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052B1 -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8052B1 KR101118052B1 KR1020110094978A KR20110094978A KR101118052B1 KR 101118052 B1 KR101118052 B1 KR 101118052B1 KR 1020110094978 A KR1020110094978 A KR 1020110094978A KR 20110094978 A KR20110094978 A KR 20110094978A KR 101118052 B1 KR101118052 B1 KR 101118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inlet
- oil
- outlet
- pyrolysis furn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4—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 B01F27/1143—Helically shaped stirrers, i.e. stirrers comprising a helically shaped band or helically shaped band sections screw-shaped, e.g. wor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폐기물을 용융하여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용융기와, 이 고주파 용융기에서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물을 가열하여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와, 이 열분해로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열분해로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수단과, 열분해로의 유증기 포집구를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를 증류하는 증류탑 및 이 증류탑에서 증류된 유분을 공급받아 액화시키는 유분 냉각수단을 포함하며, 특히 열분해로는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물을 배출구 쪽으로 교반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이 이송스크루를 내장하며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벽이 다수 형성된 내통체와, 이 내통체의 외측 둘레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감싸며 투입구 쪽의 외측에 열풍입구가 형성된 외통체와, 이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개재되어 열풍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내통체 내의 용융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나선가이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의 열분해로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의 슬러지 제거수단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수단의 슬러지 배출밸브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제거수단의 슬러지 배출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의 증류탑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류탑의 제1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류탑의 제1트레이 및 그 다운코머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류탑의 제2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류탑의 제2트레이 및 그 다운코머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200: 열분해로 210: 투입구
220: 배출구 230: 유증기 포집구
240: 이송스크루 250: 내통체
251: 격벽 260: 외통체
261: 열풍 입구 262: 열풍 출구
270: 나선가이드
300: 슬러지 제거수단 310: 스크루 컨베이어
311: 슬러지 입구 312: 슬러지 출구
320: 열교환기 330: 슬러지 배출밸브
331: 밸브 몸체 332: 밸브 입구
333: 밸브 출구 334: 시트부
335: 디스크 336: 회전체
337: 밸브 스템
340: 슬러지 수거탱크 341: 증기유입구
342: 증기배출구
400: 증류탑 401: 유증기 입구
402: 가스 출구 403: 중유 출구
404: 제1순환유입구 405: 제2순환유입구
406: 제3순환유입구 407: 제1경유 출구
408: 제2경유 출구 409: 제3경유 출구
410: 슬러지 낙하앵글 420: 제1트레이
421: 경사면 422: 제1통과구멍
425: 다운코머 426: 차단판
430: 제2트레이 432: 제2통과구멍
433: 부발 435: 다운코머
436: 차단판 440: 안전밸브
500: 유분 냉각수단 501: 제1냉각기
502: 제2냉각기 503: 제3냉각기
601: 제1순환펌프
602: 제2순환펌프 603: 배출펌프
701: 경유 저장탱크 702: 납사 저장탱크
800: 역화방지기 900: 분쇄기
902: 건조기 904: 집진기
906: 공기가열기 908: 송풍기
Claims (9)
- 고분자 폐기물을 용융하여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주파 용융기와; 상기 고주파 용융기에서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물을 가열하여 열분해하는 열분해로와; 상기 열분해로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열분해로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수단과; 상기 열분해로의 유증기 포집구를 통해 공급되는 유증기를 분별 증류하는 증류탑 및 상기 증류탑에서 증류된 유분을 공급받아 액화시키는 유분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로는,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물을 배출구 쪽으로 교반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와;
상기 이송스크루를 내장하며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격벽이 다수 형성된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외측 둘레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감싸며 투입구 쪽의 외측에 열풍 입구가 형성되고 배출구 쪽의 외측에 열풍 출구가 형성된 외통체와;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열풍 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내통체 내의 용융물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나선가이드;
를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수단은,
상기 열분해로의 배출구에 슬러지 입구가 연결되어 열분해로 내의 슬러지를 구동원의 회전력으로 이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외측 둘레를 감싸서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슬러지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슬러지 출구에 연결되어 슬러지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구동원의 회전력으로 통과 또는 차단시키는 슬러지 배출밸브; 및
상기 슬러지 배출밸브에 연결되어 슬러지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수거탱크;
