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353B1 - 유도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353B1
KR101117353B1 KR1020090086236A KR20090086236A KR101117353B1 KR 101117353 B1 KR101117353 B1 KR 101117353B1 KR 1020090086236 A KR1020090086236 A KR 1020090086236A KR 20090086236 A KR20090086236 A KR 20090086236A KR 101117353 B1 KR101117353 B1 KR 10111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lower body
upper body
training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690A (ko
Inventor
김의환
박강
남덕현
박응순
전재수
김성섭
김태완
심철동
위웅량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용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용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3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4Jud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연습시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유도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상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상체부, 사람의 하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하체부, 상기 상체부 또는 하체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체 회전부 및 하체 회전부,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이에 따른 변위를 전달하도록 두 개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힘전달부, 상기 힘전달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힘을 발생하도록 웨이트와 전자석을 구비하는 힘발생부, 상기 힘전달부와 힘발생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힘발생부의 웨이트가 상하로 이동함로써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 훈련장치, 웨이트, 힘발생부, 힘전달부, 롤러, 파우더 브레이크

Description

유도 훈련장치 {DEVICE FOR TRAINING IN JUDO}
본 발명은 유도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 훈련과 근력 훈련을 상대 선수 없이 개인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연습용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선수들은 상대선수와 직접 훈련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달리 대련가능한 상대선수 없이 개인 훈련을 할 경우에는 상대선수를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인형인 더미(dummy) 또는 고무 튜브를 사용하는 훈련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 연습용 더미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연습용 더미(100)의 경우 힘(F1, F2)을 가함으로써 상체훈련 또는 하체훈련을 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조 훈련도구들인 더미(100) 또는 고무 튜브를 사용하는 종래의 훈련방식으로는 메치거나 당기는 연습은 가능할 수 있으나 힘을 가하는 후리기 등의 훈련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도는 대인 경기이기 때문에 기술 및 근력 훈련 결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나 종래의 보조 훈련도구들로는 근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 정 및 활용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훈련 보조장치도 사용될 수 있으나, 힘의 증가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적인 훈련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제 대인훈련에서 느끼는 힘의 분포와 보조 훈련장치 몸체의 운동궤적 등에서 실제 대인훈련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도 선수들의 당기기와 미는 힘은 매우 크기 때문에 훈련하는 빈도가 많아지면 스프링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며, 복잡하고 다양한 유도 기술의 연습과 유도 경기에 필요한 전문체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치거나 당기는 연습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는 후리기 등의 훈련 및 측정도 가능하게 하는 유도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훈련하는 선수가 특정 유도기술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선수가 반응하는 힘과 운동궤적에 최대한 유사하도록 구성된 유도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정기술을 사용했을 때 그 힘을 측정함으로써 그 기술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될 때의 힘의 분포를 찾아내어서 현재 기술의 문제점 등을 객관적으로 찾아낼 수 있는 유도 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는 유도 연습시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사람의 상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상체부, 사람의 하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하체부, 상기 상체부 또는 하체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체 회전부 및 하체 회전부,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이에 따른 변위를 전달하도록 두 개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힘전달부, 상기 힘전달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힘을 발생하도록 웨이트와 전자석을 구비하는 힘발생부, 상기 힘전달부와 힘발생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힘발생부의 웨이트가 상하로 이동함로써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힘전달부 및 힘발생부는 상체부에 1개, 하체부에 2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힘전달부의 두 개 이상의 롤러는, 상기 웨이트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힘발생부의 힘을 전달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전달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에 전달하는 제 3롤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롤러와 힘발생부 사이에는 파우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함으로써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훈련시스템은 유도훈련장치, 상기 유도 훈련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변환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어 컨버터로부터 수집 및 변환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훈련하는 선수가 특정 유도기술을 사용하였을 때 상대선수가 반응하는 힘과 운동궤적에 최대한 유사한 힘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훈련부위에 대해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훈련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훈련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근력 및 기술발전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는 유도 훈련시 힘과 변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당기기-밀기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후리기-발기술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손기술-허리기술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힘 전달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파우더 브레이크를 포함한 힘 전달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훈련시 힘과 이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는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표현된다.
