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643B1 -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643B1
KR101118643B1 KR1020090071506A KR20090071506A KR101118643B1 KR 101118643 B1 KR101118643 B1 KR 101118643B1 KR 1020090071506 A KR1020090071506 A KR 1020090071506A KR 20090071506 A KR20090071506 A KR 20090071506A KR 101118643 B1 KR101118643 B1 KR 10111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uble
floor
bottom plate
double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3843A (en
Inventor
박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09007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643B1/en
Publication of KR2011001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고급빌딩이나 오피스빌딩 및 정보화빌딩 등에서 바닥판재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용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floor (access floor) for buildings that are used as a floor plate in high-grade buildings, office buildings and information buildings.

본 발명의 구성은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1)은 상판(2)과 하판(3)으로 결합 구성하여 중공부(中空部)(4)를 구성하며, 상기 중공부(中空部)(4) 에는 내장재(5)를 내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상판(2)과 결합되는 하판(3)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는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bottom plate 1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to form a hollow portion 4, and the hollow portion 4) a built-in material 5 is built in,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6 ar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3 coupled to the upper plate 2. .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이 장시간에 걸쳐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주연부가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phenomenon of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of the double bottom plate (周 緣 部; edge) even if the impact is applied or heavy objects such as office equipment, bookshelves or furniture is applied for a long time loads can do.

즉,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on th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can be maximized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entrated load (荷 中 荷重).

Description

건물용 이중 바닥판{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Double floor plates for buildings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본 발명은 고급빌딩이나 오피스빌딩 및 정보화빌딩 등에서 바닥판재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용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의 주연부(周緣部; edge) 구조를 개선하여 큰 하중(본 발명에서 큰 하중이라 함은 300㎏/㎠이상을 말한다)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한 건물용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access floor for a building used as a flooring material in a high-grade building, an office building, and an information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an edge of an access floor.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relates to a double access floor for buildings that can withstand large loads (large loa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300kg / ㎠ or more).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이중 바닥판이라 함은 이른바, 프리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Access Floor"로 약칭되기도 한다)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고 칭하는 것으로, 오피스빌딩 등의 바닥에서 전선이나 통신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배선하고 외관상 미려함을 주며, 실내공간을 적절히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에 일정 높이의 통로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floor plate is referred to as a so-called free access floor (also abbreviated as "Access Floor") or OA floor (OA Floor). The cable is easily wired and gives a beautiful appearance, and it is installed with a certain height of passage space on the floor in order to make proper use of the interior space.

즉, 도 11에서와 같이 오피스 등의 건물바닥(F)위에 지지대(S)로써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시공하고, 그 위에 필요에 따라 카페트 등 마감재(C)를 깔아 사용되어 진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11 on the building floor (F), such as the office, a double floor plate (Access Floor) as a support (S), and if necessary, the finishing material (C), such as carpet is used on the floor.

위와 같은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설치하게 되면 소정의 높이만큼 통 로 공간이 생기고, 이 공간에 통신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배열 설치할 수 있게 된다.If you install a double floor (Access Floor) as described above, the passage space is cre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communication cable or wires can be arranged in this space.

위와 같이 편리하게 사용되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은 전체가 스틸(Steel)로 이루어지고 상판(100)과 하판(200)으로 이루어진다.Double floor plate (Access Floor) is conveniently used as above is made of steel (Steel) as a whole and consists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그런데 상기 이중 바닥판은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이 최소한 300㎏f이상 되어야 한다.However, the double bottom plate should have a concentrated load of at least 300 kgf.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구성하는 스틸(Steel)로 된 상판(100)과 하판(200)의 두께가 각각 최소 1~1.4㎜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made of steel (Steel) constituting a double bottom plate (Access Floor) should be at least 1 to 1.4 mm, respectively.

이 경우 철강의 원자재 값이 상승하여 생산 코스트(cost)가 증가됨에 따라 기업의 운영에 큰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raw material prices of steel rise and production costs increase, this puts a big burden on the company's operations.

그리고 또한 상판(100)과 하판(200)에 의해 구성되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은 중공형( 中空型)인 속이 비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바닥(F)위에 시공 설치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울림현상[Resonance Phenomena; 공명현상(共鳴現象)]이 발생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double floor plate (Access Floor) composed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200 is a hollow type (hollow form) because it is in a hollow state to walk on the building floor (F) installed Resonance Phenomena; Resonance phenomena] occurred.

그리고 또한 주연부(周緣部; edge)의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견딜수 있는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bearing capacity to withstand the concentrated load of the edge is low.

