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18B1 -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18B1
KR101119618B1 KR1020110009358A KR20110009358A KR101119618B1 KR 101119618 B1 KR101119618 B1 KR 101119618B1 KR 1020110009358 A KR1020110009358 A KR 1020110009358A KR 20110009358 A KR20110009358 A KR 20110009358A KR 101119618 B1 KR101119618 B1 KR 10111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al muscle
signal
muscle signal
electrod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수
Original Assignee
김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수 filed Critical 김응수
Priority to KR102011000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6Devices for teaching lip-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혀와 턱 운동에 의해 변화되는 안면 근육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 근육 신호를 이용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다수 개의 낱말을 조합하여 단어나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는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왼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묻어 있는 제 1 전극과, 오른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묻어 있는 제 2 전극, 귀 밑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뭍어 있는 제 3 전극, 및 목 뒤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뭍어 있는 제 4 전극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극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에 각각 끼움 결합 되면서 제 1 내지 제 4 전극으로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로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스냅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한 다음 터미널 보드로 전달하는 안면근 신호 측정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연결되어 안면근 신호 측정기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파형의 생체 전기 신호를 PC로 전달하는 DAQ 카드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 중에 20Hz 내지 60Hz의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 내는 PC를 포함하고, 상기 PC는 파워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속에 포함된 주파수의 성분과 주파수 성분별 밀도를 검출해 낸다. 다음, 상기 PC(25)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를 분류기에 입력하여 6가지의 안면근 신호 상태 즉,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및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 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로 구분한다. 상기 분류기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를 마친 PC는 6가지의 상태로 구분된 안면근 신호 각각에 제어 코드를 할당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선택 블록이 제어 코드에 의해 4행 3열로 나열된 한글 자판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 블록이 놓인 자판상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나 두번째 낱말을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낱말이 모니터상에 조합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은 제 1 내지 제 4 전극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터미널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을 통해 전달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커넥터로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근 신호 측정기의 입력 단자에 끼워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로 전달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특징적인 파형을 나타낼 수 있는 안면근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전달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혀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좌?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왼쪽 이마나 오른쪽 이마에서 발생 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안면근 신호를 2개 이상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임의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 시스템을 떠나 휠체어 제어나, 병실 관리 시스템, 및 로보팔 제어 등에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Communication System using motion of tongue and chin,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혀와 턱을 움직일 때 발생되는 안면근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 신호로 모니터상에 표시된 낱말을 조합함으로써, 혀와 턱 운동만으로 본인의 의사를 제 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는 뇌파기를 통해 특정 상태의 뇌파 신호를 측정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분류한 다음 분류된 뇌파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나 주변 기기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관련 기술이다.
이러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원리는 간단해 보이지만 뇌파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고, 다양한 정신 상태에 따른 특이점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생각만으로 기기를 조작하고자 하는 BCI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생각에 의한 순수 뇌파만을 이용한 연구로 오스트리아의 퍼츠첼로 교수팀은 왼손, 오른손 동작을 상상할 때의 뇌파 변화를 연구하였고, 미국의 Wolpaw 교수팀은 동작을 행하거나 상상할 때, 감소하는 뮤파를 이용하여 모니터 상에 커서를 상,하로 움직이는 실험을 하였다.
반면, 데져맨은 비디오 카메라를 모니터에 부착하고 눈의 움직임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Eyegaze'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Tecce등은 EOG 신호를 이용하여 Spelling Device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뇌파를 이용한 실험은 일반 피험자가 사용하기에 오랜 훈련 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눈 움직임을 이용한 실험은 피험자가 무의식적으로 눈을 깜박이거나 움직여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뇌파나 눈의 움직임 대신에 혀나 턱 운동에 의해 특징적인 파형을 나타낼 수 있는 안면 근육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의사 전달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왼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묻어 있는 제 1 전극과, 오른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묻어 있는 제 2 전극, 귀 밑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뭍어 있는 제 3 전극, 및 목 뒤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이 뭍어 있는 제 4 전극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극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에 각각 끼움 결합 되면서 제 1 내지 제 4 전극으로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로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스냅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한 다음 터미널 보드로 전달하는 안면근 신호 측정기, 상기 터미널 보드에 연결되어 안면근 신호 측정기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파형의 생체 전기 신호를 PC로 전달하는 DAQ 카드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 중에 20Hz 내지 60Hz의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 내는 PC를 포함하고, 상기 PC는 파워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속에 포함된 주파수의 성분과 주파수 성분별 밀도를 검출해 낸다.
