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528B1 -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528B1
KR101119528B1 KR1020110065846A KR20110065846A KR101119528B1 KR 101119528 B1 KR101119528 B1 KR 101119528B1 KR 1020110065846 A KR1020110065846 A KR 1020110065846A KR 20110065846 A KR20110065846 A KR 20110065846A KR 101119528 B1 KR101119528 B1 KR 10111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xternal device
signal
input
ea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은
Original Assignee
윤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은 filed Critical 윤영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가 개시된다. 중개 장치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이어마이크 포트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 연결부, 외부장치에 대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수(授受)하는 외부장치 연결부, 및 상기 외부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Data Transmitting/Receiving Intermediating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ear jack between electrical devices}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의 전자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발달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가 구비한 디지털 데이터를 개별 장치에만 보관하지 않고 다른 전자기기나 인터넷상에 전송하는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최근에 많이 보급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들은 고급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타 기기와의 유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표적인 통신 수단으로서 유선에는 USB가, 무선에는 Wireless Modem, WIFI,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예컨대 혈당계나 혈압계와 같은 센서를 이용한 측정장치의 경우 그 목적상 예컨대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전형적인 전자기기에 대해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USB 포트 등과 같은 기본적인 수단은 갖추고 있으나, 여타의 다른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제약 없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갖추기가 어렵다. 즉, 이러한 외부장치는 그 특성상 휴대 가능한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고 또한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제작 원가를 낮추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제약이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다양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모두 구비하여 여타의 전자기기에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작자는 가장 전형적인 데이터 통신 수단인 USB 포트 등과 같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채용할 수밖에 없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음악이나 음성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표준화된 이어마이크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마이크 포트에는 이어폰이나 마이크가 연결되어 음향을 출력 또는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출력되는 음향은 이어폰 내의 스피커로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또한 마이크를 통해 녹음 등을 위해 입력되는 음향은 당연히 아날로그 신호이다. 이어마아크 포트를 구비한 전자기기 내에는 별도의 코덱이 마련되어 있어, 전자기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향을 데이터 저장을 위한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이어마이크 포트를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한다면 외부장치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전자기기에 대해 손쉽게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이어마이크 포트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종의 전자기기 간에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장치와, 이어마이크 포트를 구비한 전자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상기 이어마이크 포트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 연결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수(授受)하는 외부장치 연결부; 상기 외부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부와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직렬(serial) 디지털 데이터로 상기 신호변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병렬(parallel)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로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 송수신 중개장치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외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한 측정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전자기기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낮은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전자기기의 이어마이크 포트로 제공하고 또한 그 반대의 기능을 제공하므로,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를 외부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어마이크 연결부(2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외부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신호변환부(21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필요로 하는 외부장치의 일 예로서 혈당계나 혈압계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측정 대상에 대한 측정치를 제공하는 측정장치를 예시하며, 이와 같은 측정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수(授受)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전자기기로서 스마트폰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측정장치와 스마트폰에 국한되지 않고, 전자기기가 이어마이크 포트를 구비하는 것이기만 하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50)은 전면에 스마트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키(52)와 스마트폰(50)의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54)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화면(54)은 통상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스마트폰(50)은 전원 충전 및 PC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6)가 구비되어 인터넷 망(10)을 통해 외부 통신 기기 또는 웹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50)에는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이어마이크 포트(58)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음성 통화, 음악 감상, 음성 녹음 등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 포트(58)는 오디오 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다. 즉, 이어마이크 포트(58)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단자(M),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단자(L,R), 및 접지 단자(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폰(50) 내에는, 이어마이크 포트(5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포맷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포맷으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CODEC)이 구비되어 있다. 즉, 스마트폰(50)에서 MP3와 같은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아날로그 음성으로 듣게 해주는 장치가 코덱으로서, 코덱은 제어 기기에서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통해, 코덱은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시리얼 신호처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에서 생성해 내는 시리얼 신호 모양의 파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코덱은 설정된 기준 레벨 전압에 따라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인식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어마이크 포트(58)를 센서를 이용한 측정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연결 포트로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기기 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를 외부장치인 측정장치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측정장치(1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제어부(110), 센서부(120), 및 입출력부(130)를 구비한다.
제어부(110)는 측정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센서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정보를 수집하며, 예컨대 혈당계의 경우 혈당량을 측정하고 혈압계의 경우 혈압을 측정한다. 입출력부(130)는 센서부(120)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110)에 입력하기 위한 키, 및 센서부(120)에서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 구비된다. 입출력부(130)가 측정장치(100)에 구비되는 것은 선택사항으로서, 입출력부(130)가 구비되지 않아도 하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을 통해 스마트폰(50)로부터 센서 데이터 수집명령을 입력받아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스마트폰(50)로 전송하여 스마트폰(5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200)는 신호변환부(210), 직병렬 변환부(220), 이어마이크 연결부(230), 및 외부장치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는 스마트폰(50)에 구비된 이어마이크 포트(58)의 오디오 신호 입출력 단자(L,R,M,G)에 대응하여 접속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50)에 구비된 이어마이크 포트(58)의 오디오 신호 입출력 단자(L,R,M,G)에 대응되는 단자(L,R,M,G)로 구성된다.