이 경우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사방으로 시공 설치하였을 때 주연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이 장시간에 걸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주연부(周緣部; edge)가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하 는 것이었다.In this case, when a double floor plate (Access Floor) is installed in all directions, impact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periphery, or when heavy objects such as heavy office equipment, bookshelves, or furniture are put on the load for a long time, the periphery (周 緣 部; edge; ) Was a depression.

이러한 현상은 상기 중공형(中空型)의 이중 바닥판(Access Floor) 뿐 만 아니라 상기 중공형( 中空型)의 이중 바닥판(Access Floor)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한 제품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었다.This phenomenon occurred not only in the hollow double floor (Access Floor), but also the product in which the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hollow double floor (Access Floor).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구성하는 상,하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틸 판넬(Steel Pannel)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상,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中空部)에는 목재 등의 내장재를 내장 구성하여 생산 코스트(cost)를 절감함과 아울러 울림현상[Resonance Phenomena; 공명현상(共鳴現象)]을 방지하며, 특히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의 주연부(周緣部; edge) 구조를 개선하여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하고, 이중 바닥판의 평탄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건물용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anel (Steel Pannel) consisting of a top, bottom plate constituting a double floor (Access Floor), The hollow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s has a built-in material such as woo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resonate phenomena [Resonance Phenomena; Resonance phenomena], and in particular, by improving the edge structure of the access floor, it maximizes the bearing capacity against the concentrated load and the double floor board. It is to provide a double access floor for buildings that significantly improved the flatness of the building.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 대형 전산실 등의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은 상판과 하판으로 결합 구성하여 중공부(中空部)를 구성하며, 상기 중공부(中空部)에는 목재로 된 내장재를 내장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는 주연부(周緣部; edge)에는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uch as a high-end building, office building and information computer building, such as a large computer room is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orm a hollow portion The hollow part includes a built-in woo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for reinforcement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이 장시간에 걸쳐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주연부가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double bottom plate or a load such as heavy office equipment, a bookcase or furniture is applied for a long time, the periphery may be prevented from sinking. .

즉,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on th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can be maximized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entrated load (荷 中 荷重).

둘째, 이중 바닥판의 상판 에지익편 선단부에 이중으로 절곡하여 이중절곡수직익편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지지 보강력을 높일 수 있다.Second, by bendi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blad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to form a double bent vertical blade pie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upport reinforcement.

셋째, 이중 바닥판의 하판 에지익편과 상판의 에지익편을 다수의 결착부에 의한 결합 구성하여 지지 보강력을 높일 수 있다.Third, the support reinforcement can be enhanced by combining the lower edge blade piece of the double bottom plate and the edge blade piece of the upper plate by a plurality of binding portions.

넷째,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 간격이 최소화 되어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의자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에 결합된 케스터(caster)나 다리(leg)의 폭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다.Fourth, by form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at the edges of the double bottom plate,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double bottom plates is minimized, so that objects such as heavy office equipment, bookcases, chairs, furniture, etc. It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aster (leg) or the caster (leg).

다섯째,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보강용 지지돌출부를 구성함에 따라 이중 바닥판을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의 스틸 판넬(Steel Pannel)의 두께(0.5~0.6㎜)를 최소화하고 중공부(中空部)에는 폐자재를 재활용한 목재를 내장재로서 내장하여 제조할 경우 이중 바닥판에 요구되는 집중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 대화하면서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사용할 수 있어 경쟁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Fifth, by constructing the support protrusion for reinforcement at th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the thickness (0.5 ~ 0.6㎜) of the steel panel (Steel Pannel)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double bottom plate is minimized and hollow In the middle of the building, recycled wood as recycled materials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t extremely low cost while maximiz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entrated load required for the double bottom plate, thereby maximizing competitiveness.

그리고 또한 기존의 이중 바닥판에 비하여 약 20~30% 정도 경량화 할 수 있어 건물에 주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reduce the load on the building by 20 ~ 30% lighter than the existing double deck.