다음, 상기 PC(25)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를 분류기에 입력하여 6가지의 안면근 신호 상태 즉,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 및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 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분류기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를 마친 PC는 6가지의 상태로 구분된 안면근 신호 각각에 제어 코드를 할당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선택 블록이 제어 코드에 의해 4행 3열로 나열된 한글 자판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 블록이 놓인 자판상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나 두번째 낱말을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낱말이 모니터상에 조합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은 제 1 내지 제 4 전극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터미널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을 통해 전달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커넥터로 전달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근 신호 측정기의 입력 단자에 끼워져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로 전달하는 커넥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특징적인 파형을 나타낼 수 있는 안면근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전달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혀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좌?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왼쪽 이마나 오른쪽 이마에서 발생 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안면근 신호를 2개 이상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임의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 시스템을 떠나 휠체어 제어나, 병실 관리 시스템, 및 로보팔 제어 등에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제 1 내지 제 4 전극의 앞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제 1 내지 제 4 전극의 뒷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4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안면근 신호 측정기의 제어 블록도,
도면 5는 PC 내부에서 안면근 신호를 6가지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면 6은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제 1 내지 제 2 전극으로 각각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에 대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7은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제 1 내지 제 2 전극으로 각각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에 대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8은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제 1 내지 제 2 전극으로 각각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에 대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은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번 깨무는 턱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제 1 내지 제 2 전극으로 각각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에 대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0은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1 전극(3)과, 오른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2 전극(5), 귀 밑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3 전극(7), 및 목 뒤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4 전극(9)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은 국제 표준 전극 배치법인 10-20 시스템을 이용하여 Fp1, Fp2 채널(좌?우측 이마)에 붙여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전극(7)과 제 4 전극(9)은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에 대한 기준 전위(Ground)로 이용된다.
또, 본 발명은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 되면서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으로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스냅 전극(15,17)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한 다음 터미널 보드(23)로 전달하는 안면근 신호 측정기(13), 상기 터미널 보드(23)에 연결되어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파형의 생체 전기 신호를 PC(25)로 전달하는 DAQ 카드(27)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도면 4 내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28a,28b)를 이용하여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 중에 20Hz 내지 60Hz의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 내는 PC(25)를 포함하고, 상기 PC(25)는 파워 스펙트럼(30a,30b)을 통해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속에 포함된 주파수의 성분과 주파수 성분별 밀도를 검출해 낸다.
이때, 상기 파워 스펙트럼(30a,30b)은 안면근 신호를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한 다음, 주파수에서 복소수 크기를 구함으로써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30a,30b)은 안면근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다음, 상기 PC(25)는 도면 5 내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를 분류기(32a,32b)에 입력하여 6개의 안면근 신호 상태 즉,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6),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8),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0), 및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 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2)로 구분한다.
