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22B1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22B1
KR101119622B1 KR1020090079642A KR20090079642A KR101119622B1 KR 101119622 B1 KR101119622 B1 KR 101119622B1 KR 1020090079642 A KR1020090079642 A KR 1020090079642A KR 20090079642 A KR20090079642 A KR 20090079642A KR 101119622 B1 KR101119622 B1 KR 10111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microwave
container
heating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186A (ko
Inventor
오수기
제환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6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therm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정화시키고자 하는 토양이 유입되는 가열용기;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고 상기 가열용기로 전달하여, 상기 가열용기의 토양을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Apparatus for cleaning contaminated soil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오염토양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웨이브로 오염된 토양을 가열하여 토양의 오염물질을 증발시킴으로써, 토양의 오염물질 정화에 효율적이며, 오염물질 정화에 수반되는 이차 오염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토양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 유류저장시설로부터의 유류물질 유출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육상생태계의 생존기반인 토양을 오염시킨다. 토양오염은 대기나 물과는 달리 오랜 시간 동안 오염물질의 누출이 지속돼도 빠른 기간 내에 그 영향이 나타나지 아니한다. 그러나, 토양오염은 일단 오염이 일어나면 오염에 따른 피해가 끼치는 영향이 장기간 지속된다.
오염토양의 처리기술로 생물학적 처리기술, 물리화학적 처리기술, 고정화기술, 열처리기술 및 in-situ 처리기술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 중, 열처리 기술은 다양한 토양 오염 형태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처리 비용도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열처리 기술은 토양의 오염물질을 오염된 토양과 함께 높은 온도에서 태우거나, 높은 온도의 공기로 오염물질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오염물질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토양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므로, 많은 연료를 사용해야 하고, 오염물질을 태우면서 발생하는 이차 오염물질(연료의 산화물)을 처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토양오염을 정화하는데 효율적이며, 토양오염을 정화하는데 수반되는 이차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토양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정화시키고자 하는 토양이 유입되는 오염토양 가열용기; 및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고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전달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을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은, 지면에 수직하여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첫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시작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마지막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종료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 갈수록, 상단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져, 상기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이, 계단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은, 지면에 수평하게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유입된 토양을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토양 이송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양 이송기는, 축에 부착되는 구동기어로 구동되고, 상기 축에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날개의 외경이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보다 작고, 상기 축 및 상기 축에 연결되는 날개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 이송기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가 도포된 절연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토양 이송기는 금속 소재로 구현되고, 상기 금속 소재의 토양 이송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진공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증발 온도를 낮추는 진공용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용기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부터 토양이 배출되는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진공용기의 밑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는, 상단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하단 방향으로 도달하는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양에 대한 정화가 종료되면, 오염토양에 혼합되어 마이크로웨 이브에 의한 토양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마지막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종료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첫 단에 위치하여 새로이 투입되는 토양에 대한 정화를 시작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가 토양에 혼합되어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지르코니아(ZrO) 또는 질화실리콘/탄소 복합체(C/Si3N4)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는,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일 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토양을 유입시키는 토양 유입용기;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타 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토양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배출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양 유입용기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진공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증발 온도를 낮추는 진공용기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 유입용기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토양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 내부의 끝 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토양 배출용기는,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 토양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토양 배출용기 내부의 끝 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예열된 토양을 공급하는 토양 유입장치; 및 상기 토양 배출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양을 냉각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배출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양 유입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토양 이송관; 및 상기 토양 이송관의 외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예열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공급되는 상기 토양 이송관 내부의 토양을 예열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토양 배출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토양 이송관; 및 상기 토양 이송관의 외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토양 이송관 내부의 정화된 토양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 배출장치가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된 