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717B1 -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717B1
KR101115717B1 KR1020040047436A KR20040047436A KR101115717B1 KR 101115717 B1 KR101115717 B1 KR 101115717B1 KR 1020040047436 A KR1020040047436 A KR 1020040047436A KR 20040047436 A KR20040047436 A KR 20040047436A KR 101115717 B1 KR101115717 B1 KR 10111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valve
wash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22355A (en
Inventor
임태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717B1/en
Publication of KR2005012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06F39/082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etecting faulty draining operations, e.g. filter blockage, faulty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48One-way valve the armature and the valve member forming one ele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valve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는 세탁수가 인입되는 입수관;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로부터 세탁수가 토출되는 출수관; 및 상기 출수관의 내부 일측면에 장착되는 누수 감지 센서;가 포함된다.The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ipe into which washing water is introduce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blocking or opening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pipe; A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leak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outlet pip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급수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이 중단되어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불순물에 의하여 밸브 출수구를 통하여 세탁수가 계속하여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to b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f the phenomenon that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valve outlet by impurities,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cognize this It is effective.

급수 밸브, 플런저, 누수 감지 센서Feed valve, plunger, leak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급수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급수 밸브 구조가 구비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급수밸브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valv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에 의하여 세탁수의 유량이 감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세탁기 110 : 캐비닛 120 : 저수조100: washing machine 110: cabinet 120: reservoir

1300 : 세탁조 1400 : 펄세이터 150 : 클러치1300: washing tank 1400: pulsator 150: clutch

160 : 동력전달 벨트 170 : 세탁 모터 200 : 급수 밸브160: power transmission belt 170: washing motor 200: water supply valve

210 : 입수관 220 : 출수관 230 : 격벽210: inlet pipe 220: outlet pipe 230: partition wall

240 : 다이어프레임 250 : 프레임 홀더 260 : 중앙홀240: die frame 250: frame holder 260: central hole

270 : 제 1 사이드홀 280 : 제 2 사이드 홀 290 : 내부 공간270: first side hole 280: second side hole 290: internal space

300 : 개폐부 310 : 플런저 320 : 가이드 패킹300: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10: plunger 320: guide packing

330 : 스프링 340 : 플런저 캡 350 : 전원단자 330: spring 340: plunger cap 350: power supply terminal                 

3600 : 하우징 370 : 슬리브 380 : 보빈3600: housing 370: sleeve 380: bobbin

390 : 코일 400 : 누수 감지 센서390: coil 400: leak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로 유입되는 세탁수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valve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machine.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급수 밸브를 통하여 세탁수가 계속 급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having a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wash water continues to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in a state in which water supply is stopped.

종래의 세탁기의 급수 밸브는 급수 밸브의 차단 및 개방시에 순간적으로 물의 공급이 차단 및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water supply valve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ly of water is momentarily interrupted and opened at the time of closing and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도 1은 종래의 급수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급수 밸브는 일정한 수압이 인가되는 입수관(1)과, 세탁기의 내부와 연결되어 물의 출수 경로인 출수관(2)과, 상기 입수관(1)과 출수관(2)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속을 차단하는 격벽(3)과, 상기 격벽(3)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통공이 선택적으로 개방/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다이어프레임(4)과, 상기 다이어프레임(4)의 위치가 지시되어 동작되도록 하는 다이어프레임 홀더(5)와,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5)를 미는 힘이 단속적으로 가하여져 물의 공급 상태가 단속되는 개폐부(1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includes an inlet pipe 1 to which a constant water pressure is applied, a outlet pipe 2 connected to an inside of a washing machine, which is a water outlet path of water, and the inlet pipe 1 and the outlet pipe ( 2) a barrier rib 3 formed between the barrier ribs 3 to block the flow velocity, a diaphragm 4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barrier rib 3, and the diaphragm 4 And a diaphragm holder 5 for directing and operating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and an opening / closing portion 10 for intermittently applying a force pushing the diaphragm holder 5 to interrupt the supply state of water.                         

