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837B1 -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 Google Patents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837B1
KR101119837B1 KR1020110029246A KR20110029246A KR101119837B1 KR 101119837 B1 KR101119837 B1 KR 101119837B1 KR 1020110029246 A KR1020110029246 A KR 1020110029246A KR 20110029246 A KR20110029246 A KR 20110029246A KR 101119837 B1 KR101119837 B1 KR 10111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locker
doo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양자동문
Priority to KR102011002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도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 후퇴하여 상해를 예방하는 안전바를 락킹하는 안전도어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락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출몰하는 안전바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집어 넣어 도어를 개방하는 불필요한 경우를 차단하기 위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폐쇄시킬 때 잠금장치의 회전손잡이의 회전바에 삽입된 별도의 락킹구가 동시에 회전하여, 안전바의 후방을 가압함으로, 도어의 잠금시에만 안전바도 그 연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safety locker to transfer of safety bar}
본 발명은 안전도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 후퇴하여 상해를 예방하는 안전바에 관한 안전도어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락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출몰하는 안전바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집어 넣어 도어를 개방하는 불필요한 경우를 차단하기 위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폐쇄시킬 때 잠금장치의 회전손잡이의 회전바에 삽입된 별도의 락킹구가 동시에 회전하여, 안전바의 후방을 가압함으로, 도어의 잠금시에만 안전바도 그 연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도어란 도어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수납되는 출몰형 안전바를 가진 도어프레임을 칭한다.
이 안전바(30)는 사용자가 사용하다가 간혹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도어 프레임(10)의 사이에 끼게 되면, 이 안전바(30)는 도어프레임(10)의 내측으로 들어가 아이의 손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바로 이렇게 유익한 효과를 창출한 안전바(30)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이 안전바(30)가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출몰이 가능한 관계로, 그 안전바(30)를 손가락으로 밀어 넣은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을 시도하여, 도어를 의도치 않은 시간에 개방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안전바(30)가 2개로 겹쳐진 쌍도어의 경우 상기 2개의 안전바(30)가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발생되는 공간은 사람의 손가락은 물론 손바닥까지도 완전하게 삽입시킬 수 있기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컸다.
따라서 종래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발명이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안전바 및 도어 동시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허 등록 제 10-1020614호이다. 이 종래의 발명은 도시된 도 8 내지 12에서처럼, 도어프레임(10)에는 상기 안전바(30)와 격벽(11)의 사이에 록킹로드(40)와 함께 연동하면서 안전바(30)를 불법으로 작동할 수 없도록 안전바(30)를 동시에 록킹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밀림방지대(50)가 내설된다.
이를 위한 밀림방지대(50)는 상부에 절곡 형성된 연결단부(51)가 격벽(11)에 형성된 이동장홀(11-1)을 관통하여 록킹로드(40)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절곡 형성된 가이드돌기(54)는 수납홀(11-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밀림방지대(50)에 상하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스토퍼(55)는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1)에 형성된 수납홀(11-2)에 수납됨으로써 안전바(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바(30)의 작동공간을 확보하여 안전바(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대(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20)을 록킹조작하면 상부로 이동하는 록킹로드(40)와 함께 연동하면서 스토퍼(55)가 수납홀(11-2)을 이탈하여 격벽(11)의 측면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안전바(30)의 걸림판(31)은 밀림방지대(50)에 접지되면서 이동이 저지되어 불법으로 안전바(30)를 작동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이 종래의 잠금장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지만 많은 문제점을 더 생산하였다.
첫째, 그 제작이 복잡하다. 조밀한 안전도어 프레임에 격벽을 제작하고, 또 수납홀을 형성하는 과정이 복잡하다. 또한 락킹을 위한 록킹로드의 연동을 이용하여 장형의 밀림방지대도 같이 연동하게 했기에 작동이 번거롭다.
