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437B1 -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 Google Patents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437B1
KR101119437B1 KR1020090102820A KR20090102820A KR101119437B1 KR 101119437 B1 KR101119437 B1 KR 101119437B1 KR 1020090102820 A KR1020090102820 A KR 1020090102820A KR 20090102820 A KR20090102820 A KR 20090102820A KR 101119437 B1 KR101119437 B1 KR 10111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de
area
distan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6018A (en
Inventor
이재왕
심재우
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to KR102009010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4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4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 및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은,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수신노드가 메세지 전송노드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수신노드가 차량 통신영역 중 미리 설정된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한한여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le ad hoc network and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receiving node of a vehicle ad hoc network, wherein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is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ular ad hoc network (VANET).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sage receiving node calculates a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and retransmits the message only if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a preset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This is a method of sending a message on an ad hoc network.

또한, 전술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은,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a)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수신노드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c)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수신노드가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수신노드가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receiving nod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message receiving nod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b) determining a current position of a receiving node using GPS,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c)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And (d) re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if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밀도에 상관없이 종단간 메세지 전달 지연시간을 단축하고, 브로드캐스팅으로 인한 패킷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ensity of the vehicle, the end-to-end message transmission delay time can be shortened, and packet collisions due to broadcasting can be minimized.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VANET, 사고발생 메세지, 긴급 메세지 Vehicle ad hoc network, VANET, accident messages, emergency messages

Description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밀도에 상관없이 종단 간 메시지 전달지연시간과 브로드캐스팅으로 인한 패킷의 충돌거리에 따른 긴급 메시지 전달범위결정에 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message delivery range according to end-to-end message delivery delay time and collision distance of packets due to broadcasting regardless of vehicle density.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는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의 한 종류로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를 위한 핵심 기술이다.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는 기반시설의 도움 없이 차량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임시적으로 구성되며 메시지 중계 노드로 선정된 차량들을 통해 메시지가 전파된다. 그러나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는 기존의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 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노드밀도의 변화가 아주 심하다. 따라서, 멀티-홉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메시지를 신속히 전파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릴레이 노드 선정기법이 요구된다.The vehicle ad hoc network is a type of mobile ad hoc network and is a key technology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The vehicle ad hoc network is temporarily configur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without the aid of an infrastructure, and messages are propagated through vehicles selected as message relay nodes. However, vehicle ad hoc networks have more severe changes in network topology and node density than existing mobile ad hoc networks. Therefore, an effective relay node selection technique is required to rapidly propagate the message through multi-hop broadcast.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의 핵심 기 술로 부상하고 있는 VANET(Vehicular Ad-hoc Network, VANET)은 차량간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Mobile Adhoc Network, MANET)의 일종이다. VANET은 도로 주변의 기지국과 같은 기반시설의 도움 없이 차량 간의 자율적인 무선 통신을 통해 임시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원활한 교통흐름제어,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 그리고 자동차의 연비 및 성능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VANET (Vehicular Ad-hoc Network, VANET), which is emerging as a core technology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for intelligent vehicles, is a kind of Mobile Adhoc Network (MANET) based on inter-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 VANET forms a temporary network through autonomou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without the help of infrastructure such as base stations around the road. This results in smooth traffic flow control, driver safety and convenience, and improved fuel economy and performance.

VANET (vehicular ad-hoc network)은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을 위한 기술로서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가 결합된 또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자동차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벗어나 점차 전자 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다. 지능화된 자동차는 센서를 통해 자동차 내부의 이상 유무뿐만 아니라 주행 중인 도로상황 정보까지 인지할 수 있다. 수집된 차량상태 정보 및 주행상황 정보는 차량들 간의 무선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개선을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본 발명에서 차량은 노드로서 설명된다). 이렇듯, VANET에서 자동차는 지능과 무선통신 능력을 가진 하나의 센서 노드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VANET은 차량 응급 상황 경고, 차선 변경 보조, 교차로 주행 보조, 도로 상태 경고 및 연쇄 충돌 경고 등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한 경고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VANET은 기지국이나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기반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들 간의 자율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임시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이다. 운전자는 VANET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과 관련된 시야를 확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VANET은 차량의 안전과 효율성뿐만 아니라 교통흐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A vehicular ad-hoc network (VANET) is another type of network that combines a mobile ad-hoc network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 as a technology for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utomobiles are gradually becoming electronic systems beyond the func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he smart car can recognize not only the abnormality inside the car but also the information of the road condition while driving through the sensor. The collected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re used as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afety of the dri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is described as a node). As such, in VANET, the car functions as a sensor node with intellig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VANET can be used for warning service for driver's safe driving such as vehicle emergency warning, lane change assistance, intersection driving assistance, road condition warning and chain collision warning. VANET is a network that is temporarily configured through autonomou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without using infrastructure such a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s. With VANET, drivers can not only broaden their vision of safety, but also receive various traffic information. Thus, VANET can significantly improve traffic flow as well as vehicle safety and efficiency.

