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7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79B1
KR101115379B1 KR1020050096719A KR20050096719A KR101115379B1 KR 101115379 B1 KR101115379 B1 KR 101115379B1 KR 1020050096719 A KR1020050096719 A KR 1020050096719A KR 20050096719 A KR20050096719 A KR 20050096719A KR 101115379 B1 KR101115379 B1 KR 10111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age policy
poli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040A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과 사용정책을 제공하고, 각 사용자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권한에 대한 정책을 따로 적용시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은 여러명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록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다중프로파일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공개여부, 월페이퍼, 링톤,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 등록할 수 있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와, 폰 사용정책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등급별 통화 가능범위, 사용시간 설정, 메뉴접근 설정, 기능사용 설정이 정의된 폰 사용정책을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활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이다.
다중 사용, 사용정책, 사용자 등록, 인증,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user terminal}
도1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중 사용 등록 서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로그인 화면의 예,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는 동작 순서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하여 사용하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 : 이동통신 단말기 22 : 다중사용 등록서버
24 : 다중사용 등록부 26 : 사용정책 제공부
30 : 메모리 32 : 다중사용 프로파일부
34 : 폰사용 정책부 36 : 제어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사용자 프로파일과 사용정책을 제공하고, 각 사용자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권한에 대한 정책을 따로 적용시켜 보안과 관리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파일(profile)은 동작 파라미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나 사용 용도별로 정의한 집합으로, 도형 문자 취급 단말 등의 기본 클래스, 데이터 입력 단말인 폼 클래스(form class), 팩스 등의 이미지 클래스, 그래픽스 단말 등의 도형 클래스, 워크스테이션 등의 혼합 모드 클래스 등 다양한 표준 프로파일이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다.
다중 사용이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1개의 단말기를 1명의 사용자가 사용한다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만들어져 있고 두명 이상의 사용자가 1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해서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이와 관련되어 회사, 공공기관 등에서 업무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권한에 대한 사용통제와 관리기능이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두명 이상의 사용자가 1개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상황을 고려해서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1인 사용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2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공유하거나 타인에게 빌려줄 때 사용자의 중요한 정보들에 대한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타인에게 잠시 빌려줄 때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의 주소록이나 통화내역등과 같은 민감한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가 미흡한 상황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락(Lock)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보안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면 간단하게 메뉴의 접근을 차단하거나 기능에 대한 제한을 두는 방식이 1인 사용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별 사용 권한에 대한 적용에 대한 사용정책에 대한 기술은 지원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대한 제한이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존적으로 되어 있어서 소유자가 설정하는 맞춤식 사용통제에 대한 지원이 없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더 향상된 서비스의 제공을 기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명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등록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다중프로파일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부, 통화목록 공개여부, 월페이퍼, 링톤,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 등록할 수 있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와, 폰 사용정책부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등급별 통화 가능범위, 사용시간 설정, 메뉴접근 설정, 기능사용 설정이 정의된 폰 사용정책을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활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등록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수가 사용할 것을 등록을 하면, 사용자의 등급별 사용정책(Use Policy)을 생성하고 공개키 기반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며, 부당한 사용자는 차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는, 관리자와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개인별 폰주소록 관리와, 콜 히스토리 보호, 사용자별 메뉴설정, 사용자의 등급을 지정하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와, 관리자가 설정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사용정책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정책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는 폰사용정책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사용을 승인하고 처리하는 다중사용 등록부와, 상기 사용자의 등급에 기초한 사용자별 통화 가능범위, 사용시간 설정, 메뉴접근 설정, 기능사용 설정을 지정한 사용정책을 사용자별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사용정책 제공부로 구비되는 다중사용 등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명이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사용을 요청하면, 다중사용 등록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록된 정보를 파악하여 다중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하는 1단계와, 상기 다중사용 등록서버는 다중 사용을 위한 사용정책을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정책을 제공하는 2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사용정책을 수신 설치하여 사용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사용 등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사용 등록 서버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하는 11 단계와, 상기 다중 사용 등록 서버는 상기 등록 요청메시지에 대한 인증후에 설정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사용정책을 생성하는 12 단계와, 상기 사용정책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13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 기의 폰사용정책부에 상기 사용정책을 저장하여 사용자 등급별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14 단계로 이루어져 다른 사용자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 명이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정책은 관리자가 지정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제공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국번에 대한 콜바(Call Bar) 기능, 사용기간 통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세팅으로 리셋하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기능 및 메뉴를 제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 등급 정보에 의한 상기 사용정책은, 관리자인 어드민은 모든 기능사용, 사용자 1은 국제통화 불가, 월 페이퍼 변경 불가, 사용자 2는 국제통화, 700번 통화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 게스트는 지정번호만 통화 가능, 게임사용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 등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중 사용 등록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로그인 화면의 예이고,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는 동작 순서도이고,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하여 사용하는 순서도이다.