를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밸브는,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슬러지 출구와 밸브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슬러지 수거탱크와 밸브 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밸브 입구와 밸브 출구 사이 양측에 반원통형의 시트부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시트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상기 시트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디스크가 다수 형성되어 회전 시 상기 밸브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를 상기 밸브 출구로 이동시키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구동원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밸브 스템;
을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수단은,
상기 슬러지 수거탱크에 잔류하는 유증기 가스나 공기를 고압의 증기로 제거하기 위한 증기공급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수거탱크는 하부에 상기 증기공급기로부터 증기를 공급받기 위한 증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증기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은,
하부 측면에 상기 열분해로의 유증기 포집구와 연결되는 유증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증기 입구의 상측 내부에 상방으로 갈수록 접촉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의 슬러지 낙하앵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 적층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낙하앵글의 상부에 유증기 및 분별 증류된 유분에서 상승하는 기체와 하강하는 액체를 향류 접촉시키며 기액 및 액액 접촉부하를 완화시키는 제1트레이가 다수로 적층 설치되고,
상기 제1트레이의 상부에 제1트레이를 통과한 유증기와 유분에서 상승하는 기체와 하강하는 액체를 향류 접촉시키며 기액 접촉으로 열교환 반응을 유발시키는 제2트레이가 다수로 적층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트레이의 측면에 그 상면상에서 접촉한 중액을 바로 밑의 제1 또는 제2트레이의 상면상으로 오버플로시키는 다운코머가 각각 설치된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는,
그 트레이 판체의 내측면을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절개 및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꺾어 경사면과 제1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트레이는,
그 트레이 판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통과구멍에 승강 가능하게 부발이 장착되어 그 승강에 따라 유증기를 통과 및 유분의 흐름을 유도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은,
상면에 가스 출구가 형성되고, 하면에 중유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 사이의 외측에 상기 중유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중유를 제1순환펌프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순환유입구가 일정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트레이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2트레이의 상부 측면에 상기 가스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제2순환펌프 및 제1냉각기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한 제3순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순환유입구와 제3순환유입구 사이에 배출펌프를 통해 경유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경유 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은,
상면에 상기 열분해로와 증류탑의 내부를 감압하는 안전밸브가 구비된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용융기로 투입되는 고분자 폐기물을 파쇄 및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를 통해 파쇄 및 분쇄된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로에서 공급받은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집진하여 제거하는 집진기; 및
상기 열분해로의 열풍 입구와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가열기;
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4978A KR101118052B1 (ko) | 2011-09-21 | 2011-09-21 |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4978A KR101118052B1 (ko) | 2011-09-21 | 2011-09-21 |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8052B1 true KR101118052B1 (ko) | 2012-04-12 |
Family
ID=4614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4978A Active KR101118052B1 (ko) | 2011-09-21 | 2011-09-21 |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8052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9882B1 (ko) | 2013-09-17 | 2015-05-14 | (주)명성플로텍 | 고분자 폐기물의 처리에 의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장치 |
KR101521359B1 (ko) * | 2013-12-27 | 2015-05-19 | 정인수 | 폐열을 이용한 폐기물 열분해 장치 |
WO2019117327A1 (ko) * | 2017-12-11 | 2019-06-20 | 주식회사 제주클린에너지 | 폐합성고분자 화합물 열분해유화 및 청정연료화 시스템 |
KR102071339B1 (ko) * | 2019-06-27 | 2020-01-30 |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 가스 및 슬러지의 안정적 배출을 위한 연속식 열분해 유화장치 |
KR102213139B1 (ko) * | 2019-08-07 | 2021-02-05 | 조상태 | 열분해로 슬러지 배출장치 |
KR102323093B1 (ko) * | 2021-01-29 | 2021-11-09 | (주)리보테크 | 공정별 자동운전이 가능한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 설비 |
RU208485U1 (ru) * | 2021-07-29 | 2021-12-2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Узел плавления установки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полиэтилена 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
KR20220079045A (ko) | 2020-12-04 | 2022-06-13 | 주식회사 세광 | 촉매를 활용한 폐기물 열 분해 장치 |
CN116425389A (zh) * | 2023-02-27 | 2023-07-14 | 西安交通大学 | 含油污泥和含油沾染废物的两级协同热解处理系统及方法 |
