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920B1 -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 Google Patents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920B1
KR101114920B1 KR1020100087827A KR20100087827A KR101114920B1 KR 101114920 B1 KR101114920 B1 KR 101114920B1 KR 1020100087827 A KR1020100087827 A KR 1020100087827A KR 20100087827 A KR20100087827 A KR 20100087827A KR 101114920 B1 KR101114920 B1 KR 10111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al area
sound
cross
spee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심현섭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섭, 김선희 filed Critical 심현섭
Priority to KR102010008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일단은 비강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음관(10)과, 양단이 각각 개구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수음관(10)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음관(10)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전달공간(S)이 형성되는 전달부(20)와,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전달부(2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귀에 삽입되어 비강으로부터 상기 수음관(10) 및 전달부(20)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배출하는 배출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성장애치료용 기구{Treatment device for voice disorders}
본 발명은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대비성이나 비강기류의 방출과 같은 음성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자신의 말소리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장애라 함은 성대, 호흡기관 및 말소리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소리의 높낮이(pitch), 크기(loudness), 또는 음성의 질(quality)의 변화를 초래하는 말장애의 한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성대를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오용(misuse)으로 인해 생기는 기능적 음성장애, 그리고 발성기관의 구조적 손상 또는 질병에 기인한 기질적 음성장애이다.
그 중에서 구순구개열 아동들에게는 과대비성이나 비강기류의 배출, 보상조음 등과 같은 증상이 자주 나타나게 된다. 특히, 연인두 부의 근육들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연인두 부위가 너무 넓은 경우(deep pharynx)에는 연구개와 인두가 접촉이 잘 되지 않아 구강의 공기가 비강쪽으로 새는 연인두 기능부전(velopharyngeal incompetence)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과대비성 목소리 장애(hyper-nasality)가 발생하게 된다.
과대비성은 구개파열 아동 구어의 전형적인 특성 중 하나로 인식되는데, 근원적인 요인은 연인두 폐쇄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구강-비강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고, 부가적으로 혀의 위치, 상악-하악 관계, 청지각, 동시적인 운동, 습관화 등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인두 기능의 결함으로 나타난 과대비성은 구강 내 압력이 감소되며, 콧김 방출을 자주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치료단계의 첫번째로 과대비성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검사방법에는 자신의 과대비성과 비성이 없는 일반적인 음성의 차이를 듣고 비교하는 청각적 변별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즉, 환자의 언어치료를 위한 단계 중에서 셀프모니터링(self-monitoring)은 아주 중요한 요소로서, 이는 스스로 자신의 말소리와 다른 사람의 정상적인 말소리의 차이를 인지하는 것에서 치료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환자들이 자신의 과대비성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장비가 없어 단순히 청각에 의지하거나, 언어치료사의 주관적인 평에 의존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과대비성의 경우에는 환자가 자신의 비음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셀프모니터링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물론, Nasometer와 같은 기구를 통해 환자의 과대비성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기구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로 간략하게 셀프모니터링을 하는데는 적절하지 않고, 또한 환자가 자신의 비성을 직접 듣는 방식이 아니라 비강과 구강으로부터 산출된 음향학적 에너지비율에서 도출된 값으로부터 비성도(nasalance)를 계산하는 것이므로 간접적인 방식에 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과대비성과 같은 음성장애를 가진 환자가 자신의 음성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대비성과 같은 음성장애를 가진 환자가 자신의 음성과 타인의 음성을 직접 청취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대비성과 같이 자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는 소리를 보다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일단은 비강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음관과, 양단이 각각 개구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수음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음관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전달공간이 형성되는 전달부와,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전달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귀에 삽입되어 비강으로부터 상기 수음관 및 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수음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연통되고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중심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달부의 전달공간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달공간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2연결부의 단면적 < 제1연결부의 단면적 < 중심부의 단면적이다.
