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230B1 -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230B1
KR101116230B1 KR1020100088293A KR20100088293A KR101116230B1 KR 101116230 B1 KR101116230 B1 KR 101116230B1 KR 1020100088293 A KR1020100088293 A KR 1020100088293A KR 20100088293 A KR20100088293 A KR 20100088293A KR 101116230 B1 KR101116230 B1 KR 10111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mobile
mobile terminal
hospit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하
김종석
변금희
Original Assignee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00088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으로, (a)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의료정보를 요청한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이라 함은 처방정보전달시스템(OCS, 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료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및 의료영상저장통신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s System)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취급되는 의료정보는 통상 병원 내에 설치되어 병원의 유선 인트라넷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과 연결되는 특정 컴퓨터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모바일단말기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기술을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에 접목하여 병원의 의료진이 상기 컴퓨터단말기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거나, 더 나아가 병원 밖에 있는 경우라도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의료정보를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전송받아 이를 의료서비스에 활용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른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를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병원마다 상이한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그 데이터 구조로 인해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모바일단말기가 요청한 의료정보가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수신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유출되거나 변경되면 치명적일 수 있는 의료정보의 특성으로 인해 보안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그 데이터 구조가 상이하더라도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과 신속 정확하게 동기화되고 효율적으로 연동 가능하여 전체 시스템의 호환성 및 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으로, (a)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의료정보를 요청한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 구조를 갖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의료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미리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의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전체 또는 일부를 미리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의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삽입, 갱신 또는 삭제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c) 상기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할당된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c) 단계의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확인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병원에서 사용 가능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병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병원 중 상기 병원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인증정보는, 병원마다 할당된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가 직접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 혹은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된 후 모바일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병원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그 데이터 구조가 다르더라도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요청된 의료정보를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적용하고자 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및 그 데이터 구조가 상이하더라도 의료정보시스템과 신속 정확하게 동기화되고 효율적으로 연동 가능하여 전체 시스템의 호환성 및 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운영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다른 운영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모바일단말기에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 챠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사용자가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의료정보시스템'은 처방정보전달시스템(OCS, 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료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및 의료영상저장통신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s System)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이거나, 이들 시스템들이 조합된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100)의 일 예를 이루는 시스템들은 최근 대부분의 병원에서 도입되고 있는 시스템들로서 그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의료진의 모바일단말기(10),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 및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를 포함한다.
모바일단말기(10)는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진이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제공된다. 다만, 모바일단말기(10)는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무선통신기능을 갖춘 다른 형태의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은 의사, 간호사, 병원행정직원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모바일용 의료정보는 의료진이 아닌 사용자, 예컨대 환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보안성, 전문성 및 환자의 프라이버시 등의 측면에서,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의 속성, 즉 사용자가 의사인지 간호사인지 아니면 병원행정직원인지 등에 따라 해당 모바일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는 혹은 해당 모바일단말기(10)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정보의 범위는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단말기(10)에는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즉 모바일단말기(10)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에 접속하여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이를 모바일단말기(10)상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는 예컨대 모바일단말기(10)가 애플社의 아이폰인 경우에는 앱스토어의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일 수 있으며, 모바일단말기(10)가 안드로이드폰인 경우 구글社의 안드로이드 마켓의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는 전술한 앱스토어의 애플리케이션 등의 특정 회사의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바일단말기(1)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모바일단말기(1)의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가 아니라 본 발명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다운로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다음, 사용자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10)에서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운영하는 복수의 병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사용자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10)에 병원마다 할당된 요양기관번호 혹은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한 병원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병원 중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사용자 인증정보 등을 전송하여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병원B에 대응되는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한 병원 인증정보를 자신의 모바일단말기(10)에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병원 중 병원B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후 병원B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사용자 인증정보 등을 전송함으로써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요청을 받은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전송받은 사용자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가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사용할 권한이 있는지, 예컨대, 사용자가 해당 병원의 소속 의료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권한이 있으면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정보, 모바일단말기(10)의 MAC 어드레스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등록을 완료하고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에 요청한 인증이 승인되었음을 통보하고, 만약 사용권한이 없으면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에 사용권한 없음을 통보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사용자 등록이 완료된 이후,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병원에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되도록 