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828B1 -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 Google Patents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828B1
KR101115828B1 KR1020050012411A KR20050012411A KR101115828B1 KR 101115828 B1 KR101115828 B1 KR 101115828B1 KR 1020050012411 A KR1020050012411 A KR 1020050012411A KR 20050012411 A KR20050012411 A KR 20050012411A KR 101115828 B1 KR101115828 B1 KR 10111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rail portion
support le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505A (ko
Inventor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8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몸체(50a), 상기 레일몸체(50a)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50b), 제 2가이드(50c)로 된 제 1레일부(5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레일부(50)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구동구간(52a)과, 구동구간(52a)의 레일몸체(50a)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확장구간(52c)과, 구동구간(52a)과 확장구간(52c)을 연결하는 경사구간(5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레일부(5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제 2레일부(60)가 구비되고, 제 2레일부(66)의 일단에는 제 1레일부(50)의 제 1, 2가이드(50b, 50c)의 내측에 밀착되는 멈춤부(6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 의하면, 멈춤부(66)와 제 1레일부(50)구조에 의해 도어(46, 46')가 밀폐되어 항상 일정한 도어밀폐력을 가지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동작신뢰성이 좋고, 조립공수와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50012411
서랍형 냉장고, 제 1레일부, 제 2레일부, 멈춤부

Description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A rail structure for drawer type do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요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정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냉장고본체 42, 42': 저장실
44, 44': 트레이 46, 46': 도어
48, 48': 도어손잡이 50: 제 1레일부
52a: 구동구간 52b: 경사구간
52c: 확장구간 56: 경사면
60: 제 2레일부 62: 관통공
66: 멈춤부 68: 힌지축
70: 제 1지지레그 72: 제 2지지레그
74: 탄성부재 80: 중간레일부
82: 볼베어링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냉동실이나 냉장실은 도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도어는, 일반적으로 냉장고본체의 일측면에 힌지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냉장고의 전방으로 회동하지만, 서랍식으로 냉장고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요부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서랍형 냉장고에서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트레이(2)가 냉장고본체 내부의 저장실(도시되지 않음)에 내외부로 도어(4)와 함께 서랍식으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2)의 전면에는 트레이(2)를 냉장고본체의 전방으로 인출하고,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4)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에는 제 1레일부(6)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레일부(6)에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관통공으로 나사 등의 결합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되어 저장실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레일부(6)의 단면은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레일부(6)의 후단에는 고정부(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8)는 제 1레일부(6)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아래에 설명될 제 2레일부(2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제 2레일부(26)가 결합된 도어를 사용자가 닫을 때, 도어가 완전히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밀착되게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8)는 미국특허 6,712,435에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구성을 따른다.
상기 고정부(8)는 상기 제 1레일부(6)의 후단에 나사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8)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8)의 내부에는 중공부(10)가 형성되어, 중공부(10)를 따라 몸체의 일측면에 안내채널(1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12)의 선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홈(14)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돌출부(20)가 상기 안내채널(12)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연장홈(14)에 돌출부(20)가 삽입되어, 제 1레일부(6)에 제 2레일부(26)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내채널(12)의 후단 일측에는 안내채널(12)의 상하에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은 돌출부(20)에 형성된 걸림홈(24)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채널(12)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20)가 안내채널(12)의 후단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공부(10)에는 중공부(10)를 따라 이동하는 구동편(18)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편(18)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편(18)의 일측에는 돌출부(20)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채널(12)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구동편(18)의 선단과 상기 고정부(8)의 중공부(10) 선단은 스프링(22)으로 연결되어, 구동편(18)에 중공부(10) 후단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20)에는 상기 걸림턱(16)에 대응되는 걸림홈(24)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4)의 이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상기 트레이(2)를 출납하기 위한 제 2레일부(26)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2레일부(26)는 도어(4)의 이면에 대응되는 트레이(2)의 양측면에 스크류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트레이(2)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레일부(26)는 단면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레일부(6)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 2레일부(26)의 후단에는 걸림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8)는 수평으로 요입된 수평부(28a)와, 수평부(28a)의 선단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8b)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28a)는 상기 돌출부(20)가 걸림부(28)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28a)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경사부(28b)는 상기 수평부(28a)를 따라 내부로 안내된 돌출부(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레일부(6)의 고정부(8)와 상기 제 2레일부(26)의 걸림부(28)가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어(4)를 닫을 때 즉 도어(4)의 트레이(2)가 상기 저장실 내부로 수납될 때, 상기 제 1레일부(6)를 따라 이동하는 제 2레일부(26)도 저장실 내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레일부(26)의 걸림부(28)는 고정부(8)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레일부(26)의 걸림부(28)로 상기 구동편(18)의 돌출부(20)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걸림부(28)에 상기 돌출부(20)가 삽입되면, 돌출부(20)는 걸림부(28)의 수평부(28a)를 따라 경사부(28b)까지 안내되며, 안내채널(12)의 연장홈(14)에 안착되어 있던 돌출부(20)가 안내채널(12)로 이동한다.
