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502B1 - Tongue cleaner - Google Patents

Tongue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502B1
KR101116502B1 KR1020090101229A KR20090101229A KR101116502B1 KR 101116502 B1 KR101116502 B1 KR 101116502B1 KR 1020090101229 A KR1020090101229 A KR 1020090101229A KR 20090101229 A KR20090101229 A KR 20090101229A KR 101116502 B1 KR101116502 B1 KR 10111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leaning
head
cleaning part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4512A (en
Inventor
이은정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정 filed Critical 이은정
Priority to KR102009010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502B1/en
Publication of KR2011004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Abstract

본 발명은 혀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00) 및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형성되는 혀를 닦기위한 헤드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10)는 제1 클리닝부(200)와 상기 제1 클리닝부(2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제2 클리닝부(3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 cleaner, comprising a grip portion 100 and a head portion 110 for wiping the tongue formed on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the head portion 110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protruding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second cleaning part 300 is provided.

혀 클리너, 혀 긁개, 설태 제거기, 설태, 백태 Tongue Cleaner, Tongue Scratch, Tongue Remover

Description

혀 클리너 {TONGUE CLEANER}Tongue Cleaner {TONGUE CLEANER}

본 발명은 혀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혓바닥을 긁어내려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구취제거 및 청결한 구강상태 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removing bad breath and maintaining a clean oral state by scraping the tongue to effectively remove the tongue.

본 발명은 혓바닥의 표면에 쌓인 이물질인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혀클리너(Tongue Cleaner) 혹은 혀긁개(Tongue Scraper)에 관한 것으로, 설태는 구강 내 원인으로 인한 구취의 60%이상에서 발생 인자로 작용되며 구취는 설태가 많아질수록 더욱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 cleaner (Tongue Cleaner) or tongue scraper (Tongue Scrap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tongue, the tongue acts as a development factor in more than 60% of bad breath caused by oral causes Bad breath is characterized by a more severe tongue.

일반적으로 설태는 혀의 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구조적으로 살펴보면, 혀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거칠며 점막이 돌출되어 있다. 이 부위를 설유두라 하는데 설유두는 혀의 뿌리(안쪽)부분으로 갈수록 많이 분포되어 있고 혀의 뿌리부분이 혀의 끝부위보다 더 울룩불룩하고 거친 표면을 갖는다.In general, the tongue is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tongue. In terms of structure, the surface of the tongue is rough and the mucous membrane protrudes. This area is called sulphonic papillae, which is distributed more and more into the root of the tongue, and the root of the tongue is more bulging and rougher than the tip of the tongue.

혀에 분포하고 있는 설유두의 표층세포는 점차 각질화 되면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는 설태를 구성하는 주요한 인자로 작용되며 특히, 혀의 안쪽(뿌리) 1/3에 해당하는 부위는 혀끝보다 거친 표면을 가지므로 타액, 음식물, 구강 미생물 및 설유두를 비롯한 구강 내에서 탈락한 상피세포 등으로 구성된 설태가 쉽게 쌓이는 부위가 된다.The surface cells of the lingual papilla distributed in the tongue gradually become keratinized and fall off, which acts as a major factor that constitutes the tongue, and especially, the inner 1/3 of the tongue has a rougher surface than the tip of the tongue. The tongue, which consists of saliva, food, oral microorganisms, and epithelial cells that have fallen out of the oral cavity, including tongue, is easily accumulated.

또한, 혀뿌리(안쪽) 부분은 비강과 연결되는 부위와 인접하여 콧물의 점액성분이 유입되고 점착질 상태로 되며 이는 형성된 설태가 달라붙어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가기 더욱 어려운 조건이다.In addition, the tongue root (inner) part is adjacent to the part connected to the nasal cavity mucus component of the runny nose becomes in a cohesive state, which is a more difficult condition to stick naturally formed fall off.

따라서, 효과적인 구취제거 및 구강위생을 위해서는 혀의 안쪽(뿌리) 1/3에 해당하는 부위의 설태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치아와 잇몸을 닦는 것을 전제로 한 칫솔과 같은 형태로는 이 부위의 설태를 적절히 제거할 수 없고 혀의 입체적 형상 및 조직적 탄성에 맞고 설유두의 특성을 고려한 혀 전용 클리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bad breath and oral hygiene, it is very important to remove the tongue of the inner part of the tongue (root), which is in the form of a toothbrush premised on brushing teeth and gums. It is preferable to use a tongue-only cleaner that can not remove the tongue properly and fits the three-dimensional shape and tissue elasticity of the tongue and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gue.