업데이트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되어 모바일단말기(10)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받고 특정 병원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폐쇄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앱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서버(1)로부터 전송받고 다양한 병원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공개적인 범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에 제공하되,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한 병원 인증정보를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병원 중 사용자가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고, 소정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 의료정보 시스템에 대한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이 구축된 복수의 병원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고, 모바일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한 병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병원 중 상기 병원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하여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완료한 후,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의료정보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의료정보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호환성 및 보급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의료정보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처방정보전달시스템(OCS), 전자의료기록시스템(EMR) 및 의료영상저장통신시스템(PA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의료정보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정보전달시스템(OCS) 및 전자의료기록시스템(EMR)을 포함하고 있으며, 진료기록, 처방결과, 검사결과, 수술정보, 환자정보, 원무/수납 등의 의료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정보들은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갱신(update)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는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한 후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가 직접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 혹은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된 후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되기 때문에, 병원마다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 및 그 데이터 구조가 다르더라도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요청된 의료정보를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의료정보시스템(100)에 대해서도 쉽고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호환성 및 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단말기(10)는 요청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를 통해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므로, 모바일단말기(10)가 직접 의료정보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의 보안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조금이라도 유출되거나 변경되면 치명적일 수 있는 의료정보의 특성상,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한 의료정보를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용 의료정보의 표준 데이터 구조로 XML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여기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확장성 생성 언어(擴張性生成言語)로 번역되며, 1996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안된 것으로, 흔히 홈페이지 제작에 사용되는 HTML보다 홈페이지 구축 기능, 검색 기능 등이 향상되었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쉽게 한다. 특히, XML은 데이터베이스처럼 구조화된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XML은 계층적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고 현재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 기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준으로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XML은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설치된 어느 응용프로그램 혹은 애플리케이션에서나 사용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XML의 '표준'이라는 이점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모바일용 의료정보의 표준 데이터 구조로 XML 데이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단말기(10)의 종류의 다양성 및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솔루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의 표준 데이터 구조는 XML 데이터 구조의 전술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XML 데이터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 가능하고 모바일단말기(10)에서 판독 가능한 다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조금이라도 유출되거나 변경되면 치명적일 수 있는 의료정보의 보안 특성상, 병원의 인트라넷(Intranet)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1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모바일단말기(10)와 연결되도록 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설사설망(VPN)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public network)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망(private network)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방화벽과 함께 제공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정보의 보안성을 감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통상적인 인터넷을 포함한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단말기(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구간에 공개키 또는 대칭키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의료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어도 해독할 수 없는 보안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싱크모듈(230) 및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싱크모듈(230)은 제어모듈(231), 변환모듈(233) 및 전송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231)은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의료정보요청이 전송되면,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요청된 의료정보를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조회하고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모듈(231)은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의료정보요청을 XML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모듈(231)은 예컨대 DB Manager와 Connection Manager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해당 의료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변환모듈(233)은 제어모듈(231)에 의해 수신된 의료정보를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모듈(233)은 예컨대 XML Parser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 및 모바일단말기(1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표준 XML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전송모듈(235)은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해당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송모듈(235)은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요청된 의료정보를 XML 형태로 해당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는 변환모듈(233)에 의해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전송모듈(235)은 변환모듈(233)에 의해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가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기 전에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해당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거나 모바일용 의료정보가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후에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해당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어모듈(231), 변환모듈(233) 및 전송모듈(2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싱크모듈(230)은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를 의료정보시스템(100)과 동기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버 또는 시스템(예컨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 등)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의 구성 중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 제어모듈(231), 변환모듈(233), 전송모듈(235)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어모듈(231), 변환모듈(233), 전송모듈(235)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운영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다른 운영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된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요청된 의료정보를 조회하여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정보를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지 않거나 임시 저장한 상태에서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 수 있으므로, 의료정보의 보안성이 높아지고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 가능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가 