위험지역 내에 있는 모든 노드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서는 멀티-홉 브로드캐스트가 요구된다.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는 주로 소스노드의 단일 홉 거리 내에 있는 모든 노드에게 동시에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일대다 통신기법이다. 그러나 VANET에서 노드의 통신거리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노드와 통신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길지 않다. 따라서 위험지역에 관련되어지는 모든 노드들에게 긴급 메시지를 전파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중 선택된 몇몇 노드들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멀티-홉 브로드캐스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VANET은 MANET과 달리 빠른 노드 이동,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노드밀도의 빈번한 변화, 잦은 네트워크 단절 등의 특징을 갖는다. 더욱이 VANET에서 긴급 메시지는 운전자의 안전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히 위험지역 내의 노드들에게 전파되어야 하며, 메시지 전파에 따른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한다.Multi-hop broadcasts are required to propagate the alert message to all nodes in the danger zone. In ad hoc wireless networks, broadcasts are primarily a one-to-many communication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delivering the same message to all nodes within a single hop distance of the source node. In VANET, however, the node's communication distance is not long enough to communicate with all nodes in the network. Therefore, in order to propagate an emergency message to all nodes involved in the danger zone, a multi-hop broadcast is required that carries the message through selected nodes among the nodes in the network. However, unlike MANET, VANET is characterized by fast node movement, frequent changes in network topology and node density, and frequent network disconnection. Moreover, since emergency messages in VANET are closely related to driver's safety, they must be spread quickly to nodes in the hazardous area, and the network load due to message propagation should be minimized.

VANET을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안전 메세지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은 메세지 전달시 노드 역할과 전송노드 선정방식에 따라 플러딩 기반 브로드캐스트, 테이블 기반 브로드캐스트, 클러스터 기반 브로드캐스트, 플러딩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기법들이 있다. 이러한 기법들의 대부분은 차량에 장착된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플러딩 기반 브로드캐스트 기법은 차량 안전 메세지 전달에 참여하는 노드가 차량 안전 메시지를 재전달하는 횟수를 제한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플러딩의 특성으로 인한 네트워크 부하와 전송지연 등의 오버헤드는 크게 개선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vehicle safety message broadcasting protocol proposed for VANET includes flooding-based broadcast, table-based broadcast, cluster-based broadcast, and flooding distance-based broadcast schemes according to node role and transmission node selection method. have. Most of these techniques are configur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via GPS mounted on the vehicle. The flooding-based broadcast scheme proposed a method to reduce the network load by limiting the number of times the nodes participating in vehicle safety message retransmission of vehicle safety messages. However, the overhead of network load and transmission dela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looding is greatly increased.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not be improved.

거리 기반 브로드캐스트 기법은 네트워크 부하와 전송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통신영역 내의 긴급경고메세지 수신노드 중 오직 하나의 노드만이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이때, 전달노드의 선정은 메세지 송신노드로부터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즉, 전달노드마다 경고메세지 브로드캐스팅을 위해 기다리는 대기시간을 거리에 따라 다르게 하여 메세지 송신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 노드가 먼저 긴급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거리 기반 브로드캐스트 기법은 노드의 밀도가 높은 경우, 긴급 메세지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과 도착성이 우수하고 종단간 메세지 전달 지연시간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동환경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거리 기반 브로트캐스트 기법은 노드의 밀도가 낮을 경우 효율적인 가장자리 노드의 선택이 어렵기 때문에 종단간 메세지 전달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 order to reduce network load and transmission delay, the distance-based broadcast technique allows only one node of an emergency alert message receiving node in a communication area to deliver a message. 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forwarding no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In other words, the waiting time for broadcasting the warning message var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or each forwarding node so that the edge node farthest away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can deliver the emergency message first. The distance-based broadcast technique is suitable for mobile environments when the density of nodes is high, because of the high bandwidth and arrival required for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low end-to-end message propagation delay. However, this conventional distance-based broadcast method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end-to-end message propagation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efficient edge node when the node density is low.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밀도에 상관없이 종단간 메세지 전달 지연시간을 단축하고, 브로드캐스팅으로 인한 패킷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nd-to-end message delivery delay time regardless of the density of the vehicle, and minimize the collision of packets due to broadcast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안전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의 위치와 사고가 발생한 지점과의 위치를 비교하여 자신의 차량 안전 메세지를 재전송할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receiving the vehicle safety message with the location of the accident and determines whether to retransmit its own vehicle safety message by sending a messag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that can minimize the network loa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차량과 이웃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교환하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 안전 메세지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차량 안전 메세지 발생차량의 후위로 실시간성을 갖는 전달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ad hoc capable of generating a transmission structure having a real time to the rear of the current vehicle safety message generation vehicle based on the time when the vehicle safety message occurs without exchang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neighboring vehicl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on a net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메세지 수신노드가 메세지 전송노드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수신노드가 차량 통신영역 중 미리 설정된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 하는 경우에 한한여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le ad hoc network (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 the message receiving node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n addition,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le ad hoc network is provided, wherein the message is retransmitted only when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a preset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in the vehicle communication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여기서, 전술한 차량 통신영역은 메세지를 전송한 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는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는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과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vehicle communication area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transmission deactivation area for retransmitting a message and a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for retransmitting a message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node transmitting a message.

또한, 전술한 차량 통신영역은 상기 재전송 활성화 영역 뒤로부터 최대 차량통신 반경까지의 영역으로서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는 경계 영역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vehicle communication area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oundary area not retransmitting a message as an area from behin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to a maximum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이때, 전술한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미만인 영역이고, 상기 재전송 활성화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이상으로부터 95% 이하까지인 영역이며, 상기 경계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95%를 초과하는 영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bove-mentioned retransmission deactivation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s less than 80%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an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is in the range from 80% or more to 95% or less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The boundary are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is an area exceeding 95%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한편, 전술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은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노드에 대하여 거리 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메세지 재전송 노드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aforementioned vehicle ad hoc network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message retransmission node by applying a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to at least one or more receiving nodes belonging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reg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a)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수신노드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c)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수신노드가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수신노드가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message receiving node of a vehicle ad hoc network, comprising: (a)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message transmitting node; (b) determining a current position of a receiving node using GPS,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c)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And (d) re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if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area.