기존의 혀 클리너는 끝단이 부채꼴 형상 혹은 T자 형상을 가지면서 혓바닥과 마찰되는 클리닝부가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혀클리너는 클리닝부가 단순하여 입체적 형상을 갖는 혓바닥에 밀착하여 설유두의 사이에 있는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미흡하였고, 끝단이 혀뿌리(안쪽)의 민감한 부위를 건드리는 경우가 많아 사용시 구역질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많았다.Conventional tongue cleaners have a fan-shaped or T-shaped tip and are generally formed with a cleaning portion that rubs against the tongue. Such a tongue cleaner has a simple cleaning portion and adheres to the tongue, which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between the tongue and the tongue. It was insufficient to remove effectively, and the tip touched a sensitive part of the tongue root (inner),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causing nausea in us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혀 클리너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하고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remove tongues and provide convenience in using a tongue clean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혀클리너는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00) 및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형성되는 혀를 닦기위한 헤드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10)는 제1 클리닝부(200)와 상기 제1 클리닝부(2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제2 클리닝부(3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복수개의 입체적인 클리닝부를 포함한다.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grip portion 100 and a head portion 110 for wiping the tongue formed on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the head portion 110 is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protrudes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Contains wealth.

또한, 상기 제1 클리닝부(200)는 상기 헤드부(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클리닝부(300)은 상기 헤드부(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10)의 내측이 외측에 비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혀의 입체적 형상에 잘 맞는 특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cleaning unit 200 is formed outside the head portion 110, the second cleaning portion 300 is formed inside the head portion 110, the head portion 110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tongue more than the outer side,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fits well with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tongue.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혀클리너의 구강내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action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100 can facilitate the oral use of the tongue cleaner.

나아가,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사이에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제1 중공부(400) 및 상기 제2 클리닝부(300)와 상기 손잡이부(100) 사이에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제2 중공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ead part 110 includes a first hollow part 400 and a second cleaning part 300 that pass through the head part 110 between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 And a second hollow part 500 penetrating the head part 110 between the handle part 100.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혀 클리너는 헤드부에 복수로 구성된 2단의 탄력적인 클리닝부가 형성되고 혀의 입체적 형상에 잘 맞는 형태를 가지므로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 two-stage resilient cleaning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ead portion is formed and has a form that fit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tongue can effectively remove the tongue.

또한, 상기 혀 클리너는 헤드부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혀가 닿는 방향으로 굴절된 형태를 이루고 있어 구강내 삽입하여 사용시 구역질을 유발하는 민감부를 자극하지 않고 설태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gue cleaner has a shape in which the head portion is refra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ngue is in contact with the handle portion can remove the tongue without stimulating the sensitive portion that causes nausea when inserted into the mouth.

나아가, 상기 헤드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2단의 클리닝부의 탄성 및 형상을 변형시켜 다양한 탄성을 가지는 혀 클리너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to deform the elasticity and shape of the two-stage cleaning portion may provide a tongue cleaner having a variety of elasticit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에 대해서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는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00) 및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형성되는 혀를 닦기위한 헤드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10)는 제1 클리닝부(200)와 상기 제1 클리닝부(2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제2 클리닝부(300)가 마련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 portion 100 and a head portion 110 for wiping the tongue formed on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The head part 110 is provided with a second cleaning part 300 which protrudes in the tongue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first cleaning part 200.

상기 혀 클리너는 전체적으로 ABS수지 또는 PP(폴리프로필렌)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혀 클리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수준의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범위에서 금속재질 등 다양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The tongue cleaner is generally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BS resin or PP (polypropylen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materials in a range having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and rigidity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tongue cleaner. Can be.

상기 손잡이부(100)는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시 손에 밀착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무 재질과 같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구성되거나 그와 같은 재질을 부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handle part 100 has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it can be held by hand, 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protrusion may be formed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hand when used, and a friction coefficient such as a rubber material. It is composed of a large material or by adding such a material can improve the ease of use.