상기 수음관의 단면적은 배출관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수음관의 일단에는 비강으로 삽입되는 수음탭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일단에는 귓구멍 내부로 삽입되는 리시버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출관은 2갈래로 나뉘어져 그 일단에 각각 리시버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음관 및 배출관 그리고 전달부는 각각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전달부는 고무재질의 외피와,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내피로 구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이용하여 과대비성과 같은 음성장애를 가진 환자가 자신의 음성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음성장애 치료에 앞서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다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과대비성과 같은 음성장애를 가진 환자가 자신의 음성과 타인의 음성을 직접 청취하여 보다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언어치료사 역시 Nasometer와 같은 정밀기계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객관화된 평가를 할 수 있어, 음성장애판정과정이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달부에 의해 비성이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셀프모니터링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사용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달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달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는 크게 수음관(10)과 전달부(20), 그리고 배출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를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음관(10)은 일종의 관(tube)로서, 그 일단이 환자의 비강에 삽입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달부(20)에 연결되어, 환자의 비음(鼻音)을 수집?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음관(1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음관(10)은 사용자가 임의로 외력을 가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인데, 이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음관(1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음관(10)의 일단에는 수음탭(15)이 결합된다. 상기 수음탭(15)은 실제 비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수음탭(15)은 상기 수음관(1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 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음탭(15)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준비되어, 환자의 나이나 비강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상기 수음관(10)의 일단에는 전달부(20)가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20)는 양단이 각각 개구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수음관(10)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후술할 배출관(30)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수음관(10)으로부터 전달된 비음(비성)이 배출관(30)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들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달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음관(1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1)와, 중심부(23), 그리고 제2연결부(25)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부(23)는 상기 제1연결부(21)와 연통되고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25)는 아래에서 상기 제1연결부(21)의 타측에 형성되어 배출관(30)과 연결된다.
상기 전달부(20)의 형상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전달부(20)는 제1연결부(21)로부터 중심부(23)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커지다가, 다시 상기 제2연결부(25)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연결부(21)를 통해 들어오는 비음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중심부(23)에서 울리게 된 후, 중심부(23)의 내면에 반사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연결부(25)로 갈수록 집중되어 배출관(30)을 통해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S는 전달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전달부(20)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전달부(20)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피(A)는 플랙시블한 재질,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만들어지고, 내피(B)는 그 표면이 매끄럽고 역시 플렉시블한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전달부(20)의 내면에서 비음이 보다 잘 반사되어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피(B)는 그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달부(20)는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에서 소리의 난반사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달부(20)의 제2연결부(25)에는 배출관(30)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수음관(10)과 및 전달부(20)를 거쳐 전달된 비음을 환자 또는 언어치료사(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 SLP)의 귀로 배출하여 환자나 언어치료사가 환자가 발생시키는 비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수음관(10)과 마찬가지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일단에는 리시버(35)가 구비된다. 상기 리시버(35)는 환자나 언어치료사의 귓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음탭(15)과 마찬가지로 교체가능하도록 배출관(30)에 결합된다. 