도 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로, 이동통신 단말기(20)와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중사용등록 서버(22)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식 CDMA 이동통신 시스템, 비동기 WCDMA, GSM, UMTS 이동통신 시스템과 PDA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능하다.
다중사용 등록 서버(22)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20)를 관리자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요청을 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등록 정보를 파악하여 다중사용 등록을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를 다중 사용하기 위한 사용정책(Use Policy)을 제공하는 것은 암호화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인증을 처리하여 부당한 사용요청과 인증을 예방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에는 개인키(Private key)가 구비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다중사용 등록 서버(2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사용정책은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0)에 저장된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제하여 사용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된 다중사용 등록 서버(2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등록 서버(22)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발행한 개인키 정보를 파악하여 진위여부를 판단한다.
다중사용 등록 서버(22)에 구비된 사용정책 제공부(26)는 관리자가 함께 사용할 사용자의 등급정보 등에 맞는 사용정책(Use Policy)을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별로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30)에 구비되는 폰사용정 책부(34)는 해당 사용정책을 수신 저장하여 단말기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다중사용 프로파일부(32)와 폰사용정책부(34)가 메모리(30)에 구비되고, 다중사용을 제어하는 제어기(36)와 화면부(38)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어기(36)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CPU, 보코더 등이 내장되며, 제어기는 송수신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한 변조와 복조를 처리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전압 제어분배, 프로토콜 처리 등을 제어한다.
메모리(30)에 구비되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32)는 주사용자인 관리자와 다수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개인별 폰주소록 관리와, 콜 히스토리 보호, 사용자별 메뉴설정, 사용자별 로긴(log in)방식을 통한 개인정보 보호와 관리자가 사용자의 등급을 지정하고, 타인이 함부로 사용자를 등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구비된다.
또한, 다중사용 프로파일부에는 관리자 외의 사용자의 등급을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영역을 설정하도록 한다.
즉, 관리자가 사용자를 등록하고 비밀번호의 설정, 자신의 전화번호부를 다중 사용자간에 공유로 설정할 것인지, 통화목록을 함께 사용할 것인지 등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몰래 새로운 사용자의 등록을 차단하는 것도 설정할 수 있다.
폰사용정책부(34)는 사용자를 등록하면, 해당 사용자의 설정 등급에 따라서 적정한 사용정책(Use Policy)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사용 등록 서버(22)에 구비된 사용정책 제공부(26)에서 수신하여 사용자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폰사용정책부(34)는 관리자가 설정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사용정책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별 폰 사용정책에 의하여 제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한다. 폰사용정책에는 사용자의 등급별 사용자별 통화 가능범위, 사용시간 설정, 메뉴접근 설정, 기능사용 설정이 지정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한다.
