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856B1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4856B1 KR101114856B1 KR1020100030590A KR20100030590A KR101114856B1 KR 101114856 B1 KR101114856 B1 KR 101114856B1 KR 1020100030590 A KR1020100030590 A KR 1020100030590A KR 20100030590 A KR20100030590 A KR 20100030590A KR 101114856 B1 KR101114856 B1 KR 101114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iner
- bottom plate
- concrete
- strainer block
- form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판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ainer block for a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paper, comprising: assembling a bottom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and a side plat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formwork; Fix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to the bottom plate, fasten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to the bolt passing the bottom plate from the bottom to the top; Capp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rrel; Plac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a height of the stem and applying vibration to remove air in the concrete; And smoothing the surface by trow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removing the cap and inverting the formwork to remove the bolt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nd removing the formwork from the strainer b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장 여과지에서 여과재를 받치며 여과된 정수를 집수실로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ainer block for supporting a filter medium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paper and to collect the filtered purified water into a collecting chamber, and a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여과지(濾過池)는 정수장(water purification plant)에서 원수(原水)를 처리하는 마지막 단계로서, 문제의 발생 즉시 정수(淨水)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중요한 시설이므로 양질의 정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꾸준한 개선방안이 강구된다.Filter paper is the last step in treating raw water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It is an important facility that must stop producing purified water immediately after a problem occurs. Steady improvement measures are taken.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는 여과지의 기초 시설물의 바닥에 받침보를 설치하고 받침보의 위에 수평으로 스트레이너 블럭을 설치한 후 스트레이너(strainer)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 설치된다. The lower collecting device of the filter paper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support beam at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of the filter paper, installing a strainer block horizontally on the support beam, and inserting a strainer.
스트레이너 블럭 위에는 여재(여과자갈, 여과사,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등)가 설치된다. 여재 위에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가 여재를 통과하는 동안 원수에 포함된 고체 입자 또는 부유물 등이 걸러지게 된다. 정수된 물은 스트레이너를 통과한 후 하부 집수실로 모이게 되며, 소독 처리를 한 후 가정 등으로 용수로서 공급된다.On the strainer block, a filter medium (filtrate, filter sand, anthracite, activated carbon, etc.) is installed. When raw water is supplied over the filter medium, solid particles or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filtered out while the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medium. The purified water is collec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to the lower collecting chamber. After the disinfection treatment,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home as water.
이러한 스트레이너 블럭의 기존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의 형태를 만들 수 있게 거푸집이 마련된다. 거푸집의 바닥면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와 같이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기 위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이 바닥면에 고정된다. 고정용 대롱의 상부 개구는 마개 와셔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마개 와셔 및 고정용 대롱은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바닥판에 고정된다. The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strainer block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1, a formwork is provided to form a strainer block.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work is formed so as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the strainer for installing the strainer for installing the strainer as shown in Figure 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opening of the fixing barrel is formed so that concrete does not penetrate by means such as a stopper washer. The stopper washer and the fixing barrel are fixed to the bottom plate by bolts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mounting barrel.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조건으로 양생을 하게 된다. 도 3은 양생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각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에 설치되었던 볼트 및 마개 와셔를 제거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스트레이너 블럭이 완성된다.When the strainer installation stem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formwork,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under certain conditions. 3 shows a state in which curing is completed. Then, as shown in Figure 4, by removing the formwork after removing the bolt and stopper washer was installed in each strainer installation to complete the strainer block.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의 상단부 및 볼트머리가 도 3과 같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대하여 평탄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포 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미관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거친 표면에 미생물이 부착 또는 서식하게 될 수 있어 위생을 해칠 위험도 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is method, since the upper end part and the bolt head of the strainer installation stem are protrud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concrete as shown in FIG. 3, it becomes impossible to flatten the surface.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as shown in Figs. 3 and 4 includes an uneven surface, and the bubble marks remain as it is, which not only degrades aesthetics, but also causes microorganisms to adhere or inhabit rough surfaces. There is also a risk of har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having a smooth surfa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할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판을 조립하여 거푸집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assembling the bottom plate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and the side pl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o provide a formwork ; Fix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to the bottom plate, fasten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to the bolt passing the bottom plate from the bottom to the top; Capp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rrel; Plac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a height of the stem and applying vibration to remove air in the concrete; And smoothing the surface by trow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removing the cap and inverting the formwork to remove the bolt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nd removing the formwork from the strainer block.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그 헤드부가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몸체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대롱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롱을 바닥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crew body portion of the bolt can be inserted, and the bolt body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 in the state where the hea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By the fastening can be fixed to the base plate.