여섯째, 이중 바닥판의 중공부(中空部)에 목재를 내장재로서 내장하여 구성함에 따라 울림현상[Resonance Phenomena; 공명현상(共鳴現象)]을 방지할 수 있다.Sixth, the ringing phenomenon as the wood is built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double bottom plate as an interior material [Resonance Phenomena; Resonanc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그리고 또한 상판(2)과 하판(3)의 결합 시 주연부에서만 엠보싱 버링(Embossing Burring) 가공으로 결합되므로 소재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기존의 이중 바닥판에 비해 평탄도를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are combined by embossing burring only at the periphery, the deformation of the material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flatnes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existing double bottom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시된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to 8.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 대형 전산실 등의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1)은 상판(2)과 하판(3)으로 결합 구성하여 중공부(中空部)(4)를 구성하며, 상기 중공부(中空部)(4)에는 내장재(5)를 내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상판(2)과 하판(3)이 결합되는 주연부(周緣部; edge)에는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double bottom plate (1),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large computer room such as a high-end building, an office building, and an information building, is composed of a hollow part (4) by combining a top plate (2) and a bottom plate (3). The hollow portion 4 includes a built-in material 5 embedd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at edges at which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are coupled to each other. (6) was formed and comprised.

상기 이중 바닥판(1)을 구성하는 상판(2)과 하판(3)은 그 소재가 스틸 판넬(Steel Pannel)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주로 0.5~0.6㎜로 이루어진다.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constituting the double bottom plate 1 is made of a steel panel (Steel Pannel) and its thickness is mainly made of 0.5 ~ 0.6㎜.

상기 중공부(中空部)(4)에 내장된 내장재(5)로서 폐자재를 재활용한 목재나, 재활용한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등을 사용한다.As the interior material 5 embedded in the hollow part 4, wood from which waste materials are recycled, recycled plastic, concrete, or the like is used.

상기 보강용 지지돌출부(6)는 도4(상판을 제거한 하판의 평면도이다)에서와 같이 하판(3)의 주연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도7, 도8 및 도10에서와 같이 상판(2)과 결합하기 위해 절곡된 절곡면(7)을 기점으로 소정의 거리(D1)(D2) 만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The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3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plan view of the lower plate from which the upper plate is removed), and the upper plate 2 as shown in FIGS. 7, 8 and 10. ) Is protruded outward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1) (D2) from the bent surface (7) bent to engage.

다시 설명하면, 상기 보강용 지지돌출부(6)와 절곡면(7)에 의해 형성되는 하판(3)의 단면형상은 도5 (a)에서와 같이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5 (b)에서와 같이 삼각형, 도5 (c)에서와 같이 원호형 및 도5 (d)에서와 같이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late 3 formed by the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 6 and the bent surface 7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 5 (a). As shown in (b), it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triangle,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5 (c), and a quadrangle shape as shown in Fig. 5 (d).

상기 상판(2)과 하판(3)의 결합은 도4 및 도8에서와 같이 하판(3)의 절곡면(7) 상측에서 하판(3)의 에지익편(8)에는 구멍(9)을 뚫어 형성하고 상판(2)의 에지익편(10)에는 엠보싱 버링(Embossing Burring)하여 소성가공 된 결착부(11)로써 상기 구멍(9)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판(2)과 하판(3)을 결합한다.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drilling holes 9 in the edge blade pieces 8 of the lower plate 3 above the bent surface 7 of the lower plate 3 as shown in FIGS. 4 and 8.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are formed by forming and engaging the edge 9 of the upper plate 2 with the holes 9 by embossing burring to form a plastically processed binding portion 11. do.

그리고 상기 상판(2)의 에지익편(10)의 선단부는 도7, 도8 및 도10에서와 같이 컬링(Curling)가공에 의해 이중으로 절곡하여 이중절곡수직익편(12)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dge blade piece 10 of the upper plate 2 is bent in double by curling (Curling) as shown in Figures 7, 8 and 10 to form a double bending vertical blade piec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figur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바닥판(1)은 건물 바닥에 사방으로 시공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9, the double bottom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in all directions.

건물 바닥에 이중 바닥판(1)이 시공 설치되면 도10에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이중 바닥판(1) 간의 상판(2) 선단부에 형성한 이중절곡수직익편(12)이 당접된다.When the double bottom plate 1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10, the double bent vertical blade pieces 12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upper plate 2 between adjacent double bottom plates 1 abut.

이와 같이 시공 설치된 본 발명의 이중 바닥판(1)은 주연부(周緣部; edge)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이 장시간에 걸쳐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주연부가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double bottom pl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has a periphery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edge or a load such as heavy office equipment or a bookcase or furniture is applied for a long time. The phenomenon of depression can be prevented.

즉, 하판(3)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절곡면(7)을 기점으로 다수의 보강용 지지돌출부(6)를 형성함에 따라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6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lower plate 3 starting from the bent surface 7,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concentrated load is maximized. You can do it.