둘째, 밀림방지대가 상하 방향의 연동과 함께 그 일측에서 돌출된 스톱퍼의 폭 차이를 이용하여 안전바의 후방을 밀어주는 작동에서 잦은 마찰이 일어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셋째, 상기 밀림방지대가 연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있기에 사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도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 후퇴하여 상해를 예방하는 안전바를 락킹하는 안전도어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락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의 내측으로 출몰하는 안전바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집어 넣어 도어를 개방하는 불필요한 경우를 차단하기 위해서, 도어의 잠금장치를 폐쇄시킬 때 잠금장치의 회전손잡이의 회전바에 삽입된 별도의 락킹구가 동시에 회전하여, 안전바의 후방을 가압함으로, 도어의 잠금시에만 안전바도 그 연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는, 손잡이(12)와 열쇠뭉치(11) 및 락커블럭(13)으로 이루어지고, 4각의 안전도어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안전도어(60)의 개방을 제어하는 잠금장치(10)와; 상기 잠금장치(10)의 회전바(A)에 끼워지고, 손잡이(12)와 회전바(A)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잠금장치(10)를 잠그면, 안전바(50)의 후방을 밀어 안전바(50)의 후퇴를 차단하는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에 따른,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형상을 이루되 회전바(A)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21')이 형성된 회전체부(21)와; 상기 회전체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끝단이 후크의 형태로 안전바(50)의 배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2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전도어를 그 잠금장치를 통해서 폐쇄시킬 때만 안전바의 출몰을 차단하기에, 건축물의 거주자나 사용자가 보다 안전한 사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안전도어에 적용되어, 잠금장치와 그 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아주 간단한 구조의 락킹구를 잠금장치의 회전바에 끼워 삽입하는 변형만으로 실시가 가능하여, 제작비용의 발생이 적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락킹구가 체결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활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 발명의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1은 종래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종래 발명의 작동을 시행하는 밀림방지대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안전도어에서 사용되는 안전바의 출몰을 차단하되, 잠금장치가 도어의 개방을 차단할 때만 차단하도자 하는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시된 도 2 내지 7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손잡이(12)와 열쇠뭉치(11) 및 락커블럭(13)으로 이루어지고, 4각의 안전도어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안전도어(60)의 개방을 제어하는 잠금장치(10)가 있고, 상기 잠금장치(10)의 회전바(A)에 끼워지고, 손잡이(12)와 회전바(A)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잠금장치(10)를 잠그면, 안전바(50)의 후방을 밀어 안전바(50)의 후퇴를 차단하는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 효과는 놀랍다. 크게 구성을 추가할 필요도 없으면서, 기존에 사용되던 안전 도어 프레임(40)과 안전바(50), 브러쉬(51) 및 잠금장치(10)에 변형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그 체결의 방식도 변화를 줄 필요도 없다.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방식 그대로를 사용하며, 그 체결구조에 본 발명의 락킹구(20)를 끼워 넣기만 하면 안전바(50)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나 본 발명이나 사실상 안전도어 프레임(40)에는 차이가 없고, 그 잠금장치(10) 역시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창출한다. 그리고 그 작동의 방식이나 결합의 형태도 동일하다. 이러한 일반적인 안전 도어(60)를 본 발명의 설명을 편의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 1과 6, 7에서처럼, 안전도어(60)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도어 프레임(40)이 있다. 이 도어 프레임(40)이 4각형의 형태로 체결되고 그 내측에 강화유리가 끼워져 완전한 도어로서 작동을 한다. 도어(60)란 프레임(40)의 상하 방향 일측에서 돌출된 힌지를 통해서 타측을 연동시켜 개방하고 폐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필요치 않은 시간에는 반드시 도어의 폐쇄를 유지해야만 한다.