여기서, 전술한 (d) 단계는, (d1)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전송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d2) 전송 대기시간 중 수신된 메세지와 동일한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파기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d3) 전송 대기시간 중 수신된 메세지와 동일한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송 대기시간 경과 후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step (d) described above may include: (d1) calculating a transmission waiting time based on a distance from a transmitting node; (d2) discarding the received message and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when the same message as the received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And (d3) re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after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has elapsed, if the same message as the received message is not received during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한편, 전술한 (d1) 단계에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RWTi)은,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RWT i ) in the above-described step (d1),

상기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재분할하고, 각각의 재분할된 영역에 거리에 반비례하여 할당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and may be defined as a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allocat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in each repartitioned region.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d1) 단계에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RWTi)은,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RWT i ) in the above-described step (d1),

Figure 112009066125665-pat00001
식을 이용해 산출되며,
Figure 112009066125665-pat00001
Is calculated using an equation,

여기서 di는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 RWTmax는 최대 전송 대기시간, R은 전송노드의 전송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Here, di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from a transmitting node, RWTmax is a maximum transmission waiting time, and R is a transmission distance of a transmitting nod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밀도에 상관없이 종단간 메세지 전달 지연시간을 단축하고, 브로드캐스팅으로 인한 패킷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le ad hoc network capable of shortening end-to-end message delivery delay time and minimizing packet collision due to broadcasting regardless of vehicle densit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안전 메세지를 수신한 차량의 위치와 사고가 발생한 지점과의 위치를 비교하여 자신의 차량 안전 메세지를 재전송할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which can minimize the network load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receiving the vehicle safety message with the position of the accident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transmit its vehicle safety messa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provid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 및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and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receiving nod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for performing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a vehicle ad hoc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전송노드(100)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발생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시 전송노드이거나 또는 전송된 사고발생 메세지를 수신하여 재전송하는 릴레이노드이다. 또한 전송노드(100)를 중심으로 도시된 원은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을 전송노드(1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전송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한 수신노드가 현재 수신노드가 속한 영역을 판단하여 재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transmission node 100 shown in FIG. 1 is a raw transmission node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n accident occurrence message when an accident occurs, or a relay node that receives and retransmits the transmitted accident occurrence message. In addition, the circle shown around the transmitting node 100 shows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100. The receiving node receiving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node 1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retransmit by determining the area to which the current receiving node belongs.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전송방법은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을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110)과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재전송 활성화 영역(120)과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계 영역(130)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영역의 구분은 전송노드(100)로부터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첫번째 영역인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110)을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로 설정하며, 두번째 영역인 재전송 활성화 영역(120)을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95%까지로 설정하고, 세번째 영역인 경계 영역(130)을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95%~100%까지로 설정한다.In more detail,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transmission disable area 110, which is set to not retransmit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set to retransmit the received message 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Area 120 and a boundary area 130 that is set not to retransmit the received message. The division of such an area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ssion node 100. Various criteria may be applied as necessary. However,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ransmission deactivation area 110, which is the first area, may be used as a transmission node. 80%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100),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120, which is the second area, is set to 80% to 95%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and the boundary area 130, which is the third area, is set. Set up to 95% to 100%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ssion node 100.

이와 같은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 내에 위치하여 전송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는 수신노드 중 15% 영역을 차지하는 재전송 활성화 영역(120) 내에 위치된 수신노드만이 메세지 재전송에 참여하게 되므로 과다한 메세지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이며, 메세지 전달 누락의 최소화를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120 that occupies 15% of the receiving nodes that receive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node 100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Since only the receiving node participates in the message re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etwork overload caused by the excessive message retransmission and to minimize the message transmission omission.

도 2는 거리기반 긴급 메세지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에서 가장자리 노드를 통한 메세지 재전송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는 사고발생 메세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원시 전송노드(200), 원시 전송노드(200) 또는 릴레이노드(210, 220, 230)로부터 전송되는 사고발생 메세지를 수신하지만 다시 재전송하지 않는 일반 수신노드, 원시 전송노드(200) 또는 릴레이노드(210, 220, 230)로부터 전송되는 사고발생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노드로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릴레이노드(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retransmission process through an edge node in a distance-based emergency message broadcasting protocol. As shown in Figure 2, vehicle ad hoc networks (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 is a raw transmission node 200, a raw transmission node 200 or a relay node 210, 220, 230 to generate and transmit an accident occurrence message Retransmitting a message as a receiving node that receives an accident message transmitted from a network node but receives an accident message transmitted from a general receiving node, a raw transmitting node 200, or a relay node 210, 220, or 230 that does not retransmit. It may include a relay node (210, 220, 230).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기반 긴급 메세지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의 경우 전달노드마다 경고메세지 브로드캐스팅을 위해 기다리는 대기시간을 거리에 따라 다르게 하여 메세지 송신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 노드가 먼저 긴급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distance-based emergency message broadcasting protocol, the waiting time for broadcasting the warning message var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so that the edge node farthest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can deliver the emergency message first. Technique.