다시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보강용 지지돌출부(6)와 절곡면(7)에 의해 하판(3)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형, 삼각형, 원호형 및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측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되므로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late 3 is formed into a trapezoidal, triangular, arc and quadrangular shape by the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 6 and the bent surface 7,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side is distributed. It is to be able to maximize the support power.

또한 상기 상판(2)의 에지익편(10)의 선단부에 이중으로 절곡하여 이중절곡수직익편(12)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지지 보강력을 높였고, 하판(3)의 에지익편(8)과 상판(2)의 에지익편(10)을 다수의 결착부(11)에 의한 결합 구성 부위 또한 지지 보강력을 높여준다.In addition, by double bending at the tip of the edge blade 10 of the upper plate 2 to form a double bent vertical blade piec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crease the support reinforcement, the edge blade piece 8 and the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3 (2) of the edge blade piece 10 by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1, the engagement component portion also increases the support reinforcement.

따라서, 이중 바닥판(1)의 주연부(周緣部; edge)는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Therefore, th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1 can maximize the bearing capacity against the concentrated load.

도 10에서 서로 이웃하는 이중 바닥판(1)의 주연부 간격(D1, L, D2) 부위는 시험결과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이 500~600㎏f의 범위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In FIG. 10, the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at the area of the peripheral edges D1, L, and D2 of the double bottom plate 1 adjacent to each other was in the range of 500 to 600 kgf.

그렇다면 상판(2)과 하판(3)의 스틸 판넬(Steel Pannel)이 0.5~0.6㎜의 두께로 제작하더라도 집중하중(concentrated load: 集中荷重)이 최소한 300㎏f이상이 되므로 이중 바닥판에 요구되는 집중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하면서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이중 바닥판(1)을 제조 사용할 수 있어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n, even if the steel panel (Steel Pannel) of the upper panel (2) and the lower panel (3) is manufactured to a thickness of 0.5 ~ 0.6㎜, the concentrated load is at least 300kgf. While maximizing the support for concentrated loa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use the double bottom plate (1) at an extremely low cost to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또한 상기 보강용 지지돌출부(6)를 형성함에 따라 도 10에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이중 바닥판(1)의 주연부 간격(a, c, b)이 최소화 되어 무거운 사무기기나 책장, 의자 또는 가구 등의 기물(器物)에 결합된 케스터(caster)나 다리(leg)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함몰현상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s 6 are formed, as shown in FIG. 10, the peripheral edges a, c, and b of the double bottom plate 1 adjacent to each other are minimized, such as heavy office equipment, bookcases, chairs, furniture, etc. It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caster (leg) or caster (leg) that is coupled to the object of the will be able to prevent the sinking even more.

그리고 이중 바닥판의 중공부(中空部)(4)에 목재 등의 내장재(5)로써 내장하여 구성함에 따라 건물바닥 위에 시공 설치된 상태에서 보행을 할 경우 울림현상 [Resonance Phenomena; 공명현상(共鳴現象)]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하판(2),(3)의 결합 시 주연부에서만 엠보싱 버링(Embossing Burring) 가공으로 결합되므로 소재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기존의 이중 바닥판에 비해 평탄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s the interior of the hollow part 4 of the double bottom plate is constructed as a built-in material 5 such as wood, the sounding phenomenon occurs when walking in a state of construction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Resonance Phenomena; Resonance phenomena] and can also be prevented by embossing burring only at the periphery when join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2) and (3). Compared to the plate can improve the flatness significantly.

위와 같이 이중 바닥판의 주연부(周緣部; edge)에 보강용 지지돌출부(6)를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이중 바닥판(1)을 구성하는 상판(2)과 하판(3)의 스틸 판넬(Steel Pannel)을 0.5~0.6㎜의 두께로 하고 중공부(中空部)(4)에는 폐자재를 재 활용한 목재나, 재활용한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 등을 내장재(5)로서 내장하여 제조할 경우 이중 바닥판에 요구되는 집중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극대화하면서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사용할 수 있어 경쟁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자원 절약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Steel panel of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constituting the double bottom plate (1) by forming the support protrusions 6 for the reinforcement at the edge of the double bottom plate as described above (Steel) If the panel is 0.5 ~ 0.6mm thick and the hollow part 4 is manufactured by embedding wood, recycled plastic or concrete, etc. as the interior material 5, the double bottom plate It can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and save resources by maximizing the support for the concentrated load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and use at very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의 전체 외형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ouble bottom plate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the "double bottom plate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double bottom plate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에서 상판을 제거한 상태의 하판에 대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lower plate with the upper plate removed from the "building doubl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에서 보강용 지지돌출부와 절곡면에 의해 형성되는 하판의 단면형상에 대한 여러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late formed by the reinforcing support protrusion and the bent surface in the "building doubl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of FIG.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을 건물바닥에 시공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Figure 9 is a plan view of a state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building doubl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이중 바닥판"을 건물바닥에 시공 설치한 상태에서 주연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building floor "double floor plate for building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1은 종래기술의 이중 바닥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ouble bottom plate of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이중 바닥판 2: 상판1: double bottom plate 2: top plate