아래에는 사용자 프로파일부(32)에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이용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USER>
<ID>User1</ID>
<NAME>User1</NAME>
<PASSWORD>******</PASSWORD>
<PROFILE>
<PHONEBOOK>Private</PHONEBOOK>
<CALL_HISTORY>Private</CALL_HISTORY>
<PROFILE>General</PROFILE>
<WALLPAPER>Default</WALLPAPAER>
<RINGTONE>Default</RINGTON>
</PHONE>
<POLICE>
<CALL>ALL</CALL>
<MENU>
<SETTING>Disable<SETTING>
<GAME>Disable</GAME>
<MENU>
</POLICE>
</USER>
사용자 아이디, 성명, 비밀번호, 폰북, 콜 히스토리, 월 페이퍼, 링톤과 게임의 사용 여부 등을 설정을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으로는 통상적인 메뉴화면으로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사용자 로그인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관리자인 어드민(Admin)과 사용자 1, 2와 게스트 항목이 있으며, 인증을 확인하는 비밀번호 입력 항목이 구비되며, 조인(join) 항목(40)은 새로운 사용자의 등록을 설정하는 것으로, 관리자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32)에서 새로운 사용자의 등록을 설정으로 제한할 수 있다.
조인항목(40)은 새로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등록하는 항목이다.
또한, 사용자 등록 화면의 예(44)에는 사용자의 성명, 비밀번호, 아이디 정 보 등을 등록한 예를 나타낸 것이며, 새로운 사용자 등급과, 개별적인 전화번호부, 콜 히스토리 보호, 개별 메뉴 사용을 등록은 관리자가 처리한다.
도 3에는 사용자의 성명과 비밀번호 항목만을 도시하였으나, 그외에 다른 항목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사용 등록 서버(22)에 등록하고, 사용자를 등록하면, 다중등록 서버(22)의 사용정책 제공부(26)에서 사용정책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암호화하여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사용 정책부(34)는 사용정책을 수신하여, 사용정책에서 설정한 범위내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사, 학교, 가족들이 사용하기 위해 먼저 이동통신 시스템에 설정 등록하면, 사용자별 전화번호부, 콜 히스토리 보호, 사용자별 메뉴를 설정하여 사용한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는 순서도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수 사용 등록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사용 등록서버(22)에 요청한다(S50).
다중사용 등록서버(22)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다중 사용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인증 처리를 위한 인증키인 개인키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52~S54).
다중사용 등록서버(22)는 다중 사용을 위한 사용정책을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정책을 제공한다(S56~S58).
한편, 관리자는 기본 사용정책을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새로 등록하는 사용자는 등급별 사용정책을 수신하여 사용한다(S60~S62).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하고, 사용정책을 수신하여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새로운 사용자가 등록하여 사용하는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새로운 사용자가 도 3의 예(44)와 같이 사용자의 성명과,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등록 정보를 등록한다(S80~S84).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사용 등록 서버(22)에 등록 요청 SMS를 전송하여 등록한다(S86~S88).
다중 사용 등록 서버(22)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파악을 하고, 해당하는 사용정책을 생성을 한다(S90).
또한, 다중 사용 등록 서버(22)는 수신한 등록 요청 SMS의 진위여부를 판단을 하고, 적정한 경우에는 등록승인 SMS를 전송한다(S92).
등록 승인 SMS를 전송한 다중 사용 등록 서버(22)는 해당 사용자의 등급에 해당하는 사용정책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을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사용정책부(34)에 사용정책을 설치하여 새로운 등록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S94~S96).
사용정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국번에 대한 콜바(Call Bar) 기능, 사용정책 푸시 SMS를 통한 폰 락업(Phone Lock UP), 사용기간 통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세팅으로 리셋하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기능 및 메뉴를 제한하는 정 보가 있다.