이에 따라 원시 전송노드(200)의 통신반경 내의 수신노드들 중 가장 최외각에 위치된 N1(210)이 가장 짧은 대기시간을 가지게 되어, N1(210)이 릴레이노드로서 메세지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릴레이 노드 N1(210)의 통신반경 내의 수신노드들 중 가장 최외각에 위치된 N2(220)가 가장 짧은 대기시간을 가지게 되어 릴레이노드로서 기능하게 되며, 이는 N3(230), N4(240)의 경우도 동일한 알고 리즘에 따라 릴레이노드로서 선택되어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N1 210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among the reception nodes 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original transmission node 200 has the shortest waiting time, so that the N1 210 performs the retransmission of the message as a relay node. Similarly, the N2 220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among the receiving nodes 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relay node N1 210 has the shortest waiting time to function as a relay node, which is N3 230 and N4 240. ) Is also selected as a relay node according to the same algorithm.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메세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메세지 전송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can be provided by applying the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as described above can be a more efficient message transmission.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송노드의 통신반경이 거리에 따라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110)이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로 설정되고, 재전송 활성화 영역(120)이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95%까지로 설정되며, 경계 영역(130)이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95%~100%까지로 설정된 경우,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retransmission deactivation area 110 is set to 80%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ssion node 10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ssion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120 is transmitted. When the boundary area 130 is set to 80% to 95%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node 100, and the boundary area 130 is set to 95% to 100%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전송방법은 재전송 활성화 영역(120) 내에 위치된 수신노드들만이 릴레이노드 후보로서 릴레이노드 선정과정에 참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명이 구성되는 경우, 전송노드(100)의 전체 통신반경 중 15%에 해당되는 영역에 위치된 수신노드들만이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에 따라 릴레이노드 후보로서 선정과정에 참여하게 되고, 그 영역 자체가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95%까지가 되므로 메세지 재전송에 의하 과부하를 줄이는 동시에, 메세지 전달 누락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In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receiving nodes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120 may be configured to participate in a relay node selection process as a relay node candidate. When the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is manner, only receiving node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15% of the total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tting node 100 participate in the selection process as a relay node candidate according to the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Since the area itself is up to 80% to 95%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ssion node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load by retransmitting the message and minimize the omission of message transmission.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프로토콜에서 각 노드의 긴급메세지 전달의 위한 대기시간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긴급메세지를 전송하는 전송노드로부터 D1, D2, D3 만큼 떨어진 곳(D1<D2<D3)에 각각 v1, v2, v3라는 수신노드가 위치되어 있을 경우, 각 노드는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메세지 전달 대기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 가장 가까 이에 위치한 v1 노드가 가장 긴 t3의 대기시간을 가지게 되고, 가장 멀리 위치한 v3가 가장 짧은 t1의 대기시간을 갖는다. In the distance-based broadcast protocol, the waiting time for emergency message delivery of each node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For example, if the receiving nodes v1, v2, and v3 are located at a distance (D1 <D2 <D3) from D1, D2, and D3 away from the transmitting node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message, each node is sent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Have message delivery latency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Therefore, the v1 node closest to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has the longest t3 latency, and the farthest v3 has the shortest t1 latency.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다시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에 거리에 반비례하는 일정한 대기시간을 설정하여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as described above is subdivided into two or more region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distance-based broadcast by setting a constant latency.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재전송 활성화 영역이 전송노드(100)의 통신반경의 80%~95%까지인 경우, 다시 80%~85%(제 1 재전송 활성화 영역), 85%~90%(제 2 재전송 활성화 영역), 90%~95%(제 3 재전송 활성화 영역)영역으로 세분화 하고, 제 1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된 수신노드의 대기시간을 2초로 설정하며, 제 2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된 수신노드의 대기시간을 1초로 설정하고, 제 3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된 수신노드의 대기시간을 0초로 설정함으로써 이러한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세분화하는 기준, 세분화되는 영역의 갯수,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에 할당되는 대기시간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불구하고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In more detail, for example, whe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is 80% to 95% of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transmission node 100 as described above, again 80% to 85% (first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Subdivided into 85% to 90% (second retransmission active area) and 90% to 95% (third retransmission active area) areas, and set the waiting time of the receiving node located in the first retransmission active area to 2 seconds. The distance-based broadcast may be configured by setting a waiting time of a reception node located in the second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to 1 second and setting a waiting time of a reception node located in the third retransmission active area to 0 seconds. Of course, the criteria for subdividing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the number of subdivided regions, and the wait time allocated to each subdivided region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어서, 각 노드는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긴급메세지 전달을 위한 대기시간 RWTi를 가지게 되며, RWTi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node has a wait time RWTi for emergency message delivery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and RWTi may be defin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9066125665-pat00002
Figure 112009066125665-pat00002

수학식 1에서, 여기서 di는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 RWTmax는 최대 전송 대기시간, R은 전송노드의 전송거리로 정의된다.In Equation 1, di is defined as a distance from a transmitting node, RWTmax is a maximum transmission latency, and R is a transmission distance of a transmitting node.

전송노드로부터 전송되는 긴급메세지를 수신한 수신노드는 메세지 재전송을 위해 거리에 따라 메세지 전달 대기시간을 산출하고, 대기시간이 가장 먼저 만료된 누드만이 메세지를 자신의 전송영역 내에 위치한 노드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대기시간을 거리가 멀수록 짧아지기 때문에 긴급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노드의 전송영역 내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노드가 다시 긴급메세지를 재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전송 활성화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노드들 중 가장 최외각에 위치된 노드가 재전송노드로서 결정되어 메세지 재전송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Receiving node receiving urgent message sent from sending node calculates message delivery waiting time according to distance for retransmitting message, and only nude that expired first broadcasts message to nodes located in its sending area. Cast. Since the waiting time becomes shorter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 node farthest in the transmission area of the node broadcasting the emergency message retransmits the emergency message a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de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 among the at least one or more receiving nodes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will be determined as the retransmission node to perform message retransmission.