상기 돌출부(20)가 안내채널(12)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편(18)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2)은 원상회복되면서 구동편(18)을 중공부(10) 후방으로 민다. 상기 구동편(18)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구동편(18)의 돌출부(20)에 맞물려 있는 제 2레일부(26)가 후방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편(18)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돌출부(20)의 걸림홈(24)이 안내채널(12)의 걸림턱(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구동편(18), 즉 제 2레일부(26)가 고정되어 도어(4)가 완전히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즉, 도어(4)를 냉장고본체의 전면에 완전히 밀착시키도록 고정부(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8)의 동작은 돌출부(20)와 걸림부(28)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어(4)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상기 걸림부(28)와 돌출부(20)의 형상이 마모되어 변형되고 걸림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여 도어(4)의 밀폐력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의 동작은 제 2레일부(6)의 걸림부(8)와 고정부(12)의 돌출부(24)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8)와 돌출부(24)의 공차에 의해 동작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는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잘나고 조립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밀폐력이 항상 일정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구조에서 공차가 적은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구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지는 구동구간과, 상기 구동구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확장구간과, 상기 구동구간과 확장구간을 연결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는 제 1레일부와;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레일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제 2 레일부; 그리고 상기 제 2레일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도록 상하로 지지레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레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지지레그의 선단이 각각의 가이드 내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멈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멈춤부는,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는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2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는 제 2지지레그와;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2지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레일부에 연결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제 2지지레그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2레일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제 2지지레그의 경사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2지지레그가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회동가능하도록 롤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레일부와 상기 제 2레일부 사이에는 중간레일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중간레일부는,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에 제 1레일부와 제 2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대응되는 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한 볼베 어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 의하면, 멈춤부와 제 1레일부구조에 의해 도어가 밀폐되어 항상 일정한 도어밀폐력을 가지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동작신뢰성이 좋고, 조립공수와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40)의 내부는 상하로 구획되어 상하부저장실(42, 42')을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가 반드시 구획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의 내부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트레이(44, 44')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44, 44')의 전면에는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을 개폐하는 도어(46, 4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도어(46, 46')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46, 46')를 이동가능하도록 파지하는 도어손잡이(48, 48')가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의 양측면에는 제 1레일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레일부(50)의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레일부(60)가 슬라이딩되도록 지 지된다.
상기 제 1레일부(50)는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관통공으로 나사 등의 결합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상기 상하부저장실(42, 42')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레일부(50)의 단면은 'ㄷ'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레일몸체(50a)와, 상기 레일몸체(50a)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50b)와, 제 2가이드(50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레일부(50)는 길이방향으로 구동구간(52a)과 경사구간(52b)과 확장구간(52c)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레일부(50)의 전단쪽에는 구동구간(52a)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구간(52a)에서 레일몸체(50a)의 폭은 아래에서 설명될 멈춤부(66)의 제 1지지레그(70)와 제 2지지레그(7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4)가 압축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상기 제 1레일부(50)의 후단쪽에는 제 1레일부(50)의 레일몸체(50a) 폭이 구동구간(52a)에서의 레일몸체(50a) 폭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제 1가이드(50b)와 제 2가이드(50c)가 경사진 경사면(56)이 형성되어 경사구간(5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레일부(50)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구간(52b)을 지나 상기 구동구간(52a)보다 레일몸체(50a)의 폭이 커진 확장구간(52c)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48, 48')의 이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상기 트레이(44, 44')를 출납하기 위한 제 2레일부(60)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 2레일부(60)는 상기 도어(46, 46')의 이면에 대응되는 트레이(44, 44')의 양측면에 스크류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트레이(44, 44')와 함께 일체로 이동한다.
상기 제 2레일부(60)는 제 1레일부(50)에 설치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중간레일부(8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44, 44')가 이동될 때 높이방향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간레일부(80)에 적어도 두면이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레일부(60)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는데, 중간레일부(8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레일부(60)는 레일몸체(60a), 레일몸체(60a)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 2가이드(60b, 60c)로 구성된다.