토양을 냉각시킴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토양 유입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토양 유입장치가 토양을 예열시킴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예열수를 상기 냉각장치로 전달하는 열 교환액 이송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교환액 이송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유입장치 및 상기 토양 배출장치 사이에 열 교환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로 오염된 토양을 가열하여 토양의 오염물질을 증발시킴으로써, 토양의 오염물질 정화에 효율적이며, 오염물질 정화에 수반되는 이차 오염물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가열된 배출토양을 냉각시키고 투입되는 토양을 가열하므로 효율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오염토양을 실리콘 카바이드 등과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와 함께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를 효율적으로 토양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의 단위 유닛인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도 2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를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이,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은 특히, 도 2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 다섯 개를 포함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이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이 지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기재된다. 또한, 다양한 개수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제1 단(A)에서 제2 단(B)으로 갈수록,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의 상단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낮아지는(h1<h2) 계단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을 계단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후술되는 오염 토양 및 실리콘카바이드 등과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후술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i)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210), 진공용기(220) 내부에 위치하는 오염토양 가열용기(230), 및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로 오염토양을 유입시키는 토양 이송기(240)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210)는 토양에 전파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여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토양에 전달한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21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부(212), 및 제1 웨이브가이드(WG1) 및 제2 웨이브가이드(WG2)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전달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210)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부(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발생부(212)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웨이브는 직사각기둥 형상의 제1 웨이브가이드(WG1)에 전파되어 사각형의 마이크로웨이브로 변환된다. 사각형의 마이크로웨이브는 원기둥 형상의 제2 웨이브가이드(WG2)로 전파되어 원형 마이크로웨이브로 변환된다.
제1 웨이브가이드(WG1) 및 제2 웨이브가이드(WG2)의 모양 및 크기는 오염토양 가열용기(230) 내의 오염토양과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원형 마이크로웨이브는 원기둥 형상의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로 투입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로 전파된 마이크로웨이브는 오염토양 가열용기(230) 내에 위치하는 오염토양을 가열시킨다.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는 속이 빈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내경은 제2 웨이브가이드(WG2)의 내경과 동일하고,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길이(높이)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파장 길이에 대응 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된 열이 용기 안에 유지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오염토양 가열용기(230) 및 토양 이송기(240)에 대한 분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하단에 위치하는 투입구(INLT)를 통하여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에 유입되는 오염토양은, 토양 이송기(240)에 의하여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상단으로 이동된다. 오염토양 가열용기(230) 내에서 이동하면서, 오염토양은,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상단에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210)로부터 전파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가열된다.
토양 이송기(240)는, 중심 축(AXS)을 기준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이송기(240)는 중심 축(AXS)을 회전시키는 구동기어(GER)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빈 원통 형상의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유입구(INLT)로 유입된 오염토양은 토양 이송기(240)에 의하여 용기의 상단으로 이동되어,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된다.
오염토양은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이동하는 동안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된 후,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상단에 위치하는 배출구(OUTLT)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OUTLT)로 배출되는 토양이 다음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 전량 이동될 수 있도록, 도 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출구(OUTLT)로부터 진공용기(220)의 개스킷(225)의 밑단까지 연결되는 경사면(IPLN)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진공용기(220)의 개스킷(225)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오염된 토양의 내부가지 침투하여 오염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증발시키는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킴으로써, 이차 오염물질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양 이송기(24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시키지 아니하는 절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이송기(240)에 실리콘 카바이드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도포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잘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의 크기가 커져, 정화시키는 토양의 양이 증가되는 경우, 토양 이송기(240)는 금속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b)와 같이, 가열장치(HET)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의 토양 이송기(240)에 별도의 열을 가하여, 정화하고자 하는 토양으로의 열을 좀 더 많이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가열장치(HET)는 금속 소재의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를 가열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100)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을 계단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인접하여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예를 들어, MWU1 및 MWU2) 중 앞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상기 예에서의 MWU1)의 가열용기의 배출구(OUTLT)에서 배출된 토양이, 뒷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상기 