상기 헤드부(110)는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형성되고 전체적인 형상은 숟가락 모양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목적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역삼각형 등 여러 형태로 될 수 있다.The head portion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and the overall shape is generally having a spoon shape, bu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circular, square or inverted triangl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상기 헤드부(110)는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클리닝부(300)는 상기 제1 클리닝부(2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탄력적으로 변형이 가능하여 결국 2단의 클리닝부(200)(300)를 형성하여 보다 높은 설태 제거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head part 110 includes a first cleaning part 200 and a second cleaning part 3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further protrudes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form a two-stage cleaning unit (200, 300) in the end can be expected to have a higher tongue removal effect.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헤드부(110)는 일반적으로 헤드부(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혀가 닿는 방향인 상방으로 돌출되어있는 제1 클리닝부(200)와 헤드부(1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클리닝부(200)보다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된 제2 클리닝부(300)를 포함하여, 헤드부(110)를 측면에서 보면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가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2 to 4, the head part 110 is generally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head part 110 and protrudes up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ngue touches the head cleaning part 200 and the head part 110. Including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formed inside the) and protruding further in the tongue direction than the first cleaning unit 200, when the head portion 110 is viewed from the side The two cleaning unit 300 may have a two-stage structure.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10)의 내측은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된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헤드부(110)가 맞닿는 혓바닥은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므로 헤드부(110)가 혓바닥의 모양에 따라 밀착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 한 사용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inner side of the head portion 11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protruding further in the tongue direction, and the head portion 110 to which the head portion 110 abuts has a concave shape in the center, so that the head portion 110 is formed. It may be in close contac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ongue and a more detailed use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클리닝부(200)는 제1 클리닝 본체(210)와 직접적으로 혀와 맞닿아 설태를 긁어내리는 제1 클리닝 엣지부(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클리닝부(300)는 제1 클리닝부(200)와 마찬가지로 제2 클리닝 본체(310)와 직접적으로 혀와 맞닿아 설태를 긁어 내리는 제2 클리닝 엣지부(320)로 구성될 수 있어 설태 제거에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unit 200 may be configured as a first cleaning edge unit 220 which scrapes the tongue by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cleaning body 210 and the tongue,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is Like the first cleaning unit 200, the second cleaning main body 310 may be composed of a second cleaning edge part 320 which directly contacts the tongue and scrapes the tongue out, thereby having a more efficient structure for removing tongue out. .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사이의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제1 중공부(400) 및 상기 제2 클리닝부(300)와 상기 손잡이부(100) 사이에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제2 중공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art 110 may include a first hollow part 400 and a second cleaning part 300 passing through the head part 110 between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 And a second hollow part 500 penetrating the head part 1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andle part 100.

상기 제1 중공부(400)는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상기 제2 클리닝부(300)의 사이의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공간이며, 상기 제1 중공부(400)의 크기에 따라 제1 클리닝부(200) 및 제2 클리닝부(300)의 탄성이 달라진다.The first hollow part 400 is a space passing through the head part 110 between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and the size of the first hollow part 400.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varies.

즉, 상기 제1 중공부(400)의 공간이 크면 헤드부(110)에서 제1 클리닝부(200)의 넓이는 얇아지므로 강성이 줄어들어 혀에 닿을때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제2 클리닝부(300)도 헤드부(110)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더 유연한 작용을 하게 된다.That is, if the space of the first hollow part 400 is large, the width of the first cleaning part 200 in the head part 110 becomes thin, so that the rigidity is reduced, thereby giving a softer feeling when touching the tongue. The cleaning part 300 also has a smaller area occupied by the head part 110, thereby making it more flexible.

따라서, 상기 제1 중공부(400)의 크기와 모양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제1 클리닝부(200) 및 제2 클리닝부(300)의 탄성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제1 클리닝부(200) 및 제2 클리닝부(300)의 크기가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by modify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hollow part 400, not onl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is adjusted but als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The size of the part 3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나아가, 상기 제1 중공부(400)는 혀 클리너를 치약이나 구강청정제등 액체형 상의 약품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혀 클리너로 긁어낸 설태를 포함한 약품이 잘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hollow part 400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liquid drug such as toothpaste or mouthwash, the first hollow part 400 may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including the tongue scraped out by the tongue cleaner is well discharged.