해킹당하더라도 의료정보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해 해당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가 접근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요청된 의료정보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미리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있다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된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변환되어 저장된 의료정보에 대해서는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과의 소정의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바로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는 요청한 의료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전송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용 의료정보가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없는 경우에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요청된 의료정보를 조회하여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정보를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모든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는 것은, 시스템의 효율성,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의 용량의 제한, 의료정보의 보안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전체 또는 일부를 미리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있다가,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변환 저장되는 대상이 되는 의료정보는,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다른 환자(예컨대, 외래 환자)에 비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상대적으로 많이 빈번하게 요청되기 때문이다. 이때,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삽입(insert), 갱신(update) 또는 삭제(delete)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입원 환자에 대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의료정보시스템(100)을 거치지 않고서도 요청된 의료정보의 최신 버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트리거링(triggering)을 통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삽입(insert), 갱신(update) 또는 삭제(delete)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링은 오라클(Oracle Corporation)에서 제공하는 트리거(trigger)를 이용한다. 트리거링은 오라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건(이벤트)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PL/SQL을 말한다. 트리거링 사건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문이 실행될 때 발생하는데, 삽입(insert), 갱신(update), 삭제(delete)문의 사용에 트리거링 사건을 정의할 수 있고, 이들이 실행될 때 트리거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트리거링(triggering)이라고 한다.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에 상응하도록 의료정보 또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에 상응하도록 의료정보를 가공한다고 함은, 모바일단말기(10)의 성능 또는 데이터 처리 능력 등에 적합하도록,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파일의 파일 포맷, 파일 크기, 해상도, 인코딩 밴드위스(bandwidth), 재생 사이즈 및 암호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히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의료정보가 동영상인 경우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로부터 고화질 해상도(예컨대, DVD 파일 등)의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의료정보의 특성상 매우 정밀하고 해상도가 높은 정보가 의료정보시스템(100)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바일단말기(10)에 로딩 또는 재생될 때는 의료정보시스템(100)에 저장된 정도의 상세한 데이터가 필요없이 단순히 의료진이 환자에게 설명을 할 정도의 데이터이기만 하면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고화질의 해상도를 갖는 동영상을 보다 낮은 해상도의 동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의료정보시스템(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의 밴드위스, 즉 초당 프레임을 변환할 수 있다. 즉, 모바일단말기(10)가 동영상 디코딩의 처리 속도가 느리다면 초당 프레임을 낮출 수 있다. 물론, 모바일단말기(10)가 지원하는 동영상 포맷(예컨대, MPEG, AVI, ASF, WMV, MOV, AM, 또는 RM 등의 포맷)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의료정보시스템(100)에 존재하는 무거운(heavy) 의료정보가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의해 가벼운 의료정보 또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되어 해당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정밀하고 상세한 데이터를 취급하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은 높은 사양의 데이터 처리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지만, 모바일단말기(10)는 의료정보시스템(100)과 같이 높은 사양의 데이터 처리능력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사양의 의료정보를 로딩 또는 재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정보 또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든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해 일률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거나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수신하고,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에 상응하도록 의료정보 또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즉,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친 모바일단말기(10)들 각각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단말기(10)가 지원하는 파일 포맷, 모바일단말기(10)의 밴드위스 또는 해상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바일단말기(10)에 대한 정보에 모바일단말기(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의 장치에 대한 정보(예컨대, 사이즈 등)가 포함되는 경우, 모바일용 의료정보가 로딩 또는 재생될 때 의료정보의 재생 사이즈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되도록 변환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가 의료정보 또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가공하는 방식은, 의료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가 단순히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인 경우,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파일 포맷을 일반적인 파일 포맷(예컨대, jpg, tiff 등)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파일의 해상도를 더 낮게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의료정보에 굳이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미지의 커팅 등을 통해 파일 크기를 줄이거나 그 내용 중 일부를 삭제하는 등의 변환이 가능할 수 있다.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조금이라도 유출되거나 변경되면 치명적일 수 있는 의료정보의 보안 특성상,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모바일단말기(10)에 할당된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에 기초하여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예컨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assword)와 같은 로그인 정보뿐만 아니라,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에 할당된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확인하기 때문에, 의료정보의 보안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은, 사용자 인증정보 및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확인된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의료진이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정보와 환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정보는 다를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이라 하더라도 의사 또는 간호사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정보가 다를 수 있고, 동일한 의사 또는 간호사라 하더라도 요청한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환자의 담당 의사 또는 간호사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의료정보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서 모바일단말기에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이때,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모바일단말기는 터치 패널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 제공된다.
도 6은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접속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10)의 바탕 화면에서 "Total Hospital Service"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단말기(10) 상에서 실행한 후 사용자 인증정보로서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D)를 입력함으로써,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설정하거나 부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의료정보메뉴를 보여준다. 이때, 의료정보메뉴의 구성은 사용자 인증정보 등을 통해 확인된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모바일단말기(10)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특정 환자의 처방결과에 대한 의료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는 특정 환자의 진단검사결과에 대한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또한, 도 10은 모바일단말기(10)가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로부터 특정 환자의 수납 확인을 위한 의료정보를 전송받아 모바일단말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에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선택,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플로 챠트이다.