즉, 상대방에 힘을 가하는 경우 상대방은 버티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강한 힘을 주어야 상대방의 이동, 즉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스프링과 같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일정한 변위가 발생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고, 이를 정확하게 구현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용 훈련장치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의 다양한 기술에 대한 모식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힘 전달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기기 밀기 시스템은 유도인형을 잡고 당기거나 밀때 발생하는 힘에 대한 동작 모형을 도시한다. 스프링은 압축과 인장이 되면서 힘을 발생하고 상하와 좌우에 배치된 스프링 변위의 차이로 인하여 앞뒤로의 경사(a)와 좌우로의 경사(b)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으로 표현된 힘 발생장치는 대인훈련과 가장 유사한 힘발생 장치로 대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추가하여 적은 변위에서도 큰 힘을 내는 힘발생 장치로 대체할 수도 있다. 스프링의 변위는 스프링 앞에 있는 가이드의 직선운동량을 변위센서로 측정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각 스프링의 힘을 계산할 수 있다. 각 스프링의 힘의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역으로 훈련자가 인형에 가한 힘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훈련장치의 경우, 좌우 상하의 힘의 분포를 알아 낼 수 있으며 훈련장치의 움직임이 사람의 움직임과 최대한 비슷하도록 스프링의 위치와 강성을 조절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리기- 발기술 시스템과 손기술- 허리기술 시스템의 기본적인 모형은 당기기-밀기 시스템과 거의 같으나, 후리기-발기술 시스템은 허벅지 안쪽관절에 힘발생 관절 장치를 추가하고, 손기술-허리기술 시스템은 어깨관절에 힘발생 관절장치를 추가함으로써 대인훈련과 가장 유사한 힘발생 장치로 대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식화된 당기기-밀기 시스템, 후리기- 발기술 시스템과 손기술-허리기술 시스템을 분석하여 하나의 훈련장치로 구현한 모형이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는 상체부(10), 하체부(20), 상체 회전부(10a), 하체 회전부(20a), 힘전달부(30), 힘발생부(40),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상체부(10)는 사람의 상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하체부(20)도 이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하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체 회전부(10a), 하체 회전부(20a)는 상체부 또는 하체부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힘전달부(30)는 상체 회전부(10a) 또는 하체 회전부(20a)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이에 따른 변위를 전달하도록 두 개 이상의 롤러(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31, 32, 33)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훈련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수와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힘발생부(40)는 롤러를 구비한 힘전달부(30)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힘을 발생하도록 웨이트(41)와 전자석(42)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석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초기 발생하는 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프레임(50)은 힘전달부(30)와 힘발생부(40)를 지지하도록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연습용 훈련장치는 힘에 의해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힘발생부의 웨이트가 상하로 이동함로써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연습 상대가 없는 경우에도 연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체부(10) 또는 하체부(20)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체 회전부(10a) 또는 하체 회전부(20a)가 회전하는 경우,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된 웨이트(41)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실제 상대방이 저항하는 것과 유사한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힘전달부(30) 및 힘발생부(40)는 훈련장치의 상체부에 1개소, 하체부의 두 다리에 2개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체부와 하체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되며, 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전달부(30)의 롤러는 두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힘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힘전달부(30)는 웨이트(41)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힘발생부의 힘을 전달하는 제1 롤러(33), 상기 제1 롤러(33)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전달하는 제2 롤러(32), 상기 제2 롤러(32)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에 전달하는 제 3롤러(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롤러는 웨이트(41)로의 힘 전달시 다양한 형태 또는 갯수로 배치됨으로써 발생하는 힘을 가감할 수 있게 된다.
훈련자가 힘을 가하여 상체부(10) 또는 하체부(20)를 이동하면 이에 따라 상체 회전부(10a) 또는 하체 회전부(20a)가 회전하고 와이어를 통해 힘발생부(40)에 전달된다.
힘발생부(40)는 전자석(4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된 것처럼 초기 저항이 강하게 된다. 즉, 훈련자가 강한 힘을 주어야 전자석과 웨이트가 분리되고 웨이트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제 상대방과의 훈련과 유사한 형태의 힘의 분포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롤러(30)와 힘발생부(40) 사이에는 파우더 브레이크(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파우더 브레이크(35)는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초기 힘을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한다. 즉, 파우더 브레이크(35)를 추가함으로써 도 8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힘에 의한 저항을 더욱 크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훈련자는 더욱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전자석과 웨이트가 분리되고 웨이트가 상하방 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훈련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유도 훈련장치, 상기 유도 훈련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변환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어 컨버터로부터 수집 및 변환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을 수치화함으로써 당기거나 밀면서 가하는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해 훈련선수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그 데이터를 선수가 그래픽 등으로 실시간 확인하면서 FEEDBACK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유도 훈련시 힘과 변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당기기-밀기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후리기-발기술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손기술-허리기술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힘 전달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파우더 브레이크를 포함한 힘 전달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체부
20: 하체부
10a: 상체 회전부
20a: 하체 회전부
30: 힘전달부
40: 힘발생부
50: 프레임