거주자가 건축물이나 가정에서 외부로 나가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60)를 안전하게 잠그고 나가야 하는 것이다. 물론 종래와 같이 도어(60)를 잠금 후에도 상기 도어(60)의 측면에 형성되는 안전바(50)가 내부로 수몰되는 과정에서 도어(60)를 아무에게나 개방시켜서는 안된다. 따라서 비록 사용자의 가락을 보호하기 위해서 안전바(50)가 프레임(40)의 내측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목적하는 안전바(50)의 경우도 도어(60)가 완벽하게 그 잠금장치(10)로 폐쇄되면 출몰을 허용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종래의 잠금장치(10)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실시가 가능하다. 내측에 고정되는 회전바(A)에 락킹구(20)를 끼워 넣어 안전바(50)의 연동을 차단한다. 즉, 도어(60)의 프레임(40)에는 도시된 잠금장치(10)가 체결되는데, 건축물의 내측으로 잠금장치(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12)가 고정되고, 건축물의 외부로는 열쇠를 통해서 잠금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는 열쇠뭉치(11)가 체결된다. 그리고 도어 프레임(40)의 내측에 내장될 수 있는 락커블럭(13)이 같이 구성되는 것도 일반적이다.
도시된 도 3에는 상기 락커블럭(13)의 락커(14) 상단으로 형성된 연장스크류(15)에 락커로드(AB)를 체결하고, 다시 락커로드(AB)의 끝단에 또 다른 락커(14)를 장착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시된 도 6, 7에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안전 도어(60)의 프레임(40)의 중심부에 잠금장치(10)를 두고 실질적인 락커(14)는 도어 프레임(40)의 상단이나 하단에 연장되어 형성시키는 실시예이다. 즉, 중심부의 손잡이(12)를 회전시키면, 잠금장치(10)측의 락커(14)가 승하강을 하고, 이 작용에 따라 락커로드(AB)도 동일한 작동을 하며, 끝단에 체결된 락커(14)를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 작용에 따라 프레임(40)의 상, 하단의 락커(14)가 도어 프레임(40)을 체결하여 도어(6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에 다 적용이 가능하다.
이 잠금장치(10)가 프레임(40)에 체결될 때에는 상기 체결관(31)에 스크류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손잡이(12)의 중심축은 회전바(A)로 이루어진다. 바로 본 발명은 이 회전바(A)에 락킹구(20)를 끼워 안전바(50)의 락킹을 수행하게 된다.
회전바(A)의 회전에 따라 락킹구(20)도 회전하고, 고개를 들어 프레임(40)의 내측에서 안전바(50)의 후방을 가압한다. 손잡이(12)를 회전시켜 회전바(A)를 역방향 회전시키면, 안전바(50)의 후방을 밀고 있던 락킹구(20)는 그 고개를 숙여 가압된 위치를 풀어주는 것이다. 바로 이렇게 본 발명은 잠금장치(10)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하고자 할 경우에만, 안전바(50)를 가압하여 연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잠금장치(10)가 잠가진 상태가 아니라면, 락킹구(20)는 그 고개를 숙여, 안전바(50)의 후방에서 멀어지고, 안전바(50)가 후방으로 연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보다 상세한 락킹구(20)의 형태를 살펴본다.
도시된 도 4와 5에서처럼, 본 발명의 상기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형상을 이루되 회전바(A)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21')이 형성된 회전체부(21)가 있고, 상기 회전체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끝단이 후크의 형태로 안전바(50)의 배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22)로 이루어진다.
후크의 형상이며, 고개를 들을 경우에 락킹구(20)의 끝단 가압부(22)가 안전바(50)의 배면을 밀을 수 있는 형태이고, 회전바(A)에 끼워질 수 있게 회전바(A)의 외곽면 형상에 동일한 형상을 한 체결공(23)을 갖는다. 체결공(23)을 구성한 부분을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부(21)라 칭하고 있는데, 이는 모두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은 이렇듯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이지만, 종래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고, 또 종래 사용되던 프레임(40)은 물론 잠금장치(10)도 그대로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데 큰 특징이 있다.