이때, 상기 분류기(32a,32b)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를 마친 PC(25)는 6가지의 상태로 구분된 안면근 신호 각각에 제어 코드를 할당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선택 블록(56)이 제어 코드에 의해 4행 3열로 나열된 한글 자판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 블록(56)이 놓인 자판상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나 두번째 낱말을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낱말이 모니터상에 조합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터미널(29)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29)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29)을 통해 전달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커넥터(31)로 전달하는 케이블(33), 상기 케이블(33)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근 신호 측정기(13)의 입력 단자에 끼워져 케이블(33)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커넥터(3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2 전극(3,5)으로부터 입력되는 수마이크로볼트(㎶)의 안면근 신호 세기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전처리 증폭부(35)와, 안면근 신호 중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억제함과 더불어 순수한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내기 위하여 60Hz대의 저역 통과 필터(LPF)와 1Hz대의 고역 통과 필터가 조합된 1Hz 내지 60Hz대의 대역 통과 필터(BPF)로 구성된 안면근 신호 필터부(37), 및 상기 필터링된 안면근 신호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중간 증폭부(3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증폭부(39)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형태의 안면근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1)와, 상기 A/D 변환부(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 중 극대 피크값을 검출한 다음, 상기 극대 피크값이 기준치에 미달되거나 기준치 한도를 넘었을 때 전처리 증폭부(35)와 중간 증폭부(39)의 증폭 이득을 조절하여 항시 안면근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는 증폭 이득 조절부(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증폭 이득 조절부(43)는 일정하게 증폭된 안면근 신호를 터미널 보드(23)를 통해 DAQ 카드(27)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을 도면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은 모니터상에 4행 3열로 나열된 천지인 한글 자판(45)과, 시스템 안으로 안면근 신호를 로드(Load)시키는 로드 버튼(47), 시스템을 최초 구동시키는 플레이(Play) 버튼(49), 시스템을 처음 상태로 초기화하는 클리어(Clear) 버튼(51)을 표시하는 단계와, 모니터상에 왼쪽 이마에 부착된 제 1 전극(3)으로부터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 1 채널 표시부(53)와, 모니터상에 오른쪽 이마에 부착된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 2 채널 표시부(55)를 표시하는 단계, 모니터상에 4행 3열로 나열된 천지인 한글 자판(45) 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선택 블록(56)을 세팅(Setting)하는 단계, 모니터상에 선택 블록(56)에 의해 선택된 한글 낱말을 단어나 문장으로 조합하여 표시하는 의사 표시부(57)를 세팅하는 단계, 및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위쪽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은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아래쪽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와,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좌측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우측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동시에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선택 블록(56)이 위치한 자판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 의사 표시부(57)에 표시되는 단계, 및 좌?우측 어금니를 짧게 두번 동시에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선택 블록(56)이 위치한 자판에 표시된 두번째 낱말이 의사 표시부(57)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은 상기 의사 표시부(57)에 선택 블록(56)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된 낱말을 조합하여 단어나 문장으로 표시함으로써 제 3자에게 안면근 신호를 발생하는 피험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은 특징적인 파형을 나타낼 수 있는 안면근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전달 시스템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혀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좌?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을 발생하였을 때 왼쪽 이마나 오른쪽 이마에서 발생 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안면근 신호를 2개 이상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임의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 시스템을 떠나 휠체어 제어나, 병실 관리 시스템, 및 로보팔 제어 등에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금속 돌기 3. 제 1 전극
5. 제 2 전극 7. 제 3 전극
13. 안면근 신호 측정기 15. 제 1 스냅 전극
17. 제 2 스냅 전극 19. 제 3 스냅 전극
21. 제 4 스냅 전극 23. 터미널 보드
25. PC 27. DAQ 카드
28a. 대역 통과 필터 29. 터미널
30a. 파워 스펙트럼 31. 커넥터
32a. 분류기 33. 케이블
35. 전처리 증폭부 37. 안면근 신호 필터부
39. 중간 증폭부 41. A/D 변환부
43. 증폭 이득 조절부 45. 한글 자판
47. 로드(Load) 버튼 49. 플레이(Play) 버튼
51. 클리어(Clear) 버튼 53. 제 1 채널 표시부
55. 제 2 채널 표시부 57. 의사 표시부

Claims (4)

  1. 왼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1 전극(3)과;
    오른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2 전극(5);
    귀 밑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3 전극(7);
    목 뒤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4 전극(9);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 되면서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으로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
    상기 제 1 내지 제 2 스냅 전극(15,17)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한 다음 터미널 보드(23)로 전달하는 안면근 신호 측정기(13);
    상기 터미널 보드(23)에 연결되어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파형의 안면근 신호를 PC(25)로 전달하는 DAQ 카드(27);
    및 1차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28a,28b)를 이용하여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 중에 20Hz 내지 60Hz의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 내는 PC(25)를 포함하고,
    상기 PC(25)는 파워 스펙트럼(30a,30b)을 통해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속에 포함된 주파수의 성분과 주파수 성분별 밀도를 검출하며,
    상기 PC(25)는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를 분류기(32a,32b)에 입력하여 6개의 안면근 신호 상태 즉,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6),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8),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0), 및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 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2)로 구분하고,