상기 흙손질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원봉형의 흙손을 대고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owel may include a process of horizontally moving a round trowel on the top of the side plate.
상기 흙손질은 상기 거푸집에 진동을 가한 후 공기가 빠질 수 있는 일정 시간 이상을 경과한 후 시행할 수 있다.The trowel can be carried o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fter the vibration of the formwork can be out of air.
상기 캡은 상기 대롱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 may include a cap body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barrel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flange on an upper end of the cap body.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ainer block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이너 블럭의 콘크리트의 표면에 흙손질에 의한 마감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하면이 울퉁불퉁한 면이 생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너 블럭이 매끈하게 되므로 스트레이너 블럭의 표면에 미생물 등이 부착 또는 서식할 수 없게 되므로 여과지 하부집수시설의 청결도를 개선하고, 나아가 정수장의 수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of the strainer block can be finished by the trowel,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is not produced uneven surface. As such, since the strainer block becomes smooth, microorganisms and the like cannot be attached or inhabited on the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thereby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filter basin collecting facility and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될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과, 대롱 마개, 및 대롱의 고정을 위한 볼트를 각각 분리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이 고정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7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8은 잠재우기를 시행한 후 흙손질을 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9는 양생이 완료된 후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으로부터 캡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10은 거푸집을 뒤집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고 있던 볼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도 11은 완성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1 to 4 are photograph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trainer block by a conventional technique.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rainer for installing the strainer to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formwork, and the stopper cap, and bolts for fixing the long to remove the strai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concrete is poured after installing the fixed strainer installation stand as shown in FIG. 5.
7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completing the pouring of concrete.
8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rowel after performing the latent purge.
9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ap from the strainer installation stand after curing is completed.
10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bolt that was fix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stand in the form upside dow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ted strainer block.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의 바닥판에 고정될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과, 대롱 마개, 및 대롱의 고정을 위한 볼트를 각각 분리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거푸집(10)은 스트레이너 블럭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둘레방향을 따라 바닥판(11)에 결합되는 측면판(12)을 포함하고 있다. 스트레이너 블럭은 복수의 스트레이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스트레이너가 설치되기 위한 대롱(20)을 거푸집의 바닥판(11)에 고정한다. 이를 위하여 바닥판(11)에는 각 스트레이너마다 관통홀(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대롱(20)은 관통홀(11a)을 통과하는 각각의 볼트(30)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볼트(30)의 헤드부(31)가 바닥판(11)의 하면에 걸린 상태에서 볼트(30)의 나사몸체부(32)가 관통홀(11a)을 통과한 후 탭이 형성된 대롱(20)의 내주면에 체결된다. 볼트(30)를 단단히 조이면 대롱(20)의 하단이 바닥판(11)에 완전히 밀착되므로 자연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시 대롱(20)의 하단 구멍을 통하여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롱(20)의 고정방식은, 볼트의 헤드부가 대롱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나사몸체부가 대롱을 관통한 후 바닥판에 체결되는 종래의 예(도 2, 3 참조)와 대비된다.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rainer for installing the strainer to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formwork, and the stopper cap, and bolts for fixing the long to remove the strainer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콘크리트 타설시 대롱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않도록 대롱(20)의 상단의 개구는 캡(40)에 의하여 밀폐시킨다. 도 5에 의하면, 캡(40)은 대롱(20)의 개구에 삽입될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41)와, 캡몸체(41)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4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캡(40)의 형상은 대롱(20)으로부터의 상단 돌출량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의 상면과의 대롱(20)의 상면을 같은 높이로 맞추기 용이하며, 후에 이어질 흙손질 마감 작업시 평탄한 표면을 얻는데 유용하다. 캡(40)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제거되기 쉽도록 변형성 또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long 20 is sealed by the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20)이 거푸집(10)의 바닥판(11)에 고정되면 스트레이너 블럭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롱(20) 사이에 철근(50)을 배근할 수 있다. When the
도 6은 도 5와 같이 고정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고, 도 7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완료한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며, 도 8은 잠재우기를 시행한 후 흙손질을 하는 모습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다. FIG. 6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concrete pouring after installing a fixed strainer installation drape as shown in FIG. 5, FIG. 7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completion of concrete pouring, and FIG. This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e appearance of troweling after.