Claims (5)

  1. 유도 연습시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유도 훈련장치에 있어서,
    사람의 상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상체부,
    사람의 하체에 대응되는 형태 및 관절을 가지는 하체부,
    상기 상체부 또는 하체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체 회전부 및 하체 회전부,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이에 따른 변위를 전달하도록 두 개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는 힘전달부,
    상기 힘전달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힘을 발생하도록 웨이트와 전자석을 구비하는 힘발생부,
    상기 힘전달부와 힘발생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의 회전시 힘발생부의 웨이트가 상하로 이동함로써 상대방과 유사한 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훈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부는 상체부에 1개, 상기 힘발생부는 하체부에 2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훈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힘전달부의 두 개 이상의 롤러는,
    상기 웨이트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힘발생부의 힘을 전달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전달하는 제2 롤러, 상기 제2 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달된 힘을 상기 상체 회전부 또는 하체 회전부에 전달하는 제 3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훈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힘발생부 사이에는 파우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함으로써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훈련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도훈련장치,
    상기 유도 훈련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변환하도록 구성된 컨버터,
    상기 컨버터와 연결되어 컨버터로부터 수집 및 변환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훈련시스템.
KR1020090086236A 2009-09-14 2009-09-14 유도 훈련장치 KR10111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36A KR101117353B1 (ko) 2009-09-14 2009-09-14 유도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236A KR101117353B1 (ko) 2009-09-14 2009-09-14 유도 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690A KR20110028690A (ko) 2011-03-22
KR101117353B1 true KR101117353B1 (ko) 2012-03-07

Family

ID=4393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236A KR101117353B1 (ko) 2009-09-14 2009-09-14 유도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690A (ko) 2022-12-07 2024-06-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 훈련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0466B2 (en) 2016-10-04 2019-12-10 Tyrenn Co., Ltd. Training device and modular training apparatus system with the training device having joint function
KR101969398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속도측정 장치
KR101969397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벡터측정 장치
US11890523B2 (en) 2020-06-29 2024-02-06 Destinee L. Tartuffe Proximity train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243B1 (ko) 2003-03-27 2006-08-25 정창수 광센서를 내장한 전자 감응형 격투기 훈련용 기구
KR100635383B1 (ko)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KR100824054B1 (ko) 2006-06-09 2008-04-21 최병남 격투기용 충격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243B1 (ko) 2003-03-27 2006-08-25 정창수 광센서를 내장한 전자 감응형 격투기 훈련용 기구
KR100635383B1 (ko)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KR100824054B1 (ko) 2006-06-09 2008-04-21 최병남 격투기용 충격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4690A (ko) 2022-12-07 2024-06-1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 훈련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690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9890A1 (en) Intelligent Exercise or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KR101117353B1 (ko) 유도 훈련장치
US120360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US20100197462A1 (en) 3-d, interactive exercise analysis, gaming, and physical therapy system
KR101979393B1 (ko) 근전도를 이용한 무소음 헬스 운동 시스템
WO2006014810A3 (en) A human movement measurement system
CN102921162A (zh) 自助式平衡与步态训练系统及方法
AU2021235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owing skill
Černe et al. The measurement setup for real-time biomechanical analysis of rowing on an ergometer
Dos Santos et al. Front crawl swimming performance and bi-lateral force asymmetry during land-based and tethered swimming tests
Sanchez-Salinas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a constant-force bench press
Bergamini Biomechanics of sprint running: a methodological contribution
Boyas et al. Power responses of a rowing ergometer: mechanical sensors vs. Concept2® measurement system
Arosha Senanayake et al. Smart sensing and biofeedback for vertical jump in sports
JP2018526043A (ja) スポーツ選手の上肢の生理的パラメータを分析および定量化するための、試験用機器を装備したデバイス、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
TW201118627A (en) Biomechanical analysis system and method
Rejman et al. An evaluation of kinesthetic differentiation ability in monofin swimmers
US11382533B2 (en) Motion analyzing device
Hagler et al. Quantification of human movement for assessment in automated exercise coaching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100980193B1 (ko) 유도 훈련 및 측정장비
Outra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segment kinetic energy measures in the golf swing
Milanko et al. Demo abstract: Liftright: Quantifying training performance using a wearable sensor
Baca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heets et al. Evaluation of a subject-specific female gymnast model and simulation of an uneven parallel bar s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