한편, 여기서 이미 긴급메세지를 수신한 노드가 메세지를 중복하여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긴급메세지를 파기하고 대기상태로 진입함으로써 브로드캐스팅의 재전송에 따른 과부하를 줄이며, 메세지 전달 누락의 최소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a node that has already received an emergency message receives a duplicate message, the received emergency message is discarded and enters a standby state, thereby reducing the overload caused by retransmission of broadcasting and minimizing the omission of a message. do.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노드에서의 메세지 재전송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노드에서의 메세지 재전송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retransmission process in a receiving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a message retransmission process in a receiving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수신노드는 전송노드(원시 전송노드 또는 릴레이노드)로부터 전송되는 긴급메세지(차량 안전메세지 등)을 수신하고(S300), 수신된 메세지가 새로운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2).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세지가 이미 수신된 적이 있는 메세지인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파기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한다(S318).First, the receiving node receives an emergency message (vehicle safety message, etc.)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node (a raw transmitting node or a relay node) (S3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message is a new message (S30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eived message is a message that has already been received, the received message is discarded and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S318).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세지가 새로운 메세지인 경우 수신노드는 차량에 장착된 GPS 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산출하고(S304), 산출된 차량위치와 수신된 메세지에 포함된 전송노드정보를 이용하여 전송노드와 수신노드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S306). As a result, if the received message is a new message, the receiving node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vehicle by using the GPS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S304), and uses the calculated vehicle position and the transmission n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node and the receiving node is calculated (S306).

전송노드와의 거리산출이 완료된 후, 수신노드는 현재 수신노드가 전송노드의 전체 통신영역 중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8). 이때,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전체 통신영역 중 어디부터 어디까지의 영역을 재전송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할 지에 대한 기준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전체 통신영역 중 80%~95%의 영역이 재전송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송노드의 전체 통신영역은 해당되는 전송노드의 통신반경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전송노드의 통신반경은 차량에 장착되는 무선통신 디바이스 표준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종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들의 평균적이고 유효한 통신반경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여러가지 종류의 무선통신 디바이스들의 통신반경 중 최소 통신반경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송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에 해당 전송노드의 통신반경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해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fter the distance calculation with the transmitting node is completed, the receiving node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receiving node is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among the entire communication areas of the transmitting node (S308).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a criterion for setting from which to which areas of the entire communication area as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may be set in various ways. More preferably, 80% to 95% of the entire communication areas It may be set as a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On the other hand, the total communication area of the transmission n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node, the communication radius of such a transmission node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tandard mounted on the vehicle, or may be mounted on the vehicle It may be set to an averag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radius of various kind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r may be set to a minimum communication radius of various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at may be mounted in a vehicle, or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node. The message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preted by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node.

판단한 결과, 수신노드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수신노드는 메세지를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또는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메세지의 내용을 출력한 후 해당 메세지를 파기하고 대기상태로 전환된다(S318).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ing node is not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the receiving node outputs the message to the driver using the display device and / or the voice output device equipped with the message, and then discards the message and goes to the standby state. (S318).

반면 판단한 결과, 수신노드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위치된 경우 수신노드는 재전송을 위한 전송 대기시간을 산출한다(S310). 이때, 대기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산출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대기시간 산출공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공지의 산출공식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On the contrary, when the reception node is located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the reception node calculates a transmission waiting time for retransmission (S310). In this case, the waiting time may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known waiting time calculation formulas that may be calculat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applied. Even if appli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수신노드는 산출된 전송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메세지를 또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2, S314), 동일한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재전송 활성화 영역 내의 다른 수신노드에 의해 재전송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된 메세지를 파기한 후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318).The receiving node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the same message again until the calculated transmission waiting time elapses (S312, S314), and when receiving the same message, determines that retransmission has been made by another receiving node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After discarding the received message is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S318).

반면, 수신노드가 산출된 전송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동일한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해당 수신노드가 릴레이노드로서 선정된 것이므로 수신노드는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고 과정을 종료한다(S316).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node does not receive the same message until the calculated transmission waiting time elapses, since the corresponding receiving node is selected as the relay node, the receiving node re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and ends the process (S316).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에서 위치데이터 를 삽입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inserting posi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실험을 위하여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실험과정을 수행하였다. 실제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KETI에서 개발한 무선 통신 칩인 Koinonia를 장착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였다. Koinonia 무선 통신 칩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이용한 모듈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C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도 4에서 디바이스와 실험환경에 대해 보여준다.For the experiment of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as developed and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The actual device used w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Koinonia,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developed by KETI. The Koinoni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is used to construct a module using an embedded Linux system, and the program writes a program using C on the Linux system. 4 shows the device and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1) RF 송수신 장치 개발 재원1) RF Transceiver Development

- 주파수 : ISM Band (2.4GHz) / BW : 7.5 MHz -Frequency: ISM Band (2.4GHz) / BW: 7.5 MHz

- 전송속도 : Max. 6Mbps -Transmission speed: Max. 6 Mbps

- 프로세스 : S3C2410 Process: S3C2410

- 메모리 : Flash(32MB) SDRAM(32MB) Memory: Flash (32MB) SDRAM (32MB)