또한, 상기 다이어프레임(4)의 일측편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관(1)과 연통되어 입수되는 물이 흐르는 연통공인 제 2 사이드홀(8)과,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5)의 일측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사이드홀(8)과 정렬되는 제 1 사이드홀(7)과,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출수관(2)과 연통되는 중앙홀(6)이 포함된다. 상기 중앙홀(6)은 상기 개폐부(10)에 의해서 개방/차단이 조작된다. In addition, a second side hole 8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aphragm 4 and communicates with the water inlet pipe 1 and is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water is obtained flows, and one side of the diaphragm holder 5. A first side hole 7 formed in and aligned with the second side hole 8, and a central hole 6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holder 5 and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outlet pipe 2. do. The central hole 6 is opened /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0.

또한, 상기 개폐부(10)에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고, 하측 끝단부가 상기 중앙홀(6)을 개방/차단하는 플런저(11)와, 상기 플런저(11)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홀(6)의 차단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패킹(12)과, 상기 플런저(11)의 정상상태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스프링(13)과, 상기 플런저(1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의 상단을 지지하고, 플런저(11)의 상하 동작을 가이드하는 플런저 캡(14)과, 상기 플런저 캡(14)의 외주에 형성되는 슬리브(17)와, 상기 슬리브(17)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하우징(16)과, 상기 슬리브(17)의 외주에 형성되어 코일(19)이 감기는 보빈(18)과, 상기 코일(19)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단자(15)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ower end portion has a plunger 11 for opening / closing the central hole 6, and is formed at an end of the plunger 11 to form the central hole 6. The packing 12 of the elastic material to ensure the blocking of the safe, the spring 13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steady state of the plunger 11, an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lunger 11 and the spring 13 A plunger cap 14 for guiding the upper and lower operations of the plunger 11, a sleeve 17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cap 14, and a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17. A “c” shaped housing 16, a bobbin 18 formed around the sleeve 17 to wind the coil 19, and a power terminal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coil 19 (15) is included.

이하에서는 종래 급수 밸브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상기 입수관(1)을 통하여 가해지는 수압은 상기 제 1 사이드홀(7)과 제 2 사이드홀(8)을 통해서 그대로 전달되고, 상기 다이어프레임(4)의 상측의 내부 공간(9)과 입수관(1) 내부의 수압은 동일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9)이 약간 정도 높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1)는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5), 정확히는 상기 중앙 홀(6)을 누르고 있으므로, 다이어프레임(4)은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기 입수관(1)의 물은 상기 출수관(2)으로 전달되지 아니한다.First, the water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1 is transmitted as it is through the first side hole 7 and the second side hole 8, and the inner space 9 above the diaphragm 4.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water inlet pipe 1 is the same, or the internal space 9 is slightly higher. In addition, since the plunger 11 presses the diaphragm holder 5, and precisely the center hole 6, the diaphragm 4 does not move in any of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fore, the water in the inlet pipe 1 is not delivered to the outlet pipe 2.

그러나, 상기 코일(19)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상기 플런저(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순간적으로 내부 공간(9)의 물이 상기 중앙홀(6)을 통해서 빠져나간다. 그 결과, 상기 내부 공간(9)은 저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다이어프레임(4)은 입수관(1)의 고압에 의해 밀려 올라간다. However,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19, the plunger 11 is moved upward, the water of the internal space (9) is instantaneously escaped through the central hole (6). As a result, the internal space 9 is changed to low pressure, and the diaphragm 4 is pushed up by the high pressure of the water inlet pipe 1.

한편, 상기 다이어프레임(4)이 밀려 올라가면, 싱기 중앙홀(6)을 통해서 뿐만이 아니라 개방되는 상기 격벽(3)에 의해서도 상기 입수관(1)과 출수관(2)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홀(6) 및 상기 격벽(3)을 통하여 일순간에 많은양의 세탁수가 흐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phragm 4 is pushed up, the water inlet pipe 1 and the water outlet pipe 2 communicate not only through the singer central hole 6 but also by the partition 3 opened. A large amount of wash water flows through the central hole 6 and the partition 3 at one instant.

