the surface 130L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one side surface 110L of the handle 130. 7 is preferably formed in an oblique shape having the same clearance as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portion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is rotated so as to be upside down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단면에서 도시한 경우 상기 손잡 이부(130)는 상기 본체(110)와 소정의 각도(Θ)를 가지는 제2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촬영 시에는, 손잡이부(1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130)의 전, 후에 걸친 두께가 카메라 본체(110)보다 두껍게 됨으로써, 손으로서 상기 손잡이부(130)를 쥐는 경우, 카메라의 손잡이부(130)의 모양이 손을 움켜잡기 쉽게 된다. 따라서 손으로 카메라를 쥐는 그립성이 우수하게 되어서, 촬영시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to 4, when shown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the handle 130 is the main body so that it can be fixed in a second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main body 110 May be coupled to 110. Therefore, during camera shooting, the handle 13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andle 130 becomes thicker than that of the camera body 110, so that when the handle 130 is held by the hand, the shape of the handle 130 of the camera is easy to grab the hand. do. Therefore, the grip of the camera being held by the hand is excellent, and the shaking and the slipping that may occur during shooting can be prevented.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전면(130F)인 본체 전면과 나란한 면의 수평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130R)의 수평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urfac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30F when the handle 13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s the rear surface 130R when the handle 13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is preferable.

이는 다시 말하여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전면(130F)이 본체와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130R)이 본체와 멀리 위치하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손잡이부가 본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130)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 손잡이부(130)가 본체(110)로부터 소정의 각도(Θ)로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손으로 간편하게 상기 손잡이부(13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handle portion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front surface 130F when the handle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is located close to the main body, the handle portion 130 is in the first position When the rear surface 130R is located far from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e to have a shape that protrudes forward than the main body as a whole. As a result, when the handle 1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130 ) Protrudes forward from the main body 110 at a predetermined angle Θ, so that the handle 130 can be easily held by the hand.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대응면(130L)의 반대편에 배치된 외측단부(130K)가 라운딩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130)를 쥐는 손이 자연스럽게 손잡이부를 감쌀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잡이부의 외측단부 형상이 손가 락모양으로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130K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130L of the handle portion has a rounded shape, and thus the hand holding the handle 130 can naturally wrap the handle portion. Therefore, the outer end shape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into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in the shape of a finger.

이 경우, 특히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손잡이부 상면(130H)에는 셔터 버턴(13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촬영 시에 손으로 손잡이부(130)를 움켜진 후에 검지 등으로 셔터 버턴(132)을 쉽게 누르면서 촬영 가능하다. In this cas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s 2 and 4, it is preferable that the shutter button 13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130H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second position, whereby the handle portion by hand ( After holding 130, the user can easily shoot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132 with an index finger or the like.

한편, 카메라로 촬영하지 않는 시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30)를 제1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본체(110)와 손잡이부(130)가 실질적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 전체가 슬림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보관하는 것이 간편하고,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잡이부(130)에 응력 집중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서 튼튼하게 되며 외관 또한 우수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not photographed by the camera, as shown in Figure 5 and 6, by rotating the handle 130 to the first position, the main body 110 and the handle 130 is substantially in a straight line Can be deployed. This can make the whole camera slim. Therefore, it is easy to store the camera, the stress concentration is not generated in the handle portion 130 by the external impact is strong and the appearance is also excellent.

한편,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셔터 버턴(132)이 본체 하면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가 회전하여서 상하가 반전되어서, 손잡이부(130)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손잡이부 상면(130H)이 본체 하면과 나란히 배치되고, 손잡이부(130)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손잡이부 하면(130B)이 본체 상면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shutter button 13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is, when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up and down is reversed, the handle portion upper surface 130H when the handle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handle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lower surface 130B of the handle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한편, 손잡이부(1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다이얼(13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모드 다이얼(134)은 카메라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간편 촬영 모드, 프로그램 촬영 모드, 인물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수동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개인적 로딩 모드, 및 녹음 모드 중에서 어느 한 동작 모드를 사 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모드 다이얼(134)은 셔터 버턴과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with a mode dial 134. The mode dial 134 is any one of operation modes of the camera, for example, a simple shooting mode, a program shooting mode, a portrait shooting mode, a night view shooting mode, a manual shooting mode, a movie shooting mode, a personal loading mode, and a recording mode. It is used to select the operation mode. In this case, the mode dial 134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hutter button and the handle portion.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버턴(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능 버턴(140)들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 기능 버턴(140)은 음성-메모 버턴(141), 플래시 버턴(142), 매크로 버턴(143), 및 셀프-타이머 버턴(144) 등의 촬영시 또는 재생시 또는 편집시에 필요한 기능을 하는 버턴들이다. In addition, at least one side of the handle 13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functional buttons 140, as shown in FIG. These function buttons 140 are used by the user to perform specific functions of the digital camera. This function button 140 is a function required for recording, playback or editing of the voice-memo button 141, the flash button 142, the macro button 143, and the self-timer button 144, and the like. Buttons.