- 무선 통신 모듈 : Binary CDMA를 기반인 Koinonia KWPAN1200 V2.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oinonia KWPAN1200 V2.0 based on Binary CDMA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전송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장착한 디바이스는 4대를 사용하였으며, 제안한 두가지 전송방법(첫번째 전송방법 : 전송노드의 통신영역을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재전송 활성화 영역 내의 수신노드들만이 재전송에 참여하는 전송방법(이하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 두번째 전송방법 : 재전송 활성화 영역 내의 수신노드들이 거리기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릴레이노드를 선정하여 재전송을 수행하는 전송방법(이하 'Slotted 15P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실험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 환경을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첫 번 째는 본 발명에서 첫 번째로 제안한 차량 안전 메시지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고, 두 번째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Slotted 15P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In fact, four devices equipped with an algorithm for executing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used, and the proposed two transmission methods (first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a communication node in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by dividin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transmission node into three areas). A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only nodes participate in retransmi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15P broadcasting algorithm ') and a second transmission method: a transmission method in which receiving nodes in a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select a relay node and perform retransmission based on a distance-based algorithm (hereinafter' In order to experiment with the Slotted 15P Broadcast Algorithm ')), we experimented with two experimental environments. First, the experiment is performed on the 15P broadcasting algorithm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the vehicle safety message firs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is the experiment on the slotted 15P broadcast algorith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별 수신노드의 실행결과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첫 번째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디바이스의 전송 범위를 3 부분으로 나누어서 첫 번째 영역(재전송 비활성화 영역)에 차량들이 있으면 그 차량들은 차량 안전 메시지를 받으면 그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고, 두 번째 영역(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있는 차량들은 메시지 재전송을 하며, 세 번째 영역(경계 영역)에 있는 차량들은 메시지 재전송을 하지 않음으로써 차량 안전 메시지에 대한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5A to 5D are diagrams showing execution results of receiving nodes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lgorith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transmission rang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to three parts, and if there are vehicles in the first area (retransmission disabled area), the vehicles do not retransmit the message when the vehicle safety message is received. In this ca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nsure that vehicles in the second zone (retransmission active zone) retransmitted messages, while vehicles in the third zone (boundary zone) did not retransmit the message so that collisions on vehicle safety messages would not occur. .

실험하는 장비는 4대를 이용하며, 실제적으로 장비에 GPS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비간의 실제적으로는 가까운 곳에 두어 모든 장비들이 무선 통신은 가능하도록 하며 프로그램 상에서 각 디바이스에 위치 데이터를 삽입하도록 한다. 도 5에서 Koinonia 칩을 이용한 무선 통신 모듈에서 위치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보여준다.The test equipment uses 4 units, and since the equipment is not equipped with GPS in actuality, the equipment is plac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so that all the devices can communicate wirelessly and insert position data into each device in the program. 5 shows inserting posi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Koinonia chip.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실제적인 통신 반경을 배제하고 임의의 통신 반경을 500m로 설정하고 그에 맞도록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 3부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영역은 통신 반경의 80%이므로 임으로 400m 내에 있는 디바이스는 재전송을 하지 않도록 하고, 두 번째 영역인 401m ~ 475m 구간에 있는 디바이스는 재전송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마지막 5% 영역인 476m ~ 500m 구간에 있는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전송받지만 재전송은 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적으로는 4대의 디바이스가 모두 메세지를 전송받지만 자신에게 입력된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데이터를 재전송할지 말지가 결정된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d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이 도시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experiment, the actual communication radius was excluded, and the arbitrary communication radius was set to 500m and divided into three parts to apply the algorithm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rea is 80% of the communication radius, the device within 400m is not to be retransmitted, and the device in the second area, 401m to 475m, is to be retransmitted. The device in the last 5% of the range 476m to 500m receives the message but does not retransmit it. In this way, practically all four devices receive the message, bu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retransmit the data according to the location data inputted to them. 5A to 5D, the entire contents of the 15P broadcasting algorith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도 5a는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실행 결과이고, 도 5b는 재전송하지 않는 디바이스 실행 결과이며, 도 5c는 메시지 재전송 디바이스의 실행 결과이고, 도 5d는 통신 반경에서 벗어난 디바이스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 5A is a result of device execution for transmitting a vehicle safety message, FIG. 5B is a result of device execution without retransmission, FIG. 5C is a result of execution of a message retransmission device, and FIG. 5D shows a result of execution of a device out of a communication radius. .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서 나타낸 현재 GPS 값은 자신의 디바이스와 메시지를 처음으로 전송한 디바이스와의 거리를 나타내주는 값이다. As shown in FIG. 5, the current GPS value indicated by each device is a value indicating the distance between its own device and the device that first transmitted the message.

도 5a에 나타낸 실행 결과는 메시지를 처음으로 전송하는 노드로써 위치 데이터 값을 '0'으로 설정하여 이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이 사고가 난 차량으로 설정하고 그 지점을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The execution result shown in FIG. 5A is a node that transmits a message for the first time, and sets the position data value to '0' so that a vehicle equipped with this device is set as an accident vehicle and transmits the point to another device.

도 5b에 도시된 실험 결과를 보면 자신의 위치는 사고 난 지점으로 210m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되며, 안전 메시지를 전송받지만 15P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에서 재전송을 하지 않는 구간에 존재하므로 재전송을 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n in FIG. 5B, his position is set to a point 210m away from the accident, and the safety message is transmitted but is not retransmitted because it exists in a section not retransmitted by the 15P broadcast algorithm.

도 5c의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재전송 구간에 있으므로 차량 안전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자신이 받은 안전 메시지를 재전송을 한다. 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f FIG. 5C, since the vehicle safety message is received after the vehicle safety message, the safety message is retransmitted.