상기 리시버(35)는 그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배출관(30)은 2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양쪽 귀로 비음을 청취하거나 또는 환자와 언어치료사 등이 동시에 비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보듯이, 제2연결부(25)의 단면적 < 제1연결부(21)의 단면적 < 중심부(23)의 단면적이고, 상기 수음관(10)의 단면적은 배출관(30)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수음관(10)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압축되어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이용한 음성치료과정 및 그 결과데이터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음성장애치료는 장애의 평가로부터 시작될 수 있는데, 그 평가로는 비인강기능의 평가가 있다. 비인강 기능 평가는 다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로 나뉘게 된다. 객관적 평가는 NASOMETER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비음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주관적 평가는 탁구공불기나 비닐필름 불기와 같은 소프트블로잉(soft blowing)이나 하드블로잉(hard blowing) 등의 방법으로 장애를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평가의 한 방법으로 셀프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음성장애의 정도를 인지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셀프모니터링은 상술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의 수음관(10)의 일단, 즉 수음탭(15)을 환자의 비강에 삽입하고, 배출관(30)의 리시버(35)를 귓구멍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가 언어치료사가 준비한 검사문구를 낭독하면, 그 과정에서 비음이 발생하여 환자가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별도의 기구가 없는 경우 환자가 자신이 발생시키는 비음을 청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 수음관(10)을 언어치료사 등 비환자의 비강에 삽입하고, 리시버(35)를 환자의 귀에 삽입하여, 환자가 비환자가 낭독하는 검사문구의 소리를 자신의 것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환자의 비강에 수음관(10)을 삽입하고, 리시버(35)는 언어치료사의 귀에 삽입함으로써, 언어치료사의 주관적인 평가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울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환자는 정상적인 발음과 자신의 비음을 비교?인식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본격적인 치료에 앞서 효과적인 사전작업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하여 셀프모니터링을 시행한 결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방법은 피시험자가 언어치료사가 준비한 검사문구를 낭독하고, 이를 언어치료사가 평가하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이때, 시험은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를 각각 측정?평가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유의미 정도를 계산하였고, 이를 Nasometer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한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검사문구의 낭독은 별도의 마이크 없이 방음된 방에서 진행되었다.
이때, 언어치료사의 평가는 별도의 평가표(미도시)의 평가란에 각각 주관적인 평가수치를 기입하고 합산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언어치료사는 총 3명으로 구성되고, 이들의 평가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로부터 유의미 정도를 계산하였다. 아래에서 아래첨자로 표시된 SLP1~SLP3은 각각 언어치료사1~언어치료사3를 의미한다.
(1)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없는 상태의 시험
아래 표1은 음성장애치료용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피시험자가 검사문구를 낭독하고 이를 언어치료사가 별도의 기구 없이 청취하여 평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비성 정도의 판단값
rSLP1 * rSLP2 = .32, p<.01
rSLP1 * rSLP3 = .49, p<.01
rSLP2 * rSLP3 = .28, p<.01
참고로, r은 상관계수이고, p는 유의수준을 나타낸다.
이에 보듯이, 상관계수는 .32, .49, .28로 나타났다. 즉, 별도의 기구 없이 다수의 언어치료사의 주관적인 비음평가에 있어서, 그 판단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p=.926)
(2)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한 상태의 시험
아래 표1은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한 상태에서, 피시험자가 검사문구를 낭독하고 이를 언어치료사가 기구를 통하여 청취하여 평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수음관(10)의 수음탭(15)은 환자의 비강에, 리시버(35)는 언어치료사의 귀에 삽입한 상태로 시험한 것이다.
비성 정도의 판단값
rSLP1 * rSLP2 = .94, p<.01
rSLP1 * rSLP3 = .78, p<.01
rSLP2 * rSLP3 = .74, p<.01
이에 보듯이, 상관계수는 .94, .78, .74로 나타났다. 즉, 상관관계 분석 결과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수의 언어치료사의 주관적인 비음평가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3)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한 상태의 비성정도판단치와 Nasometer를 통한 비음치 간의 상관관계
마지막으로 상기 (2)에서 측정된 비성정도 판단치와, 객관적인 측정도구인 Nasometer를 이용한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r=.858, p<.05
로서 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4) 결론
이와 같은 시험에서 보듯이,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하여 언어치료사가 측정한 비음의 정도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비록 두 경우 모두 언어치료사가 주관적으로 측정하였지만, 기구를 통해 보다 객관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Nasometer와 같은 디지털기구를 사용한 측정치와도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음성장애치료용 기구를 사용한 경우 보다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수음관 15: 수음탭
20: 전달부 21: 제1연결부
23: 중심부 25: 제2연결부
30: 배출부 35: 리시버

Claims (9)

  1.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일단은 비강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수음관과,
    양단이 각각 개구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수음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음관의 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전달공간이 형성되는 전달부와,