이런 기능 버턴(140)들은 제2위치에 위치한 손잡이부(130)를 움켜잡은 경우에,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손으로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각각의 기능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se function buttons 140, when grabbing the handle 130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touches, and thus can easily set each function in the state of holding the handle by hand have.

한편, 손잡이부(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110)에 수평 가상선(L)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 경우 손잡이부(130)는 본체(110)와 힌지부(12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에 힌지축(136)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 힌지축(136)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130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virtual line L. In this case, the handle 130 is the main body 110 and the hinge 120. By hinge can be combined. That is, the hinge shaft 136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andle portion, and the hinge shaft 136 may rotate.

이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일측면(110L) 중앙에 힌지축 홈(119) 및 상기 힌지축 홈 내측에 연결 홀(116)이 형성되고, 손잡이부(130)의 대응면(130L)에 힌지축(136)이 설치되어, 힌지축(136)이 힌지축 홈(119)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136)과 힌지축 홈(119) 사이에는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24)가 개재되어서, 상기 힌지축(136) 을 내측 반경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이 탄성 부재(124)에는 돌출부재(125)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136)에는 상기 힌지축 홈(119)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돌출부재(125)와 동일한 위치에 수용 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돌출부재(125)가 상기 힌지축 홈(119)에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3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손잡이부(130)는 본체(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소정의 힘 이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130)가 회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 홈(119)에는 베어링(122)이 설치되어서, 상기 힌지축(136)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this, as shown in FIGS. 7 and 8, a hinge shaft groove 119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110L of the main body 110 and a connection hole 116 is formed inside the hinge shaft groove. The hinge shaft 136 is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130L of the handle 130, and the hinge shaft 136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groove 119 so as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an elastic member 124 such as a leaf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shaft 136 and the hinge shaft groove 119 to elastically bias the hinge shaft 136 in the inner radial direction. At least one protruding member 125 is disposed in the elastic member 124, and the receiving shaft 136 has an accommodation hol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rotruding member 125 when the hinge shaft 136 i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groove 119. 137 may be formed. In this case, when the handle 130 is 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protrusion member 125 is accommodated in the hinge shaft groove 119. Therefore, when the handle 130 is in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13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when the handle 1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handle 130 ) Can rotate. In this case, a bearing 122 may be installed in the hinge shaft groove 119 to support rotation of the hinge shaft 136.

본 발명의 회전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손잡이부를 상하 반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Rot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the structure capable of upside down the handle portion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셔터 버턴(132) 및 기능 버턴(140)을 손잡이부(130)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셔터 버턴(132) 및 기능 버턴(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손잡이부(130)에 설치된 버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50)이 상기 힌지부(120)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 케이블(150)이 힌지축(136)의 중공부 및 연결 홀(116)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the shutter button 132 and the function button 140 to the handle 13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shutter button 132 and the function button 140 to control the respective functions electrically Should be connec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cable 150 for connecting the button install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handle 130 is accommodated in the hinge 120. That is, the connection cable 150 may be formed along the hollow portion and the connection hole 116 of the hinge shaft 136.

한편, 상기 손잡이부(130)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경우 전원이 자동적으로 ON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상기 힌지부에 회전각 센서가 배치되어서, 손잡이부(13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각도 센서가 인지 하는 경우 상기 회전각 센서가 이 회전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는 셔터 스위치를 연결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전원이 ON 된다. 한편, 손잡이부(130)가 상기 제1위치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OFF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하나의 예를 들면, 회전각 센서가 상기 손잡이부(130)의 회전 정도를 중앙처리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장치는 셔터 스위치를 분리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전원이 OFF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130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may be to turn on the power automatically. As an example of this, when the rotation angle sensor is disposed in the hinge portion and the angle sensor recognizes that the handle 13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rotation angle sensor sends this rotation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has received the rot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turned on by connecting a shutter switch.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130 is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can be turned off automatically.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rotation angle sensor transmit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handle 130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receiving the rot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powered off by removing the shutter switch. OFF.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로 돌출될 수도 있고, 본체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portion may protrud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main body, it can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main body.