예에서의 MWU2)의 유입구(INLT)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는 오염토양을 여러 단계의 가열을 통해 정화시킴으로써,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용기(2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오염토양 가열용기(230)를 진공용기(22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오염토양 내의 오염물질을 낮은 온도에서도 용이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공용기(220)의 분해도인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용기(220)는 가열된 토양을 보온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만들어진 진공 내벽(221a, 221b, 221c, 221d) 및 진공 압력에 견디는 금속으로 된 진공 외벽(222a, 222b, 222c, 22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진공 외벽(222a)에는 제2 웨이브가이드(GW2)를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에 진공 밀폐하여 연결하는 진공 창(223)이 위치하며, 하부 진공 외벽(222b)에는 도 4의 토양 이송기(240)의 축(AXS)을 진공 밀폐하는 진공 밀폐기(224)가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공용기(220)의 좌우 측면의 진공 내벽(221c, 221d)을 도 2의 가열용기(230)의 좌우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되어 좌우 측면의 진공 외벽(222c, 222d)이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즉 앞뒷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의 진공용기(2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진공 내벽(221a, 221b, 221c, 221d)과 진공 외벽(222a, 222b, 222c, 222d)은 진공용기(220)의 여섯 개의 면들 중 상하부 및 좌우측면에만 구비되고, 앞뒷면은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때, 앞뒷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의 진공용기(220)를 밀폐시켜 연결하 는, 개스킷(2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은 오염토양 정화장치(100)의 제1 단(A)에서 제2 단(B)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계단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접하여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상부 및 하부의 진공 외벽(222a, 222b)이 계단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의 진공용기(220)에서, 좌우 측면의 진공 내벽(221c, 221d)을 가열용기(230)에 밀착시켜 구비함으로써, 앞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가열용기와 뒷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가열용기 사이의 공간은, 앞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에서 배출된 토양이 뒷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에 투입될 때까지, 토양이 가열된 상태의 온도를 유지하면 머무르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오염물질을 가열시키는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오염물질의 가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오염토양에 실리콘 카바이드와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혼합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로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이외에, 지르코니아(ZrO), 질화실리콘/탄소 복합체(C/Si3N4) 등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의 허수부(imaginary part) 값이 큰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는 오염토양의 입자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동전, 나사, 짧은 튜브 등 부피에 비하여 표면이 넓은 형상에 도포하여 오염토양에 혼합됨으로써, 오염토양과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의 순환적 사용을 위해, 오염토양과 혼합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오염토양과의 열교환 후 그물망 등으로 걸러내어, 새로 유입시키는 오염토양에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는 그물망 등으로 걸러내기에 용이한, 오염토양의 입자보다 큰 지름 1cm - 5cm 정도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흡수체의 순환적 사용을 위해, 마지막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5)의 배출구(OUTLT)에서 배출되는 오염토양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분리시키는 분리기(SEPE)와, 오염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로 이송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분리기(SEPE)는 배출구(OUTLT)의 하부에 위치하고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에 연결되는 그물망일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를 통하여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로 이송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는,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에 투입되는 오염토양과 혼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100)와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이와 더불어,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비록 하나의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개의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도 2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의 진공용기(2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6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6은 진공펌프(670)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에 직접 연결되지 아니하고, 토양 유입용기(INPU)에 연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6은 진공펌프(670)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은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의 보다 자세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의 (a)을 참조하면, 토양 유입용기(INPU)는 직렬로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 중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토양 유입용기(INPU)는 오염토양을 첫 단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로 유입시킨다.
토양 유입용기(INPU)는 진공용기(7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의 (a)의 진공용기(740)는, 상부에 진공펌프(670)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진공용기(220)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의 (a)의 진공용기(740)는,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와 연결되고, 토양 유입구(SINLT)가 토양 유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a)의 진공용기(740)로 유입되는 토양은 토양 유입용기(INPU)의 일면(752)에 연결되는 토양 유입구(SINLT)와, 토양 유입구(SINLT)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진공용기(740)의 끝단을 연결하는 경사면(IPLN)을 거쳐 첫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진공펌프(670)와 연결되는 토양 유입용기(INPU)를 더 구비함으로써, 진공펌프(670)가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에 연결되는 경우보다,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의 진공용기(도 5의 220)의 진공 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진공용기(740)의 타 면(754)에는 후술되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와 연결되는 연결구(7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토양 배출용기(OUTPU)는 직렬로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 중 끝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5)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토양 배출용기(OUTPU)도 토양 유입용기(INPU)와 마찬가지로 진공용기(760)로 구현된다.