이와 같은 급수 밸브의 동작 중에서, 상기 플런저(11)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lunger 11 will be described among the operations of the water supply valve.

상기 플런저(11)는 자성체로서, 상기 코일(19)로부터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에 의해서 상측 방향으로 동작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3)의 인장력에 의해서 플런저(11)에는 하측 방향으로 밀리는 힘이 계속해서 가하여지고 있다. The plunger 11 is a magnetic material, and is operated in an upward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from the coil 19. In addition, a force pushing downward in the plunger 11 is continuously applie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spring 13.

그러므로, 상기 코일(19)로부터 가하여지는 전자기력이 끊어지면, 자성체인 플런저(11)는 스프링(13)의 인장력에 의해서 하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중앙홀(6)을 막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lectromagnetic force applied from the coil 19 is cut off, the plunger 11, which is a magnetic body, moves downward by the tension force of the spring 13, thereby blocking the central hole 6.

이러한 종래의 급수밸브의 구조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8-00390064호 등에 이미 공지된 바가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valve is already known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8-00390064, it can be referred to this.                         

여기서, 상기 제 2 사이드 홀(8) 및 제 1 사이드 홀(7)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탁수에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내부 공간(9)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입수관(1)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레임(4)이 상측으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레임(4)이 들림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틈새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Here, when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s introduced into the 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side hole 8 and the first side hole 7,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9 is relatively lowered. Therefore, the diaphragm 4 is lifted upwar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space and the water inlet pipe 1.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of wash water occurs due to a gap generated due to the diaphragm 4 being lifted.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 공간(9)에 불순물이 침투되고, 상기 불순물에 의하여 상기 패킹(12)이 상기 중앙홀(6)을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중앙홀(6)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에 의하여 상기 내부 공간(9)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다이아프레임(4)이 상승하게 되어, 상기 다이아프레임 홀더(5)가 삽입된 상기 격벽(3) 내측의 통공으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impurities penetrate the inner space 9 and the packing 12 does not completely seal the central hole 6 due to the impurities, leakage occurs through the central hole 6. . In addition, as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space 9 decreases due to the leakage, the diaphragm 4 rises, and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side of the partition wall 3 into which the diaphragm holder 5 is inserted. Leaks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급수 중단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원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이 단락된 상태에서, 다이아프레임 또는 밸브내 중앙홀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case of leakage occurs through the diaphragm or the central hole in the valve in the state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short-circuited by the water supply stop signal, it is quick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and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는 세탁수가 인입되는 입수관;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로부터 세탁수가 토출되는 출수관; 및 상기 출수관의 내부 일측면에 장착되는 누수 감지 센서;가 포함된다.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n inlet pipe into which the wash water;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blocking or opening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pipe; A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leak detection sensor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outlet pip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급수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이 중단되어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불순물에 의하여 밸브 출수구를 통하여 세탁수가 계속하여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power to be a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is stopp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f the phenomenon that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valve outlet by impurities,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recognize this It is effectiv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propos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another embodimen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급수 밸브 구조가 구비된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밸브 구조가 구비된 세탁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수용되는 저수조(120)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130)와, 상기 세탁조(130)의 저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세탁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14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2, the washing machine 100 having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10 forming an external shape, a reservoir 120 accommodated in the cabinet 110, and an inside of the reservoir. A washing tank 130 accommodated and loaded with laundry, and a pulsator 14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130 and rotating to form a washing water stream, are included.

또한, 상기 저수조(120)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세탁조(130) 및/또는 상기 펄세이터(140)를 회전시키는 세탁 모터(170)와, 상기 세탁 모터(170)에서 발생된 동력을 시스템에 전달하는 벨트(160)와, 상기 벨트(160)를 통해 모터(170)의 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조(130)와 펄세이터(140)를 회전시키도록 저수조(140) 저면에 장착된 클러치(15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motor 170, which is moun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servoir 120 to rotate the washing tank 130 and / or the pulsator 140, and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washing motor 170 to the system The belt 160 and the clutch 15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40 to rotate the washing tank 130 and the pulsator 140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motor 170 through the belt 160 is Included.