등급별 사용정책의 예를 들면, 관리자인 어드민은 모든 기능사용, 사용자 1은 국제통화 불가, 월 페이퍼 변경 불가, 사용자 2는 국제통화, 700번 통화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 게스트는 지정번호만 통화 가능, 게임사용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식 CDMA 이동통신 시스템, 비동기 WCDMA, GSM, UMTS 이동통신 시스템과 PDA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동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기식 CDMA 단말기, 비동기식인 WCDMA 단말기, GSM단말기, UMTS 단말기, PDA 단말기 등의 소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 상술한 동작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사용의 편리성과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등급별 사용정책을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어서, 관리와 보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 개인별 폰주소록 관리와, 콜 히스토리 보호, 사용자별 메뉴설정, 사용자의 등급을 지정하는 다중사용 프로파일부와;
    관리자가 설정한 사용자의 등급에 따른 사용정책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정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도록 하는 폰사용정책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등록 요청을 수신하여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사용을 승인하고 처리하는 다중사용 등록부와;
    상기 사용자의 등급에 기초한 사용자별 통화 가능범위, 사용시간 설정, 메뉴접근 설정, 기능사용 설정을 지정한 사용정책을 사용자별로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사용정책 제공부로 구비되는 다중사용 등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2.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말기의 다중사용을 요청하면, 다중사용 등록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등록된 정보를 파악하여 다중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등록하는 1단계와;
    상기 다중사용 등록서버는 다중 사용을 위한 사용정책을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정책을 제공하는 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사용정책을 수신 설치하여 사용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사용 등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
  3. 이동통신 시스템에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사용 등록 서버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하는 11 단계와;
    상기 다중 사용 등록 서버는 상기 등록 요청메시지에 대한 인증후에 설정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사용정책을 생성하는 12 단계와;
    상기 사용정책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13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사용정책부에 상기 사용정책을 저장하여 사용자 등급별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14 단계로 이루어져 다른 사용자를 등록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 명이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관리자는 다른 사용자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책은 관리자가 지정한 사용자 등급에 따라 제공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국번에 대한 콜바(Call Bar) 기능, 사용기간 통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세팅으로 리셋하는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기능 및 메뉴를 제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
  6. 제 4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정책은, 관리자인 어드민은 모든 기능사용, 사용자 1은 국제통화 불가, 월 페이퍼 변경 불가, 사용자 2는 국제통화, 700번 통화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 게스트는 지정번호만 통화 가능, 게임사용불가, 인터넷 메뉴 접근 불가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방법.
KR1020050096719A 2005-10-13 2005-10-1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KR10111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19A KR101115379B1 (ko) 2005-10-13 2005-10-1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719A KR101115379B1 (ko) 2005-10-13 2005-10-1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040A KR20070041040A (ko) 2007-04-18
KR101115379B1 true KR101115379B1 (ko) 2012-03-08

Family

ID=3817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719A KR101115379B1 (ko) 2005-10-13 2005-10-1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36B1 (ko) * 2008-11-04 2011-01-13 주식회사 케이티 정책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책 관리 방법
FI20096168A0 (fi) 2009-11-10 2009-11-10 Polar Electro Oy Monta käyttäjäprofiilia kannettavassa laitteessa
KR101311239B1 (ko) * 2011-09-26 2013-09-25 주식회사 사람들과사람들 Nfc 매체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3293B1 (ko) 2015-12-08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설정 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594095B1 (ko) * 2023-04-10 2023-10-25 주식회사 원포유 수용자 전용 단말기와, 이를 포함하는 통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040A (ko) 200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431B2 (en) Operating system integrated domain management
US9065771B2 (en) Managing application execution and data access on a device
US7860486B2 (en) Key revocation in a mobile device
US88568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pplication permissions
US9172546B2 (en) Network mediated multi-device shared authentication
US8584200B2 (en) Multiple time outs fo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JP2005502128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デバイス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許可の使用
JP2011517821A (ja) 連絡先情報へのアクセスを可能にする方法及び装置
US77342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sources via a mobile terminal,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KR1011153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사용 장치 및 방법
US20230112606A1 (en) Device enrollment in a unified endpoint management system over a closed network
CA2829805C (en) Managing application execution and data access on a device
KR101386363B1 (ko) 이동단말기의 보안실행환경에서 일회용암호생성장치 및 그 방법
EP3198398B1 (en) Access to software applications
KR20130032956A (ko) Nfc 매체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19142B1 (ko) 위치에 따라 비밀번호가 가변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제어 방법, 이를 위한 위치기반 가변 비밀번호 설정 시스템
KR10059417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생활 보호 방법
CA2793441C (en) Combined passcode and activity launch modifier
KR200601028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