도 1,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의해 수행되는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의료정보요청을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10). 한편,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S110 단계에 앞서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병원에서 사용 가능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단말기(10)에 설치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한 병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복수의 병원 중 입력된 병원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에 접속하여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가 수행된다(도 3 참조).
다음으로,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에게 있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0). 이 단계(120)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모바일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예컨대, ID와 Password) 및 모바일단말기(10)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은 해당 모바일단말기(10)의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분류되고, 이러한 사용자의 속성은 사용자 인증정보 및 모바일단말기(10)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의료정보를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0). 이 단계(S130)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요청된 의료정보를 조회하여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해당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요청된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접근권한이 없음을 모바일단말기(10)에 통보할 수 있다(S135).
다음으로,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추출한 의료정보를 미리 정해진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40). 이 단계(S140)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를 XML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용 의료정보의 표준 데이터 구조로 XML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도록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의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50).
다음으로, 의료정보를 요청한 모바일단말기(10)로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60). 이 단계(S160)에서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전술한 S120 단계에서 확인된 접근권한에 기초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 단계(S160)는 변환된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한 S150 단계는 생략되거나 S16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미리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전체 또는 일부를 미리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있다가, 모바일단말기(10)를 통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추출하여 모바일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200)는, 의료정보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10)에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삽입, 갱신 또는 삭제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의료정보시스템(100)으로부터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정보를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에서 각 단계의 세부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모바일단말기
100 : 의료정보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DB)
200 :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
210 :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Mobile DB)
230 : 싱크모듈
231 : 제어모듈
233 : 변환모듈
235 : 전송모듈

Claims (11)

  1. 병원에 설치된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의료진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으로,
    (a)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의료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표준 데이터 구조를 갖는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의료정보를 요청한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정보들 중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 전체 또는 일부를 미리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의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의료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데이터 구조를 갖는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삽입, 갱신 또는 삭제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의료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모바일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할당된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c) 단계의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로 상기 모바일용 의료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은, 상기 사용자 인증정보 및 상기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확인된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병원에서 사용 가능한 범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병원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복수의 병원 중 상기 병원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병원의 모바일용 의료정보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인증정보는,
    병원마다 할당된 요양기관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11. 제1항에 기재된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88293A 2010-09-09 2010-09-09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1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93A KR101116230B1 (ko) 2010-09-09 2010-09-09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93A KR101116230B1 (ko) 2010-09-09 2010-09-09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230B1 true KR101116230B1 (ko) 2012-03-09

Family

ID=4614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293A KR101116230B1 (ko) 2010-09-09 2010-09-09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2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98839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플랫폼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9198840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 정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8685B1 (ko) * 2018-10-19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병원 업무 중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728A (ko) * 2006-08-04 2008-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728A (ko) * 2006-08-04 2008-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9198839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 정보 플랫폼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9198840A1 (ko) * 2018-04-10 2019-10-17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 정보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11620671B2 (en) 2018-04-10 2023-04-04 Medibloc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by using blockchai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28685B1 (ko) * 2018-10-19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병원 업무 중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2677B2 (en) Secure content sharing
US99486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hird-party resources
JP6600156B2 (ja) 動的な提示およびデータの構成を使用するセキュリティ保護されたモバイル共同アプリケーションを構築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
US92471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from a remote client computer
KR101431333B1 (ko)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소셜리티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페더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76706A1 (en) Content management across shared, mobile file systems
US20130132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ervice integration
CN106878263B (zh) 一种云医学影像存储系统与通讯系统
CN104255007A (zh) Oauth框架
CN106845075B (zh) 一种集中诊断报告系统
US20120215882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torage device, and non-transistory content manag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116230B1 (ko)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70277842A1 (en) Patient health measurement compliance and incentive system
US11809380B2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400618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external content type object types
Koutelakis et al. PACS through web compatible with DICOM standard and WADO service: advantages and implementation
EP3465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ing in medical system environments
CN106612328B (zh) 一种移动阅片系统
WO2013118926A1 (ko)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모바일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25025B1 (ko)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outelakis et al. WADA service: an extension of DICOM WADO service
Zampognaro et al. Definition of an FHIR-based multiprotocol IoT home gateway to support the dynamic plug of new devices within instrumented environments
US110169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micro objects
US11862304B1 (en) Patient authorized medical information storage and access system
CN115132305A (zh) 一种数据共享方法、数据校验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