상기 제2 중공부(500)는 상기 제2 클리닝부(300) 안쪽의 헤드부(110)를 관통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중공부(500)의 크기는 직접적으로 제2 클리닝부(300)의 탄성에 영향을 준다.The second hollow part 500 is a space penetrating the head part 110 inside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and the size of the second hollow part 500 is directly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Affects its elasticity.

즉, 상기 제2 중공부(500)의 공간이 크면 상기 제2 클리닝부(300)의 넓이는 얇아지게 되어 전체적인 강성이 줄어들어 혀에 닿을때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제1 중공부(400)와 마찬가지로 액체형상의 약품과 병용시 제2 클리닝부(300)가 긁어내는 설태를 포함한 약품이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space of the second hollow part 500 is large, the width of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becomes thin and the overall stiffness is reduced to give a softer feeling when touching the tongue. Like 400,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liquid drug,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may serve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rug is discharged, including a condition that is scraped off.

결국, 상기 제1 중공부(400)와 제2 중공부(500)의 크기나 형상을 조절하여 헤드부(110)에 마련된 클리닝부(200)(300)의 탄성을 조절 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 중공부(400)와 제2 중공부(500)의 모양이나 크기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중공부(400)(500)의 적용여부는 선택적으로 가능하다.As a result, by controlling the size or shape of the first hollow portion 400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500 serves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cleaning unit 200, 300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110, The shape or size of the first hollow portion 400 and the second hollow portion 500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age, gender, and purpose of use, and whether the hollow portion 400 or 500 is applied. Is optionally possible.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0)에 대하여 혀가 닿는 방향으로 굴절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혀뿌리쪽을 갈수록 급격히 굴절된 혀의 형상에 맞추어 사용이 되도록 최적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 정도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사용 목적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ead part 110 may be in a form in which a tongue is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handle part 100. The head part 110 may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ongue sharply refracted toward the tongue root. It is desirable to have an optimal angle so as to, the degree of refraction may var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ge, gender and purpose of use.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숟가락 모양으로 끝단이 호 형 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경우 헤드부(110)는 끝단으로 갈수록 호 지름이 작아져서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110 is a spoon-shaped end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having an arc shape, in this case, the head portion 110 may be a streamlined shape as the arc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end.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측면에서 볼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는 2단으로 구성된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가 형성된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헤드부(110)를 포함한다.2 to 4,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n which a first cleaning part 200 and a second cleaning part 300 having two stages are formed. 110.

상기 제1 클리닝부(200)는 상기 헤드부(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클리닝부(300)에 비하여 면적이 더 넓고 강성이 크고, 제2 클리닝부(300)는 헤드부(110)의 안쪽에 형성되고 헤드부(110)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제1 클리닝부(200)에 비하여 비교적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결국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는 강성의 차이를 갖게 된다.The first cleaning part 20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head part 110 to have a larger area and greater rigidity than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is the head part 110. )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has a small area occupied by the head part 110, and thus has a relatively flexible property compared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us,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part ( 300) has a difference in stiffness.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클리닝부(300)는 상기 제1 클리닝부(200)보다 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혀 클리너의 진행방향을 고려하면, 제2 클리닝부(300)는 제1 클리닝부(200) 보다 혓바닥과 더 먼저 닿게 되어 혓바닥을 긁게 되며 제1 클리닝부(200)가 혓바닥을 다시 긁어내리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protrudes in the tongue direction than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is formed in the inner side,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consider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ngue cleaner. The cleaning part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 bottom earlier than the first cleaning part 200 to scratch the tongue, and the first cleaning part 200 scrapes the tongue bottom again.