한편, 오디오 신호 입출력 단자는 하나의 스피커 단자, 마이크 단자, 및 그라운드 단자로 구성된 것도 있다. 이때, 각 단자의 위치는 도 3과 같이 L,R,M,G 순으로 구성되는 3.5 파이 어이마이크 잭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L,R,G,M 순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M,L,R,G 순으로 구성되는 2.5 파이 이어마이크 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오디오 출력과, 오디오 입력을 두 개의 이어잭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PC 나 노트북컴퓨터는 오디오 신호가 입출력되는 이어폰 잭이 입력과 출력용으로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입력과 출력이 각각 별개로 마련된 두 개의 이어폰 잭을 사용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장치 연결부(240)는 측정장치(100)와 연결되어, 측정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입력 받고, 또한 스마트폰(5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측정장치(100)로 출력함으로써, 측정장치(100)와 디지털 데이터를 수수(授受)하는 기능을 한다.
신호변환부(210)는, 센서장치(100)가 출력하는 센서 데이터가 외부장치 연결부(240)를 통해 입력되면 센서 데이터를 전자기기(50)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신호변환부(210)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기 신호를 측정장치(100)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 연결부(24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신호변환부(210)는 측정장치(200)가 측정한 센서 데이터가 외부장치 연결부(240)를 거쳐 입력되면, 측정 데이터를 스마트폰(50)에 구비된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로 출력한다.
한편, 신호변환부(2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마이크 단자(M)를 통해 스마트폰(50)의 오디오 코덱으로 입력되고, 스마트폰(5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스피커 단자(L 또는 R)를 통해 신호변환부(210)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직병렬 변환부(220)는 외부장치 연결부(240)를 통해 측정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포맷의 센서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여 신호변환부(210)로 출력한다. 즉, 통상적인 디지털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다수 비트의 병렬(parallel) 데이터로 구성되는데,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기 위해서는 직렬(serial)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직병렬 변환부(220)는 신호변환부(210)가 아날로그 신호로 바꿀 데이터에 대해 사전에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반대로, 직병렬 변환부(220)는 스마트폰(50)로부터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통해 입력되어 신호변환부(2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병렬로 변환하여 외부장치 연결부(240)로 출력한다. 이러한 직병렬 변환부(220)는 반드시 채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직병렬 변환부(220)로부터 신호변환부(210)에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는 스마트폰(50)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할 수 없는 레벨의 전압을 갖는다. 따라서 신호변환부(210)는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전압 레벨은 단말기마다 다를 수 있는데, 이어마이크 잭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은 O volt 내지 5 volt 사이에서 코덱이 인식 가능하므로, 신호변환부(210)는 직병렬 변환부(22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O volt(Low) 와 1.8~5 volw(High) 의 전압 레벨의 신호로 변환시켜 준다. 또한, 통상적으로 오디오 신호는 기준 레벨을 정하고 그 레벨에서 작은 아날로그 레벨로 움직이는 특성이 있다. 예컨대 오디오 신호의 출력은 기본 레벨이 0V 이거나 1V 일 수 있고 신호의 크기는 볼륨에 따라 수십 mV 에서 몇 Volt 까지 움직이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50)의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출력되어 신호변환부(21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직병렬 변환부(220)에서 인식할 수 없는 레벨의 전압을 갖게 되고, 신호변환부(210)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직병렬 변환부(220)가 인식 가능한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센서를 이용한 측정장치에서 출력되는 센서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스마트폰(50)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낮은 전압 레벨로 다운(DOWN) 변환하여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통해 스마트폰(50)의 이어마이크 포트(58)를 통해 오디오 코덱으로 출력하고, 스마트폰(50)의 이어마이크 포트(58)에 접속된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직병렬 변환부(220)에서 인식 가능한 높은 전압 레벨로 업(UP) 변환하여 직병렬 변환부(220)로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200)를 통해 센서 장치(100)와 스마트폰(50) 간에 데이터 송수신 중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장치(100)가 측정 결과 생성한 측정값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스마트폰(50)으로 입력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스마트폰(50)에 혈당량 측정치를 외부의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측정장치(100)가 측정한 혈당량을 의료 기관의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혈당량 측정치를 의료 기관에 주기적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만약 스마트폰(50)을 이용하여 측정장치(100)에 소정의 명령어를 전달하여 측정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거나, 또는 측정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프로그램을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으로 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50)을 이용하여 측정장치(100)로 필요한 데이터를 이어마이크 포트(58)를 통해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는 신호변환부(210)와 이어마이크 연결부(230)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병렬 변환부(220)는 측정장치(10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변환부(210)를 반도체 칩화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200)는 측정장치(200)와 하나의 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측정장치(1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센서를 이용한 측정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장치(100)는 이어마이크 연결부(230)가 외부에 돌출 형성되고,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17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측정장치(100)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측정장치(100)에 휴대 고리(150)가 연결되어 있다. 휴대 고리(150)와 보호캡(170)은 도면과 같이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이어마이크 연결부(2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암놈으로 구성되어 스마트폰(50)과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의 변형일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신호변환부(21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의 일예이다. 