마지막으로 도 5d에서 보면 이 디바이스에 설정된 위치 데이터는 600m이므로 사고 디바이스의 통신반경인 500m 구간 밖에 있으므로 처음의 노드에서 보낸 차량 안전 메시지는 수신 받지 못한다. 그렇지만 세 번째 디바이스가 460m에서 차량 안전 메시지를 재전송하였기 때문에 차량 안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Lastly, in FIG. 5D, since the location data set in the device is 600m, the vehicle safety message sent from the first node is not received because it is outside the 500m sectio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accident device. However, because the third device retransmitted the vehicle safety message at 460m, it can receive the vehicle safety message.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서의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신노드의 실행결과 도면이다. 6A through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cution results of a reception node applying a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in a message retransmiss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한 두 번째 알고리즘으로써 Slotted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도록 한다. 위의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에 대한 실험과 동일하게 위치 데이터에 따라서 서로 다른 행동을 하도록 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Slotted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은 재전송하는 구간에도 많은 차량들이 존재를 하면 서로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같은 데이터로 인한 충돌을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전송 구간을 Slot으로 구분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이다. 실험에 사용하는 디바이스는 4대를 사용함으로써 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반경의 15%인 재전송 구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임의의 통신 반경인 500m 중에서 재전송 구간인 401m에서 475m 구간을 401m ~ 425m, 426m ~ 450m, 451m ~ 475m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디바이스가 안전 메시지를 전송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d에서 Slotted 15P 브로드캐스팅 알고리즘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개시된다.Referring to FIG. 6, an experiment for the Slotted 15P broadcasting algorithm is performed as the second algorith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way as the experiment for the 15P broadcasting algorithm above, the experiment is performed by having different a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data. Slotted 15P broadcasting algorithm is a algorithm that divides the retransmission section into slots in order to prevent the collision caused by the same data by transmitting vehicle safety messages to each other if there are many vehicles in the retransmission section. The device used in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by using 4 units to perform the experiment. Of the 500m of any communication radius, the retransmission section 401m to 475m is divided into three parts 401m to 425m, 426m to 450m, and 451m to 475m to determine whether each device transmits a safety message. 6A to 6D, the general content of the Slotted 15P broadcasting algorithm is disclosed.

도 6a는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실행 결과이고, 도 6b는 재전송하는 구간 내 재전송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실행 결과이며, 도 6c는 재전송하는 구간 내 재전송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실행 결과이고, 도 6d는 재전송 구간 내에서 재전송하는 디바이스의 실행 결과이다. FIG. 6A is a result of executing a device for transmitting a vehicle safety message, FIG. 6B is a result of executing a device not retransmitted in a retransmission section, FIG. 6C is a result of executing a device not retransmitted in a retransmission section, and FIG. 6D is a retransmission. Execution result of the device retransmitting in the interval.

도 6a 내지 도 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다시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에 하나의 디바이스가 있도록 위치 데이터를 설정하고 사고가 난 지점으로 설정한 디바이스가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6A to 6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region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ections so that the location data is set so that one device exists in each section, and the device configured as the point of an accident transmits a vehicle safety message. do.

도 6b의 결과를 보면 이 디바이스의 위치를 410m로 설정하여 재전송 활성화 영역인 15% 중에서 첫 번째 구간 내에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차량 안전 메시지를 수신하였지만 사고가 난 지점 중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므로 2초를 기다리도록 설정을 하였다. 그래서 2초 내에 같은 차량 안전 메시지를 받으면 자신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현재 도 5d에서 자신의 위치가 470m로 설정된 디바이스가 차량 안전 메시지를 수신한 다음 바로 메시지를 재전송하였기 때문에 그 메시지를 410m에 있는 차량이 수신을 함으로써 자신은 차량 안전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도록 한다. Referring to the result of FIG. 6B, the location of the device is set to 410m so as to be within the first section of the 15%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So I received a car safety message, but I set it to wait 2 seconds because it is located closest to the point where the accident occurred. So if you get the same car safety message within two seconds, don't send it yourself. Since the device having its location set to 470m in FIG. 5D retransmits the message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vehicle safety message, the vehicle at 410m receives the message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retransmit the vehicle safety message.

도 5c의 실험 결과를 보면 이 디바이스의 위치를 440m로 설정하여 재전송 구간 중에서 두 번째 구간에 존재하도록 한다. 그래서 이 디바이스는 처음의 노드가 보낸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을 받았지만 1초 동안은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고 대기하도록 한다. 그래서 1초 내에 같은 차량 안전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며 410m에 있는 디바이스와 같은 이유로 인해 중복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 of FIG. 5C, the location of the device is set to 440m so as to exist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retransmission section. So the device receives a vehicle safety message sent by the first node, but waits for one second without retransmitting the message. Therefore, if the same vehicle safety message is sent within 1 second, the message is not transmitted and the duplicate message is not transmitted for the same reason as the device at 410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for performing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거리기반 긴급 메세지 브로드캐스팅 프로토콜에서 가장자리 노드를 통한 메세지 재전송과정을 도시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retransmission process through an edge node in a distance-based emergency message broadcasting protoco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노드에서의 메세지 재전송과정을 도시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retransmission process in a receiving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에서 위치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inserting position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별 수신노드의 실행결과 도면.5A to 5D are diagrams showing execution results of receiving nodes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서의 거리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신노드의 실행결과 도면.6A to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cution results of a reception node applying a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in a message retransmiss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전송노드 110 :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100: transmission node 110: retransmission disabled area