토양 배출용기(OUTPU)도 토양 유입용기(INPU)와 마찬가지로, 끝 단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5)와 연결되어 일 면(762)에 구비되는 토양 유입구(미도시)와, 토양 유입구(미도시)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진공용기(740)의 끝단을 연결하는 경사면(IPLN)을 구비하여, 토양 배출용기(OUTPU)로 유입되는 토양을, 토양 배출구(SOUTLT)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만, 토양 유입용기(INPU)의 진공용기(740)과 달리 토양 배출용기(OUTPU)의 진공용기(760)는 진공펌프(670)과 연결되지 아니하다.
토양 배출용기(OUTPU)는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5)의 오염토양 가열용기(도 2의 230)의 배출구(OUTLT)에서 배출되는 오염토양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분리시키는 분리기(SEP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분리기(SEPE)는 원통형의 오염토양 가열용기(230)와 결합되도록, 끝 단이 반달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도,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100)와 같이, 마이크로 흡수체의 순환적 사용을 위해, 토양 배출용기(OUTPU)의 토양 유입구(미도시)로 유입되는 오염토양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분리시키는 분리기(SEPE)와, 오염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토양 유입용기(INPU)로 이송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분리기(SEPE)는 토양 배출용기(OUTPU)의 토양 유입구(미도시)보다 낮은 위치에서 진공용기(760)를 횡단하는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분리기(SEPE)는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에 연결되고,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진공용기(740)의 타 면(764)에는 후술되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TRAN)와 연결되는 연결구(7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8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800)는 도 6의 오염토양 정화장치(600)와 같이,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이와 더불어, 각각 토양 유입용기(INPU) 및 토양 배출용기(OUTPU)에 연결되는 토양 유입장치(INPS) 및 토양 배출장치(OUTP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토양 유입용기(INPU)와 연결되어 토양 유입용기(INPU)로 토양을 유입시킨다. 토양 배출장치(OUTPS)는 토양 배출용기(OUTPU)와 연결되어, 정화된 토양을 배출구(OUT)로 배출한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CASE) 내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한 단 이상의 굴곡부(WID)를 포함하는 토양 이동관(TP)을 구비한다. 좁고 긴 파이프 형상의 토양 이동관(TP)을 통해, 정화하고자 하는 오염 토양을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의 진공 용기들에서의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오염토양의 처리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토양 이동관(TP)은 제1 용기(940)로 유입되는 토양을 예열하여, 토양 유입용기(INPU)의 토양 유입구(SINLT)로 전달한다. 제1 이동용기(940)에는 스크류 형상으 로 구비되어, 토양 이동관(TP)에서의 토양의 이동을 유도하는 토양 이송기(SCW)가 삽입될 수 있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에서의 정화시킬 토양을 예열함으로써, 토양 오염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유입되는 토양을 예열하기 위해, 토양 이동관(TP) 이외의 케이스(CASE) 내부의 공간(SPA)은, 일정 온도 이상의 액체(예를 들어, 물)가 채워질 수 있다. 케이스(CASE) 내부의 공간(SPA)에 채워지는 예열수는, 토양 이동관(TP)에 있는 토양을 예열시킨다.
케이스(CASE) 내부의 공간(SPA)에 채워지는 예열수는, 토양을 예열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온도가 내려간 액체는, 도 8에 도시되는 제1 열 교환액 이송기(LTRAN1)를 통하여 도 9와 동일한 구조의 토양 배출장치(OUTPS)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토양 배출장치(OUTPS)는 토양 유입장치(INPS)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케이스 내부에 토양 이동관과 내부 공간, 그리고 토양 이동관에서의 토양의 이동을 유도하는 토양 이동용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9의 토양 유입구(SINLT)는 도 8의 배출구(OUT)에 대응된다.