그리고,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의 형태 및 돌출 높이의 차이로 인하여 2개의 클리닝부(200)(300)가 모두 혓바닥에 밀착되었을때, 제1 클리닝부(200)에 의해서 혓바닥에 긁히는 힘과 제2 클리닝부(300)에 의해 긁히는 힘은 차이가 있게 된다.When the two cleaning units 200 and 3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bottom due to the difference in shape and protrusion height of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the first cleaning unit (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orce scraped by the tongue and the force scraped by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by the 200.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클리닝부(300)는 제1 클리닝부(200)에 비하여 구조상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단 제2 클리닝부(300)에 의하여 약하게 혓바닥의 설유두를 쓸어올리고 뒤이어 제1 클리닝부(200)에 의하여 다시 설태를 긁어내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generally has a structurally flexible property compared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and once the second cleaning part 300 gently wipes the tongue of the tongue from the tongue, Subsequently, the tongue is scraped off again by the first cleaning unit 200.

결과적으로, 기존의 혀 클리너와 달리 2단으로 형성된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에 의하여 혀 클리너를 한번 긁음으로 두번 긁어 내리는 효과가 발생하며, 제2 클리닝부(300)에 의해 부드럽게 쓸어 올려진 설유두 사이에 있는 설태를 제1 클리닝부(200)에 의해서 긁어 내리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설태 제거 효과를 얻게 된다.As a result, unlike the conventional tongue cleaner, the effect of scraping the tongue cleaner twice with one scratch occurs by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formed in two stages,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The tongue between the nipples gently swept up by) is scraped off by the first cleaning unit 200 to obtain a more effective tongue removal effect.

나아가, 2단으로 구성된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의 탄성의 차이는 사용자의 취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어, 제거하려는 설태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더 효과적인 클리닝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of the first cleaning unit 200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composed of two stages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and purpose of us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tongue to be removed This allows more effective cleaning.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혀 클리너가 설태를 제거하는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사용자는 헤드부(110)를 구강내에 삽입하고 혓바닥에 밀착시키고 혀 뿌리쪽에서 혀끝 방향으로 긁어 내리게 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ongue cleaner to remove the tongue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in more detail, the user inserts the head portion 110 in the oral cavity, close to the tongue, and scrape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tongue from the root of the tongu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헤드부(110)의 형상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숟가락 형상을 가지므로, 구강 내 혀뿌리에 근접하게 집어넣더라도 구역질을 유발하기 쉬운 민감한 혀뿌리의 가장자리 부근의 자극을 줄여 혀 클리너의 사용에도 구역질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general, the shape of the head portion 110 has a spoon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end, so that the head portion 110 is close to the edge of the sensitive tongue root that is easy to cause nausea even if it is put close to the tongue root in the oral cavity. Reducing irritation can also reduce nausea even with tongue cleaners.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10)의 내측이 외측에 비해 혀 방향으로 돌출된 헤드부(100)의 입체적 형상은 접촉하는 혓바닥의 형상에 대응하여 가운데가 오목한 혓바닥에 밀착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설태 제거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head part 100 protruding in the tongue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head part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ape of the tongue which is concave in the midd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cting tongue. It is easy to remove the tongue more effectively.

전술한 바와 같이, 구취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설태는 혀뿌리쪽의 1/3지점으로 갈수록 다량 분포해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헤드부(110)를 최대한 구강 안쪽으로 넣어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 제2 클리닝부(300)의 상면이 혓바닥의 혀뿌리 쪽과 닿도록 밀착시키고 혀 끝쪽으로 긁어 내리는 방법으로 설태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ngue, which acts as a main cause of bad breath, is distributed in a large amount toward the 1/3 point of the tongue root, and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the head portion 110, the first cleaning part 20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leaning uni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root side of the tongue an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tongue by scraping toward the end of the tongue.

도 8을 참조하면, 구강 내 혀의 구조는 도면에서와 같이 혀뿌리쪽으로 갈수록 급격히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헤드부(110)가 상기 손잡이부(1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가지고 굴절되어 있는 경우, 헤드부(110)가 혓바닥 쪽으로 보다 손쉽게 밀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설태 제거에 효과적이다.Referring to FIG. 8, since the structure of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has a sharply curved shape toward the tongue roo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d part 110 is refract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art 100. In this case, the head 110 can be more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effective in removing tongue.