상기 제 2레일부(60)의 레일몸체(60a)에는 상기 트레이(44, 44')의 좌우측면에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2)을 통해 나사등이 관통하여 상기 제 2레일부(60)는 상기 트레이(44, 44')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레일부(60)의 후단에는 멈춤부(66)가 구비된다. 상기 멈춤부(66)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제 2레일부(60)의 후단에 장착된다. 상기 멈춤부(66)에는 상기 제 2레일부(60)와 연결된 힌지축(6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지레그(70, 7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70, 72)는 상하로 두개가 구비되는데, 제 1레일부(50)의 제 1가이드(50b)의 내면과 대응되는 제 1지지레그(70)와, 제 1레일부(50)의 제 2가이드(50c)의 내면과 대응되는 제 2지지레그(7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지지레그(70)와 제 2지지레그(72)는 각각 지지부(70a, 72a)와 경사부(70b, 72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70a, 72b)의 선단은 상기 힌지축(6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 2레일부(60)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70a, 72a)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74)가 결합되어 각각의 지지레그(70, 7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70a, 72a)의 후단에는 경사부(70b, 72b)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지지레그(70)와 제 2지지레그(72)가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상향,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부(70b, 72b)가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은 상기 지지부(70a, 72a)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4)에 의해 경사부(70b, 72b)의 각단이 제 1레일부(50)의 제 1가이드(50b)와 제 2가이드(50c)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부(70b, 72b)의 선단, 즉 제 1레일부(50)의 제 1가이드(50b)와 제 2가이드(50c)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롤러(76)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레일부(60)와 제 1레일부(50) 사이에는 중간레일부(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레일부(60)가 상기 중간레일부(80)의 내측으로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고, 중간레일부(80)는 상기 제 1레일부(50)의 내측에 접촉되어 슬라이딩한다.
상기 중간레일부(80)는 상기 제 2레일부(60)와 대응되도록 'ㄷ'형상의 단면을 이루는데, 레일몸체(80a)와, 레일몸체(80a)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80b)와 제 2가이드(80c)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레일부(80)의 제 1가이드(80b)와 제 2가이드(80c)에는 각 가이드를 관통하여 상하로 돌출되는 볼베어링(82)이 구비된다. 즉, 상기 볼베어링(82)은 상기 중간레일부(80)의 제 1가이드(80b)와 제 2가이드(80c)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중간레일부(80)의 양측에 각각 접촉되는 제 1레일부(50)와 제 2레일부(60)의 상하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본체(40)의 트레이(44, 44')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한 후 냉장고본체(40)의 도어(46, 46')를 닫을때, 도어(46, 46')를 전면에서 손잡이(48, 48') 등을 이용하여 상하부저장실(42, 42') 방향으로 밀게 되면, 트레이(44, 44')가 상하부저장실(42, 42') 내부로 이동한다. 상기 트레이(44, 44')가 이동할때, 트레이(44, 44')의 측벽에 고정된 제 2레일부(60)가 상하부저장실(42, 42') 양쪽의 내측에 고정된 제 1레일부(50)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중간레일부(80)의 볼베어링(82)에 의해, 제 2레일부(60)는 제 1레일부(50)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레일부(60)가 이동하면, 제 2레일부(60)의 후단에 구비된 멈춤부(66)도 함께 상기 제 1레일부(50) 내측면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멈춤부(56)의 상하로 경사진 제 1, 2지지레그(70, 72)의 롤러(76)가 상기 구동구간(52a)에서는 제 1지지레그(70)와 제 2지지레그(72)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려서 지지레그(70, 72)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4)가 압축된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 도어(46, 46')의 후면이 상기 냉장고본체(40)의 전면에 거의 다다랐을 때, 상기 제 2레일부(60)의 멈춤부(66)는 상기 제 1레일부(50)의 경사구간(52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구간(52a)을 따라 이동하던 롤러(76)가 경사구간 (52b)을 따라 이동하면, 멈춤부(66)의 제 1, 2지지레그(70, 7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2)가 복원되면서, 탄성부재(72)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면(56)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확장구간(52c), 즉 제 1레일부(50)의 후방으로 상기 제 2레일부(60)가 이동한다. 상기 도어(46, 46')가 완전히 상하부저장실(42, 42')의 전면에 밀착되면, 상기 제 1레일부(50)와 제 2레일부(60)의 결합구조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또한, 상기 도어(46, 46')가 닫히게 되면 상기 제 2레일부(60)의 롤러(76)가 확장구간(52c)에 안착되어, 롤러(76)가 장착된 지지레그(70, 7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74)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도어(46, 46')에 제공하지 않는 이상 경사구간(52b)의 경사면(56)에 멈춤돌기(74)가 걸리게 되어 도어(46, 46')가 열리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냉장고본체(40)의 트레이(44, 44')에서 물건을 인출하기 위해 도어(46, 46')를 여는 경우, 도어(46, 46')의 전면에 설치된 손잡이부(48, 48')를 이용하여 전방 즉 상하부저장실(42, 42')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도어(46, 46')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트레이(44, 44') 양측면의 제 2레일부(60)에 설치된 멈춤부(66)의 롤러(76)가 경사구간(52b)의 경사면(56)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1, 2지지레그(70, 72)의 선단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밀려, 그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74)가 압축되게 된다. 