3: 하판 4: 중공부3: lower plate 4: hollow part

5: 내장재 6: 보강용 지지돌출부5: interior material 6: support protrusion for reinforcement

7: 절곡면 8: 에지익편7: bend surface 8: edge wing

9: 구멍 10: 에지익편9: hole 10: edge wing

11: 결착부 12: 이중절곡수직익편11: binding portion 12: double bending vertical wing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물 바닥에 시공 설치되는 이중 바닥판(1)은 상판(2)과 하판(3)으로 결합 구성하여 중공부(中空部)(4)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In the double bottom plate (1) installed on the building floor is composed of a hollow part (4) by combining 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상기 상판(2)과 하판(3)은 그 소재가 각각 스틸 판넬(Steel Pannel)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0.5~0.6㎜로 하며,The upper plate (2) and the lower plate (3) is made of a steel panel (Steel Pannel), respectively, its thickness is 0.5 ~ 0.6㎜, 상기 상판(2)의 에지익편(10)의 선단부는 이중으로 절곡하여 이중절곡수직익편(12)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고,The tip portion of the edge blade piece 10 of the upper plate 2 is formed by bending the double to form a double bent vertical blade piec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판(3)의 에지익편(8)에는 구멍(9)을 뚫어 형성하며,The edge blade piece 8 of the lower plate 3 is formed by drilling a hole 9, 상기 상판(2)의 에지익편(10)에는 엠보싱 버링(Embossing Burring)에 의해 결착부(11)로써 상기 구멍(9)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이중 바닥판.The edge plate piece (10) of the upper plate (2) double floor plate for building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engaging with the hole (9) as a binding portion (11) by an embossing burring (Embossing Burring). 삭제delete
KR1020090071506A 2009-08-04 2009-08-04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KR101118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06A KR101118643B1 (en) 2009-08-04 2009-08-04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06A KR101118643B1 (en) 2009-08-04 2009-08-04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958A Division KR101180403B1 (en) 2011-12-09 2011-12-09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43A KR20110013843A (en) 2011-02-10
KR101118643B1 true KR101118643B1 (en) 2012-03-09

Family

ID=4377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506A KR101118643B1 (en) 2009-08-04 2009-08-04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6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10Y1 (en) * 2000-02-03 2000-07-15 박준욱 The joiner assembly structure of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JP2004232424A (en) * 2003-01-31 2004-08-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loor panel support structure of free access floor
KR200372824Y1 (en) * 2004-10-07 2005-01-15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Double-bottom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10Y1 (en) * 2000-02-03 2000-07-15 박준욱 The joiner assembly structure of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JP2004232424A (en) * 2003-01-31 2004-08-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Floor panel support structure of free access floor
KR200372824Y1 (en) * 2004-10-07 2005-01-15 남양노비텍 주식회사 Double-botto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843A (en)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7122C (en) Prefabricated mold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pavement
KR100810656B1 (en) Pedestal assembly for access-floor
KR101120544B1 (en) Deck with a function of improved slip prevention on upper-side and structural strength and the extended deck structure using thereof
KR20190115655A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882219B1 (en) Sound absorbing walls
KR20090100160A (en) Shelf typed buttress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18643B1 (en)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KR101180403B1 (en)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KR101222208B1 (en) Composite Beam Of Precast Concrete Beam And Deck Plate
CN202482763U (en) Connecting structure of bridge deck
CN201125513Y (en) Fastener type floor
KR100928908B1 (en) Access floor assembly
KR101901240B1 (en) A mold panel of assembly for building
KR20130007219U (en) Partition assembly
KR200417403Y1 (en) Assembly type block
KR20160001273U (en)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CN110863506B (en) Reinforced foundation
KR20160000639U (en)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KR101390650B1 (en) Composite beam deck
KR200418414Y1 (en) Parti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101481524B1 (en) Composite beam deck
KR20210000162U (en) Assemble Type Interior Partition
KR200438190Y1 (en) Pedestal assembly for access-floor
KR20210046911A (en) A Structure of well type celing comprising spacer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