또한, 상기 세탁기(100)는 상기 캐비닛(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조(13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200)와, 상기 캐비닛(110) 내의 저수조(120)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세탁조(130) 내의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밸브(18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110, the water supply valve 20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shing tank 13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water tank in the cabinet (110) 120) the drain valve 18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저수조(120) 내에 세탁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가 세탁 조건을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 조건 입력이 완료되면, 마이컴에서는 상기 조건에 따라 순서대로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탁 모터(170)에서는 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급수 밸브(200)를 통해서는 상기 세탁조(1300)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 모터(170)의 동력이 상기 벨트(160)를 통해 상기 클러치(150)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클러치(150)는 상기 저수조(120)와 상기 펄세이터(140)를 회전시켜 세탁이 진행되게 된다.First, power is applied to the system in a state in which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120, and a user inputs washing conditions. When the washing condition input is completed, the microcompute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ng strokes in ord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 addition, power is generated from the washing motor 170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into the washing tank 1300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200. When the power of the washing motor 170 is transmitted to the clutch 150 through the belt 160, the clutch 150 rotates the water reservoir 120 and the pulsator 140 to wash the laundry. This will proceed.

한편, 상기 세탁 행정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배수밸브(180)를 통해 세탁조(130) 내의 물이 배출되게 되고, 그 다음 단계인 헹굼 및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ing stroke is completed, the water in the washing tank 130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valve 180, the next step of the rinsing and dehydration stroke is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급수밸브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supply valv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급수밸브(200)는 외부의 높은 수압이 인가되는 입수관(210)과, 고압수의 출수 경로인 출수관(220)과, 상기 입수관(210)과 출수관(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유속을 차단하는 격벽(230)과, 상기 격벽(2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통공이 선택적으로 개방/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다이어프레임(240)과,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몸체부가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다이어프레임 홀더(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250)의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251)에 의하여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의 중앙부에 긴밀하게 삽입된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supply valv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ipe 210 to which an external high water pressure is applied, an outlet pipe 220 that is an outlet port for high pressure water, and an inlet pipe 210. A partition wall 230 formed between the outlet pipes 220 to block the flow velocity, a diaphragm 240 for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30, and the dia frame The diaphragm holder 250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240 and a body portion is insert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240. In detail, the hook 25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aphragm holder 250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240.

또한,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250)를 미는 힘이 단속적으로 가하여져 물의 공급 상태가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개폐부(300)와,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의 일측편에 상기 입수관(2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세탁수의 흐름 통로가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사이드홀(280)과,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250)의 일측편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사이드홀(280)과 연통되는 제 1 사이드홀(270)과,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2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출수관(220)과 연통되는 중앙홀(26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홀(260)은 상기 개폐부(300)에 의해서 개방/차단이 조작된다. In addition, the force pushing the diaphragm holder 250 is intermittently applied,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0 to selectively operate the supply state of water and the water supply pipe 210 to one side of the diaphragm 240. At least one second side hole 280 which is a flow passage for washing water, and a first side hole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iaphragm holder 250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ide hole 280. 270 and a central hole 260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iaphragm holder 250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outlet tube 220. The central hole 260 is opened /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300.

상세히, 상기 개폐부(300)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끝단이 닿아서 상기 중앙홀(260)을 개방/차단하는 플런저(310)와, 상기 플런저(3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홀(260)의 차단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 재질의 가이 드 패킹(320)과, 상기 플런저(310)의 정상상태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스프링(3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패킹(320)은 상기 중앙홀(260)이 완전하게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홀(26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돌기(321)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e end is in contact with the plunger 310 to open / cut off the central hole 260,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plunger 310 and the central hole ( The guide packing 320 of the elastic material to ensure that the blocking of the 260 is made securely, and a spring 330 for indicating the steady state position of the plunger 310 is included. In detail, the guide packing 3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321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al hole 260 in order to completely open and close the central hole 260.