나아가, 설태 제거를 위하여 구강 내 혀뿌리에 근접하게 집어 넣더라도 입천장이나 구강내 다른 기관을 건드려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중요한 효과로는 구역질을 유발하기 쉬운 혀뿌리의 근방의 민감부를 자극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구역질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it is placed close to the oral tongue root to remove the tongue, it is possible to prevent touching the palate or other organs in the oral cavity, and more importantly, it is possible to stimulate the sensitive area near the tongue root which is easy to cause nausea. It can reduce the nausea can be reduc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scope and meaning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헤드부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head portion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헤드부의 입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head portion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클리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eaning part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use example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사용에 있어서 헤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도면.Figure 6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head portion in the use of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사용에 있어서 혀에 닿는 헤드부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ngue in the use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의 사용에 있어서 구강 내 삽입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ral insertion state in the use of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손잡이부 110; 헤드부100; Handle 110; Head

200; 제1 클리닝부 210; 제1 클리닝 본체200; First cleaning unit 210; First cleaning body

220; 제1 클리닝 엣지부 300; 제2 클리닝부 220; A first cleaning edge portion 300; 2nd cleaning part

310; 제2 클리닝 본체 320; 제2 클리닝 엣지부310; A second cleaning body 320; Second cleaning edge part

400; 제1 중공부 500; 제2 중공부 400; First hollow part 500; Second hollow part

Claims (4)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부(100); 및Grip portion 100 that can be gripped; And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형성되는 혀를 닦기 위한 헤드부(110)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head portion 110 for wiping the tongue formed on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상기 헤드부(110)는,The head unit 110, 혀와 맞닿아 설태를 긁어내리는 제1 클리닝 엣지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된 제1 클리닝부(200)와;A first cleaning part 200 having a first cleaning edge part 220 in contact with the tongue and scraping off the tongue, the first cleaning part 200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at the end of the handle part 100; 혀와 맞닿아 설태를 긁어 내리는 제2 클리닝 엣지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100)의 끝단에 상기 제1 클리닝부(200)와는 별개로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클리닝부(20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리닝부(200)에 대하여 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제2 클리닝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 A second cleaning edge portion 320 which contacts the tongue and scrapes off the tongue,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100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separately from the first cleaning portion 200. And a second cleaning part (300) formed inside the cleaning part (200) and protruding further in the tong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leaning part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01229A 2009-10-23 2009-10-23 Tongue cleaner KR101116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29A KR101116502B1 (en) 2009-10-23 2009-10-23 Tongue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229A KR101116502B1 (en) 2009-10-23 2009-10-23 Tongue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12A KR20110044512A (en) 2011-04-29
KR101116502B1 true KR101116502B1 (en) 2012-02-28

Family

ID=4404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229A KR101116502B1 (en) 2009-10-23 2009-10-23 Tongue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5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20A (en) * 1999-12-14 2001-06-19 Lion Corp Tongue cleaner
US20060052805A1 (en) * 2004-09-07 2006-03-09 Cwik James L Tongue scraper and 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20A (en) * 1999-12-14 2001-06-19 Lion Corp Tongue cleaner
US20060052805A1 (en) * 2004-09-07 2006-03-09 Cwik James L Tongue scraper and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12A (en)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839B2 (en) Flocked tongue cleaning device
KR101375411B1 (en) Oral care implement having tissue cleaning elements with directional cleaning
US20040255416A1 (en) Toothbrush with tongue cleaning member
JP2006075603A (en) Tongue scraper and brush device
KR20140107423A (en) Tissue cleaner and oral care implement
MX2008015153A (en) Oral hygiene device.
KR100457477B1 (en) Toothbrush having tongue cleaner
AU2010365420B2 (en) Oral care implement
KR101116502B1 (en) Tongue cleaner
KR20090008288U (en) Toothbrush
KR200482971Y1 (en) All-around tooth brush
TW201340909A (en) Tissue cleaner and oral care implement
US20050197665A1 (en) Tongue cleaners
KR100456293B1 (en) 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JP3121294U (en) Tongue coating remover
US6652550B1 (en) Tongue cleaning device
KR200283021Y1 (en) Toothpick
KR20220150027A (en) Tongue cleaner
KR200433153Y1 (en) 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JP3126021U (en) Tongue removal brush, cleaner
KR200354591Y1 (en) a structure of toothbrush with bend type
KR200299153Y1 (en) 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KR200417716Y1 (en) toothbrush for denture
JP3079573U (en) Toothbrush with tongue coating removal function
KR200375311Y1 (en) A toothbrush with tongu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