따라서, 손으로 간편하고 확실히 손잡이부를 움켜잡을 수 있음으로써 촬영 도중에 카메라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으로 확실하게 움켜잡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흔들림이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촬영하지 않는 경우에는 손잡이부가 본체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카메라의 부피가 작게 되어서, 케이스 등에 간편하게 수납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도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refore, the hand portion can be grasped easily and surely, thereby preventing the camera from slipping out of the hand during shooting, and the shaking caused by not grasping with the hand securely can be prevented. At the same time, when not photographing, the handle portion can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main body,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camera, and can be easily stored in a case,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does not occur even in an external impac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피사체상 광을 내부로 입사시키는 렌즈부가 전방에 형성된 본체; 및A main body formed in front of the lens unit for injecting light onto a subject; And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적어도 상기 본체와 나란한 제1위치 및 상기 본체와의 결합되는 위치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제2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an be fixed at a second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body based on at least a first posi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and a vertical line of the position to be coupled with the main body A portable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a handl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일측면은, 그 후측 모서리에서부터 전방 모서리까지 점점 본체 중심에 가까워지는 사선 형상이고,One side of the main body is a diagonal shape gradually closer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rom its rear edge to the front edge,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본체 일측면과 대응되는 대응면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동일한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The correspon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clearance as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손잡이부가 상하로 뒤집어지도록 회전하여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And the handle is rotated so as to be turned upside down, and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전면 수평 길이는, 상기 손잡이부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수평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And the front horizontal length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s shorter than the rear horizontal length when the handle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부는, 수평 가상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The handle part has a hinge axis that can rotate about a horizontal virtual lin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portable imag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힌지축은 중공 형상으로서, The hinge axis is a hollow shape, 상기 힌지축 내부 공간을 따라서, 본체와 및 손잡이부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케이블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And a connecting cabl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handle part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hinge 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부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상면에 셔터 버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The shutter butt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버턴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And at least one function button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andl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경우 전원이 ON 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And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handle part is rotated from the main body to the second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 단부는 라운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The outer end of the handle portion is a portable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unded shape.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휴대용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The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is a digital camera.
KR1020050037483A 2005-05-04 2005-05-04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KR101120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83A KR101120023B1 (en) 2005-05-04 2005-05-04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83A KR101120023B1 (en) 2005-05-04 2005-05-04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35A KR20060115135A (en) 2006-11-08
KR101120023B1 true KR101120023B1 (en) 2012-03-15

Family

ID=3765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483A KR101120023B1 (en) 2005-05-04 2005-05-04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0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09B1 (en) * 2007-06-05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of processing digital im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101A (en) * 2000-06-26 2002-01-09 이형도 Video camera for computer
JP2003344920A (en) * 2002-05-24 2003-12-03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101A (en) * 2000-06-26 2002-01-09 이형도 Video camera for computer
JP2003344920A (en) * 2002-05-24 2003-12-03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35A (en)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399B2 (en) Digital camera having camera body
US7983557B2 (en) Camera and lens unit
JP3842876B2 (en) Digital camera
JP3612801B2 (en) Electronics
US20070206116A1 (en) Camera module
JP2006287288A (en) Camera with image storage device
JP5388806B2 (en) Imaging device
KR101120023B1 (en)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JP4426804B2 (en) Video camera
KR101120089B1 (en)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KR20120040824A (en) Accessories for bar type cellular phone
JP2007049381A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4186618B2 (en) Imaging device
KR100648932B1 (en) Up-right camcorder
JP2001103353A (en) Video camera
JP3482391B2 (en) Digital camera
JP2001197344A (en) Photographic device for photographing subject
JP3713928B2 (en) Camera device
JP3932633B2 (en) Camera device
JP2003032533A (en) Digital electronic still camera
JP3930471B2 (en) Video shooting device
JP3955486B2 (en) Lens retractable camera
JP4273610B2 (en) Imaging device
KR100980913B1 (en) Camera apparatus of mobile phone
JP2007060304A (en) Photograp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