또한, 상기 개폐부(300)에는 상기 플런저(3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30)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플런저(310)의 상하 동작을 가이드하는 플런저 캡(340)과, 상기 플런저 캡(340)의 외주에 형성되는 슬리브(370)와, 상기 슬리브(370)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하우징(360)과, 상기 슬리브(370)의 외주에 형성되어 코일(390)이 감기는 보빈(380)과, 상기 코일(39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단자(35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0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lunger 310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pring 330, the plunger cap 340 for guiding the vertical operation of the plunger 310, and the plunger cap A sleeve 370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d 340, a housing 360 having a “C” shape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370, and a coil 390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eeve 370. The bobbin 380 is wound, and a power terminal 350 for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coil 390 is included.

또한, 상기 출수관(220)의 일측면에 누수 감지 센서(400)가 장착되어, 상기 급수 밸브(200)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leak detection sensor 4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outlet pipe 220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wash water leak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밸브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급수 밸브(200)가 작동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상기 입수관(210)을 통하여 가해지는 수압은 상기 제 1 사이드홀(270)과 상기 제 2 사이드홀(280)을 통해서 그대로 전달되고, 상기 수압은 상기 다이어프레임(240) 상측의 내부 공간(290)과 입수관(210)내부의 압력은 동일하거나, 상기 내부 공간(290)이 약간 정도 높다. 따라서, 상기 다이어프레임 홀더(250)는 상기 내부 공간(290)과 상기 입수관(210)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을 누르게 되어 상기 입수관(210)의 세탁수가 상기 출수관(220)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valve 200 does not operate, the water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210 is transmitted as it is through the first side hole 270 and the second side hole 280.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space 290 and the inlet pipe 210 of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240 is the same, or the inner space 290 is slightly higher. Therefore, the diaphragm holder 250 is pressed by the diaphragm 240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space 290 and the water inlet pipe 210, so that the wash water of the water inlet pipe 210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pipe. It does not flow to 220.

한편, 상기 코일(39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상기 플런저(31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1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플런저(310) 끝단의 가이드 패킹(320)이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패킹(320)의 중앙부에 돌출된 돌기(321)가 상기 중앙홀(260)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290)에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중앙홀(260)을 통하여 상기 출수관(220)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가 빠져 나감으로써, 상기 내부공간(290)의 압력이 상기 입수관(210)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290)과 상기 입수관(210)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레임(240)이 밀려 올라가면, 상기 중앙홀(260)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개방되는 상기 격벽(230)에 의해서 상기 입수관(210)과 출수관(220)이 연통되어 일순간에 많은 물이 출수관(220)으로 흘러서 세탁조(130)로 낙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390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the plunger 310 is moved upward. When the plunger 310 is moved upward, the guide packing 320 at the end of the plunger 310 rises. In addition, the protrusion 321 protrud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guide packing 320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hole 260. Therefore,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290 is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tube 220 through the central hole 260. In addition, as the wash water flows out, the pressure of the inner space 290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water inlet pipe 210. In addition, the diaphragm 240 is pushed upwar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space 290 and the water inlet pipe 210. In addition, when the diaphragm 240 is pushed up, the water inlet pipe 210 and the water outlet tube 2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partition wall 230 which is opened as well as through the central hole 260. It flows into this water outlet tube 220, and falls to the washing tank 130.

한편, 상기 저수조(120) 내에 세탁수가 저수되어 설정 수위에 도달되면, 상기 급수 밸브(200)의 작동이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200)에 인가되는 전원이 중단된 뒤에도 계속하여 세탁수가 상기 출수관(220)으로 흘러 나가는 경우, 상기 누수 감지 센서(400)에 의하여 감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 wat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120 and reaches the set level,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In addition, when the wash water continues to flow into the water outlet tube 220 even after the power a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the water leakage detection sensor 400 is detected.