    상기 분류기(32a,32b)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를 마친 PC(25)는 6가지의 상태로 구분된 안면근 신호 각각에 제어 코드를 할당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선택 블록(56)이 제어 코드에 의해 4행 3열로 나열된 한글 자판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 블록이 놓인 자판상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나 두번째 낱말을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낱말이 모니터상에 조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은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터미널(29)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29)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29)을 통해 전달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커넥터(31)로 전달하는 케이블(33),
    상기 케이블(33)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근 신호 측정기(13)의 입력 단자에 끼워져 케이블(33)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커넥터(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는 제 1 내지 제 2 전극(3,5)으로부터 입력되는 수마이크로볼트(㎶)의 안면근 신호 세기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전처리 증폭부(35)와;
    안면근 신호 중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억제함과 더불어 순수한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내기 위하여 60Hz대의 저역 통과 필터(LPF)와 1Hz대의 고역 통과 필터가 조합된 1Hz 내지 60Hz대의 대역 통과 필터(BPF)로 구성된 안면근 신호 필터부(37);
    상기 필터링된 안면근 신호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중간 증폭부(39);
    상기 중간 증폭부(39)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형태의 안면근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1);
    상기 A/D 변환부(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 중 극대 피크값을 검출한 다음 상기 극대 피크값이 기준치에 미달되거나 기준치 한도를 넘었을 때 전처리 증폭부(35)와 중간 증폭부(39)의 증폭 이득을 조절하여 항시 안면근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는 증폭 이득 조절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폭 이득 조절부(43)는 일정하게 증폭된 안면근 신호를 터미널 보드(23)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3. 왼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1 전극(3)과;
    오른쪽 이마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묻어 있는 제 2 전극(5);
    귀 밑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3 전극(7);
    목 뒤에 부착되면서 피부와 맞닿지 않는 일측면에 금속 돌기(1)가 돌출되고 피부와 맞닿는 타측면에 전해질(11)이 뭍어 있는 제 4 전극(9);
    상기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 되면서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으로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
    상기 제 1 내지 제 2 스냅 전극(15,17)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를 증폭한 다음 터미널 보드(23)로 전달하는 안면근 신호 측정기(13);
    상기 터미널 보드(23)에 연결되어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파형의 안면근 신호를 PC(25)로 전달하는 DAQ 카드(27);
    및 1차적으로 대역 통과 필터(28a,28b)를 이용하여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생체 전기 신호 중에 20Hz 내지 60Hz의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 내는 PC(25)를 포함하고,
    상기 PC(25)는 파워 스펙트럼(30a,30b)을 통해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속에 포함된 주파수의 성분과 주파수 성분별 밀도를 검출하며,
    상기 PC(25)는 제 1 전극(3)과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된 안면근 신호를 분류기(32a,32b)에 입력하여 6개의 안면근 신호 상태 즉,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된 안면근 신호,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6),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38),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0), 및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 번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된 안면근 신호(42)로 구분하고,
    상기 분류기(32a,32b)에는 RBF(Radial Basis Function) 신경망이 사용되었으며, 분류를 마친 PC(25)는 6가지의 상태로 구분된 안면근 신호 각각에 제어 코드를 할당하여 모니터상에 표시된 선택 블록(56)이 제어 코드에 의해 4행 3열로 나열된 한글 자판 위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 블록이 놓인 자판상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나 두번째 낱말을 선택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된 낱말이 모니터상에 조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스냅 전극(15,17,19,21)은 제 1 내지 제 4 전극(3,5,7,9)에 갖추어진 금속 돌기(1)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터미널(29)과,
    일단이 상기 터미널(29)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미널(29)을 통해 전달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커넥터(31)로 전달하는 케이블(33),
    상기 케이블(33)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면근 신호 측정기(13)의 입력 단자에 끼워져 케이블(33)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 전기 신호를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로 전달하는 커넥터(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상에 4행 3열로 나열된 천지인 한글 자판(45)과, 시스템 안으로 안면근 신호를 로드(Load)시키는 로드 버튼(47), 시스템을 최초 구동시키는 플레이(Play) 버튼(49), 시스템을 처음 상태로 초기화하는 클리어(Clear) 버튼(51)을 표시하는 단계;
    모니터상에 왼쪽 이마에 부착된 제 1 전극(3)으로부터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 1 채널 표시부(53)와, 모니터상에 오른쪽 이마에 부착된 제 2 전극(5)으로부터 입력되는 안면근 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제 2 채널 표시부(55)를 표시하는 단계;
    모니터상에 4행 3열로 나열된 천지인 한글 자판(45) 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선택 블록(56)을 세팅(Setting)하는 단계;
    모니터상에 선택 블록(56)에 의해 선택된 한글 낱말을 단어나 문장으로 조합하여 표시하는 의사 표시부(57)를 세팅하는 단계;