상기 제 1레일부(60)의 멈춤부(66)가 구동구간(52a)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멈춤부(66)의 롤러(76)가 경사구간(72b)을 지나 구동구간(72a)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46, 46') 즉 트레이(44, 44')의 제 2레일부(60)는 제 1레일부 (5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6b에는 멈춤부(66)가 제 1레일부(50)의 구동구간(52a)을 따라 안내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레일부(50)와 제 2레일부(60) 사이에는 볼베어링(82)이 구비된 중간레일부(80)가 설치되어 있어, 제 1레일부(50)는 볼베어링(82)의 회동과 함께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물론 상기 중간레일부(80)도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레일부(50)와 제 2레일부(60) 사이에 중간레일부(80)가 지지되어 이동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레일부(50)와 제 2레일부(60)만으로도 상대이동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레그(70, 72)가 상기 제 1레일부(50)의 제 1, 2가이드(50b, 50c)에 접촉되는 부분에 롤러(76)를 구비하고 있으나, 롤러(76)없이 지지레그(70, 72) 선단이 직접 제 1레일부(50)의 제 1, 2가이드(50b, 50c)에 밀착되어 상대이동하게 할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제 2레일부에 설치된 멈춤부의 지지레그가 제 1레일부의 제 1, 2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들의 연동시 상기 지지레그의 마모가 최소화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밀폐동작이 항상 일정하게 수행되어 도어의 밀폐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냉장고본체의 냉기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멈춤부와 제 1레일부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공차가 줄어들게 되어 멈춤부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멈춤부의 구조는 몸체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지지레그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공수와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구성되어, 일정한 폭을 가지는 구동구간과, 상기 구동구간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확장구간과, 상기 구동구간과 확장구간을 연결하는 경사구간을 구비하는 제 1레일부와;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레일부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제 2레일부;
    상기 제 2레일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도록 상하로 지지레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지레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지지레그의 선단이 각각의 가이드 내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멈춤부; 그리고
    상기 제 1레일부와 상기 제 2레일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간레일부는,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몸체의 상하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에 제 1레일부와 제 2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대응되는 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한 볼베어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는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2가이드의 내면에 선단이 밀착되는 제 2지지레그와;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2지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2레일부 에 연결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제 2지지레그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제 2레일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제 2지지레그의 경사부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레그와 상기 제 2지지레그가 상기 제 1레일부의 제 1가이드와 제 2가이드의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회동가능하도록 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5. 삭제
KR1020050012411A 2005-02-15 2005-02-15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111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11A KR101115828B1 (ko) 2005-02-15 2005-02-15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11A KR101115828B1 (ko) 2005-02-15 2005-02-15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05A KR20060091505A (ko) 2006-08-21
KR101115828B1 true KR101115828B1 (ko) 2012-03-09

Family

ID=3759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11A KR101115828B1 (ko) 2005-02-15 2005-02-15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8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138A (en) 1993-10-01 1996-02-06 Lisco, Inc. Height adjustable high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138A (en) 1993-10-01 1996-02-06 Lisco, Inc. Height adjustable high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05A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7120B (zh) 冰箱
US8328302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30270989A1 (en)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079653B2 (en) Sliding track assembly
KR20230113714A (ko) 냉장고
EP2175218B1 (en) Refrigerator
US20070126324A1 (en) Refrigerator rail assembly and refrigerator storage box extracting/re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4608247B (zh) 一种冰箱
US8459759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the same
US10228186B2 (en) Refrigerator
KR101749105B1 (ko) 냉장고
KR100634361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EP3043132A1 (en) Refrigerator
KR10109873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KR101161874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KR101115828B1 (ko)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CN101523139B (zh) 用于冰箱的轨道组件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KR101266872B1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US11519664B2 (en) Retractable soft-close shelf system
KR20110103522A (ko) 냉장고
CN209893792U (zh) 冰箱
KR20220146797A (ko) 슬라이드 장치
KR101286355B1 (ko) 냉장고의 저장박스 이동장치
KR101432292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