도 6과 같이 콘크리트는 대롱(20) 및 측면판(12)의 높이까지 타설하며,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채운 후에는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내의 공기(70)를 제거한다. 이 경우, 공기는 상부 방향으로 서서히 진행되어 빠지는 것이므로 일정 시간(예: 30분 정도) 동안 잠재우기를 시행한다. 만약, 공기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흙손질을 하면 추가적으로 빠지는 공기의 구멍이 발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crete is poured to the heights of the long 20 and the
잠재우기가 완료되면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한다. 이 경우, 도 8과 같이, 흙손질은 측면판(12)의 상단에 흙손(60)을 대고 수평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흙손(60)은 캡(40)의 저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원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흙손질을 하면 공기가 빠지면서 발생한 구멍을 메우는 것과 함께 울퉁불퉁한 표면을 평평하고 매끈하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캡(40)의 상단면은 콘크리트(C)의 표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으므로 캡(40)에 의하여 흙손질이 방해받지 않는다.Once the filling is complete, smooth the surface by troweling the top of the concret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trowel may use a method of moving the
흙손질을 마친 거푸집(10)은 양생실로 옮긴 후 일정 시간 동안 양생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양생시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을 막기 위해 양생실에서는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After finishing the trowel (10) is moved to the curing room to undergo a curing process for a certain time. Steam can be supplied from the curing room to prevent cracking of the concrete surface during curing.
도 9는 양생이 완료된 후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으로부터 캡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고, 도 10은 거푸집을 뒤집은 상태에서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고 있던 볼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이며, 도 11은 완성된 스트레이너 블럭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ap from the strainer installation stand after curing is completed, Figure 10 is a work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the bolt fix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stand in the form upside down, Figure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leted strainer block.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되면 도 9 및 도 10과 같이 대롱(20)을 막고 있던 캡(40)과 볼트(30)를 제거한다. 도 9와 같이, 캡(40)은 대롱(20)의 구멍을 막는 정도의 힘으로 대롱(20)에 부착된 것으로서, 콘크리트(C)와는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대롱(20) 및 콘크리트(C)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다. 캡(40)의 제거는 볼트(30)가 먼저 제거된 후에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볼트(30)는 거푸집(10)을 뒤집은 상태에서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캡(40)과 볼트(30)가 제거되면 거푸집(10)의 바닥판(11)과 측면판(12)을 해체하여 스트레이너 블럭(1)으로부터 제거한다.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finished, the
이와 같이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1)에는 대롱(20)이 그대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과지에 설치시 각 대롱(20)에 스트레이너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이상에서 설명한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작된 스트레이너 블럭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described above and the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6)
상기 바닥판에 스트레이너 설치용 대롱을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통과하는 볼트에 상기 대롱을 체결시키는 단계;
상기 대롱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캡을 씌우는 단계;
상기 대롱의 높이까지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진동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리트의 상면에 흙손질을 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캡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을 뒤집어 상기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을 스트레이너 블럭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Assembling a bottom plate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strainer block and a side plat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formwork;
Fixing the strainer installation to the bottom plate, and fastening the bayonet to the bolt passing the bottom plate from the bottom to the top;
Capping an opening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arrel;
Placing concrete in the formwork to a height of the stem and applying vibration to remove air in the concrete; And
Smoothing the surface by trowe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removing the cap and inverting the formwork to remove the bolt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and removing the formwork from the strainer block.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몸체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는 그 헤드부가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몸체부가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대롱의 내주면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롱을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late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crew body portion of the bolt can be inserted, and the bolt body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hole in the state where the hea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so that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filter paper, characterized in that by fixing to the bottom plate by fastening.
상기 흙손질은 상기 측면판의 상단에 원봉형의 흙손을 대고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trowel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moving horizontally to the top of the side plate with a rod-shaped trowel.