    혀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위쪽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혀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아래쪽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좌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좌측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우측 어금니를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에 의해 상기 선택 블록(56)이 현재 자판 위치의 우측 자판으로 이동되는 단계;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한번 동시에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선택 블록(56)이 위치한 자판에 표시된 첫번째 낱말이 의사 표시부(57)에 표시되는 단계;
    좌?우측 어금니를 동시에 짧게 두번 동시에 깨무는 턱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안면근 신호가 PC(25)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됨과 동시에 제 1 채널 표시부(53)와 제 2 채널 표시부(55)에 표시되었을 때 상기 선택 블록(56)이 위치한 자판에 표시된 두번째 낱말이 의사 표시부(57)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의사 표시부(57)는 선택 블록(56)에 의해 순차적으로 선택된 낱말을 조합하여 단어나 문장으로 표시함으로써 제 3자에게 안면근 신호를 발생하는 피험자의 의사를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 신호 측정기(13)는 제 1 내지 제 2 전극(3,5)으로부터 입력되는 수마이크로볼트(㎶)의 안면근 신호 세기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전처리 증폭부(35)와;
    안면근 신호 중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억제함과 더불어 순수한 안면근 신호만을 걸러내기 위하여 60Hz대의 저역 통과 필터(LPF)와 1Hz대의 고역 통과 필터가 조합된 1Hz 내지 60Hz대의 대역 통과 필터(BPF)로 구성된 안면근 신호 필터부(37);
    상기 필터링된 안면근 신호를 일정 배율로 증폭하는 중간 증폭부(39);
    상기 중간 증폭부(39)를 통해 증폭 처리된 아날로그 형태의 안면근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1);
    상기 A/D 변환부(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값으로 변환된 안면근 신호 중 극대 피크값을 검출한 다음 상기 극대 피크값이 기준치에 미달되거나 기준치 한도를 넘었을 때 전처리 증폭부(35)와 중간 증폭부(39)의 증폭 이득을 조절하여 항시 안면근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는 증폭 이득 조절부(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폭 이득 조절부(43)는 일정하게 증폭된 안면근 신호를 터미널 보드(23)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KR1020110009358A 2011-01-31 2011-01-31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111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58A KR101119618B1 (ko) 2011-01-31 2011-01-31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58A KR101119618B1 (ko) 2011-01-31 2011-01-31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618B1 true KR101119618B1 (ko) 2012-03-13

Family

ID=4614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58A KR101119618B1 (ko) 2011-01-31 2011-01-31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6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946A (ko) * 2003-01-06 2003-02-11 김응수 안면근 신호를 이용한 방향 제어장치
WO2006039497A2 (en) 2004-10-01 2006-04-13 Sony Pictures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acial muscle and eye motion for computer graphics ani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946A (ko) * 2003-01-06 2003-02-11 김응수 안면근 신호를 이용한 방향 제어장치
WO2006039497A2 (en) 2004-10-01 2006-04-13 Sony Pictures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acial muscle and eye motion for computer graphics anim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논문2:석사학위 논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8272A1 (en) Headgear with displaceable sensors for electrophysiology measurement and training
Kapeller et al. A BCI using VEP for continuous control of a mobile robot
Lin et al. EOG-based eye movement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on HCI baseball game
Hamedi et al. Human facial neural activities and gesture recognition for machine-interfacing applications
WO2019228174A1 (zh) 一种基于面目表情识别的智能vr眼镜
Gorur et al. Glossokinetic potential based tongue–machine interface for 1-D extraction
Kosmyna et al. AttentivU: Designing EEG and EOG compatible glasses for physiological sensing and feedback in the car
Gembler et al.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ultitarget SSVEP-based BCI applications
Wu et al. BioFace-3D: Continuous 3D facial reconstruction through lightweight single-ear biosensors
Li et al. A competitive brain computer interface: Multi-person car racing system
Lin et al. Design of SSVEP enhancement-based brain computer interface
Shatilov et al. Emerging exg-based nui inputs in extended realities: A bottom-up survey
Mladenov et al. Accurate motor imagery based dry electrode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 for consumer applications
Kick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spelling layouts for SSVEP based BCIs
CN114003129A (zh) 一种基于非侵入式脑机接口的意念控制虚实融合反馈方法
CN206147520U (zh) 一种用于基于运动想象和p300相结合的脑机接口控制虚拟现实的数据采集装置
Guger et al. Motor imagery with brain-computer interface neurotechnology
AlZu'bi et al. Toward inexpensive and practical brain computer interface
KR101119618B1 (ko) 혀와 턱 운동을 이용한 의사 전달 시스템 및 운용 방법
Ortner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s for stroke rehabilitation: evaluation of feedback and classification strategies in healthy users
Valeriani et al. Towards a we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phone with eye winks
Guger et al. Hardware/software components and applications of BCIs
Goto et al. Development of Hands‐Free Remote Operation System for a Mobile Robot Using EOG and EMG
Roula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 speller using hybrid P300 and motor imagery signals
KR100497133B1 (ko) 암기력 자가 증진 트레이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