토양 배출장치(OUTPS)는, 토양 배출용기(OUTPU)로부터 전달되는 토양을, 토양 유입장치(INPS)로부터 전달된 액체를 이용하여 냉각시킨다. 즉, 토양 배출장치(OUTPS)의 케이스(CASE) 내부의 공간(SPA)은, 토양 유입장치(INPS)로부터 전달된 일정 온도 이하의 냉각수로 채워질 수 있다. 토양 배출장치(OUTPS)는 냉각수를 이 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2)에 의해 가열된 토양을 냉각시킬 수 있다.
가열된 토양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된 토양 배출장치(OUTPS)의 냉각수는, 상기와 같은 토양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된 액체는 제2 열 교환액 이송기(LTRAN2)를 통하여 토양 유입장치(INPS)로 전달된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토양 배출장치(OUTPS)로부터 전달된 액체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토양을 예열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800)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 교환액 이송기(LTRAN1, LTRAN2) 중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액 이송기(LTRAN2)에 연결되어, 토양 유입장치(INPS) 및 토양 배출장치(OUTPS) 사이의 열 교환 액체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9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800)는, 토양 배출장치(OUTPS)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된 오염토양을 냉각시킴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토양 유입장치(INPS)에서 사용하거나, 토양 유입장치(INPS)가 오염토양을 예열시킴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예열수를 토양 배출장치(OUTPS)에서 사용함으로써, 오염토양의 냉각 및 예열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토양 유입장치(INPS) 및 토양 배출장치(OUTPS)가 각각, 토양 유입장치(INPS) 및 토양 배출장치(OUTPS)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양 유입장치(INPS)는 도 1의 오염토양 정화 장치(100)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 중 첫 단인 제1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 치(MWU1)에 연결되고, 토양 배출장치(OUTPS)는 도 1의 오염토양 정화 장치(100)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MWU1~MWU5) 중 마지막 단인 제5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MWU5)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록, 도 6 등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600)는 진공펌프(670)의 출구에 연결되는 오염물질 처리장치(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진공펌프(670)에 의해 증발된 물과 오염물질을 응축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오염토양 정화장치의 단위 유닛인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에 구비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오염토양 가열용기 및 토양 이송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진공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토양 유입용기 및 토양 배출용기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양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토양 유입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3)

  1. 오염토양을 가열하여 정화시키는 오염토양 정화장치에 있어서,
    정화시키고자 하는 토양이 유입되는 오염토양 가열용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고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전달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을 마이크로웨이브로 가열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 및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진공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증발 온도를 낮추는 진공용기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은,
    지면에 수직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첫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시작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상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마지막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종료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 갈수록, 상단의 지면에 대한 높이가 순차적으로 낮아져,
    상기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이,
    계단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은,
    지면에 수평하게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유입된 토양을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토양 이송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양 이송기는,
    축에 부착되는 구동기어로 구동되고, 상기 축에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날개의 외경이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보다 작고, 상기 축 및 상기 축에 연결되는 날개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이송기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가 도포된 절연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이송기는 금속 소재로 구현되고,
    상기 금속 소재의 토양 이송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로부터 토양이 배출되는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진공용기의 밑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는,
    상단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와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 및 전달기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하단 방향으로 도달하는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토양에 대한 정화가 종료되면, 오염토양에 혼합되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토양의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분리하는 분리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마지막 단에 위치하여 토양에 대한 정화를 종료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된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를,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들의 첫 단에 위치하여 새로이 투입되는 토양에 대한 정화를 시작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 이송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가 토양에 혼합되어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흡수체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지르코니아(ZrO) 또는 질화실리콘/탄소 복합체(C/Si3N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는,