WO2024196021A1 (ko) * | 2023-03-22 | 2024-09-26 | 김관우 | 전자기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폐수지 재생유 및 비응축가스 및 블랙카본 생산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8528A (ko) * | 2000-05-29 | 2001-12-08 | 홍영기 |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
KR100342349B1 (ko) | 1998-06-17 | 2002-07-03 | 와다 요이치 |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
KR20110026933A (ko) * | 2009-09-09 | 2011-03-16 | 주식회사 케이디텍 | 가연성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 및 이를 연속 열분해하기 위한 열분해 유화장치 |
KR101026199B1 (ko) | 2010-09-08 | 2011-04-06 |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 열풍건조수단이 구비된 폐플라스틱용 오일환원장치 |
-
2011
- 2011-09-21 KR KR1020110094978A patent/KR10111805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2349B1 (ko) | 1998-06-17 | 2002-07-03 | 와다 요이치 |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
KR20010108528A (ko) * | 2000-05-29 | 2001-12-08 | 홍영기 | 고분자 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
KR20110026933A (ko) * | 2009-09-09 | 2011-03-16 | 주식회사 케이디텍 | 가연성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 및 이를 연속 열분해하기 위한 열분해 유화장치 |
KR101026199B1 (ko) | 2010-09-08 | 2011-04-06 |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 열풍건조수단이 구비된 폐플라스틱용 오일환원장치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9882B1 (ko) | 2013-09-17 | 2015-05-14 | (주)명성플로텍 | 고분자 폐기물의 처리에 의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장치 |
KR101521359B1 (ko) * | 2013-12-27 | 2015-05-19 | 정인수 | 폐열을 이용한 폐기물 열분해 장치 |
WO2019117327A1 (ko) * | 2017-12-11 | 2019-06-20 | 주식회사 제주클린에너지 | 폐합성고분자 화합물 열분해유화 및 청정연료화 시스템 |
KR102071339B1 (ko) * | 2019-06-27 | 2020-01-30 |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 가스 및 슬러지의 안정적 배출을 위한 연속식 열분해 유화장치 |
KR102213139B1 (ko) * | 2019-08-07 | 2021-02-05 | 조상태 | 열분해로 슬러지 배출장치 |
KR20220079045A (ko) | 2020-12-04 | 2022-06-13 | 주식회사 세광 | 촉매를 활용한 폐기물 열 분해 장치 |
KR102323093B1 (ko) * | 2021-01-29 | 2021-11-09 | (주)리보테크 | 공정별 자동운전이 가능한 연속식 폐합성수지 열분해 처리 설비 |
RU208485U1 (ru) * | 2021-07-29 | 2021-12-2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Узел плавления установки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полиэтилена 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
CN116425389A (zh) * | 2023-02-27 | 2023-07-14 | 西安交通大学 | 含油污泥和含油沾染废物的两级协同热解处理系统及方法 |
WO2024196021A1 (ko) * | 2023-03-22 | 2024-09-26 | 김관우 | 전자기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폐수지 재생유 및 비응축가스 및 블랙카본 생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8052B1 (ko) |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
KR101280875B1 (ko) | 로터리 킬른 타입의 고분자 폐기물 유화장치 | |
ES2938584T3 (es) | Aparato de pirólisis delineado por zonas, de etapa dual | |
EP2890763B1 (en) | Process and system for whole tyres and plastic composites pyrolysis to fuel conversion and compund recovery | |
US10731081B2 (en) | Zone-delineated pyrolysis apparatus for conversion of polymer waste | |
CN102858861B (zh) | 用于通过解聚来进行完全回收利用的方法和装置 | |
KR20070032634A (ko) | 폐기물 물질의 액체 연료로의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200126707A (ko) | 가연성 폐기물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 |
CN116917101A (zh) | 用于含pvc的混合塑料废物热解的方法 | |
RU262109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деструкции отходов полиэтилена 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 |
EP3312223B1 (en) | Method for thermally decompos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aste | |
KR20230128123A (ko) | 폐 플라스틱의 석유화학제품으로의 변환 | |
WO2013119187A2 (en) | Method for therm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erial and equipment for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 |
KR100517881B1 (ko) | 폐플라스틱 유화재생 처리장치 | |
JP2012144609A (ja) | 廃プラスチックの接触分解炉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連続油化装置 | |
WO2016175667A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from the polyolefins into liquid fuels and the method for processing waste from polyolefins into liquid fuels | |
KR100759583B1 (ko) | 폐플라스틱의 유화방법 및 이 방법을 위한 반응기 | |
RU2721701C1 (ru) | Способ деструктивной перегонки отходов полиэтилена и полипропиле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US20240228882A1 (en) | Thermochemical reactor and process | |
AU2021335231B2 (en) | Plastic conversion feed system | |
US12366412B2 (en) | Plastic conversion feed system | |
CN116018203B (zh) | 塑料转换进料系统 | |
KR20040055507A (ko) |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 |
CN105623704A (zh) | 热解反应系统及其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