120 : 재전송 활성화 영역 130 : 경계 영역120: retransmission active area 130: boundary area

200 : 원시 전송노드 200: raw transport node

210, 220, 230, 240 : 릴레이노드210, 220, 230, 240: relay node

Claims (9)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In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vehicle ad hoc networks (VANET, Vehicular Ad Hoc Networks), 메세지 수신노드가 메세지 전송노드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수신노드가 차량 통신영역 중 미리 설정된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 한하여 메세지를 재전송하고,The message receiving node calculates a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node, retransmits the message only when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a preset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상기 차량 통신영역은,The vehicle communication area, 메세지를 전송한 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구분되는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는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미만인 영역의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과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이상으로부터 95% 이하까지인 영역으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Retransmission disabled area in the area where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that does not retransmit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node that sent the message is less than 80%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and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s 80%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And a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for re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area up to 95% or more from the abov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 통신영역은,The vehicle communication area, 상기 재전송 활성화 영역 뒤로부터 최대 차량통신 반경까지의 영역으로서 메세지를 재전송하지 않는 경계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And a boundary area not retransmitting the message as an area from behind 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to a maximum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재전송 비활성화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미만인 영역이고,The retransmission deactivation area is an area where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s less than 80%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상기 재전송 활성화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이상으로부터 95% 이하까지인 영역이며,Th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is an area where the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s from 80% or more to 95% or less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상기 경계 영역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95%를 초과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And wherein the boundary area is an area where a distance from a message transmission node exceeds 95% of a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은,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메세지 재전송 영역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노드에 대하여 거리 기반 브로드캐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메세지 재전송 노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전송방법.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a vehicle ad hoc network, comprising selecting a message retransmission node by applying a distance-based broadcast algorithm to at least one receiving node belonging to a message retransmission area.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메세지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에 있어서,In the message transmission method of the message receiving node of the vehicle ad hoc network, (a)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수신하는 단계;(a)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message transmitting node; (b)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수신노드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b) determining a current position of a receiving node using GPS, and calculating a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c) 산출된 거리에 기반하여 수신노드가, 메세지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가 차량통신 반경의 80% 이상으로부터 95% 이하까지인 영역의,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c) determining,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whether or not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a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in an area where a distance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node is from 80% or more to 95% or less of the vehicle communication radius; And (d) 수신노드가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에 속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 if the receiving node belongs to 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re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상기 (d) 단계는, The step (d) (d1)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전송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1) calculating a transmission waiting time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d2) 전송 대기시간 중 수신된 메세지와 동일한 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를 파기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d2) discarding the received message and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when the same message as the received message is received during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And (d3) 전송 대기시간 중 수신된 메세지와 동일한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송 대기시간 경과 후 수신된 메세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d3) if the same message as the received message is not received during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re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after the transmission waiting time has elapsed, 상기 (d1) 단계에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RWTi)은,In step (d1), the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RWT i is
Figure 112011101403757-pat00016
식을 이용해 산출되며,
Figure 112011101403757-pat00016
Is calculated using an equation,
여기서 di는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 RWTmax는 최대 전송 대기시간, R은 전송노드의 전송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Where di is a distance from a transmitting node, RWTmax is a maximum transmission waiting time, and R is a transmission distance of a transmitting nod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d1) 단계에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RWTi)은,In step (d1), the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RWT i is 상기 메세지 재전송 활성화 영역을 전송노드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재분할하고, 각각의 재분할된 영역에 거리에 반비례하여 할당된 메세지 재전송 대기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수신노드의 메세지 전송방법. The message retransmission activation area is sub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transmitting node, and a message retransmission waiting time allocat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in each subdivided area. Way. 삭제delete
KR1020090102820A 2009-10-28 2009-10-28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KR101119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20A KR101119437B1 (en) 2009-10-28 2009-10-28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20A KR101119437B1 (en) 2009-10-28 2009-10-28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18A KR20110046018A (en) 2011-05-04
KR101119437B1 true KR101119437B1 (en) 2012-03-19

Family

ID=4424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20A KR101119437B1 (en) 2009-10-28 2009-10-28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4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55A (en) 2020-11-09 2022-05-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congestion control using local dynamic ma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03B1 (en) * 2011-05-16 2013-12-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adaptively in vihicle ad-hoc network
KR101218562B1 (en) * 2011-08-31 2013-0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on the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vehicle moving direction and the method thereof
CN107333224B (en) * 2017-05-26 2021-02-05 上海电机学院 Vehicle-mounted network self-adaptive broadcasting method based on prob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73A (en) * 2007-11-29 2009-06-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relay node selection method for alert message propagation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073A (en) * 2007-11-29 2009-06-0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Adaptive relay node selection method for alert message propagation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755A (en) 2020-11-09 2022-05-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congestion control using local dynamic m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18A (en)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5089B2 (e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protocol
Bachir et al. A multicast protocol in ad hoc networks inter-vehicle geocast
Tatchikou et al. Cooperative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sing inter-vehicle packet forwarding
Zhu et al. A collision avoidance mechanism for emergency message broadcast in urban VANET
CN110139245B (en) Vehicle networking relay node selection method based on fuzzy logic
Bi et al. A directional broadcast protocol for emergency message exchange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s
CN107277855B (en) internet of vehicles media access method for guaranteeing security services
Chitra et al. Efficient broadcasting mechanisms for data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Leal et al. Information-centric opportunistic data dissemin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Nguyen et al. MAC protocols with dynamic interval schemes for VANETs
Vegni et al. Forwarder smart selection protocol for limitation of broadcast storm problem
Ahmed et al. Research Article Survey on Broadcasting in VANETs
Hrizi et al. Adapting contention-based forwarding to urban vehicular topologies for active safety applications
KR101119437B1 (en) A Method of message-transmitting in VANET
Alotaibi et al. Relay selection for heterogeneous transmission powers in VANETs
KR20090056070A (en) Message broadcast method using contension window in vehicular ad-hoc network
Benaidja et al. An optimal broadcast of warning messages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Rana et al. VANET: expected delay analysis for location aided routing (LAR) Protocol
Lee et al. Enhanced selective forwarding scheme for alert message propagation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CN110691349A (en) Adaptive control algorithm for joint power and competition window facing to safety application in Internet of vehicles
KR20090056072A (en) Emergency warning message broadcasting method using range-based relay node selecting method for vehicular ad-hoc network
Sebastian et al. Context‐Aware Multicast Protocol for Emergency Message Dissemination in Vehicular Networks
Pekşen et al. Relay of multi-hop safety message based on beaconing in VANET
KR100924534B1 (en) Broadcasting method to reduce network fragmentation in vehicle ad-hoc network
Fan et al. An effective multi-hop broadcast control mechanism for emergency alert message in VA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