이하에서는 상기 누수 감지 센서(400)의 기능 및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 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밸브(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누수 감지 센서(400)는 상기 급수 밸브(20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출수관(220)을 통하여 세탁수가 흘러 나오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mounted in the water supply valv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ws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220 e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It detects whether or not it comes out and makes the user aware of it.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세탁기(100) 전원이 인가(ST110)되면 급수가 시작된다(ST111). 그리고, 상기 세탁기(100) 내부에 장착된 수위감지 센서에 의하여 수위가 감지(ST112)되고, 설정 수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가 판단(ST113)된다.In detail, when the washing machine 100 power is applied (ST110), water supply starts (ST111). Then, the water level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mount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100 (ST11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t water level is reached (ST113).

또한,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의하여 설정 수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마이컴으로 급수 중단 신호를 보내게 된다(ST114). 그리고, 상기 급수 중단 신호를 받은 마이컴에서는 급수 밸브 동작 정지 신호를 보내게 된다(ST115).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water level is reached by the water level sensor, the water supply stop signal is sent to the microcomputer (ST114).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receiving the water supply stop signal transmits a water supply valve operation stop signal (ST115).

한편, 급수 밸브 동작 정지 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 밸브(200)에 인가되는 전원이 중단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 밸브(200)에 전원이 중단되더라도 상기 급수 밸브(200) 내에 장착된 누수 감지 센서(400)에는 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a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by the water supply valve operation stop signal. However, eve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stopped,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mounted in the water supply valve 200.

또한, 상기 급수 밸브(200) 내에 장착된 누수 감지 센서(400)에 의하여 세탁수의 유동 여부가 감지된다(ST116). 상세히, 세탁수가 출수관(220)을 통하여 흐르는 경우,상기 누수감지 센서(40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누수 여부가 감지된다.In addition, whether the wash water flows is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mounted in the water supply valve 200 (ST116). In detail, when the wash 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outlet tube 220, by allowing a current to flow through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whether or not the water leak is detected.

한편, 상기 누수 감지 센서(400)에 의하여 누수가 감지되면 마이컴으로 누수 신호를 보낸다(ST118). 그리고, 상기 누수 신호를 받은 마이컴에서는 경보음이 발 생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ST119). 그러나, 누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세탁 단계(ST117)로 들어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leak is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a leak signal is sent to the microcomputer (ST118).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receiving the leak signal causes an alarm to be generate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it (ST119). However, if the leak is not detected, it enters the washing step ST117 which is the next step.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감지 센서에 의하여 세탁수의 유량이 감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400)는 부가적으로 저수조(120)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유량이 함께 측정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perform a function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120.

상세히 설명하면, 세탁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ST210),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급수 밸브(200)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200)를 통하여 세탁수가 급수된다(ST211). 그리고,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는 상기 급수 밸브(200) 내에 장착된 누수 감지 센서(400)에 의하여 유량이 측정된다(ST212). 그리고, 설정 유량에 도달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T213)가 수행되고, 설정 유량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누수 감지 센서(400)에서 마이컴으로 급수 중단 신호를 보내게 된다(ST214).In detail,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00 (ST210), an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water supply valve 200 is operated. Then, the wash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eed valve 200 (ST211). In addition,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being supplied is measur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mounted in the water supply valve 200 (ST212). In operation ST2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flow rate has been reach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flow rate is reached, the water leakage detection sensor 400 transmits a water supply stop signal to the microcomputer (ST214).

한편, 급수 중잔 신호를 받은 마이컴에 의하여 상기 급수 밸브(400)의 작동이 정지(ST215)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 밸브(400)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누수 감시 센서(400)의 전원은 중단되지 않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센서(400)에 의하여 출수구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가 감지된다(ST216).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400 is stopped by the microcomputer receiving the water supply residual signal (ST215). However,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400 is stopped, the power supply of the water leakage monitoring sensor 400 is not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leak detection sensor 400 detects whether or not the leakage of the wash water to the outlet (ST216).