10; 잠금장치 11; 열쇠뭉치
12; 손잡이 13; 락커블럭
20; 락킹구 21; 회전체부
22; 가압부 40; 도어 프레임
50; 안전바 A; 회전바

Claims (2)

  1. 손잡이(12)와 열쇠뭉치(11) 및 락커블럭(13)으로 이루어지고, 4각의 안전도어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안전도어(60)의 개방을 제어하는 잠금장치(10)와;
    상기 잠금장치(10)의 회전바(A)에 끼워지고, 손잡이(12)와 회전바(A)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잠금장치(10)를 잠그면, 안전바(50)의 후방을 밀어 안전바(50)의 후퇴를 차단하는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2. 제1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락킹구(20)는, 금속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형상을 이루되 회전바(A)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공(21')이 형성된 회전체부(21)와;
    상기 회전체부(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끝단이 후크의 형태로 안전바(50)의 배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압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KR1020110029246A 2011-03-31 2011-03-31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KR101119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46A KR101119837B1 (ko) 2011-03-31 2011-03-31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246A KR101119837B1 (ko) 2011-03-31 2011-03-31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837B1 true KR101119837B1 (ko) 2012-02-28

Family

ID=4584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246A KR101119837B1 (ko) 2011-03-31 2011-03-31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87B1 (ko) * 2013-11-15 2015-08-19 최승수 도어의 안전장치
KR101566683B1 (ko) 2014-03-28 2015-11-09 최승수 도어 안전장치
CN105201303A (zh) * 2015-11-07 2015-12-30 李传聪 压力蒸柜三点锁紧式安全门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53A (ja) * 1995-03-15 1996-10-01 Tostem Corp 引戸の鎌錠装置
KR200422226Y1 (ko) * 2006-05-08 2006-07-25 김상권 도어 안전장치
KR100873735B1 (ko) * 2007-02-22 2008-12-12 임식규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100050705A (ko) * 2008-11-06 2010-05-14 김쌍호 다용도 후크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4053A (ja) * 1995-03-15 1996-10-01 Tostem Corp 引戸の鎌錠装置
KR200422226Y1 (ko) * 2006-05-08 2006-07-25 김상권 도어 안전장치
KR100873735B1 (ko) * 2007-02-22 2008-12-12 임식규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100050705A (ko) * 2008-11-06 2010-05-14 김쌍호 다용도 후크 자물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787B1 (ko) * 2013-11-15 2015-08-19 최승수 도어의 안전장치
KR101566683B1 (ko) 2014-03-28 2015-11-09 최승수 도어 안전장치
CN105201303A (zh) * 2015-11-07 2015-12-30 李传聪 压力蒸柜三点锁紧式安全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713B2 (en) Locker structure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WO2005021899A3 (en) Rotary pawl latch with lock down paddle
KR101119837B1 (ko) 안전도어의 안전바 연동을 차단하는 안전락커
WO2016128715A1 (en) Locking apparatus for a handle spindle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723943B1 (ko) 도어록의 외부 강제 해정 방지 장치
KR200439800Y1 (ko) 창문 손잡이
CN206299232U (zh) 一种防猫眼开启的电子锁
CN204002277U (zh) 一种保险箱伸缩式面板结构
EP2889443B1 (en) Lock for in-wall frames of retractable sliding doors
KR102133350B1 (ko) 돌출형 손잡이가 구비된 디지털 잠금장치
CN206245919U (zh) 插孔锁
KR200458415Y1 (ko) 사물함열쇠고리잠금장치
JP2019015070A (ja) ラッチ錠および把手部材
KR200386598Y1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CN104453399B (zh) 大门旋钮式方向密码防盗锁
KR101250554B1 (ko) 강화유리 도어의 락킹장치
KR200451117Y1 (ko) 사물함용 도어록
EP3845841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CN101619637B (zh) 可累计开锁次数的锁具
KR20050026444A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KR200349432Y1 (ko) 전자식 도어록의 번호판 및 키홀 커버구조
JP4769751B2 (ja) 引戸錠装置
CN211647693U (zh) 一种橱柜锁及使用该橱柜锁的橱柜
CN103835589B (zh) 箱/包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