    금속 소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일 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오염토양 가열용기로 토양을 유입시키는 토양 유입용기;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타 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토양을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배출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양 유입용기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 및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장치의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진공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오염토양 가열용기의 토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증발 온도를 낮추는 진공용기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유입용기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토양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토양 유입용기 내부의 끝 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토양 배출용기는,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 토양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기 토양 배출용기 내부의 끝 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유입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예열된 토양을 공급하는 토양 유입장치; 및
    상기 토양 배출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토양을 냉각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토양 배출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유입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토양 이송관; 및
    상기 토양 이송관의 외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예열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 유입용기로 공급되는 상기 토양 이송관 내부의 토양을 예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배출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토양 이송관; 및
    상기 토양 이송관의 외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토양 이송관 내부의 정화된 토양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배출장치가 상기 토양 배출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된 토양을 냉각시킴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토양 유입장치로 전달하거나,
    상기 토양 유입장치가 토양을 예열시킴으로써 온도가 낮아진 예열수를 상기 토양 배출장치로 전달하는 열 교환액 이송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액 이송기에 연결되어, 상기 토양 유입장치 및 상기 토양 배출장치 사이에 열 교환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0090079642A 2009-08-27 2009-08-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111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42A KR101119622B1 (ko) 2009-08-27 2009-08-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642A KR101119622B1 (ko) 2009-08-27 2009-08-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86A KR20110022186A (ko) 2011-03-07
KR101119622B1 true KR101119622B1 (ko) 2012-02-22

Family

ID=4393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642A KR101119622B1 (ko) 2009-08-27 2009-08-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3087A (zh) * 2017-09-13 2017-11-21 西南科技大学 一种石油类污染土壤的处理方法
CN109127701B (zh) * 2018-09-29 2020-11-10 新冶高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微波热脱附土壤修复装置
KR102184681B1 (ko) 2019-08-08 2020-12-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정화시스템 및 방법
CN114001525B (zh) * 2021-11-11 2023-09-22 北京丰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脱水干燥系统和脱水换热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66Y1 (ko) * 2000-07-13 2000-12-01 주식회사보부하이테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초순수 가열장치
JP2004202290A (ja) * 2002-12-24 2004-07-22 Seon:Kk 有機塩素化合物に汚染された土壌等の浄化方法
KR20040091092A (ko) * 2002-03-06 2004-10-2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오염 토양의 무해화 처리 방법 및 어플리케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866Y1 (ko) * 2000-07-13 2000-12-01 주식회사보부하이테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초순수 가열장치
KR20040091092A (ko) * 2002-03-06 2004-10-2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오염 토양의 무해화 처리 방법 및 어플리케이터
JP2004202290A (ja) * 2002-12-24 2004-07-22 Seon:Kk 有機塩素化合物に汚染された土壌等の浄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86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22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장치
CN103145307B (zh) 污泥高温碳化系统及碳化工艺
US5791267A (en) Waste pyrolysis process and installation having a preheating unit
KR20120056945A (ko) 열 탈착에 의한 유류오염토양 정화장치
CN108795464A (zh) 一种利用烟气间接加热的脱附处理方法及其装置
NL9101802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een of meer verontreinigingen uit een bulkmateriaal.
WO2017011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processing
US5658094A (en) Energy recuperative soil remediation system
KR100781179B1 (ko) 농축장치
KR101979905B1 (ko) 토양 정화시스템
KR20080093485A (ko) 유기물 분리 처리장치
KR100636612B1 (ko) 마이크로파 유전가열 방법을 이용한 탄화물질 또는 폐활성탄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537639A (zh) 感染性排水的灭菌处理方法及其装置
CN113785034A (zh) 油污泥的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2049894B1 (ko) 급속 고온 살균 건조 장치
CN116603846A (zh) 一种汞和多环芳烃复合污染土壤修复装置及方法
KR200387714Y1 (ko)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동 식물류의 건조 탄화처리장치
KR102547205B1 (ko) 고분자 폐기물의 초음파 열분해 이동장치
CN103658164A (zh) 一种处理土壤中有机污染物的装置
KR20010000782A (ko) 폐수처리장치
JP3841275B2 (ja) 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KR10079399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674450B1 (ko)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동 식물류의 건조 탄화처리장치
CN211947789U (zh) 一种环保沥青搅拌设备
TW493181B (en) Device for the purification and/or decontamination of the (nuclear) fuel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