    양단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그 일단은 상기 전달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귀에 삽입되어 비강으로부터 상기 수음관 및 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수음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연통되고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중심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의 전달공간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공간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2연결부의 단면적 < 제1연결부의 단면적 < 중심부의 단면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관의 단면적은 배출관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관의 일단에는 비강으로 삽입되는 수음탭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관의 일단에는 귓구멍 내부로 삽입되는 리시버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2갈래로 나뉘어져 그 일단에 각각 리시버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관 및 배출관 그리고 전달부는 각각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고무재질의 외피와,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내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KR1020100087827A 2010-09-08 2010-09-08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KR10111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27A KR101114920B1 (ko) 2010-09-08 2010-09-08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27A KR101114920B1 (ko) 2010-09-08 2010-09-08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20B1 true KR101114920B1 (ko) 2012-03-06

Family

ID=4614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827A KR101114920B1 (ko) 2010-09-08 2010-09-08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276A (en) * 1980-04-16 1982-06-15 The University Of Virginia Apparatus for non-invasive measurement and display nasalization in human speech
KR880002402A (ko) * 1986-07-15 1988-04-30 김영철 자기 목소리를 시차를 두고 들을수 있는 헤드폰(head phone)
KR880002403A (ko) * 1986-07-15 1988-04-30 김영철 자기 목소리를 바로 들을 수 있는 헤드폰(head phone)
KR20090010506U (ko) * 2008-04-11 2009-10-15 노강열 노래 연습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276A (en) * 1980-04-16 1982-06-15 The University Of Virginia Apparatus for non-invasive measurement and display nasalization in human speech
KR880002402A (ko) * 1986-07-15 1988-04-30 김영철 자기 목소리를 시차를 두고 들을수 있는 헤드폰(head phone)
KR880002403A (ko) * 1986-07-15 1988-04-30 김영철 자기 목소리를 바로 들을 수 있는 헤드폰(head phone)
KR20090010506U (ko) * 2008-04-11 2009-10-15 노강열 노래 연습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6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O grading of hearing impairment
US9326706B2 (en) Hearing profile test system and method
Stelzle et al. Automatic, computer‐based speech assessment on edentulous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ete dentures–preliminary results
Lawson et al. Speech audiometry
Sweeney Nasality—assessment and intervention
US10692397B2 (en) Smart nasometer
Andreetta et al. Evaluation of speech amplification devices in Parkinson's disease
Saccente-Kennedy et al. A pilot study assessing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a vibratory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acapella choice) in the treatment of voice disorders
Sundarrajan et al. Respiratory and laryngeal changes with vocal loading in younger and older individuals
Searl et al. Lingual–alveolar contact pressure during speech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reliminary findings
de Machado et al. Vo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 engaged in aerobics in private institutions of Salvador, Bahia
Van Lierde et al. The impact of vocal intensity and pitch modulation on nasalance scores: A pilot study
KR101114920B1 (ko) 음성장애치료용 기구
Van Lierde et al. The Nasality Severity Index: An objective measure of hypernasality based on a multiparameter approach: A pilot study
Bunton et al. A simple technique for determining velopharyngeal status during speech production
Hanson A study of velopharyngeal competency in children with repaired cleft palates
Radhakrishnan Nasal Resistance (NR) technique: a novel approach to improve glottal adduction
Callahan et al. Stethoscopes: What are we hearing?
Cornwell et al. Impact of an abdominal binder on speech outcomes in people with tetraplegic spinal cord injury: perceptual and acoustic measures
Lulich et al. Accelerometer-Based Measurements of Voice Quality in Children During Semi-Occluded Vocal Tract Exercise with a Narrow Straw in Air.
Morgan et al. The effect of auditory feedback on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measurement
JP5029950B2 (ja) 腹式呼吸の評価方法および装置
Herman et al. Sound, speech, and hearing
Bottalico et al. Effect of reverberation time on vocal fatigue
Kim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upraglottic activity and glottal stops at the sentence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