상기 흙손질은 상기 거푸집에 진동을 가한 후 공기가 빠질 수 있는 일정 시간 이상을 경과한 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trowel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filter pape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fter the vibration to the mold to remove the air.
상기 캡은 상기 대롱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상단에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여과지용 스트레이너 블럭의 제작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filter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 body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long and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flange on the upper end of the cap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en) | 2010-04-02 | 2010-04-02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en) | 2010-04-02 | 2010-04-02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1167A KR20110111167A (en) | 2011-10-10 |
KR101114856B1 true KR101114856B1 (en) | 2012-02-14 |
Family
ID=4502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0590A KR101114856B1 (en) | 2010-04-02 | 2010-04-02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48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16797A (en) * | 2018-12-03 | 2019-02-12 | 浙江联池水务设备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removable punching block integrated poured filter plate |
CN112044174B (en) * | 2020-09-15 | 2021-06-08 | 荆州市锐利商品混凝土有限公司 | Preparation process of concrete water reducing agent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70798A (en) * | 1998-02-24 | 1999-09-15 | 유영덕 | Perforated water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225613Y1 (en) * | 2000-12-16 | 2001-06-01 |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 Strainer block for rapid sand filters |
KR20020025613A (en) * | 2000-09-29 | 2002-04-04 | 이승형 | Providing method of home nurse service |
KR20030079204A (en) * | 2002-04-02 | 2003-10-10 | 인천광역시 (관리부서:상수도사업본부) | Method to construct 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or and thereof apparatus |
KR100506564B1 (en) | 1997-02-19 | 2005-08-10 | 더그레몽 | Method for producing a filter bottom for water treatment |
-
2010
- 2010-04-02 KR KR1020100030590A patent/KR10111485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6564B1 (en) | 1997-02-19 | 2005-08-10 | 더그레몽 | Method for producing a filter bottom for water treatment |
KR19990070798A (en) * | 1998-02-24 | 1999-09-15 | 유영덕 | Perforated water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20025613A (en) * | 2000-09-29 | 2002-04-04 | 이승형 | Providing method of home nurse service |
KR200225613Y1 (en) * | 2000-12-16 | 2001-06-01 |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 Strainer block for rapid sand filters |
KR20030079204A (en) * | 2002-04-02 | 2003-10-10 | 인천광역시 (관리부서:상수도사업본부) | Method to construct integration type lower water collector and thereof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1167A (en) | 2011-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127098A (en) | A kind of well lid die casting | |
CN107100308B (en) | Concrete floor construction method using reusable stirrup | |
KR101114856B1 (en)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er block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strainer block produced thereby | |
CN106671248B (en) | The construction method in roadbed central slot gap type gutter | |
CN208853352U (en) | A kind of eco-friendly car accessory cleaning device | |
US7553425B2 (en) |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 |
CN205224585U (en) | Hanging mould structure for high-low difference concrete construction | |
CN209443783U (en) | A kind of template cleaning plant | |
DE69014651T2 (en) | OBJECT PRODUCED IN MOLD WITH EMBEDDED POST AND A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OBJECT. | |
CN207930833U (en) | A kind of well lid making platform | |
CN110593170A (en) | Formwork supporting device of reinforced concrete guardrail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
CN109351012A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for exempting to adjust top demoulding integrated poured filter plate | |
CN216465188U (en) | Three-phase attached concrete vibrating table convenient to clean | |
KR102322913B1 (en) | Rainwater treatment system | |
CN211362780U (en) | Green concrete mold cleaning equipment for building materials | |
JP3015825B2 (en) | Formwork for concrete products | |
CN210369259U (en) | Socket joint type drain cover plate | |
KR101229008B1 (en) | Mold Device for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 |
CN209475697U (en) | A kind of removable punching block integrated poured filter plate | |
US7473383B2 (en) |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foundations | |
KR100540262B1 (en) | Refair structur of underdrain system and method therof | |
CN207521289U (en) | A kind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vel multi-stage screening machine | |
GB2455253A (en) | Shaker wedge | |
CN209504418U (en) | Die station tamping equipment | |
KR10107239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low filtration structure of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establishment constructed thereb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 |