신호변환부(210)는 기본적으로 입력되는 두 신호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 이상일 때 하이(High) 레벨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217)와, 스위치 역할을 하는 트랜지스터(212)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병렬 변환부(220)로부터 센서 데이터가 트랜지스터(212)에 입력되면,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의 전압 레벨의 변화에 의해 트랜지스터(212)가 온/오프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마이크 단자(M)로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 레벨이 스마트폰(50) 내의 코덱의 인식 가능 전압 레벨로 변환된다. 전압레벨의 변환은 저항 R7 과 R8의 저항값 조절에 의해 조정된다. 이에 따라 센서 데이터가 마이크(M)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또한, 스피커 단자(L)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항 R5를 거쳐 비교기(217)로 입력되고 접지 단자(G)가 저항 R3를 거쳐 비교기(217)로 입력됨에 따라, 비교기는 스피커 단자(L)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50)의 출력 신호가 측정장치(100)에 디지털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장치와, 이어마이크 포트를 구비한 전자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상기 이어마이크 포트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 연결부;
    상기 외부장치에 대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수수(授受)하는 외부장치 연결부;
    상기 외부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오디오 코덱이 인식 가능한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장치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와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직렬(serial) 디지털 데이터로 상기 신호변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이어마이크 연결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병렬(parallel)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장치 연결부로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소정의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데이터 송수신 중개장치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외부장치.
KR1020110065846A 2011-04-05 2011-07-04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KR101119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041A KR20110041456A (ko) 2011-04-05 2011-04-05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0110031041 2011-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528B1 true KR101119528B1 (ko) 2012-02-28

Family

ID=44047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041A KR20110041456A (ko) 2011-04-05 2011-04-05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데이터 수집 장치
KR1020110065846A KR101119528B1 (ko) 2011-04-05 2011-07-04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041A KR20110041456A (ko) 2011-04-05 2011-04-05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 데이터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0414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75B1 (ko) 2012-05-22 2014-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포트를 이용한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9986082B2 (en) 2015-01-30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device and method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device using ear jack of the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42B1 (ko) * 2011-09-26 2015-01-21 주식회사 케이원전자 스마트 폰을 이용한 맥박, 빈혈, 혈관 탄성도 및 산소포화도 검사 시스템
KR101372522B1 (ko) * 2012-02-01 2014-03-12 윤영은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US20140155708A1 (en) * 2012-05-14 2014-06-05 Lionsgate Technologies, Inc. Systems, methods and related apparatus for determining physiological parameters
KR101306659B1 (ko) * 2012-09-28 2013-09-10 이충헌 옥스단자를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이 가능한 건강 관리시스템
KR200490260Y1 (ko) * 2019-03-05 2019-10-21 주식회사 오투오 오디오 수집전달형 충전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820A (ko) * 2003-01-10 2004-07-21 주식회사 헬스피아 혈압 측정 시스템
KR20040072553A (ko) * 2004-07-26 2004-08-18 이동화 심전도 측정 목걸이와 휴대용 심전도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820A (ko) * 2003-01-10 2004-07-21 주식회사 헬스피아 혈압 측정 시스템
KR20040072553A (ko) * 2004-07-26 2004-08-18 이동화 심전도 측정 목걸이와 휴대용 심전도 측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75B1 (ko) 2012-05-22 2014-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포트를 이용한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9986082B2 (en) 2015-01-30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device and method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device using ear jack of th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456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528B1 (ko)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CN101489159B (zh)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附件
US91789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smartphone
US20090180631A1 (en) Personal sound system for display of sound pressure level or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
KR100956332B1 (ko) 환경 정보 수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방법
EP2464284A4 (en) MOBILE PHONE FOR ECG RECORDING
CN102724367B (zh) 手机扩展系统及信号转接设备、手机
CN106941544A (zh) 一种移动终端蓝牙音频扩展模块
CN104980854A (zh) 智能无源扬声器驱动
US20170223449A1 (en) Electronic device,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CN103917157A (zh) 测量心率的头戴式受话器
CN204761690U (zh) 耳机电路
CN204482000U (zh) 一种智能健康耳机结构
CN112204997B (zh) 具有头戴式耳机和控制盒的头戴式耳机系统
CN108901081B (zh) 充电设备的控制方法和充电设备
JP2005095630A (ja) 生命徴候測定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
CN10490238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1254453B1 (ko) 외부장치와 전자기기 간에 이어잭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송수신 중개 장치
CN106501556A (zh) 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205987295U (zh) 耳机、扩展模块以及主体结构
CN203883964U (zh) 脉搏检测耳机、终端及系统
KR20120075788A (ko) 휴대용 기기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와 외부기기를 인터페이스 하는 장치
CN106255004A (zh) 声音调整方法、耳机和音源设备
CN204989426U (zh) 测量装置
CN206077635U (zh) 耳机、扩展模块以及主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