만일, 누수가 감지되면 마이컴으로 누수신호가 송신(ST218)되고, 누수가 감 지되지 아니하면 다음 단계인 세탁 단계(ST217)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누수 신호를 받은 마이컴은 세탁기의 누수를 알리는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ST219).If a leak is detected, a lea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ST218). If the leak is not detected, the leak is entered into a washing step (ST217).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receiving the leak signal may generate an alarm sound indicating a leak of the washing machine (ST219).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급수 밸브(200)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되는지 여부가 쉽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수조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유량도 함께 측정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step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leakage occurs in the water supply valve 200, as well as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can be measured togeth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에 의하여, 급수 밸브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급수가 되거나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경보음이 울리거나 기타 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By the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supply is continuously supplied or water leakage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is stopped, an alarm sound or other signals are generated by the user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quick to recognize.

뿐만 아니라, 급수 밸브의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에 의하여 누수되는 유량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누수량도 측정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adding a function to detect the flow rate of the leak by th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leak of the water supply val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ditional effect that can also measure the amount of leakage.

Claims (4)

세탁수가 인입되는 입수관;An inlet pipe into which washing water is introduced;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세탁수의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부;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blocking or opening outflow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pipe; 상기 개폐부로부터 세탁수가 토출되는 출수관; 및 A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상기 출수관의 내부 일측면에 장착되는 누수 감지 센서;가 포함되는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leakage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water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수 감지 센서는 상기 출수관으로 누수되는 세탁수에 의하여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The leak detection sensor is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ity is supplied by the wash water leaked to the water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수 감지 센서에 의하여 발생된 누수신호를 수신하고, 경보음 또는 경보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는 마이콤이 더 포함되는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The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microcomputer that receives a leak signal genera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activates an alarm sound or an alarm lam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수 감지 센서는 출수관을 통하여 유출되는 세탁수의 유량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 밸브 구조.The leak detection sensor is a water supply valv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ction of the flow rate of the wash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pipe.
KR1020040047436A 2004-06-24 2004-06-24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KR101115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36A KR101115717B1 (en) 2004-06-24 2004-06-24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36A KR101115717B1 (en) 2004-06-24 2004-06-24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55A KR20050122355A (en) 2005-12-29
KR101115717B1 true KR101115717B1 (en) 2012-03-07

Family

ID=3729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436A KR101115717B1 (en) 2004-06-24 2004-06-24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7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970A (en) 2015-09-17 2017-03-2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Water Valv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62A (en) * 2001-08-20 2003-03-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sensing leakage water of feed water valve
KR20050066490A (en)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liquid supply valve and liquid sullpy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462A (en) * 2001-08-20 2003-03-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sensing leakage water of feed water valve
KR20050066490A (en)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liquid supply valve and liquid sullpy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970A (en) 2015-09-17 2017-03-28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Water Valv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55A (en)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8208A (en) Balancer with Drum Washing Machine
KR19980064259A (en) Centrifugal dewatering device
KR20110082761A (en) Pump device for liquid detergent
KR20120089098A (en) Tub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115717B1 (en) A water suppling valve of a washing machine
CN108755004B (en) Water inlet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N103194874A (en) Drum washing machine
KR0176864B1 (en) Apparatus for water level measurment of a washing machine
KR20110020588A (en) Pump device for liquid detergent
KR101730420B1 (en) Washing machine
KR100765280B1 (en) Drum washing machine and steam generating apparatus thereof
KR100484842B1 (en) A washing machine being possible to sense the hardness of water and washing method for the same
KR200900216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washing machine
JPH05123490A (en) Washing machine with spin-drying function
CN111411479B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200153791Y1 (en) Th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a drum washing machine
KR101157833B1 (en) Water-level sensor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100484840B1 (en) A washing machine with apparatus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and washing method for the same
KR19990033946A (en) washer
CN113493993B (en) Front opening type washing equipment
CN116926870A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KR100192263B1 (en) Method for water supplying control of a washing machine
KR100360432B1 (en)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for a tilting drum type washer
KR20040011828A (en) Washing machine with flow meter
KR200154148Y1 (en) The water level detecting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